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621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621B1
KR101890621B1 KR1020110117329A KR20110117329A KR101890621B1 KR 101890621 B1 KR101890621 B1 KR 101890621B1 KR 1020110117329 A KR1020110117329 A KR 1020110117329A KR 20110117329 A KR20110117329 A KR 20110117329A KR 101890621 B1 KR101890621 B1 KR 10189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s
bridge
sliding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515A (ko
Inventor
김재호
김정필
김도영
김윤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655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27972A1/ko
Priority to US14/239,342 priority patent/US9405128B2/en
Publication of KR2013002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8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가 장착된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제2 렌즈가 장착된 제2 슬라이딩 부재와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 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고,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고화질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3D 영상 컨텐츠의 제작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3D 영화, 3D 스포츠 방송 및 3D 게임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D 영상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존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약 65mm정도 떨어져 존재하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인체의 좌우눈이 각각 서로 연관된 2D영상을 볼 경우에 이들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재생하게 되는데, 이 같은 능력을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
일반적으로, 특수 안경(3D 안경 또는 입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영상물을 시청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3D 안경은 편광의 진동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이용한 편광안경방식, 좌우영상을 서로 전환시켜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그리고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밝기의 빛을 전달하는 방식인 농도차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상기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안경을 상기 시력 고정용 안경과 중첩되도록 별도로 착용하게 되며,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3D 영상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하여 3D 안경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한다.
또한, 3D 입체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과 같은 곳에서는 많은 관람객을 위하여 이러한 3D 안경을 보관 및 진열하여야 한다.
그러나, 3D 안경은 사용자가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펼침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보관 또는 운송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 쌍의 렌즈 사이의 간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경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렌즈가 장착된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제2 렌즈가 장착된 제2 슬라이딩 부재;와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 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안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안경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슬라이딩 부재와 제 2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레일부가 마련되고, 상기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제1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 레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부는 복수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부는 복수의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1 돌기 사이의 공간에 제2 돌기가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브릿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양 종단부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에 소정의 방향으로 각각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브릿지 또는 어느 한 지지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립을 포함하는 안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안경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에는 제1 및 제 2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마련되며,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레일부가 마련되고, 상기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제1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 레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부는 복수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부는 복수의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1 돌기 사이의 공간에 제2 돌기가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브릿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재는 상기 브릿지의 전방, 후방,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렌즈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들 또는 슬라이딩 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나머지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슬라이딩 부재들에는 최대 접힘 상태의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돌기부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안내홈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된 보조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렌즈는 제1 및 제2 편광렌즈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경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부 구성 부재들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정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은 제1 렌즈(101)가 장착된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렌즈(102)가 장착된 제2 슬라이딩 부재(120)와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120)를 연결하며, 제1 렌즈(101)와 제2 렌즈(10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재(110, 1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브릿지(130) 및 상기 브릿지(130) 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11, 120)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고정되는 클립(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렌즈(101, 102)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편광렌즈(101, 10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140)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110)에 마련되는 제 1클립(141)과 상기 제 2슬라이딩 부재(120)에 마련되는 제 2클립(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클립(141)과 제 2클립(142)의 각 자유 단부가 피지지체(예를 들어, 시력 고정용 안경)에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립(140)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탄성 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구부러진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140)이 제 1클립(141)과 제 2클립(142)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 클립(141, 142)은 시력 교정용 안경의 한 쌍의 렌즈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에서는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120)가 브릿지(1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1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1 렌즈(101)와 제2 렌즈(10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제1 렌즈(101)와 제2 렌즈(10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슬라이딩 부재(110) 또는 제2 슬라이딩 부재(120)가 브릿지(1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120)가 모두 브릿지(1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슬라이딩 부재(110, 120)가 브릿지(13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120)가 모두 브릿지(1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경(100)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12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130)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110, 1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131)이 마련되며, 상기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110, 120)에는 상기 관통홀(131)에 삽입되는 돌기부(111, 1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 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120)가 모두 브릿지(1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상기 브릿지(130)에는 양 종단부에 관통홀(131)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각 슬라이딩 부재(110, 120)에 돌기부(111, 112)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5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양 종단부가 각 슬라이딩 부재(110, 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슬라이딩 부재(110, 120)는 브릿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부(111, 112)를 관통홀(131)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부재(110, 120)와 브릿지(1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딩 부재(1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슬라이딩 부재(110)의 돌기부(111)를 현재 돌기부(111)가 삽입된 관통홀(131)로부터 이탈시키고, 렌즈들(101, 102)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제1 슬라이딩 부재(1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렌즈들(101, 10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 해당 관통홀(131)에 돌기부(111)를 삽입시킴으로써 제1 슬라이딩 부재(110)를 브릿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릿지(130)에는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110, 1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레일부(132)가 마련되고, 상기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110, 120)에는 상기 제1 레일부(132)를 따라 이동되는 제2 레일부(11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50)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부(132)는 복수의 제1 돌기(1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부(112)는 복수의 제2 돌기(113)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1 돌기(133) 사이의 공간에 제2 돌기(113)가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와 브릿지(130)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딩 부재(1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슬라이딩 부재(110)의 돌기부(111)를 현재 돌기부(111)가 삽입된 관통홀(131)로부터 이탈시키고, 렌즈들(101, 102)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제1 슬라이딩 부재(1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1 슬라이딩 부재(110)의 제2 레일부(112)는 브릿지(130)의 제1 레일부(132)를 따라 안내된다.
렌즈들(101, 10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 해당 관통홀(131)에 제1 슬라이딩 부재(110)의 돌기부(111)를 삽입시킴으로써 제1 슬라이딩 부재(110)를 브릿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렌즈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부 구성 부재들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200)은 브릿지(230)와 상기 브릿지(230)의 양 종단부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210, 220)과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에 소정의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렌즈(201)가 마련된 제1 지지부재(240)와 제2 슬라이딩 부재(220)에 소정의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렌즈(202)가 마련된 제2 지지부재(250) 및 상기 브릿지(130) 또는 어느 한 지지부재(240, 250)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립(261, 262)을 포함한다.
한편, 브릿지(230)에 대하여 제1 슬라이딩 부재(210)와 제2 슬라이딩 부재(2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부재(240, 250)의 접힘 정도에 따라 브릿지(230)에 대한 해당 렌즈(101 및/또는 102)의 경사각이 변경되며, 펼침 상태로부터 어느 한 지지부재(240 및/또는 250)의 접힘 정도에 따라 렌즈(201, 202)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고,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펼침 상태로부터 어느 한 지지부재(110 및/또는 120)의 접힘 정도에 따라 각 렌즈(201, 202)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렌즈(201, 202)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편광렌즈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재(240)와 제2 지지부재(250)는 브릿지(230)의 후방(착용자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렌즈(201, 20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접힘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렌즈(201, 202)들간 충돌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하기 위하여, 펼침 상태에서 브릿지(230)에 대한 각 렌즈(201, 202)의 각도를 0°라고 가정하는 경우, 각 렌즈(201, 202)가 실질적으로 90°까지 접힐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240)는 제1 슬라이딩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2 지지부재(250)는 제2 슬라이딩 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접힘 상태에서 렌즈(201, 202)들간 충돌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렌즈(201, 202)는 마주본 상태(최대 접힘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최대 접힘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240, 250)와 해당 슬라이딩 부재(210, 220)는 소정의 결합력으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펼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 시 각 지지부재(240, 250)가 해당 슬라이딩 부재(210, 220)에 대하여 접히지 않도록 펼침 상태에서도 각 지지부재(240, 250)와 해당 슬라이딩 부재(210, 220)는 소정의 결합력으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클립은 상기 제 1지지부재(240)에 마련되는 제 1클립(261)과 상기 제 2지지부재(250)에 마련되는 제 2클립(2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 1클립(261)과 제 1지지부재(240)는 그 사이에 제 1렌즈(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렌즈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 2클립(262)과 제 2지지부재(250)는 그 사이에 제 2렌즈(202)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렌즈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슬라이딩 부재(210, 220)에 대한 각 지지부재(240, 250)에 대한 접힘 구조 및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에서의 유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한편, 제 1지지부재(240)와 제 2지지부재(25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지지부재(1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재(240, 250)는 상기 브릿지(230)의 전방, 후방,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렌즈(201, 20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2210, 22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들(240, 250)들 또는 슬라이딩 부재들(210, 220)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14)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부(214)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24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14)는 상기 돌기부(24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15) 및 상기 안내부(215)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40)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기부(241)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멈춤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215)는 상기 돌기부(241)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216)는 상기 돌기부(241)의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215)는 안내홈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보조 수용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241)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240, 250)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제1 슬라이딩 부재(210)와 제 1지지부재(240)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1 슬라이딩 부재(210)에 가이드부(214)가 마련되고 제 1지지부재(240)에 돌기부(241)가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10)는 상부면(211)과 하부면(미부호)과 상부면(211)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부(212)를 가지는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14)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10)의 상부면(2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안내부(214)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이동 경로가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240)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10)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42)를 가지고, 제 1클립(261)과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스(2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지지부재(240)는 제1 슬라이딩 부재(210)에 대하여 접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슬라이딩 부재(210) 및 제 1지지부재(240)에는 회전을 위한 샤프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관통홀(213, 24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1지지부재(240)를 제1 슬라이딩 부재(210)의 후방으로 가압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부재(210)의 중앙 측 수용홈(216)에 수용된 상태의 돌기부(241)가 상기 수용홈(216)으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안내홈(21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돌기부(241)가 안내홈을 따라 최대 접힘 상태로 이동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부재(210)의 종단 측 수용홈(216)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215)는 상기 돌기부(241)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216)는 상기 돌기부(241)의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일 수 있으며, 돌기부(241)가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1지지부재(240)와 제1 슬라이딩 부재(210)가 높이 차이만큼 벌어진 상태로 이동하다가 상기 돌기부(241)가 어느 한 수용홈에 도달하면 해당 수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1지지부재(240)와 제1 슬라이딩 부재(210)는 벌어진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215)는 안내홈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보조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241)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240)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진열하는 경우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력 고정용 안경에 대한 각 렌즈(201, 202)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10)에는 최대 접힘 상태의 제 1지지부재(, 240)와 접촉되는 스토퍼(217)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 1지지부재(240)가 최대 접힘 상태로 회전된 경우 스토퍼(217)와 제 1지지부재(240)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토퍼(217)에 의하여 제 1지지부재(240)는 제1 슬라이딩 부재(210)의 내측으로 더이상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지지부재(110)의 돌기부(241)는 전술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10)의 종단 측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20)에는 복수의 돌기부(218)가 마련되고, 상기 제 2지지부재(250)에는 상기 돌기부(218)가 삽입되는 삽입부(25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218) 및 삽입부(255)는 상기 제 2지지부재(250)의 펼침 상태 및 최대 접힘 상태에서 상호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부재(250) 뿐만 아니라 제 1지지부재(240)도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218)는 제 2지지부재(250)의 접힘 방향을 따라 제2 슬라이딩 부재(220)의 측면부(222)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255)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20)의 측면부(222)에 대응되는 제 2지지부재(250)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250)는 관통홀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지지부재(250)의 펼침 상태 및 최대 접힘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218)와 상기 삽입부(255)가 결속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2 슬라이딩 부재(220)에 대한 제 2지지부재(250)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경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안경 101: 제1 렌즈
102:제2 렌즈 110: 제1 슬라이딩 부재
120:제2 슬라이딩 부재 130: 브릿지
140: 클립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브릿지;
    상기 브릿지의 양 종단부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에 소정의 방향으로 각각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
    상기 브릿지 또는 어느 한 지지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립;
    상기 브릿지에 마련되어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레일부;
    상기 어느 한 슬라이딩 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재는 상기 브릿지의 전방, 후방,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렌즈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재들 또는 슬라이딩 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접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재들 또는 슬라이딩 부재들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에는 제1 및 제 2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마련되며,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는 복수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부는 복수의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제1 돌기 사이의 공간에 제2 돌기가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브릿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1. 삭제
  12. 삭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4. 제 7 항에 있어서,
    각 슬라이딩 부재들에는 최대 접힘 상태의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돌기부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안내홈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된 보조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7. 제 7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렌즈는 제1 및 제2 편광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딩 부재에 구비된 돌기부; 및
    상기 각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부재의 최대 펼침 상태 및 최대 접힘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110117329A 2011-08-19 2011-11-11 안경 KR10189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552 WO2013027972A1 (ko) 2011-08-19 2012-08-17 안경
US14/239,342 US9405128B2 (en) 2011-08-19 2012-08-17 Eye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5195P 2011-08-19 2011-08-19
US61/525,195 2011-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515A KR20130020515A (ko) 2013-02-27
KR101890621B1 true KR101890621B1 (ko) 2018-08-22

Family

ID=47898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093A KR101295280B1 (ko) 2011-08-19 2011-09-23 안경
KR1020110117329A KR101890621B1 (ko) 2011-08-19 2011-11-11 안경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093A KR101295280B1 (ko) 2011-08-19 2011-09-23 안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5128B2 (ko)
KR (2) KR101295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794B1 (ko) * 2014-12-18 2017-02-02 김대정 안경을 장착할 수 있는 보안경
JP6068704B1 (ja) * 2016-03-29 2017-01-25 株式会社ハグ・オザワ 折畳式前掛けフレーム
US10288889B2 (en) 2016-06-29 2019-05-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eyewear with movable display
ES2685370A1 (es) * 2017-04-05 2018-10-08 Jesús GARCÍA PÉREZ Anteojos sin varillas mejorados
KR102468326B1 (ko) * 2021-10-29 2022-11-17 박민규 접이식 브릿지를 갖는 안경프레임
US11474374B1 (en) * 2022-02-14 2022-10-18 Min Gyu Park Foldable eyeglass brid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15Y1 (ko) * 2006-05-25 2006-08-02 박요섭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18366Y (es) 1991-07-24 1992-08-16 Ansfruns Vinas Ernesto "gafa estuche integrada escamoteable perfeccionada con proteccion solar"
KR19990011765U (ko) * 1998-12-03 1999-03-25 이수목 절첩식 안경의 절첩구조
US6409335B1 (en) 1999-11-30 2002-06-25 Steven R. Lipawsky Foldable eyewear
KR20060095700A (ko) * 2005-02-28 2006-09-01 원인호 절첩식 이중 돋보기 안경의 제작
JP2010060714A (ja) 2008-09-02 2010-03-18 Kiyoshi Yamazaki 補助眼鏡
KR101115062B1 (ko) * 2011-08-10 2012-03-06 주식회사 아큐픽스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15Y1 (ko) * 2006-05-25 2006-08-02 박요섭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5128B2 (en) 2016-08-02
KR20130020507A (ko) 2013-02-27
KR20130020515A (ko) 2013-02-27
US20140192310A1 (en) 2014-07-10
KR101295280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6315B2 (ja) マイクロディスプレイベースの没入型ヘッドセット
KR101890621B1 (ko) 안경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JP4601609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635892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EP3170046A1 (en) Near-eye display system
US9057944B2 (en) Shutter glasses and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rive circuit or a drive power supply accommodated on a temple portion of a frame member
CN113853546A (zh) 具有能调节瞳距的机构的双目型头戴式显示系统
KR101396254B1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CN108474962B (zh) 远近两用眼镜状的框架
JPH09322197A (ja) 立体視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694549A (zh) 眼镜、望远眼镜及立体视像眼镜架组件
KR101115062B1 (ko)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JP2012053236A (ja) ふくそう角変更ユニット
US8419182B2 (en) Glasses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CN106646875B (zh) 头戴显示设备及其显示模组
JP2012022278A (ja) 映像実体感メガネ
JP2012058531A (ja) 映像鑑賞用眼鏡、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344621B1 (ko) 휴대용 3d 안경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921504B1 (ko) 입체영상용 안경
WO2005026819A1 (ja) 画像表示装置
JP2005195821A (ja) 画像表示装置
CN110703457A (zh) 一种裸眼3d成像的光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