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960A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960A
KR20130103960A KR1020120025025A KR20120025025A KR20130103960A KR 20130103960 A KR20130103960 A KR 20130103960A KR 1020120025025 A KR1020120025025 A KR 1020120025025A KR 20120025025 A KR20120025025 A KR 20120025025A KR 20130103960 A KR20130103960 A KR 2013010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inclined portion
coupled
present
elast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은민
Original Assignee
하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은민 filed Critical 하은민
Priority to KR102012002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3960A/ko
Publication of KR2013010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된다. 스마트폰이 거치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후방에 위치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로 부터 하부로 절곡된 상부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1 경사부와 다른 경사각으로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로 부터 상부로 절곡된 하부 이탈방지부와; 상기 받침부로부터 돌출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upporter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나 탁상에 부착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이나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차량을 운행하면서도 사용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스마트폰 거치대는 운전자의 손에 쉽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설치되어야 하며, 또한, 운전자의 시각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
한편, 승합차, 승용차, 버스 등과 같이, 차량의 앞유리의 경사각이 다르더라도 잘 부착되며, 운전자에게 스마트폰의 화면이 잘 보이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을 차량이 운행하는 도중에 떨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와 대쉬보드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경사각을 이루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앞유리에 모두 부착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탁상에 부착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되더라도, 운전자에게 스마트폰의 화면이 잘 보이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블랙박스로 활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가리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폭이 다양한 크기인 스마트폰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거치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후방에 위치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로 부터 하부로 절곡된 상부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1 경사부와 다른 경사각으로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로 부터 상부로 절곡된 하부 이탈방지부와;
상기 받침부로부터 돌출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경사부에는 카메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상기 제1 경사부의 일측에는 제1 스탑퍼가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경사부의 일측에는 제2 스탑퍼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스탑퍼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이탈방지부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된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받침판을 "ㄷ"자 형태로 천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중심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와 대쉬보드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경사각을 이루는 차량의 앞유리에 모두 부착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탁상에 부착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되더라도, 운전자에게 스마트폰의 화면이 잘 보이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폭이 다양한 크기인 스마트폰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상부 이탈방지부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탁상에 결합한 예시도(측면도)- 제1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 앞유리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예시도(측면도)-제1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 앞유리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예시도(후면도)-제1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합차 앞유리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예시도(측면도)- 제2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9은 도 8의 A-A',B-B'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11은 도10 에서 제1 상부 이탈방지부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를 제거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 제2 상부 이탈방지부와 제2 하부 이탈방지부를 제거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상부 이탈방지부의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탁상에 결합한 예시도(측면도, 제1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 앞유리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예시도(측면도, 제1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 앞유리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예시도(후면도,제1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합차 앞유리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예시도(측면도, 제2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이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스마트폰이 거치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뒷면에 위치하는 받침부(11)와; 상기 받침부(11)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 경사부(121)와; 상기 제1 경사부(121)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돌출된 상부 이탈방지부(131)와; 상기 제1 경사부(121)와 다른 각도로 상기 받침부(11)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 경사부(122)와; 상기 제2경사(121)부로 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돌출된 하부 이탈방지부(132)와; 상기 받침부(11)로부터 돌출된 탄성부(15)를 포함한다.(도 1 참조)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양면테이프를 개재하여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될 수도 있고, 차량의 대쉬보드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차량의 앞유리의 상단에 선팅된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이 부분은 운전자가 운전할 때 사용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햇볕을 차단하기 위하여 푸른색으로 선팅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청구항에서 언급하는 "상부"와 "하부"는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거치대(10)를 상하로 뒤집으면, 최초의 상부가 하부로 바뀔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청구항에서 언급하는 "제1 경사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경사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라는 의미는 제1 경사부의 일부, 제2 경사부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받침부(11)은 스마트폰(100)이 거치될 경우, 스마트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받침부(11)의 상부에는 제1 경사부(121)가 경사각을 이루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결합된다. 제1 경사부(121)의 외부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붙여, 차량의 앞유리(1001)에 스마트폰 거치대(10)를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도 5 참조)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두 개의 경사부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경사부는 제1 경사부(121)와, 제2 경사부(122)이다. 제1 경사부(121)는 받침부(11)를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 제1 경사부(121)에 접착부재를 개재하여, 승용차와 같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승용차와 같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차량의 앞유리(1001)에는 접착부재를 개재하여 제1 경사부(12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과 같이, 탁상(1000)에 접착부재를 개재하여 제1 경사부(121)가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도 7과 같이, 트럭이나 버스와 같이 급경사를 이루는 차량의 앞유리(1001)에는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제2 경사부(122)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경사부(122)는 받침부(11)를 기준으로 급경사를 이룬다.
이와 같이, 경사각이 다른 제1 경사부(121)와 제2 경사부(122)를 받침부(11)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승용차나 트럭, 승합차에 선택적으로 제1 경사부(121)나 제2 경사부(122)를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차량의 환경에서도 스마트폰(100)은 도 5나 도 7과 같이 대략 수직으로 스마트폰 거치대(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경사부(121)의 경사각이 완만하다."라는 의미는, 받침부(11)가 수직(중력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받침부(11)의 연장선과 제1 경사부(121)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이 받침부(11)의 연장선과 제2 경사부(122)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보면, 제1 경사부(121)는 완만한 경사각을 외부로 이루고 있으며, 제2 경사부(122)는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상부 이탈방지부(131)는 제1 경사부(121)로 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돌출되어있다. 이러한 상부 이탈방지부(131)는 스마트폰(100)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튼튼해야 한다. 아울러, 상부 이탈방지부(131)는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가릴 수 있다. 상부 이탈방지부(131)는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최소로 가리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가로 120mm 정도, 세로 70mm 정도인 것이 좋다.
상부 이탈방지부(131)는 가로 프레임(1311)과,상기 가로 프레임(1311)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된 세로 프레임(1312)으로 구성된다. 가로 프레임(1311)은 스마트폰(100)의 화면과 접촉되는 부분이고, 세로 프레임(1312)은 가로 프레임(1311)이 휘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도 2 참조)
상부 이탈방지부(131)는 제1 경사부(121)의 양쪽에 한 쌍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이탈방지부(131)의 내측에는 돌기(131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313)는 스마트폰(100)의 케이스(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로 지급되는 액세서리)의 돌출부에 걸려, 스마트폰(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도 3 참조)
하부 이탈방지부(132)는 제2 경사부(122)로 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돌출되어 있다. 하부 이탈방지부(132)의 구조는 상부 이탈방지부(131)와 동일할 수 있다.
탄성부(15)는 받침부(11)로부터 돌출된다. 탄성부(15)는 스마트폰(100)의 뒤를 앞으로 밀어, 스마트폰(100)이 이탈방지부(131,132)에 밀착되도록 한다. 탄성부(15)는 받침부(11)를 "ㄷ"형태로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15)의 중심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가지는 스마트폰(100)이 슬라이딩 결합될 때, 탄성부(15)를 뒤로 밀게 되고, 탄성부(1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착되어, 스마트폰(100)이 들어간 방향으로 다시 나오지 않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15)는 합성수지 자체의 특성에 의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도 1참조)
제1 경사부(121)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 가이드판(161)이 결합된다. 제1 가이드 판(161)은 스마트폰(100)이 결합될 때, 가이드 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제2 경사부(122)의 상부 방향으로 제2 가이드판(162)이 결합된다. 제2 가이드 판(161)은 스마트폰(100)이 결합될 때, 가이드 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제1 가이드판(161)과 제2 가이드판(162)의 외부에는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평평하다. 이 부분에 광고 문구를 삽입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가로로 배치할 경우, 하부의 8mm 정도는 스마트폰(100)의 화면이 위치하지 않는다. 제1 가이드판(161)과 제2 가이드판(162)의 폭은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가리지 않을 정도인 8mm 정도의 폭인 것이 좋다.
이탈방지부(131, 132)의 길이는 가이드판(161,162)의 길이보다 긴 것이 좋다. 폭이 작은 스마트폰의 경우 가이드판(161,162) 만으로 스마트폰을 가이드 하지 못한다. 스마트폰의 폭이 좁은 경우, 상부의 이탈방지부가 스마트폰을 잡아주는 것이 좋다. 만약, 가이드판(161,162)만으로 모든 종류의 스마트폰을 가이드하고자 할경우, 가이드판(161,162)의 폭은 넙어지게 되고,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이드판(161,162)을 가리게 된다. 스마트폰은 정전 감응식 패널로서, 화면이 가려지면 입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탈방지부(131,132)는 스마트폰(100)이 결합시,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가이드판(161,162)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부(131132)에 스마트폰의 상부가 걸쳐지더라도,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가리지 않을 수 있다. 이탈방지부(131)는 길이는 길지만, 폭은 좁은 것이 좋다.
상기 제2 경사부(122)에는 카메라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홀(17)은 천공된 홀의 형태로서, 스마트폰(100)이 결합되면, 도 6과 같이 스마트폰(100)의 카메라(101)가 위치하게 된다. 최근 스마트폰은 블랙박스 기능의 앱이 제공된다. 이 블랙박스 앱을 작동시키려면, 카메라(101)의 전방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본 스마트폰 거치대(10)에 카메라홀(17)을 형성함으로써, 카메라(101)가 차량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도 1 및 도 6 참조)
제1 경사부(121)의 일측에는 제1 스탑퍼(141)가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제2 경사부(122)의 일측에는 제2 스탑퍼(142)가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마트 폰(100)은 스마트폰 거치대(10)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제1 스탑퍼(141)와 제2 스탑퍼(142)는 스마트폰(100)이 반대편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도 4와 같이, 탁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기채대(10)는 도 5와 같이, 제1 경사면(121)을 이용하여, 앞유리의 경사가 완만한 승용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는 도 7과 같이 제2 경사면(122)을 트럭이나 승합차와 같이 경사면이 급한 차량에 부착할 수 있다.
대분분의 차량의 앞유리의 경사각은 40도에서 65도 사이이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제1 경사면은 65도이고, 제2 경사면은 40도이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차량에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100)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를 갖춘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모든 종류의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가로 110mm~125mm, 세로 55mm~65mm, 두께 8mm~14mm이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가로 125mm, 세로 70mm, 두께 18mm 까지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9은 도 8의 A-A',B-B'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20)는 탄성부(25)에 탄성부 홈(252)을 형성하고, 탄성부 홈(252)에, 패드(251)를 부착하였다. 한편, 패드(251)는 탄성부 홈(252)의 가장자리에서는 탄성부(25)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결합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다(도 9의 A-A' 참조). 반면, 패드(251)는 탄성부 홈(252)의 중심부에서는 돌출되도록 하였다(도 9의 B-B' 참조). 이렇게 하는 이유는, 스마트폰이 도 8의 그림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때, 패드(251)와 스마트폰의 뒷면의 마찰력에 의해서 패드(251)가 들려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탄성부 홈(252)의 시작부에서는 패드(251)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였고, 패드(251)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반면, 탄성부 홈(252)의 중앙부에서는 패드(251)가 돌출되도록 하여, 결합된 스마트폰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탄성부 홈(252)의 시작부에서 패드(251)가 묻혀지고, 탄성부 홈(252)의 중앙부에서 패드(251)가 돌출되는 구조는, 패드(251)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탄성부 홈(252)의 깊이를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탄성부 홈(252)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패드(251)의 두께를 달리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탄성부 홈(252)의 시작부는 스마트폰이 결합될 경우, 먼저 만나는 부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10 에서 제1 상부 이탈방지부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를 제거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서 제2 상부 이탈방지부와 제2 하부 이탈방지부를 제거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30)는 도 1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스마트폰 거치대(10)와 거의 모든 구성 및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되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30)의 주요 특징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30)는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가로로 긴 스마트폰도, 가로로 짧은 스마트폰도 이탈방지부(3311,3312,3313,3321,3322,3323)를 적절히 제거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리지 않고도, 다양한 크기의 모델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30)는 상부 이탈방지부(3311,3312,3313)가 3개이며, 하부 이탈장지부(3321,3322,3323)이 3개이다. 제1 상부 이탈방지부는 식별번호 3311, 제2 상부 이탈방지부는 식별번호 3312, 제3 상부 이탈방지부는 식별번호 3313이다. 제1 하부 이탈방지부는 식별번호 3321, 제2 하부 이탈방지부는 식별번호 3322, 제3 하부 이탈방지부는 식별번호 3323이다.
제1 상부 이탈방지부(3311)과 제2 상부 이탈방지부(3312)는 이웃하여 위치하며, 스마트폰이 슬라이드 결합될 때, 입구방향에 위치한다(스마트폰은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됨). 한편, 제3 상부 이탈방지부(3313)는 좌측에 위치한다.(도 10 참조)
제1 하부 이탈방지부(3321)과 제2 하부 이탈방지부(3322)는 이웃하여 위치하며, 스마트폰이 슬라이드 결합될 때, 입구방향에 위치한다(스마트폰은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됨). 한편, 제3 하부 이탈방지부(3323)는 좌측에 위치한다.(도 10 참조)
만약, 가로 폭이 짧은 스마트폰을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30)에 가이드 결합될 경우, 제1 상부 이탈방지부(3311)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3321)로는 가로폭이 짧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 상부 이탈방지부(3312)와 제3 상부 이탈방지부(3313)로 가로폭이 짧은 스마트폰의 상부의 좌우를 잡고, 제2 하부 이탈방지부(3322)와 제3 하부 이탈방지부(3323)으로 가로폭의 짧은 스마트폰의 하부의 좌우를 잡는다. 그 결과, 가로폭이 짧은 스마트폰을 거치할 경우에는 제1 상부 이탈방지부(3311)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3321)는 필요없게 된다. 이때에는 제1 상부 이탈방지부(3311)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3321)를 도 11과 같이 제거한다. 제1 상부 이탈방지부(3311)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3321)가 잘려지는 부분에는 쇄기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쉽게 제1 상부 이탈방지부(3311)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3321)를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가로폭이 긴 스마트폰을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30)에 결합할 경우, 제1 상부 이탈방지부(3311)와 제1 하부 이탈방지부(3321)로 가로폭이 긴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2 상부 이탈방지부(3312)와 제2 하부 이탈방지부(3322)는 필요없게 된다. 제2 상부 이탈방지부(3312)와 제2 하부 이탈방지부(3322)를 그대로 둘 경우, 가로폭이 긴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제2 상부 이탈방지부(3312)와 제2 하부 이탈방지부(3322)를 도 12와 같이 제거한다. 제2 상부 이탈방지부(3312)와 제2 하부 이탈방지부(3322)가 잘려지는 부분에는 쇄기 형태이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쉽게 제2 상부 이탈방지부(3312)와 제2 하부 이탈방지부(3322)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30)는 상하로 3쌍의 이탈방지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가로폭이 긴 스마트폰이나, 짧은 스마트폰 모두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리지 않고 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스마트폰 거치대(10) 받침부(11)
제1 경사부(121) 상부 이탈방지부(131)
제2 경사부(122) 탄성부(15)

Claims (9)

  1. 스마트폰이 거치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후방에 위치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로 부터 하부로 절곡된 상부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1 경사부와 다른 경사각으로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로 부터 상부로 절곡된 하부 이탈방지부와;
    상기 받침부로부터 돌출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에는 카메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의 일측에는 제1 스탑퍼가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의 일측에는 제2 스탑퍼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스탑퍼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탈방지부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된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받침판을 "ㄷ"자 형태로 천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중심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탄성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 홈에는 패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 홈의 시작부에는 상기 패드가 돌출되지 않고,
    상기 탄성부 홈의 중앙부에서는 상기 패드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20025025A 2012-03-12 2012-03-12 스마트폰 거치대 KR20130103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25A KR20130103960A (ko) 2012-03-12 2012-03-12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25A KR20130103960A (ko) 2012-03-12 2012-03-12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60A true KR20130103960A (ko) 2013-09-25

Family

ID=4945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025A KR20130103960A (ko) 2012-03-12 2012-03-12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39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3395A1 (en) * 2014-05-15 2015-11-19 Coloplast A/S A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and digitally storing images of a wound, fistula or stoma site
CN106476713A (zh) * 2016-12-12 2017-03-08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多点汽车隔热手机托架
KR101726869B1 (ko) * 2015-11-23 2017-04-14 김민혁 스마트폰 거치대
EP3287322A4 (en) * 2015-04-21 2018-12-05 Artefacto Perfecto, S.L. Support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s in vehicles
KR101968670B1 (ko) * 2017-10-11 2019-04-12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3395A1 (en) * 2014-05-15 2015-11-19 Coloplast A/S A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and digitally storing images of a wound, fistula or stoma site
CN106464845A (zh) * 2014-05-15 2017-02-22 科洛普拉斯特公司 用于捕捉并数字地存储伤口、瘘管、或造口部位的图像的方法和装置
RU2688971C2 (ru) * 2014-05-15 2019-05-23 Колопласт А/С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хвата и сохранения в цифровой форме изображений места раны, свища или стомы
CN106464845B (zh) * 2014-05-15 2020-05-19 科洛普拉斯特公司 用于捕捉并数字地存储伤口、瘘管、或造口部位的图像的方法和装置
US11389108B2 (en) 2014-05-15 2022-07-19 Coloplast A/S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and digitally storing images of a wound, fistula or stoma site
EP3287322A4 (en) * 2015-04-21 2018-12-05 Artefacto Perfecto, S.L. Support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s in vehicles
KR101726869B1 (ko) * 2015-11-23 2017-04-14 김민혁 스마트폰 거치대
CN106476713A (zh) * 2016-12-12 2017-03-08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多点汽车隔热手机托架
CN106476713B (zh) * 2016-12-12 2018-09-28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多点汽车隔热手机托架
KR101968670B1 (ko) * 2017-10-11 2019-04-12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3960A (ko) 스마트폰 거치대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US7857178B2 (en) Device for supporting telephone headpieces in automobiles
US20150151690A1 (en) Height adjustable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1705820B1 (ko) 매직 홀더
JPH11321473A (ja) 車両用設置装置
US9456064B1 (en) Apparatus for removably coupling a mobile device to an external object
US20180063306A1 (en) Cell Phone Case with Reconfigurable Plates
US8393463B1 (en) Eyeglass caddy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20130117030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146442B1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US20160044805A1 (en) Portable device holder with mirror
KR20140126455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12637A (ko) 부착이 용이한 휴대 전자기기의 액정화면 보호필름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JP6235314B2 (ja) 車両用の携帯端末ホルダ装置及びこの装置による携帯端末の保持方法
KR20150001403U (ko) 모니터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00705U (ko) 차량용 정보알림 거치수단
CN101456374A (zh) 容器及容器保持结构
JP6180282B2 (ja) タブレット端末支持装置
KR20130117304A (ko) 스마트폰 거치대
JP2017011403A (ja) 携帯端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