KR100865967B1 -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967B1
KR100865967B1 KR1020080048832A KR20080048832A KR100865967B1 KR 100865967 B1 KR100865967 B1 KR 100865967B1 KR 1020080048832 A KR1020080048832 A KR 1020080048832A KR 20080048832 A KR20080048832 A KR 20080048832A KR 100865967 B1 KR100865967 B1 KR 10086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late
closing device
cover open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희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08004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967B1/ko
Priority to US12/992,819 priority patent/US20110072922A1/en
Priority to JP2011511489A priority patent/JP5144806B2/ja
Priority to EP08793530A priority patent/EP2281348A4/en
Priority to PCT/KR2008/005027 priority patent/WO2009145389A1/en
Priority to CN2008801294611A priority patent/CN10204757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896Snap action
    • Y10T74/18904Plate spring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판 형상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 형상의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에 양쪽 끝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유닛은, ⅰ)서로 엇갈리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과, ⅱ)상기 각 회전판 사이에서 이들 회전판의 양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회전판을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픈된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회전판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핀들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에 형성되는 탄성 지지판과, ⅲ)상기 지지핀들에 끼워져 상기 각 회전판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휴대 단말기, 휴대폰, 이동 통신, 회전판, 탄성 지지판, 덮개, 회전, 개폐, 탄성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무선으로 방송 및 통신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과 PDA, 노트북, DMB폰 등의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정보화 산업의 발달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 중의 한가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휴대폰의 경우에는 초, 중, 고등학생과 노인 등에 이르기까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덮개를 개폐시키는데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를 크게 나누면 힌지 방식과 슬라이드 방식, 스윙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이 적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갖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
상기 슬라이드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본 구조는, 키패드 등이 설치된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덮개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종래 들어 이와 같은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구조의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개폐장치가 각 제조 업자를 중심으로 제조되고 있다.
한가지 예를 들면, 종래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덮개에 고정되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재와, 그 이동부재의 슬라이딩이 보다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에 양쪽 끝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는 탄성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유닛은 휴대 단말기의 덮개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될 때까지 사용자가 덮개에 힘을 가함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나머지 구간은 자연스럽게 덮개의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탄성유닛으로서 코일 스프링이나 비틀림 스프링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덮개의 개폐동작에 따른 유동시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와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에 긁힘 등의 손상을 입히게 되며, 소음 및 마찰저항을 유발하는 등 개폐동작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탄성유닛이 상하로 유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정확하고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 덮개의 개폐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탄성력이 작용하고 탄성력의 저하 및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유닛의 유동 및 작동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판 형상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 형상의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에 양쪽 끝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유닛은 ⅰ)서로 엇갈리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과, ⅱ)상기 각 회전판 사이에서 이들 회전판의 양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회전판을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픈된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회전판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핀들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에 형성되는 탄성 지지판과, ⅲ)상기 지지핀들에 끼워져 상기 각 회전판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판 은 상기 각 회전판의 양측 사이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의 개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각 회전판의 양측 사이드부로 후크 결합되는 후크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판은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이 상기 양측 사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 돌기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 돌기는 상기 걸림턱과 상보적인 형태의 결합을 이루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지니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걸림턱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의 개방 단부 내측으로 향하는 제1 레일과, 상기 개방 단부 외측으로 향하는 제2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의 개방 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판은 상기 제1 슬라이드 섹션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판의 일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리브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섹션에 대응하는 다른 회전판의 일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리브와,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서 상기 각 회전판의 다른 일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브와 일체로서 이루어지는 제3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상기 탄성 지지판이 "에스(S)"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판은 탄성을 지닌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판은 상기 지지핀들이 삽입 가능한 삽입홀들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삽입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회전판의 몸체부에는 상기 힌지핀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판과 한 쌍의 회전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탄성 지지판의 지지핀에 탄성부재가 지지되는 탄성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휴대 단말기의 개폐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작용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유닛의 과도한 압축으로 인해 중간부가 휘어지거나 유동되어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덮개 개폐 동작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나아가서는 탄성유닛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판과 각 회전판의 결합 구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탄성유닛의 유동 및 작동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체 구성의 조립 및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100)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로는 상하 슬라이드 개폐 방식의 휴대폰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가 일반적인 휴대폰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PDA폰, DMB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는 키패드 등이 설치된 본체(3)로부터 디스플레이부 등이 설치된 덮개(5)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판 형상의 가이드부재(10)와, 가이드부재(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의 이동부재(20)와, 가이드부재(10) 및 이동부재(20)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유닛(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1)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몸체(11)의 양측 모서리부에 일체로 고정되면서 가이드홈(13)을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홈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재(2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양측 모서리부에는 언급한 바 있는 가이드홈(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부(2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에서, 가이드부재(10)는 휴대 단말기(1: 이하 도 1 참조)의 본체(3: 이하 도 1 참조)에 주로 고정되고, 이동부재(20)는 휴대 단말기(1)의 덮개(5: 이하 도 1 참조)에 주로 고정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0) 및 이동부재(20)는 당 업계에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개폐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의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30)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휴대 단말기(1)의 덮개(5)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이동부재(20)가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될 때까지 사용자가 덮개(5)에 힘을 가함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나머지 구간에서 덮개(5)의 슬라이딩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닛(30)은 힌지핀(31)을 통하여 가이드부재(10) 및 이동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10) 및 이동부재(20)에는 그 힌지핀(31)이 탄성유닛(30)으로 조립될 수 있는 조립 구멍(19, 29)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개폐장치(100)에 있어, 탄성유닛(30)은 크게, 한 쌍의 회전판(40)과, 탄성 지지판(60)과, 탄성부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회전판(40)은 서로 엇갈리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가이드부재(10: 이하 도 3 참조) 및 이동부재(20: 이하 도 3 참조)에 힌지핀(31)을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회전판(40)은 가이드부재(10)와 이동부재(20) 사이에서 한 쌍의 평행한 가상선 상에 배치되는 바, 일측 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40)은 이의 다른 일측 단부에 힌지핀(31)이 결합되는 힌지홈(41)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힌지홈(41)은 각각의 다른 일측 단부에 상하 방향을 향하여 서로 반대로 배치된다.
상기 각 회전판(40)은 힌지홈(41)이 형성되는 몸체부(42)와, 그 몸체부(42)의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판(40)은 양측 사이드부에 "ㄷ"자 단면를 지닌 요홈 형태의 가이드 레일(51)이 각각 형성되며, 그 가이드 레일(51)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일정 경사도를 지닌 걸림턱(5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51)은 걸림턱(53)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부(48) 측으로 향하는 제1 레일(55)과, 몸체부(42)의 힌지홈(41: 도 5 참조) 측으로 향하는 제2 레일(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레일(55)과 제2 레일(56)은 걸림턱(53)에 의해 요홈의 깊이가 서로 다른 점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2 레일(56)은 걸림턱(53)에 의하여 이의 요홈 깊이가 제1 레일(55)의 요홈 깊이 보다 더 깊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각 회전판(40)의 몸체부(42)에는 양측 연장부(48) 사이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홀(58)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홀들(58)은 몸체부(42)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도 6 참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판(60)은 각 회전판(40)의 회전을 가이드 하며 탄성 복원력으로서 덮개(5)의 슬라이딩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을 지닌 소정 두께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지지판(60)은 각각의 회전판(40) 사이에서 이들 양측 사이드부의 가이드 레일(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가이드 레일(51) 상의 걸림턱(53)에 로킹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판(60)은 도 7에서와 같이, 대략 "S"자 형태를 취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각 회전판(40)을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지닌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섹션(6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2)이라 함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판(60)에 있어, 각 회전판(40)의 양측 가이드 레일(5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상의 일점 쇄선을 기준할 때, 일측의 회전판(40)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역(파트)을 제1 슬라이드 섹션(61), 다른 일측의 회전판(40)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역(파트)을 제2 슬라이드 섹션(62)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판(60)은 전체적인 형상이 "S"자 형태로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제1 리브(71)와, 제2 리브(72)와, 제1 및 제2 리브(71, 72) 사이에서 이들 제1 및 제2 리브(71, 72)와 일체로서 이루어지는 제3 리브(7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리브(71)는 제1 슬라이드 섹션(61)에 대응하는 회전판(40)의 일측 가이드 레일(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슬라이드 섹션(61)의 오픈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3 리브(73)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리브(72)는 제2 슬라이드 섹션(62)에 대응하는 다른 회전판(40)의 일측 가이드 레일(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슬라이드 섹션(62)의 오픈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3 리브(73)의 다른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리브(7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제1 리브(71)와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제2 리브(7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리브(71)와 제2 리브(72) 사이의 중앙에서 각 회전판(40)의 다른 일측 가이드 레일(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각 회전판(40)의 양측 가이드 레일(51)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의 개방 단부 즉, 제1 리브(71)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 및 제2 리브(72)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에는 전술한 바 있는 걸림턱(53)으로 후크 결합되는 후크 돌기(75)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후크 돌기(75)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의 개방 단부 내측으로 향하는 제1 레일(55)과 그 개방 단부의 외측으로 향하는 제2 레일(56) 사이에서 걸림턱(53)에 상보적인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걸리도록 그 걸림턱(53)에 대응하는 경사도를 지니며 형성된다.
즉, 상기 후크 돌기(75)는 제1 및 제3 리브(71, 73)의 개방 단부, 및 제2 및 제3 리브(72, 73)의 개방 단부에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의 오픈 공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각각의 후크 돌기(75)와 걸림턱(53)에 경사도를 각각 부여하는 이유는 탄성 지지판(60)과 각 회전판(40)의 조립시, 그 탄성 지지판(60)에 대한 각 회전판(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판(60)이 탄성을 지닌 금속 박판으로서 이루어짐으로, 후크 돌기(75)가 제1 및 제3 리브(71, 73)의 개방 단부, 및 제2 및 제3 리브(72, 73)의 개방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더라도 걸림턱(53)에 대한 후크 돌기(75)의 로킹 조립이 가능해진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탄성 지지판(60)의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에 대한 각 회전판(40)의 조립은, 걸림턱(53)에 의하여 제2 레일(56)의 요홈 깊이가 제1 레일(55)의 요홈 깊이 보다 더 깊기 때문에, 제1 리브(71)와 제2 리브(72)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1 레일(55)에 슬라이딩되고, 후크 돌기(75)가 걸림턱(53)에 걸림과 동시에 원상 회복되면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브(71)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 및 제2 리브(72)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는 그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한 개방 단부의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에 대한 각 회전판(40)의 조립시, 그 개방 단부가 제1 레일(55)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탄성 지지판(60)과 각 회전판(40)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탄성 지지판(60)에 있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에는 각 회전판(40)의 연장부(48) 사이에서 몸체부(42)의 삽입홀(58)로 일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핀들(77)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핀들(77)은 각 회전판(40)에 대한 탄성 지지판(60)의 슬라이딩 운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탄성부재(9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핀들(77)은 제1 리브(71)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에 대응하는 이들의 연결 부분, 및 제2 리브(72)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에 대응하는 이들의 연결 부분에 상기 개방 단부를 향하여 일체로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핀들(77)은 각 회전판(40)의 삽입홀(58), 및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탄성부재(90)와 대응하는 개수로 설정하여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90)는 앞서 개시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의 지지핀들(77)에 끼워져 각각의 회전판(40)으로 탄발력을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90)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90)는 지지핀들(77)에 끼워지고 그 지지핀들(77)이 각 회전판(40)의 삽입홀(58)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일측 단부가 삽입홀(58)의 입구 측으로 지지되며, 다른 일측 단부가 제1 리브(71)와 제3 리브(73)의 연결 부분, 및 제2 리브(72)와 제3 리브(73)의 연결 부분으로 지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조립 순서 및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조립 순서를 살펴 보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판(60)의 제1 리브(71)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 및 제2 리브(72)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를 통하여 탄 성부재(90)를 각 슬라이드 섹션(61, 62)의 지지핀들(77)에 장착한다.
다음, 제1 리브(71)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 및 제2 리브(72)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를 통하여 각 회전판(40)을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으로 조립한다.
이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각 회전판(40)의 제1 레일(55)로 제1 리브(71)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 및 제2 리브(72)와 제3 리브(73)의 개방 단부측 후크 돌기(75)를 진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 지지판(60)이 탄성을 지닌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리브(71)와 제2 리브(72)가 제1 레일(55)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후크 돌기(75)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제1 레일(55)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그 후크 돌기(75)가 걸림턱(53)에 걸림과 동시에 원상으로 회복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후크 돌기(75)는 걸림턱(53)에 후크 결합된다.
이러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61, 62)의 지지핀들(77)은 각 회전판(40)의 삽입홀(58)로 자연스럽게 일부 삽입되고, 탄성부재(90)는 각 회전판(40)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발력을 각 회전판(40)으로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각 회전판(40)이 탄성 지지판(60)에 탄성 지지되게 결합됨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유닛(3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탄성유닛(3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판(40)은, 힌지핀(31)이 가이드부재(10) 및 이동부재(20)의 조립 구멍(19, 29)을 통하여 그 회전판(40)의 힌지홈(41)에 결합됨으로, 가이드부재(10) 및 이동부재(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가이드부재(10) 및 이동부재(20)에 탄성유닛(30)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8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본체(3)에 대하여 덮개(5)를 닫은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10)와 이동부재(20)의 한쪽(상부) 끝부분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고, 탄성유닛(30)의 각 회전판(40)은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비스듬한(경사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탄성부재(90)에는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각 회전판(40)으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탄발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5)가 본체(3)로부터 반정도 열릴 때까지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면, 가이드부재(10)는 이동부재(20)의 중간부 정도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탄성유닛(30)의 각 회전판(40)은 힌지핀(31)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되고, 그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대략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탄성유닛(30)의 탄성 지지판(60)이 걸림턱(53: 이하 도 6 참조)에 로킹된 상태에서, 각 회전판(40)의 가이드 레일(51: 이하 도 4 참조)을 따라 힌지핀(31)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탄성부재(90)가 압축되고 그 탄성부재(90)의 탄발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더 이상 덮개(5)에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이동부 재(20)는 상측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동부재(2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는 이동부재(20)의 다른쪽(하부) 끝부분과 결합된 상태가 되면서 덮개(5)는 완전히 열리게 되고, 탄성유닛(30)의 각 회전판(40)은 힌지핀(31)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면서 이동부재(20)의 이동 방향에 경사진 상태로 된다.
이 과정에서, 탄성유닛(30)의 탄성 지지판(60)은 각 회전판(40)의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힌지핀(31)의 반대편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걸림턱(53)에 로킹되고고, 탄성부재(90)는 덮개(5)가 닫혔을 때와 마찬가지로 원상 복원되면서 탄발력이 약해지거나 해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의 본체(3)로부터 덮개(5)가 열린 상태에서 닫을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작동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판(60)과 한 쌍의 회전판(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탄성 지지판(60)의 지지핀들(77)에 탄성부재(90)가 지지되는 탄성유닛(30)을 구비함에 따라, 탄성부재(90)의 탄성력이 휴대 단말기(1)의 개폐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유닛(30)의 과도한 압축으로 인해 중간부가 휘어지거나 유동되어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의 덮개(5) 개폐 동작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나아가서는 탄 성유닛(30)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판(60)과 각 회전판(40)의 결합 구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유닛(30)의 유동 및 작동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체 구성의 조립 및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탄성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회전판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탄성 지지판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완전히 닫은 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절반 정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절반 정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Claims (11)

  1. 판 형상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 형상의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에 양쪽 끝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유닛은:
    서로 엇갈리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및 이동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
    상기 각 회전판 사이에서 이들 회전판의 양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회전판을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픈된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회전판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핀들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에 형성되는 탄성 지지판; 및
    상기 지지핀들에 끼워져 상기 각 회전판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지지판은, 상기 각 회전판의 양측 사이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의 개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각 회전판의 양측 사이드부로 후크 결합되는 후크 돌기와, 상기 제1 슬라이드 섹션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판의 일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리브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섹션에 대응하는 다른 회전판의 일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리브와,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서 상기 각 회전판의 다른 일측 사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브와 일체로서 이루어지는 제3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각 회전판은, 상기 탄성 지지판의 각 리브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이 양측 사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 돌기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돌기는,
    상기 걸림턱과 상보적인 형태의 결합을 이루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지니며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걸림턱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의 개방 단부 내측으로 향하는 제1 레일과, 상기 개방 단부 외측으로 향하는 제2 레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섹션의 개방 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판이 "에스(S)"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판은 탄성을 지닌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판은,
    상기 지지핀들이 삽입 가능한 삽입홀들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삽입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판의 몸체부에는 상기 힌지핀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20080048832A 2008-05-26 2008-05-26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86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832A KR100865967B1 (ko) 2008-05-26 2008-05-26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US12/992,819 US20110072922A1 (en) 2008-05-26 2008-08-27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mobile phone
JP2011511489A JP5144806B2 (ja) 2008-05-26 2008-08-27 携帯端末機用スライド式カバー開閉装置
EP08793530A EP2281348A4 (en) 2008-05-26 2008-08-27 SLIDING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TELEPHONE
PCT/KR2008/005027 WO2009145389A1 (en) 2008-05-26 2008-08-27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mobile phone
CN2008801294611A CN102047573A (zh) 2008-05-26 2008-08-27 便携式终端机滑盖开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832A KR100865967B1 (ko) 2008-05-26 2008-05-26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967B1 true KR100865967B1 (ko) 2008-10-30

Family

ID=4017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832A KR100865967B1 (ko) 2008-05-26 2008-05-26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72922A1 (ko)
EP (1) EP2281348A4 (ko)
JP (1) JP5144806B2 (ko)
KR (1) KR100865967B1 (ko)
CN (1) CN102047573A (ko)
WO (1) WO20091453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098A1 (ko) * 2009-02-12 2010-08-1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101005923B1 (ko) 2010-05-28 2011-01-06 원일인텍(주) 휴대폰 힌지 모듈
KR101089334B1 (ko) * 2010-11-25 2011-12-02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97673U (zh) * 2010-08-24 2011-04-13 新日兴股份有限公司 滑盖式枢纽器及滑盖式可携装置
CN110366016A (zh) * 2018-03-26 2019-10-22 江苏爱仕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遥控器
CN111188073A (zh) * 2019-12-31 2020-05-22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改款车身的前舱盖面漆工装器具
CN112320671B (zh) * 2020-10-29 2022-04-0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上海航空测控技术研究所 六自由度手动载荷提升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47B1 (ko) * 2006-05-24 2007-05-25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 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1596B2 (ja) * 2004-09-15 2010-07-28 レイ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 マップ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電話の開閉に対する摺動機構
WO2006098590A1 (en) * 2005-03-16 2006-09-21 Jong Chul Choo Slid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it
EP1793568B1 (en) * 2005-11-30 2010-02-10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CN2907180Y (zh) * 2006-03-30 2007-05-30 毛连华 滑盖式手机滑板的定位弹簧组件
KR100624551B1 (ko) * 2006-05-20 2006-09-15 리노공업주식회사 개폐용 슬라이딩기구
US8265720B2 (en) * 2006-05-24 2012-09-11 Diabell Co., Ltd. Sli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100782446B1 (ko) * 2006-09-08 2007-12-05 (주)하이텍파츠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그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100698581B1 (ko) * 2006-10-18 2007-03-22 정영조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딩개폐장치
KR100824386B1 (ko) * 2006-10-24 2008-04-22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1139785B1 (ko) * 2006-12-05 201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437430Y1 (ko) * 2006-12-27 2007-12-03 이근주 슬라이딩 휴대폰용 탄성장치
KR100873091B1 (ko) * 2007-04-06 2008-12-09 (주)하이텍파츠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이를구비한 슬라이더 조립체
WO2009038371A2 (en) * 2007-09-18 2009-03-26 Jung Min Park Spring device, sliding module therewith and mobile device therewith
KR20090040491A (ko) * 2007-10-22 2009-04-27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장치
KR20100092181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47B1 (ko) * 2006-05-24 2007-05-25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 힌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098A1 (ko) * 2009-02-12 2010-08-1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101005923B1 (ko) 2010-05-28 2011-01-06 원일인텍(주) 휴대폰 힌지 모듈
KR101089334B1 (ko) * 2010-11-25 2011-12-02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7573A (zh) 2011-05-04
EP2281348A4 (en) 2012-03-28
JP5144806B2 (ja) 2013-02-13
EP2281348A1 (en) 2011-02-09
WO2009145389A1 (en) 2009-12-03
US20110072922A1 (en) 2011-03-31
JP2011521601A (ja)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967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US8265720B2 (en) Sli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39609Y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765179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781535B1 (ko) 이통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867664B1 (ko) 듀얼 슬라이더 조립체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861074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57175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20070040136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장치
KR100876552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
KR100886947B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87097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20040104359A (ko) 내구성의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100788726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663653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42455Y1 (ko) 휴대폰용 곡면 슬라이더 조립체
KR200414033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드조립체
KR200454601Y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KR20036329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101045338B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KR101011233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