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249A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249A
KR20160093249A KR1020150014003A KR20150014003A KR20160093249A KR 20160093249 A KR20160093249 A KR 20160093249A KR 1020150014003 A KR1020150014003 A KR 1020150014003A KR 20150014003 A KR20150014003 A KR 20150014003A KR 20160093249 A KR20160093249 A KR 20160093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lange
state
cov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선
양경태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249A/ko
Publication of KR2016009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2027/01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컴팩트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며,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며, 사용자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입체영상을 보게하는 렌즈들을 포함하는 가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글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제 1 상태와 사용자가 사용중이 아닌 제 2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배향을 갖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HEAD MOUNTING DEVICE FOR VIRTUAL REALITY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서 게임을 하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서도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워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기본적으로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이동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입체영상을 구현하도록 설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들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가 별도의 장치없이 완전한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충분하게 즐길 수 있도록 별도의 확장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충분한 가상현실, 즉 충분한 크기로 확장된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보조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이러한 보조장치들은 대부분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 장착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보조장치들은 대부분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상용화된 보조장치들은 높은 생산단가를 가지고 있으며, 판매가격 또한 매우 높다. 또한, 같은 이유로, 즉, 다양한 부가기능들 및 이를 위한 추가 구성요소들로 인해 상용 보조장치들은 매우 부피가 크고 무거워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용 보조장치들을 착용하기에 불편해진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이러한 무겁고 큰 보조장치를 휴대하기에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갖는 입체영상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볍고 컴팩트한 입체영상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며,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며, 사용자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입체영상을 보게하는 렌즈들을 포함하는 가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글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제 1 상태와 사용자가 사용중이 아닌 제 2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배향을 갖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가글은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와 반대되는 배향으로 상기 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얼굴에 들어맞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몸체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글은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대체적으로 들어맞는 끝단부를 갖는 제 1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플랜지가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플랜지가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를 덮거나 감싸도록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가글의 제 1 플랜지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플랜지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의 플랜지는 상기 가글의 제 1 플랜지 끝단부의 외형과 일치하는 끝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가글의 플랜지들은 상기 몸체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다.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렌즈와 상기 이동 단말기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는 이의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2 플랜지와 맞물리는 결합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글은 또한, 상기 렌즈들 주위에 제공되며 제 1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들과 상기 렌즈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플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시야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이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며 이동 단말기가 커버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용되면 바로 입체영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입체영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지시하는 NFC tag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의 일부 부품은 사용자의 사용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지로 각각의 배향들에서 서로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최적의 환경에서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바이스는 컴팩트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최대한 단순하게 설계된 구조를 가지면서도 그와 같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요구되는 모든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최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면서도 현저하게 낮은 제조단가를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디바이스는 단순하게 설계된 구조에 의해 캠팩트할 뿐만 아니라 가볍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안하게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에서 커버만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6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및 이 단면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커버가 분리된 몸체의 전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제 1 상태에서의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사용중이 아닌 제 2 상태에서의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의 후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head mounting device) (이하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와 함께 사용되는 일종의 보조장치(accessory)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되며 기본적으로 입체영상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사용자에게 보다 확장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와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몸체(100)를 가질 수 있다. 몸체(100)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100)를 통해 단말기(10)에서 제공되는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중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100)는 개방된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중공 튜브(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안구는 각각 개별적인 시야들을 가지며, 이들 좌측 및 우측시야들은 상기 몸체(100)내의 공간에서 서로 중첩된다. 중첩된 시야들은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0)에서 제공되는 입체영상을 선명하게 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몸체(100)는 이의 내부공간을 좌측 및 우측 공간들로 분할하는 격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20)은 도 4 및 도 5에서도 명확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몸체(100)의 중앙에 배치되며 몸체(10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격벽(120)은 몸체(100)내부의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시야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공된 입체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또한, 격벽(120)은 중공형 몸체(10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되는 입체영상에 집중하고, 시청에 방해되는 빛이 사용중에 디바이스내에 들어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안구들 주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얼굴에서 돌출되는 코가 디바이스가 얼굴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확하게는 몸체(100)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디바이스, 즉 몸체(100)는 사용자의 코 뿐만 아니라 코의 주변의 얼굴의 일부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구조상 몸체(100)의 하부 및 격벽(120)이 사용자의 코와 만나게 된다. 따라서, 도 2, 4, 5 및 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은 격벽(12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제 1 자리부(seat)(12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마찬가지로 이의 하부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제 2 자리부(122)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자리부들(121,1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기 위한 연속적인 자리(seat)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자리부(121,122)에 의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코는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보다 선명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몸체(100)는 또한, 디바이스내에 수용된 이동단말기(10)에 소정의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입력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도 4, 5, 6에도 도시되며, 다음의 설명에서 이들 도면들이 도 1과 함께 참조된다. 입력부(130)는 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 1 자석(132)과 상기 제 1 자석(132)과 인접하게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자석(133) (도 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자석들(132,133)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자석(132)는 몸체(100)의 외부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제 1 자석(132)이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면, 기 형성되어 있던 제 1 및 제 2 자석들(132,133)사이의 자기장에 변화가 발생된다.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는 마찬가지로 인접해 있는 이동 단말기(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해당 이동 단말기(10)에 기 설정된 명령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100)는 제 1 자석(132)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리세스(131)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석(132)이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며, 제 1 자석(132)는 이러한 리세스(131)의 바닥부에 안착된다. 또한, 제 2 자석(133)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에서 제 1 자석(132)가 놓여지는 리세스(131)의 바닥면의 반대면상에 제공된다. 더 나아가, 리세스(131)의 가장자리에는 제 1 자석(132)가 리세스(13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가스켓(gasket)(134)가 부착된다. 따라서, 이미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자석(132)이 사용자에 의해 리세스(131)내에서 이동되면, 제 1 및 제 2 자석들(132,133)사이의 자기장이 변화된다.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는 이동 단말기(10)에 소정의 작동, 예를 들어 특정 객체의 선택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등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측부, 바람직하게 우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 자석(13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쉽게 걸릴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또한 커버(200)을 가질 수 있다. 커버(200)는 도 2-4에도 상세하게 도시되며, 이들 도면들도 다음에서 커버(200)의 설명에 함께 참조된다. 다만, 도 3은 커버(200)의 다른 부분들도 잘 보여주기 위해 뒤집혀진 상태, 즉 상하가 바뀐상태의 커버(200)를 도시한다.
커버(200)는 기본적으로 몸체(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10)는 이동 단말기(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몸체(210)는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의 배면을 지지하는 판 형상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210)의 이동 단말기(10) 배면과 접하는 부위, 도면상 몸체(210)의 내면은 이동단말기(10)의 배면에 들어맞는(fi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210)는 이동 단말기(10)에 밀착될 수 있고 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200)는 몸체(210)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220)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220)는 몸체(210)로부터 몸체(100) 또는 사용자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플랜지(220)는 몸체(210)로부터 디바이스의 후방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220)는 몸체(210)의 여러 부위들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부위들중에서 상기 몸체(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220)는 기본적으로 이동단말기(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몸체(210)를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220)는 몸체(210)의 상하좌우에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랜지(220)는 몸체(210)의 상하부에 제공되는 상하부 플랜지(221) 및 몸체(220)의 양측부에 제공되는 측부 플랜지(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220), 즉 상,하 및 측부 플랜지들(221,222)은 몸체(210)와 함께 이동 단말기(10)를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을 커버(200)가 갖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은 몸체(210)에 의해 이의 배면이 지지되면서 입체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200)의 공간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랜지(220), 즉 상,하 및 측부 플랜지들(221,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가장자리 전체로부터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가 커버(200)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입체영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정확한 입체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 특히 이의 디스플레이부(11)가 사용자의 시야와 정확하게 정렬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정렬은 이동 단말기(10)의 중심이 커버(200), 정확하게는 몸체(210)의 중심에 배치되면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를 커버(200)의 중앙에 정렬하도록 커버(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30)를 가질 수 있다. 리브(230)는 커버(200), 정확하게는 몸체(210)의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커버(200) 또는 몸체(2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리브(230)는 커버(200)의 양측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리브(230)는 이동 단말기(10)가 커버(10)내에 삽입될 때 양쪽 방향에서 이의 삽입을 안내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가 몸체(210)상에 놓여질 때, 이동 단말기(10)가 커버(10)의 중앙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부분 확대도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버(200)와 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리브(230)는 몸체(100)보다 커버(200)의 안쪽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브(230)의 배치로 인해, 리브(230)에 인접한 이동 단말기(10)의 전면의 양 끝단부들은 몸체(10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의 전면에 몸체(100)와 접촉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크래치가 방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리브들(230)은 도시된 것과는 달리 커버(200)의 상하부들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리브(230)에 의해 단말기(10) 전면의 어느 한 쌍의 측부들이 몸체(100)와 접촉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동 단말기(10)를 별도의 구조 및 장치없이 디바이스내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전면의 다른 한쌍의 측부들은 몸체(100)에 의해 지지될 필요가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리브(230)가 커버(200)의 양측부들에 제공되므로, 이동 단말기(10) 전면의 상하부들은 몸체(100), 정확하게는 몸체(100)의 전면에 의해 지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지 및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에서 이동단말기(10)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이동단말기(10),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10)의 전면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보호부재(14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전면이 이동 단말기(10)의 전면(도면상 전면의 상하부 끝단부)과 접촉하므로, 보호부재(140)는 몸체(10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부재(140)에 의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이동단말기(1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보다 편리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커버(200)는 디바이스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즉 상기 커버(200)내에 수용되어 있는 동안에도 이동단말기(10)의 다양한 장치들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211)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내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에도 이동 단말기(10)는 입체영상 또는 다른 기능과 관련하여 자신의 다양한 장치들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장치들에는 버튼, 스위치,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장치, 스피커, 카메라 플래쉬, 이어폰 잭과 같은 출력장치, 그리고 각종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있을 수 있다. 개구부(211)는 해당장치가 커버(200)내에 수용될 때 배치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장치들은 대부분 이동 단말기(10)의 배면에 배치되므로, 대부분의 개구부(211)는 이동단말기(10)의 배면이 인접하는 몸체(210)에 제공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개구부(211)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20)에 형성될 수 도 있다. 개구부(211)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를 조작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는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감지장치는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동안에도 이동 단말기(10)가 이러한 입체영상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실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는 독립적인 장치로써 디바이스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는 사용자에 의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원할 때에는 언제라도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이동 단말기(10)를 붙잡도록 구성된 어셈블리가 디바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어셈블리에 단말기(10)에 장착하거나 탈착할때에 이동 단말기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10)를 장착하는 구조 자체가 디바이스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200)가 몸체(100),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메커니즘들 중에서 돌기/홈이 채용된다. 도 2 및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결합메커니즘은 커버(200)의 플랜지(220)에 형성되는 돌기(240)와 몸체(100)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240)와 맞물리는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돌기(240)가 커버(200) 대신에 몸체(1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111)이 몸체(100)대신에 커버(2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도면들에는 이러한 결함 메커니즘이 몸체(100) 및 커버(200)의 양측부들에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나 몸체(100) 및 커버(200)의 상하부들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을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200)만이 몸체(100)에 장착 또는 탈착되므로, 이동 단말기(10)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0)가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10)를 커버(200)에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고유한 자신만의 기능들을 가지므로, 모든 정보들을 입체영상으로 제공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는 입체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시점부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디바이스에 장착된후에야 이동 단말기(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체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버(200)는 이동 단말기(10)를 수용되면 바로 입체영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커버(200)는 이동 단말기(10)를 수용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을 이동단말기(10)에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여러가지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200)는 이동 단말기(10)에 인접하게 배치된 NFC tag(250)를 포함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이동 단말기가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다른 장치들과 근접하게 위치될 때, 이들 장치들 상호간에 라디오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NFC는 여러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소형의 tag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NFC tag(250)에 인접하게 이동 단말기(10)가 배치되면, 라디오 통신 상태가 설정되면서 tag(250)는 기 설정된 작동을 이동 단말기에 지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NFC tag(250)는 이동 단말기(10)가 커버(200)에 장착되면 바로 애플리케이션의 수행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편리하게 바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NFC tag(250)는 이동 단말기(10)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몸체(210)의 내면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NFC tag(25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몸체(210)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가글(goggle)(30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글(300)는 도 2, 4, 5 및 8에도 상세하게 도시되며, 다음의 설명은 도 1에 추가적으로 이들 도면들도 함께 참조한다.
가글(300)도 다른 구성요소들(100,200)과 마찬가지로, 몸체(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글(300)은 광학장치를 포함하여 이동단말기(10)에서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보다 적절한 상태로 전달할 수 있다. 몸체(310)는 이러한 광학장치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는 이러한 여러가지 형상중에서 판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판 형상의 몸체(310)는 광학장치에 충분한 지지구조를 제공하면서도 가글(300), 더 나아가 디바이스 자체의 구조를 단순화 하며 디바이스를 작고 가볍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글(300)은 몸체(310)에 형성되는 개구부들(311)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들(311)은 사용자의 좌우측 안구들에 각각 대응된다. 몸체(310)가 판 형상을 가지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개구부들(311)는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글(300)은 개구부들(311)에 각각 제공되는 좌우측 렌즈들(3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들(350)과 개구부들(311)의 사이에는 개스킷(gasket)(351)이 제공될 수 있다. 개스킷(351)은 렌즈(350)가 몸체(310) 또는 고글(3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렌즈(350)를 붙잡으며, 또한 사용자가 보다 좋은 품질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렌즈들(350)과 개구부들(311) 사이의 간극(clearance)를 통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입체영상 시청을 위해 디바이스를 착용할 때, 렌즈들(350)은 사용자의 안구들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일종의 광학장치로써, 렌즈들(350)은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에서 보여지는 입체영상을 확대할 수 있으며, 확대된 영상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함으로써 입체영상의 시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만일 이동 단말기(10)가 편광 안경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요구하는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렌즈들(350)은 그와 같은 편광 안경과 동일한 기능을 확대기능에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글(300)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글(300)은 사용자의 사용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배향으로 디바이스, 즉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상태를 제 1 상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제 2 상태라 할 때, 가글(300)은 각각의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배향으로 인해 가글(300)은 사용자의 사용 및 미사용, 즉 제 1 및 제 2 상태에서 서로 구별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 및 고글(300)들은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되며, 이들 도면들이 가글(300)의 설명과 관련하여 주로 참조된다.
먼저, 도 6 (a) 및 (b)을 참조하면, 제 1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도시된다. 도 7을 제외하고는 도 6을 포함하여 본 출원의 다른 도면들은 모두 제 1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상태, 즉 머리에 착용하여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상태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최적의 환경에서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상태에서, 가글부(300)은 몸체(3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플랜지(320)를 가질 수 있다. 제 1 플랜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몸체(100)으로부터 멀어지게 사용자를 향해 배향된다. 사용자로의 배향으로 인해, 가글부(300), 즉 제 1 플랜지(320)는 제 1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재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상태에서 제 1 플랜지(320)가 제 1 상태에서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가글부(300)가 몸체(10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가글부(300), 즉 제 1 플랜지(32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글부(300), 즉 제 1 플랜지(320)는 사용자의 안구쪽을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의 빛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입체영상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플랜지(320)는 몸체(310)의 여러 부위들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넓은 시야각을 허용하도록 상기 몸체(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사용자 얼굴로의 밀착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빛 차단을 위해 제 1 플랜지(320)는 몸체(310)의 상하좌우에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플랜지(320)는 몸체(310)의 상하부에 제공되는 상하부 플랜지(321) 및 몸체(310)의 양측부에 제공되는 측부 플랜지(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플랜지(320), 즉 상,하 및 측부 플랜지들(321,322)은 도 2 및 도 8에도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와 함께 사용자의 얼굴 표면의 일부를 밀폐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랜지(320)는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으며, 가글(300)내부로 빛을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플랜지(320), 즉 상,하 및 측부 플랜지들(321,3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가장자리 전체로부터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더 효과적인 빛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정확하게는 가글부(30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제 1 플랜지(320)가 사용자의 얼굴 외형에 들어맞는(fit) 형상을 가지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의 얼굴과 맞닿는 제 1 플랜지(320)의 끝단부가 사용자 얼굴에 들어맞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플랜지(320)의 상하 플랜지(321)은 사용자 얼굴을 수평방향을 따라 가로지며, 이러한 수평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얼굴은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제 1 플랜지(320)의 양측부 플랜지들(322)은 사용자의 얼굴의 양측부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이러한 양측부에서 사용자 얼굴에는 큰 곡률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하 플랜지(321)는 도 2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안쪽으로 만곡진 제 1 끝단부(323)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측부 플랜지(322)는 대체적으로 평평한(flat) 제 2 끝단부(324)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끝단부들(323,324)로 인해 디바이스, 즉 가글부(300)는 사용자의 얼굴에 보다 잘 들어맞고 더 잘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 1 상태에서 착용할 때 사용자의 얼굴에서 돌출되는 코가 디바이스가 얼굴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몸체(100)에 추가적으로 디바이스, 정확하게는 가글(300)도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디바이스, 즉 가글(300)은 사용자의 코 뿐만 아니라 코의 주변의 얼굴의 일부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구조상 가글(300)의 몸체(310) 및 하부 플랜지(321)가 사용자의 코와 만날 수 있다. 따라서, 도 2, 4, 5,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글(300)은 몸체(31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제 1 자리부(31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글(300)은 마찬가지로 하부 플랜지(321) 형성되며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제 2 자리부(325)를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필요한 경우, 도 1 및 도 6(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도 하부 플랜지(221)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자리부(225)를 가질 수 있다. 몸체(100) 및 가글(300)의 자리부들(121,312)은 제 1 상태에서 먼저 코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자리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 커버(200) 및 가글(300)의 다른 자리부들(122,225,325)은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코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자리부를 형성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착용시, 즉 제 1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는 몸체(100),커버(200) 및 가글(30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하 자리부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최적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도록 사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글부(300)는 또한, 렌즈들(350) 주위에 제공되는 보조 플랜지(330)를 더 가질 수 있다. 보조 플랜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310)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돌출된다. 또한, 보조 플랜지(330)는 렌즈들(350)주위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플랜지(330)는 제 1 플랜지(320)에 추가적으로 제 1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구들과 상기 렌즈(35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구들과 상기 렌즈(350) 사이의 공간은 제 1 플랜지(320)와 보조 플랜지(330)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새어들어오는 빛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사용자는 제공되는 입체영상에 보다 집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조 플랜지(330)는 가글(300), 즉 제 1 플랜지(320)대신에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 맞닿고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조 플랜지(330)가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 맞닿으면서 밀착되면, 제 1 플랜지(320)는 사용자의 얼굴에는 닿아도 밀착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디바이스 자체가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져야 하므로, 가글(300)도 적절한 강도 및 강성을 위한 경한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가 제 1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밀착되면, 가글(300), 즉 제 1 플랜지(320)만이 사용자의 얼굴에 닿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자국에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보조 플랜지(330)는 제 1 플랜지(320)과는 다르게, 구조적 강도를 고려해서 만들어져야 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보조 플랜지(330)는 어느정도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재질의 보조 플랜지(330)는 제 1 플랜지(320)를 대신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더욱 잘 밀착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후에 사용자의 얼굴에 자국을 남기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플랜지(330)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편안하게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다. 한편, 보조 플랜지(330)를 대신해서 제 1 플랜지(320)의 끝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커버(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커버는 제 1 플랜지(320)의 끝단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커버는 제 1 플랜지(320)의 끝단부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는 제 1 플랜지(320)의 끝단부 대신에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 닿게죈다. 커버는 자신의 탄성재질로 인해 적절하게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얼굴에 자국을 남기지 않는다. 또한, 커버에 의해 가글(300), 더 나아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얼굴에 더 잘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는 앞서 언급된 기술적 효과를 더 강화하기 위해 보조 플랜지(330)와 함께 사용될 수 도 있다.
또한, 가글(300)은 플랜지(320)에 형성되며 스트랩(strap) 또는 밴드(band)(미도시)를 장착시키기 위한 홀더(34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40)는 개구부로써 형성되며, 플랜지(320)의 양 측부 플랜지들(322)에 각각 제공된다. 스트랩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홀더(340)내에 끼워질 수 있으며, 제 1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크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착용될 수 있다. 스트랩은 또한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재질의 스트랩에 의해 디바이스는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에 보다 밀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글(300)은 제 1 및 제 2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배향 및 서로 다른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상태에 따라 가글(300)의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어려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 자체의 제조단가나 크기의 증가를 가져오지 않도록 가장 단순한 방법을 배향의 변화에 사용한다. 즉, 배향의 변화를 위해 가글(300)이 몸체(100)로부터 분리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가글(300)은 제 1 상태에서 몸체(100),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글(300)은 몸체(3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플랜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랜지(360)은 제 1 상태에서 제 1 플랜지(320)와 반대방향으로 배향되고 연장된다. 즉, 제 2 플랜지(360)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몸체(100)를 향해 배향된다. 몸체(100)로의 배향으로 인해, 제 2 플랜지(360)는 몸체(310)와 더불어 제 1 상태에서 몸체(100)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재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상태에서 가글(300)이 몸체(100)에 결합될 때. 제 2 플랜지(360)가 실제적으로 상기 몸체(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플랜지(360)와 몸체(100)사이에 실질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제 2 플랜지(360)가 가글(300)의 분리를 위해 탈착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플랜지(320)와 마찬가지로 제 2 플랜지(360)도 상기 몸체(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몸체(310)의 상하좌우에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플랜지(360)는 제 1 상태에서 가글(300)이 좌우상하로 흔들리지 않게 가글(300)를 몸체(10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랜지(320)는 가글(3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몸체(310)의 가장자리 전체로부터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가글(300), 즉 제 2 플랜지(36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메커니즘들 중에서 가장 단순하고 크기가 적은 돌기/홈을 사용한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결합메커니즘은 가글(300) 즉 제 2 플랜지(360)에 형성되는 돌기(361)와 몸체(100)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361)와 맞물리는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돌기(361)가 가글(300) 대신에 몸체(1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112)이 몸체(100)대신에 가글(3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도면들에는 이러한 결함 메커니즘이 몸체(100) 및 가글(300)의 양측부들에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나 몸체(100) 및 가글(300)의 상하부들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메커니즘에 의해 가글(300)이 분리가능하므로, 가글(300)은 사용상태, 즉 제 1 에서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제 2 상태에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배향으로 다시 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시력은 사용자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안구의 초점거리도 사용자마다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안구의 초점거리가 안구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까지 거리와 크게 달라지면, 사용자는 그와 같은 디스플레이(11)에서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다. 따라서, 가글(300)은 렌즈(350) 또는 사용자의 안구와 이동 단말기(10) 정확하게는 이의 디스플레이(11)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플랜지(360)가 제 1 상태에서 몸체(100)와 결합하므로, 그와 같은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 2 플랜지(360)의 결합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이의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2 플랜지(360)과 맞물리는 다수개의 결합지점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100)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제 2 플랜지(360)의 돌기(361)와 맞물릴 수 있는 홈들(112a-112c)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361)이 상기 홈들(112a-112c)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하나에 맞물릴 때마다, 상기 가글(300)은 몸체(100)를 향해 또는 몸체(100)로부터 멀리지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렌즈(350) 또는 사용자의 안구와 이동 단말기(10)사이의 거리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변형된 결합 머케니즘을 이용하여 가글(300)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렌즈(350) 또는 사용자의 안구와 이동 단말기(10)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글(300)은 이와 같은 거리조절에 의해 사용의 초점거리에 맞게 그 자신을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좋은 품질의 입체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7 (a) 및 (b)을 참조하면, 제 2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각도들에서 도시된다. 다른 도면들은 비록 모두 제 1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세부적인 구조들은 잘 보여준다. 따라서, 다음의 제 2 상태에 대한 설명에서도 필요한 경우 도 7이외의 다른 도면들도 참조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상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즉 머리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2 상태에서 디바이스는 컴팩트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휴대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상태로 만들기 위해, 제 1 상태의 가글(300)(도 6 참조)이 먼저 몸체(100)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후, 가글(300)은 제 1 플랜지(320)가 몸체(100)를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즉, 가글(300)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와 반대되는 배향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글(300)이 몸체(100)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 2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가글(300)의 몸체(310)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길게 배향된 제 1 플랜지(320)가 역전된 배향(reversed orientation)으로 인해 몸체(100)을 덮거나 감쌀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던 제 1 플랜지(320)가 상기 몸체(100)의 주변에 배치되므로,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부피 또는 크기는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커버(200)도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플랜지(220)를 가지며, 커버(200)가 몸체(100)의 전방부에 결합될 때, 상기 플랜지(220)가 몸체(100)의 일부를 이미 덮거나 감싸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커버(200)및 이의 플랜지(220)와 함께 가글(300), 정확하게는 제 1 플랜지(320)는 제 2 상태에서 몸체(100)를 실질적으로 감싸게 된다. 즉, 제 2 상태에서 커버(200) 및 가글(300), 정확하게는 이들의 플랜지들(220,320)은 몸체(100)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실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글부(30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제 1 플랜지(320)는 사용자의 얼굴 외형에 들어맞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하 플랜지(321)는 안쪽으로 만곡진 제 1 끝단부(323)를 가지는 반면, 측부 플랜지(322)는 대체적으로 평평한 제 2 끝단부(324)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글(300)의 제 1 플랜지(320) 끝단부의 외형과 일치하는 즉, 그와같은 외형에 들어맞는 끝단을 커버(200)의 플랜지(220)는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220)의 상하 플랜지(221)은 바깥쪽으로 만곡지는 제 1 끝단부(223)를 가지는 반면, 측부 플랜자(222)는 대체적으로 평평한 제 2 끝단부(224)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상태에서, 커버(200) 및 가글(300), 즉 이들의 플랜지들(220,320)은 완벽하게 매치되는 외형, 즉 끝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버(200) 및 가글(300), 즉 이들의 플랜지들(220,320)은 몸체(10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케이스를 형성하며,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제 2 상태에서 가글(300)의 배향변화 및 제 1 플랜지(320)의 배치위치의 변화에 따라 디바이스는 컴팩트해지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글(300)의 홀더(340)에 스트랩 또는 밴드(미도시)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 2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트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어깨에 걸거나 손에 들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를 더욱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제 2 상태로의 전환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는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의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변화를 위한 배향의 변화는 이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상태에서도 가글(300)이 몸체(100)로부터 분리가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가글(300)은 제 2 상태에서도 몸체(100),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된다. 제 2 상태에서는 제 1 플랜지(320)가 몸체(100)을 향해 배향되며. 이에 따라 몸체(100)와 직접적으로 맞닿은 부재가 된다. 따라서, 제 2 상태에서 가글(300)이 몸체(100)에 결합될 때, 제 1 상태에서의 제 2 플랜지(360) 대신에 제 1 플랜지(320)가 상기 몸체(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플랜지(320)와 몸체(100)사이에 실질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제 1 플랜지(320)가 가글(300)의 분리를 위해 탈착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상태에서 가글(300), 즉 제 1 플랜지(32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가장 단순하고 크기가 적은 돌기/홈을 사용한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결합메커니즘은 가글(300) 즉 제 1 플랜지(320)에 형성되는 돌기(327)와 몸체(100)에 형성되어 제 2 상태에서 상기 돌기(327)와 맞물리는 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돌기(327)가 가글(300) 대신에 몸체(1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113)이 몸체(100)대신에 가글(3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도면들에는 이러한 결함 메커니즘이 몸체(100) 및 가글(300)의 양측부들에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나 몸체(100) 및 가글(300)의 상하부들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메커니즘에 의해 가글(300)이 분리가능하므로, 가글(300)은 제 2 상태에서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제 1 상태에서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배향으로 다시 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앞서 본원의 다양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사용중인 제 1 상태에서 가글부(300)는 사용자의 얼굴에 들어맞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거나 그러한 형상을 갖도록 배향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가 사용중이 아닌 제 2 상태에서는 가글부(300)는 커버(200)와 함께 몸체(100)를 덮도록 상기 몸체(200)에 결합되거나 그와 같이 덮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상태에서의 가글부(300)의 형상 또는 구조는 제 1 플랜지(320)를 해당 상태에서 맞게 특정방향으로 배향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글부(300), 정확하게는 제 1 플랜지(320)는 제 1 및 제 2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지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와 반대되는 배향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배향들에 따라 제 1 상태에서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최적의 환경에서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 2 상태에서는 컴팩트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최대한 단순하게 설계된 구조에 의해 캠팩트할 뿐만 아니라 가볍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휴대뿐만 아니라 제 1 상태에서 사용자는 편안하게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바이스는 그와 같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요구되는 모든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최적으로 구성되므로, 현저하게 낮은 제조단가를 가질 수 있다.
100: 몸체 120: 격벽
200: 커버 210: 커버몸체
220: 플랜지 230: 리브
300: 가글 310: 가글 몸체
320: 제 1 플랜지 330: 보조 플랜지
340: 홀더 350: 렌즈
360: 제 2 플랜지

Claims (14)

  1.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며,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며, 사용자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입체영상을 보게하는 렌즈들을 포함하는 가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글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제 1 상태와 사용자가 사용중이 아닌 제 2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배향을 갖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글은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와 반대되는 배향으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얼굴에 들어맞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몸체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글은: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대체적으로 들어맞는 끝단부를 갖는 제 1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플랜지가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플랜지가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를 덮거나 감싸도록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가글의 제 1 플랜지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플랜지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플랜지는 상기 가글의 제 1 플랜지 끝단부의 외형과 일치하는 끝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가글의 플랜지들은 상기 몸체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렌즈와 상기 이동 단말기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글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디바이스의 몸체는 이의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2 플랜지와 맞물리는 결합지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글은 상기 렌즈들 주위에 제공되며 제 1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들과 상기 렌즈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플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시야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이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며 이동 단말기가 커버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용되면 바로 입체영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입체영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지시하는 NFC Ta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KR1020150014003A 2015-01-29 2015-01-29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KR20160093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003A KR20160093249A (ko) 2015-01-29 2015-01-29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003A KR20160093249A (ko) 2015-01-29 2015-01-29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249A true KR20160093249A (ko) 2016-08-08

Family

ID=5671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003A KR20160093249A (ko) 2015-01-29 2015-01-29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32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1208A (zh) * 2016-09-26 2017-02-01 苏州花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移动终端的虚拟现实眼镜
WO2018139880A1 (en) * 2017-01-25 2018-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3d image information
KR20190039589A (ko) * 2016-10-03 2019-04-12 구글 엘엘씨 증강 및/또는 가상 현실 헤드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1208A (zh) * 2016-09-26 2017-02-01 苏州花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移动终端的虚拟现实眼镜
KR20190039589A (ko) * 2016-10-03 2019-04-12 구글 엘엘씨 증강 및/또는 가상 현실 헤드셋
US10890941B2 (en) 2016-10-03 2021-01-12 Google Llc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headset
WO2018139880A1 (en) * 2017-01-25 2018-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3d image information
US10466485B2 (en) 2017-01-25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3D imag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2646B2 (en) Head mount display support and head mount display
JP7086315B2 (ja) マイクロディスプレイベースの没入型ヘッドセット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TWI599796B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WO2014108693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10963009B2 (en) Head-mounted display
US20110090135A1 (en) Interchangeable display device for a head-mounted display system
JP5942467B2 (ja) 表示装置
KR200467827Y1 (ko)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40013676A (ko)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EP1777953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9232133A (ja) 携帯端末器
KR101814883B1 (ko)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
KR20170044296A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3249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KR101890621B1 (ko) 안경
KR2016000412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JPH10294983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101850619B1 (ko)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US10845847B2 (en) Head-mounted display
EP3514604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KR20170021453A (ko) 전자 디바이스
CN107076988B (zh) 眼罩及具有该眼罩的头戴式电子装置
JPH0886974A (ja) 映像表示装置
KR200480392Y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