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54B1 -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 Google Patents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54B1
KR101396254B1 KR1020120120512A KR20120120512A KR101396254B1 KR 101396254 B1 KR101396254 B1 KR 101396254B1 KR 1020120120512 A KR1020120120512 A KR 1020120120512A KR 20120120512 A KR20120120512 A KR 20120120512A KR 101396254 B1 KR101396254 B1 KR 10139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ye lens
bridge
eyepiece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705A (ko
Inventor
박효생
박광진
Original Assignee
박광진
박효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진, 박효생 filed Critical 박광진
Priority to KR102012012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7Collapsible stere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기기에서 출력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양안에 각각 접하는 좌안렌즈와 우안렌즈가 구비된 접안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접하는 좌측필터와 우측필터가 구비된 대물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우안렌즈는 편광렌즈이고, 상기 좌측필터와 상기 우측필터는 편광필터이다. 이때,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좌측필터의 편광방향은 서로 동일한 사선방향이고, 상기 우안렌즈와 상기 우측필터의 편광방향은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좌측필터의 편광방향과 대칭인 사선방향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PORTABLE STEREOSCOPIC IMAGE VIEWER}
본 발명은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기기에서 출력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는 두 눈 사이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 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이 있다.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술 역시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의 3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부피표현방식(volumetric type), 3차원표현방식(holographic type),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으로 구분된다.
부피표현방식은 심리적인 요인과 흡입효과에 의해 깊이 방향에 대한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투시도법, 중첩, 음영과 명암, 움직임 등을 계산에 의해 표시하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 또는 사용자에게 시야각이 넓은 대화면을 제공하여 그 공간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키는 이른바 아이맥스영화 등에 응용되고 있다.
3차원표현방식은 가장 완전한 입체영상 표시기술로서, 레이저광 재생 홀로그래피 내지 백색광 재생 홀로그래피로 대표될 수 있다.
입체감표현방식은 양안의 생리적 요인을 이용하는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약 65㎜정도 떨어져 있는 좌우안에 시차정보가 포함된 평면의 연관영상을 제공하면, 뇌가 이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시면 전후의 공간정보를 생성해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 즉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를 이용한 것이다.
상술한 입체감표현방식은 다안상 표시방식이라 불리며, 실질적인 입체감 생성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특수 안경을 착용하는 안경방식 또는 표시면 측의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인테그럴(integral) 등의 렌즈어레이(lens array)를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안경방식의 경우,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 포맷의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화면의 좌우에 50%씩 배치하고, 사용자가 편광안경을 착용하여 좌안과 우안을 통해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각각 보도록 함으로써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이 교대로 배치되어 저장된 3차원 입체영상 콘텐츠가 필요하다. 다만, 현재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비가 고가이고 대중화되어 있지 않아 특정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3차원 입체영상을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3차원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기대가 크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기기에서 출력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양안에 각각 접하는 좌안렌즈와 우안렌즈가 구비된 접안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접하는 좌측필터와 우측필터가 구비된 대물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우안렌즈는 편광렌즈이고, 상기 좌측필터와 상기 우측필터는 편광필터이다. 이때,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좌측필터의 편광방향은 서로 동일한 사선방향이고, 상기 우안렌즈와 상기 우측필터의 편광방향은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좌측필터의 편광방향과 대칭인 사선방향이다.
상기 대물부에 구비된 상기 좌측필터와 상기 우측필터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좌측필터와 상기 우측필터가 중첩되는 폭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안부와 상기 대물부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접안부의 양단에 브리지가 연장되며, 상기 브리지가 상기 접안부의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안부의 양단에서 연장된 상기 브리지는 상기 대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대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내장할 수 있도록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좌안렌즈와 좌측필터의 편광방향이 동일하고, 우안렌즈와 우측필터의 편광방향이 동일하며, 좌측(좌안렌즈와 좌측필터)의 편광방향과 우측의 편광방향(우안렌즈와 우측필터)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좌측영상은 사용자의 좌안에만 보이고, 우측영상은 사용자의 우안에만 보이므로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측필터와 우측필터 사이에 중첩영역을 두어 좌측필터와 우측필터가 일부 겹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격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리지를 이용하여 접안부와 대물부 사이의 거리를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눈과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거리를 특정할 경우 사용자의 눈에 꽉 찬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더욱 선명하게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안부의 양단에서 연장된 브리지가 대물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안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브리지를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여 휴대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의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의 사시도.
도 6과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의 사용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100)는, 사용자의 양안(210,220)에 접하는 접안부(110)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화면에 접하는 대물부(120)와, 접안부(110)와 대물부(120)를 연결하는 브리지(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이 화면의 좌우에 50%씩 출력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입체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안부(110)는 사용자의 양안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 박판이다. 접안부(110)에는 한 쌍의 장착공(112,114)이 형성되고, 한 쌍의 장착공(112,114) 사이에는 삽입홈(116)이 형성된다. 장착공(112,114)은 후술할 좌안렌즈(142)와 우안렌즈(144)가 각각 결합되는 부분이며, 삽입홈(116)은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장착공(112,114) 사이의 거리는 65㎜로 제작되는데, 이는 사람의 평균 양안거리가 약 65㎜이기 때문이다.
좌안렌즈(142)와 우안렌즈(144)는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차단하는 편광렌즈이다. 이때, 좌안렌즈(142)의 편광방향은 사선방향이고, 우안렌즈(144)의 편광방향은 좌안렌즈(142)의 편광방향과 대칭인 사선방향이다. 일례로, 좌안렌즈(142)의 편광각은 45도이고, 우안렌즈(144)의 편광각은 135도이다.
브리지(130)는 접안부(110)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접안부(110)의 양단에 형성된 폴딩선(118)을 중심으로 접철된다. 브리지(130)의 하단에는 체결슬롯(132)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슬롯(132)은 후술할 대물부(120)의 체결판(126)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형상의 브리지(130)는 접안부(110)와 대물부(12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접안부(110)의 부피를 줄이는데 사용된다. 즉, 브리지(130)를 펼칠 경우 접안부(110)와 대물부(12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눈에 꽉 찬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더욱 선명하게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브리지(130)를 접을 경우 접안부(110)의 부피를 줄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대물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내장할 수 있도록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대물부(120)의 상면에는 좌측필터(152)와 우측필터(154)가 설치되는 제1관통공(122)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볼륨 노브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관통공(124)이 형성된다. 또한, 대물부(120)의 양단에는 전술한 체결슬롯(132)에 삽입되는 체결판(126)이 마련된다.
좌측필터(152)와 우측필터(154)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차단하는 편광필터이다. 이때, 좌측필터(152)의 편광방향은 좌안렌즈(142)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사선방향이고, 우측필터(154)의 편광방향은 우안렌즈(144)의 편광방향과 동일한 좌측필터(152)의 편광방향과 대칭인 사선방향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렌즈(142)의 편광각이 45도일 경우 좌측필터(152)의 편광각은 45도이고, 우안렌즈(144)의 편광각이 135도일 경우 우측필터(154)의 편광각은 135도이다.
이처럼 좌측(좌안렌즈(142)와 좌측필터(152))의 편광방향과 우측의 편광방향(우안렌즈(144)와 우측필터(154))이 서로 대칭을 이룰 경우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좌측영상이 사용자의 좌안에만 보이고, 우측영상이 사용자의 우안에만 보이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는 좌측필터(152)와 우측필터(154) 사이에 중첩영역(156)을 두어 좌측필터(152)와 우측필터(154)가 일부 겹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격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입체영상을 더욱 선명하고 입체감 있게 즐길 수 있다. 이때, 좌측필터(152)와 우측필터(154)가 중첩되는 중첩영역(156)의 폭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측의 편광각과 우측의 편광각을 45도와 135도로 설정한 이유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화면에 장착된 편광필터(미도시)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300)에는 반사광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편광필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편광필터의 편광각은 0도 또는 90도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좌측의 편광각과 우측의 편광각을 45도와 135도로 설정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설치된 편광필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고화질의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다.
상술한 접안부(110), 대물부(120), 브리지(130)의 구조에 따르면, 접안부(110)가 브리지(130)를 통해 대물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접안부(110)에서 브리지(130)를 펼친 다음 대물부(120)의 체결판(126)을 브리지(130)의 체결슬롯(132)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반면,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100)를 사용한 후에는 체결슬롯(132)에서 체결판(126)을 뽑은 다음 브리지(130)를 접어 이격시킨다. 이때, 체결판(126)에는 걸림턱(128)이 돌출되어 체결슬롯(132)에 고정된 체결판(126)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안부(110), 좀 더 상세하게는 브리지(130)와 대물부(120)를 체결하는 수단을 체결판(126)과 체결슬롯(132)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똑따기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 등을 체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4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400)는, 사용자의 양안(210,220)에 접하는 접안부(410)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화면에 접하는 대물부(420)와, 접안부(410)와 대물부(420)를 연결하는 브리지(430)로 이루어진다. 접안부(410)에는 편광렌즈인 좌안렌즈(442)와 우안렌즈(444)가 마련되고, 대물부(420)에는 편광필터인 좌측필터(452)와 우측필터(454)가 마련된다. 또한, 좌측필터(452)와 우측필터(454) 사이에는 중첩영역(456)이 마련된다. 이때, 좌안렌즈(442)와 좌측필터(452)의 편광방향은 동일한 사선방향이고, 우안렌즈(444)와 우측필터(454)의 편광방향은 동일한 사선방향이되, 좌안렌즈(442)와 좌측필터(452)의 편광방향과 대칭인 사선방향이다. 즉, 좌안렌즈(442)와 좌측필터(452)의 편광각이 45도일 경우 우안렌즈(444)와 우측필터(454)의 편광각은 135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400)는, 접안부(410)의 양단과 대물부(420)의 양단이 브리지(430)에 의해 연결된 일체형 구조이다. 이때, 브리지(430)의 상단은 접안부(410)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대물부(420)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브리지(430)의 중단에는 폴딩선(432)이 마련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4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폴딩선(432)을 중심으로 접힌 브리지(430)를 펼쳐, 접안부(410)를 대물부(420)에 이격시킨다. 반면,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100)를 사용한 후에는 폴딩선(432)을 중심으로 브리지(430)를 접어 접안부(410)를 대물부(420)에 접근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400)는 대물부(420)에 형성된 고정수단(4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수단(422)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측면을 감싸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400)가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110: 접안부
120: 대물부 130: 브리지
142: 좌안렌즈 144: 우안렌즈
152: 좌측필터 154: 우측필터
156: 중첩영역 300: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1)

  1.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의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입체영상 뷰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안에 각각 접하는 좌안렌즈와 우안렌즈가 구비된 접안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접하는 좌측필터와 우측필터가 구비된 대물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우안렌즈는 편광렌즈이고, 상기 좌측필터와 상기 우측필터는 편광필터이며,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좌측필터의 편광방향은 서로 동일한 사선방향이고, 상기 우안렌즈와 상기 우측필터의 편광방향은 상기 좌안렌즈와 상기 좌측필터의 편광방향과 대칭인 사선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필터와 상기 우측필터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필터와 상기 우측필터가 중첩되는 폭이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와 상기 대물부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접안부의 일측에 브리지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와 상기 대물부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접안부의 양단에 브리지가 연장되며, 상기 브리지가 상기 접안부의 양단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가 상기 대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물부의 양단에 체결판이 마련되고, 상기 브리지의 단부에 체결슬롯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슬롯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상기 체결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내장할 수 있도록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와 상기 대물부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접안부의 양단과 상기 대물부의 양단이 브리지에 의해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의 일단은 상기 접안부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브리지의 타단은 상기 대물부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브리지의 중단에 폴딩선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11.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을 감싸는 고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KR1020120120512A 2012-10-29 2012-10-29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KR10139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12A KR101396254B1 (ko) 2012-10-29 2012-10-29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12A KR101396254B1 (ko) 2012-10-29 2012-10-29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05A KR20140054705A (ko) 2014-05-09
KR101396254B1 true KR101396254B1 (ko) 2014-05-19

Family

ID=5088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512A KR101396254B1 (ko) 2012-10-29 2012-10-29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9745B3 (de) * 2014-07-01 2015-09-03 I-Mmersive Ug (Haftungsbeschränkt) Tragevorrichtung für elektronische anzeigegeräte
KR200479570Y1 (ko) 2014-07-03 2016-02-15 주식회사 자타 휴대용 입체영상 장치
KR102231403B1 (ko) * 2014-08-20 2021-03-23 최해용 편배율 접안렌즈가 결합된 입체경 장치
KR20160108120A (ko) * 2015-03-04 2016-09-19 최해용 휴대용 절첩식 가상 현실 기기
HUP1500089A2 (en) * 2015-03-05 2017-01-30 Intellisense Zrt Optica apparatus for mobile display devices
KR101644900B1 (ko) * 2015-03-25 2016-08-03 (주)쓰리옵틱스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US9897818B2 (en) 2015-10-06 2018-02-20 Handstands Promo, Llc Ocular frame for stereoscopic image view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300A (ja) 2005-09-13 2007-03-29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立体視眼鏡
JP2010079216A (ja) 2008-09-29 2010-04-08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088609A (ko) * 2011-01-31 2012-08-08 방경란 중대형 ped를 위한 휴대용 3d 뷰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300A (ja) 2005-09-13 2007-03-29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立体視眼鏡
JP2010079216A (ja) 2008-09-29 2010-04-08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088609A (ko) * 2011-01-31 2012-08-08 방경란 중대형 ped를 위한 휴대용 3d 뷰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05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254B1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KR100707609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JP4607208B2 (ja)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方法
KR100786468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034086A (ja)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10008589A (ja) 映像立体的認識装置
KR10088767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851207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83471B1 (ko) 시각피로 없는 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굴절률 가변 셔터 안경
KR100732834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90621B1 (ko) 안경
CN204013926U (zh) 一种三维图像显示装置
KR100586221B1 (ko) 평면 표시 장치를 이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20130123526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84018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TW201502586A (zh) 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場色序法液晶顯示器及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方法
KR101927904B1 (ko) 기록매체,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용 양안거리 캘리브레이션 프로그램, 기록매체가 탑재된 모바일 장치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양안거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US10067352B2 (en) 3D image generating lens tool
US20060152580A1 (en) Auto-stereoscopic volu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KR101093929B1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4279743A (ja) 三次元表示装置
KR101344621B1 (ko) 휴대용 3d 안경
KR20120088609A (ko) 중대형 ped를 위한 휴대용 3d 뷰어
TWI489146B (zh) 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液晶顯示器及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方法
KR20050012513A (ko) 다시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 모듈, 이를 이용하는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