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280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280B1
KR101295280B1 KR1020110096093A KR20110096093A KR101295280B1 KR 101295280 B1 KR101295280 B1 KR 101295280B1 KR 1020110096093 A KR1020110096093 A KR 1020110096093A KR 20110096093 A KR20110096093 A KR 20110096093A KR 101295280 B1 KR101295280 B1 KR 10129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ridge
glasses
protrusion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507A (ko
Inventor
김윤주
김재호
김도영
김정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239,342 priority Critical patent/US9405128B2/en
Priority to PCT/KR2012/006552 priority patent/WO2013027972A1/ko
Publication of KR2013002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8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에 소정의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제 1렌즈 및 제 2렌즈가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브릿지 또는 어느 한 지지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며,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고화질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3D 영상 컨텐츠의 제작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3D 영화, 3D 스포츠 방송 및 3D 게임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D 영상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존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약 65mm정도 떨어져 존재하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인체의 좌우눈이 각각 서로 연관된 2D영상을 볼 경우에 이들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재생하게 되는데, 이 같은 능력을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
일반적으로, 특수 안경(3D 안경 또는 입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영상물을 시청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3D 안경은 편광의 진동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이용한 편광안경방식, 좌우영상을 서로 전환시켜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그리고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밝기의 빛을 전달하는 방식인 농도차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상기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안경을 상기 시력 고정용 안경과 중첩되도록 별도로 착용하게 되며, 시력 고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3D 영상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하여 3D 안경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한다.
또한, 3D 입체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과 같은 곳에서는 많은 관람객을 위하여 이러한 3D 안경을 보관 및 진열하여야 한다.
그러나, 3D 안경은 사용자가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펼침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보관 또는 운송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경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에 소정의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제 1렌즈 및 제 2렌즈가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브릿지 또는 어느 한 지지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안경이 제공된다.
또한, 제 1 및 제 2지지부재는 브릿지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렌즈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또는 지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에는 최대 접힘 상태의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안내홈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보조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마련되는 제 1클립과 상기 제 2지지부재에 마련되는 제 2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은 자유단부가 각 렌즈의 외측단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 및 삽입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 및 최대 접힘 상태에서 상호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 1 및 제 2지지부재는 브릿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렌즈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또는 지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렌즈는 제 1 및 제 2편광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면에 하나 이상의 클립이 마련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전면에 상기 브릿지의 전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제 1렌즈 및 제 2렌즈가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안경이 제공된다.
여기서, 각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로부터 어느 한 지지부재의 접힘 정도에 따라 렌즈 사이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경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부 구성 부재들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입체 안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접힘 상태 중 최대 접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은 브릿지(130)과 상기 브릿지(130)에 소정의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 1렌즈(101)가 마련된 제1 지지부재(110)와 상기 브릿지(130)에 소정의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 2렌즈(102)가 마련된 제2 지지부재(120) 및 상기 브릿지(130) 또는 어느 한 지지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시력 교정용 안경)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클립(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어느 한 지지부재(110 및/또는 120)의 접힘 정도에 따라 브릿지(130)에 대한 해당 렌즈(101 및/또는 102)의 경사각이 변경되며, 펼침 상태로부터 어느 한 지지부재(110 및/또는 120)의 접힘 정도에 따라 렌즈(101, 102)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고,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펼침 상태로부터 어느 한 지지부재(110 및/또는 120)의 접힘 정도에 따라 각 렌즈(101, 102)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렌즈(101, 102)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편광렌즈(101, 102)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는 브릿지(130)의 후방(착용자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렌즈(101, 10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접힘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렌즈(101, 102)들간 충돌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하기 위하여, 펼침 상태에서 브릿지(130)에 대한 각 렌즈(101, 102)의 각도를 0°라고 가정하는 경우, 각 렌즈(101, 102)가 실질적으로 90°까지 접힐 수 있도록, 각 지지부재(110, 120)는 상기 브릿지(130)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접힘 상태에서 렌즈(101, 102)들간 충돌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렌즈(101, 102)는 마주본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최대 접힘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110, 120)와 브릿지(130)는 소정의 결합력으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펼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 시 각 지지부재(110, 120)가 브릿지에 대하여 접히지 않도록 펼침 상태에서도 각 지지부재(110, 120)와 브릿지(130)는 소정의 결합력으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클립(140)은 상기 제 1지지부재(110)에 마련되는 제 1클립(141)과 상기 제 2지지부재(120)에 마련되는 제 2클립(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클립(141)과 제 2클립(142)의 각 자유단부(141a, 141b)가 피지지체(시력 고정용 안경)에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립(140)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탄성 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구부러진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자유단부(141a, 141b)를 각 렌즈(101, 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각 클립(141, 142)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피지지체의 일부 영역을 삽입시킨 후, 각 자유단부(141a, 141b)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시키면, 피지지체의 일부 영역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각 자유단부(141a, 141b)가 탄성 회복되며 피지지체의 일부 영역을 가압하는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140)이 제 1클립(141)과 제 2클립(142)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 클립(141, 142)은 시력 교정용 안경의 한 쌍의 렌즈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 1클립(141)과 제 1지지부재(110)는 그 사이에 제 1렌즈(101)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렌즈(101)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S2)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제 2클립(142)과 제 2지지부재(120)는 그 사이에 제 2렌즈(102)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렌즈(102)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S2)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브릿지(130)에 대한 각 지지부재(110, 120)에 대한 접힘 구조 및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에서의 유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일부 구성 부재들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배면도이다.
한편,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지지부재(1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브릿지(110) 또는 지지부재(110, 120)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134)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134)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134)는 상기 돌기부(11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135)및 상기 안내부(135)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10)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35)는 상기 돌기부(111)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136)는 상기 돌기부(111)의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135)는 안내홈(135)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보조 수용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111)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110)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브릿지(130)와 제 1지지부재(110)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브릿지(130)에 레일부(134)가 마련되고 제 1지지부재(110)에 돌기부(111)가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예로, 상기 브릿지(130)는 상부면(131)과 하부면(미부호)과 상부면(131)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부(132)를 가지는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부(134)는 상기 브릿지(130)의 상부면(131)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안내부(135)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이동 경로가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110)는 상기 브릿지(130)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12)를 가지고, 제 1클립(141)과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스(1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130)와 제 1지지부재(110)는 접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축(S1)을 위하여 상기 브릿지(130) 및 제 1지지부재(110)에는 회전축(S1)이 삽입되는 관통홀(133, 11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1지지부재(110)를 브릿지(130)의 후방으로 가압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130)의 중앙 측 수용홈(136)에 수용된 상태의 돌기부(111)가 상기 수용홈(136)으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돌기부(111)가 안내홈을 따라 최대 접힘 상태로 이동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130)의 종단 측 수용홈(136)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35)는 상기 돌기부(111)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136)는 상기 돌기부(111)의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일 수 있으며, 돌기부(111)가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1지지부재(110)와 브릿지(130)가 높이 차이만큼 벌어진 상태로 이동하다가 상기 돌기부(111)가 어느 한 수용홈에 도달하면 해당 수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1지지부재(110)와 브릿지(130)는 벌어진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35)는 안내홈(135)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보조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111)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110)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진열하는 경우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력 고정용 안경에 대한 각 렌즈(101, 102)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릿지(130)에는 최대 접힘 상태의 지지부재(110, 120)와 접촉되는 스토퍼(137)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6에는 제 1지지부재(110)가 최대 접힘 상태로 회전된 경우 스토퍼(137)와 제 1지지부재(110)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토퍼(137)에 의하여 제 1지지부재(110)는 브릿지(130)의 내측으로 더이상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지지부재(110)의 돌기부(111)는 전술한 상기 브릿지(130)의 종단 측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릿지(130)에는 복수의 돌기부(138)가 마련되고, 상기 제 2지지부재(120)에는 상기 돌기부(138)가 삽입되는 삽입부(12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138) 및 삽입부(125)는 상기 제 2지지부재(120)의 펼침 상태 및 최대 접힘 상태에서 상호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부재(120) 뿐만 아니라 제 1지지부재(110)도 동일한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138)는 제 2지지부재(120)의 접힘 방향을 따라 브릿지(130)의 측면부(132)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25)는 상기 브릿지(130)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제 2지지부재(120)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125)는 관통홀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지지부재(120)의 펼침 상태 및 최대 접힘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138)와 상기 삽입부(125)가 결속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브릿지(130)에 대한 제 2지지부재(120)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릿지(130)의 상부면(131)에는 전술한 레일부(134)가 마련되고, 제 2지지부재(120)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1 클립(141) 및 제2 클립(142)은 자유단부(141a, 142a)가 각 렌즈(101, 102)의 외측단(101a, 102a) 방향으로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일반 안경에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을 장착할 경우는 제 1클립(141)과 제 2클립(142)의 자유 단부(141a, 142a) 내측간 거리가 26mm정도로 유지되면 착용이 용이하지만, 무테안경과 같이 특이한 형상을 갖는 안경에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을 장착할 경우는 무테안경의 체결볼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 1클립(141)과 제 2클립(142)의 자유 단부(141a, 142a) 내측간 거리가 32mm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200)은 제 1렌즈(201)가 구비된 제 1지지부재(210)와 제 2렌즈(202)가 구비된 제 2지지부재(220) 및 상기 제 1지지부재(210)와 제 2지지부재(220)를 연결하는 브릿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200)은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안경(1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만,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은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가 브릿지(130)의 후방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200)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부재(210, 220)가 브릿지(23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렌즈(201, 20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브릿지(230)에 대하여 각 지지부재(210, 220)가 접히는 방향만 다를 뿐, 접힘 구조 및 펼침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구조 등을 제 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브릿지(230) 또는 지지부재들(210, 220)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부가 브릿지(230)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레일부는 브릿지(230)의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10, 220)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브릿지(230)에 최대 접힘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210, 220)와 접촉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300)은 배면에 하나 이상의 클립(340)이 마련되는 브릿지(330) 및 상기 브릿지(330)의 전면(331)에 상기 브릿지(330)의 전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제 1렌즈(301) 및 제 2렌즈(302)가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지지부재(310, 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지지부재(310, 320)의 펼침 상태에서 어느 한 지지부재(310, 320)의 접힘 정도에 따라 렌즈(301, 302)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300)은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안경(1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만,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100)은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가 브릿지(130)의 후방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300)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부재(310, 320)가 브릿지(330)의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렌즈(201, 20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브릿지(330)에 대하여 각 지지부재(310, 320)가 접히는 방향만 다를 뿐, 접힘 구조 및 펼침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구조 등을 제 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브릿지(330) 또는 지지부재들(310, 320)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10, 320)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브릿지(330)에 최대 접힘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310, 320)와 접촉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300)에서는 제 1클립(341)과 제 2클립(342)이 브릿지(33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접힘 상태에서 안경(300)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렌즈(301, 302)의 회전 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일예로, 상기 브릿지(300)는 "T"자 형상의 전면을 가질 수 있고, 전면 양측에 각 지지부재(310, 3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리세스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보관 또는 운송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경은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경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안경 101: 제1 렌즈
102:제2 렌즈 110: 제1 지지부재
120:제2 지지부재 130: 브릿지
140: 클립

Claims (18)

  1. 브릿지;
    상기 브릿지에 소정의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제 1렌즈 및 제 2렌즈가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브릿지 또는 어느 한 지지부재에 장착되며, 피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지지부재는 상기 브릿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렌즈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고,
    상기 브릿지에는 최대 접힘 상태의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지지부재는 브릿지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렌즈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또는 지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안내홈의 양 종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보조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보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경우 지지부재는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 사이의 일부 접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마련되는 제 1클립과 상기 제 2지지부재에 마련되는 제 2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 8 항에 있어서,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은 자유단부가 각 렌즈의 외측단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0.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 및 삽입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 및 최대 접힘 상태에서 상호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지지부재는 브릿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렌즈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또는 지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렌즈는 제 1 및 제 2편광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5. 배면에 하나 이상의 클립이 마련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전면에 상기 브릿지의 전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제 1렌즈 및 제 2렌즈가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각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로부터 어느 한 지지부재의 접힘 정도에 따라 렌즈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브릿지에는 최대 접힘 상태의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또는 지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 종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펼침 상태와 최대 접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이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110096093A 2011-08-19 2011-09-23 안경 KR10129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39,342 US9405128B2 (en) 2011-08-19 2012-08-17 Eyeglasses
PCT/KR2012/006552 WO2013027972A1 (ko) 2011-08-19 2012-08-17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5195P 2011-08-19 2011-08-19
US61/525,195 2011-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507A KR20130020507A (ko) 2013-02-27
KR101295280B1 true KR101295280B1 (ko) 2013-08-08

Family

ID=47898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093A KR101295280B1 (ko) 2011-08-19 2011-09-23 안경
KR1020110117329A KR101890621B1 (ko) 2011-08-19 2011-11-11 안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329A KR101890621B1 (ko) 2011-08-19 2011-11-11 안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5128B2 (ko)
KR (2) KR101295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794B1 (ko) * 2014-12-18 2017-02-02 김대정 안경을 장착할 수 있는 보안경
JP6068704B1 (ja) * 2016-03-29 2017-01-25 株式会社ハグ・オザワ 折畳式前掛けフレーム
US10288889B2 (en) 2016-06-29 2019-05-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eyewear with movable display
ES2685370A1 (es) 2017-04-05 2018-10-08 Jesús GARCÍA PÉREZ Anteojos sin varillas mejorados
KR102468326B1 (ko) * 2021-10-29 2022-11-17 박민규 접이식 브릿지를 갖는 안경프레임
US11474374B1 (en) * 2022-02-14 2022-10-18 Min Gyu Park Foldable eyeglass brid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65U (ko) * 1998-12-03 1999-03-25 이수목 절첩식 안경의 절첩구조
WO2001040847A1 (en) 1999-11-30 2001-06-07 Lipawsky Steven R Foldable eyewear
KR20060095700A (ko) * 2005-02-28 2006-09-01 원인호 절첩식 이중 돋보기 안경의 제작
KR101115062B1 (ko) * 2011-08-10 2012-03-06 주식회사 아큐픽스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18366Y (es) 1991-07-24 1992-08-16 Ansfruns Vinas Ernesto "gafa estuche integrada escamoteable perfeccionada con proteccion solar"
KR200423015Y1 (ko) * 2006-05-25 2006-08-02 박요섭 안경
JP2010060714A (ja) 2008-09-02 2010-03-18 Kiyoshi Yamazaki 補助眼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65U (ko) * 1998-12-03 1999-03-25 이수목 절첩식 안경의 절첩구조
WO2001040847A1 (en) 1999-11-30 2001-06-07 Lipawsky Steven R Foldable eyewear
KR20060095700A (ko) * 2005-02-28 2006-09-01 원인호 절첩식 이중 돋보기 안경의 제작
KR101115062B1 (ko) * 2011-08-10 2012-03-06 주식회사 아큐픽스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515A (ko) 2013-02-27
KR101890621B1 (ko) 2018-08-22
US9405128B2 (en) 2016-08-02
KR20130020507A (ko) 2013-02-27
US20140192310A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280B1 (ko) 안경
KR100998439B1 (ko) 영상 입체적 인식장치
US9057944B2 (en) Shutter glasses and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rive circuit or a drive power supply accommodated on a temple portion of a frame member
KR20120010644A (ko) 초다시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4705A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CN204013926U (zh) 一种三维图像显示装置
KR100586221B1 (ko) 평면 표시 장치를 이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JP2012053236A (ja) ふくそう角変更ユニット
US8419182B2 (en) Glasses
US20160357024A1 (en) 3d display glasses
JPWO2005088386A1 (ja)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方法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JPS6389820A (ja) 液晶表示装置
KR101836183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의 시청방법
JP2012058531A (ja) 映像鑑賞用眼鏡、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4627334B1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344621B1 (ko) 휴대용 3d 안경
CN102540493A (zh) 一种基于3d眼镜来显示立体图像的方法
CN201796192U (zh) 立体眼镜及立体显示系统
JP7259390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101921504B1 (ko) 입체영상용 안경
JP2012078433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050012513A (ko) 다시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 모듈, 이를 이용하는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818245B1 (ko) 편광안경
CN102207631A (zh) 大众化单机立体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