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900B1 -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900B1
KR101644900B1 KR1020150041308A KR20150041308A KR101644900B1 KR 101644900 B1 KR101644900 B1 KR 101644900B1 KR 1020150041308 A KR1020150041308 A KR 1020150041308A KR 20150041308 A KR20150041308 A KR 20150041308A KR 101644900 B1 KR101644900 B1 KR 101644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portable terminal
unit
lens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우
한동호
함동명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쓰리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옵틱스 filed Critical (주)쓰리옵틱스
Priority to KR102015004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00B1/ko
Priority to PCT/KR2016/003015 priority patent/WO201615330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4Magnifying glasses having binocular arrangement
    • G02B27/225
    • G02B27/225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한 쌍의 볼록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상기 렌즈부 간의 거리를 유지하는 거리유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A stereo-scopic image viewe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2차원 영상을 입체(3차원)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 문자 등의 기능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을 정도로 화면이 커지고 하드웨어 성능이 발달하였다.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재생은 그 사용 빈도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동영상 중 입체감을 살려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입체 동영상은 영화, 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양안에 별도의 영상을 전달하기 위한 편광 안경이나 셔터 기능이 있는 안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편광 안경에 맞춰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가 지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확산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셔터 기능이 있는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고 셔터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 장치가 더 구비되어야 하므로 단가가 비싸고 부피가 증대된다는 점에서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4342호 (2012.02.1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편광 안경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 쌍의 볼록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상기 렌즈부 간의 거리를 유지하는 거리유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제공한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한 쌍의 볼록렌즈를 각각 끼움 결합하며, 상기 렌즈부 내에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양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렌즈 끼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의 양 측면에는 레일홈;이 형성된다.
상기 거리유지부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거리유지부와 상기 렌즈부가 이루는 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홈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유지부는 상기 렌즈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렌즈부의 양 측면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상기 렌즈부가 전면 노출되는 최대이격위치에서 상기 렌즈부의 양 끝단을 중심으로 축 회동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최대이격위치에서 상기 거리유지부와 상기 렌즈부가 이루는 각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제한한다.
상기 거리유지부에는 상기 거리유지부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렌즈부가 출입하는 출입구면 반대 단에 제1 결합면;이 형성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장착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면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 중 대향하는 양 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장착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면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 중 대향하는 양 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면에 대응하여 제2 결합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에는 강자성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면의 후면에는 상기 거리유지부에 의해 덮힌 상기 렌즈부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와 달리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뷰어는 렌즈부와 휴대 단말기 화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타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뷰어는 한 쌍의 볼록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모든 사용자가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뷰어의 렌즈부가 개폐되는 방식으로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입체 영상 뷰어는 전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수납부를 통해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렌즈부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렌즈부가 덮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거리유지부가 최대이격위치에서 축 회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후면에 입체 영상 뷰어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용 입체 영상 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용 입체 영상 뷰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볼록렌즈(12)가 배치되는 렌즈부(10)와, 상기 렌즈부(10)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과 상기 렌즈부(10) 간의 거리를 유지하는 거리유지부(20)와, 상기 렌즈부(10)와 상기 거리유지부(20)가 이루는 각을 제한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뷰어 유닛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되는 케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개인이 휴대하면서 통신을 하거나 혹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휴대폰, PDA 등을 포함하며,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 있다.
이하, 도 1의 각 구성요소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렌즈부(10)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렌즈부(10)가 덮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거리유지부(20)가 축 회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부(10)에는 한 쌍의 볼록렌즈(12)가 상기 렌즈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볼록렌즈(12)는 각각 렌즈 끼움 부재(14)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끼움 부재(14)는 상기 렌즈부(10) 내에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양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끼움 부재(14)는 상기 렌즈부(10) 내에서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렌즈 끼움 부재(14)는 상기 렌즈부(10) 내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도록 연동하여 움직인다.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볼록렌즈(12)는 사용자의 두 눈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꼭 맞춘 입체 영상 뷰어를 통해 입체(3D) 영상 화면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볼록렌즈(12)를 사용하는 이유는 작은 영상 화면 각각을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에 최대한 확대하여 비춰주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은 해당되는 영상 화면 이외의 부분은 보지 못하게 되어 하나의 완성된 입체(3D) 화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볼록렌즈(12)는 휴대 단말기(100)를 향하는 면이 평편하게 형성되며, 반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상기 렌즈부(10)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위에 위치할 때 화면을 확대하여 화면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0)의 양 측면에는 레일홈(16)이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홈(16)은 2단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거리유지부(20)는 'ㄷ'자형 몸체의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고, 상기 렌즈부(10)가 출입하는 출입구면이 개구된 한 쌍의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리유지부(20)는 상기 렌즈부(10)가 전면 노출되는 최대이격위치에서 상기 렌즈부(10)의 끝단을 중심으로 축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유지부(20)에는 상기 거리유지부(2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렌즈부(10)가 출입하는 출입구면 반대단에 제1 결합면(2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용 입체 영상 뷰어는 상기 거리유지부(20)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거리유지부(20)와 상기 렌즈부(10)가 이루는 각을 제한하는 스토퍼(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레일홈(16)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돌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돌기(32)는 상기 레일홈(16)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다만, 상기 레일홈(16)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2단 홈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레일돌기(32)는 링 부재의 외주면에서 돌기가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홈(16)의 1단 홈에는 상기 링 부재가 결합되며, 2단 홈에는 상기 돌기가 결합된다.
그 결과, 돌기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레일돌기(3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슬라이딩시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최대이격위치에서 상기 거리유지부(20)와 상기 렌즈부(10)가 이루는 각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각을 둔각 이내로 제한하는 이유는 상기 거리유지부(20)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일부를 가로 막거나 상기 볼록렌즈(12)를 통한 시야가 일부 상기 거리유지부(20)에 의해 가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과 상기 렌즈부(10) 간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용 입체 영상 뷰어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거리유지부(20)는 상기 렌즈부(10)가 개폐되도록 상기 렌즈부(10)의 양 측면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렌즈부(10)는 상기 거리유지부(20)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노출되고,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덮힌다.
상기 거리유지부(20)가 상기 렌즈부(10)의 양 측면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거리유지부(20), 상기 렌즈부(10) 및 상기 스토퍼(30)는 나란하게 위치한다. 왜냐하면, 상기 거리유지부(20)와 힌지 결합된 상기 스토퍼(30) 또한 상기 렌즈부(10)의 양 측면을 따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거리유지부(20)가 상기 최대이격위치에서 축 회동할 때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렌즈부(10)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도 6은 도 1의 케이스(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후면에 입체 영상 뷰어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용 입체 영상 뷰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되는 케이스(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되는 장착면(42)과,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케이스(40) 내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면(42)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측면(43) 및 상기 측면(43) 중 대향하는 양 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면(42)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안착시키며, 상기 장착면(42)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 촬영을 위해 형성된 카메라 관통공(42a)과,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 홈(42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43)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네 측면을 감싸주어 상기 케이스(40)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측면(43)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케이스(40)에서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하는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재(44)는 휴대 단말기(100)의 양 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측면(43) 중 대향하는 양 측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44)는 상기 측면(43) 중 짧은 길이를 갖는 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4)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면(24a)에 대응하여 제2 결합면(4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면(44a)의 모양 및 면적은 상기 제1 결합면(24a)의 모양 및 면적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결합면(24a) 및 제2 결합면(44a)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에는 강자성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6처럼, 제1 결합면(24a)에 자석(24b)이 형성된 경우 제2 결합면(44a)에는 강자성 부재(44b)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결합면(24a) 및 제2 결합면(44a)에는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 부재(44b)는 예를 들어, 단원자로 이루어진 철, 니켈, 코발트 등이 있으며 자성의 세기가 가장 큰 종류로 분류되어 자석(24b)과 강자성 부재(44b) 사이에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석(24b)과 상기 강자성 부재(44b)는 강한 자기 결합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결합면(24a) 및 제2 결합면(44a)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자석(24b)과 상기 강자성 부재(44b)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면(24)(54)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결합면(24)(54)의 하측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유지부(20)의 제1 결합면(24a)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창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면(24a)에는 자석(24b) 이외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창에 부착 가능한 예를 들어 원형 흡착판(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40)가 제외된 구성에서도 입체(3D) 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면(42)의 후면에는 상기 거리유지부(20)에 의해 덮힌 상기 렌즈부(10)를 수납하는 수납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50)는 상기 장착면의 후면에서 내측 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케이스(40)의 장착면(42), 측면(43), 고정부재(44) 및 수납부(50)는 합성수지 등의 연성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50)는 포켓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납부(5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도시)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장착면(42)의 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장착면(42)의 후면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유지부(20)에 의해 덮힌 상기 렌즈부(10)는 상기 수납부(50)와 나란하게 이동하여 상기 수납부(5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좌안 및 우안을 각각의 볼록렌즈(12)에 밀착시킨 후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2,4)을 동시에 재생하면 볼록렌즈(12)를 통해서 좌안 및 우안에 좌안용 동영상 화면(2) 및 우안용 동영상 화면(4)이 확대되어 투사된다. 사용자는 이렇게 좌안 및 우안에 투사된 동영상 화면이 합쳐져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좌안용 동영상 화면(2) 및 우안용 동영상 화면(4)을 입체 영상에 맞게 구현하면 별다른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사용자가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렌즈부 12: 볼록렌즈
14: 렌즈 끼움 부재 16: 레일홈
20: 거리유지부 24a: 제1 결합면
24b: 자석 30: 스토퍼
32: 레일돌기 40: 케이스
42: 장착면 42a: 카메라 관통공 42b: 스피커 홈 43: 측면
44: 고정부재 44a: 제2 결합면
44b: 강자성부재 50: 수납부
100: 휴대 단말기

Claims (11)

  1. 한 쌍의 볼록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상기 렌즈부 간의 거리를 유지하는 거리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유지부는 상기 렌즈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렌즈부의 양 측면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상기 렌즈부가 전면 노출되는 최대이격위치에서 상기 렌즈부의 양 끝단을 중심으로 축 회동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한 쌍의 볼록렌즈를 각각 끼움 결합하며, 상기 렌즈부 내에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양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렌즈 끼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양 측면에는 레일홈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유지부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거리유지부와 상기 렌즈부가 이루는 각을 제한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고,
    스토퍼는,
    상기 레일홈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돌기;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최대이격위치에서 상기 거리유지부와 상기 렌즈부가 이루는 각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제한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유지부에는 상기 거리유지부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렌즈부가 출입하는 출입구면 반대 단에 제1 결합면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8.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6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장착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면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 중 대향하는 양 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장착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면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 중 대향하는 양 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면에 대응하여 제2 결합면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에는 강자성 부재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의 후면에는 상기 거리유지부에 의해 덮힌 상기 렌즈부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20150041308A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164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08A KR101644900B1 (ko)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PCT/KR2016/003015 WO2016153302A1 (ko) 2015-03-25 2016-03-24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08A KR101644900B1 (ko)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900B1 true KR101644900B1 (ko) 2016-08-03

Family

ID=5670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308A KR101644900B1 (ko)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4900B1 (ko)
WO (1) WO20161533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82A (ko) * 2016-09-23 2018-04-03 신화현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200040191A (ko) * 2018-10-08 2020-04-17 최해용 교육 영상모니터용 가상현실 영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9574A (zh) * 2017-06-01 2017-07-18 胡星昭 一种拍摄和显示三维影像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886Y1 (ko) * 2001-04-02 2001-10-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KR20120014342A (ko) 2010-08-09 2012-02-17 이충림 모바일기기에서의 입체영상 이용방법
KR20140054705A (ko) * 2012-10-29 2014-05-09 박효생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281A (en) * 1992-11-19 1994-05-03 Rover Chris R Foldable stereoscopic viewer
JP2013076716A (ja) * 2010-01-26 2013-04-25 Panasonic Corp 立体画像表示機能付き電子機器
JP2013190451A (ja) * 2010-09-30 2013-09-26 Panasonic Corp ステレオビューア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886Y1 (ko) * 2001-04-02 2001-10-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KR20120014342A (ko) 2010-08-09 2012-02-17 이충림 모바일기기에서의 입체영상 이용방법
KR20140054705A (ko) * 2012-10-29 2014-05-09 박효생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82A (ko) * 2016-09-23 2018-04-03 신화현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921623B1 (ko) * 2016-09-23 2019-02-21 신화현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200040191A (ko) * 2018-10-08 2020-04-17 최해용 교육 영상모니터용 가상현실 영상 장치
KR102455241B1 (ko) * 2018-10-08 2022-10-17 최해용 교육 영상모니터용 가상현실 영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3302A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656B2 (en) Camera module
KR101149925B1 (ko)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US2013017730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interchangeable camera lens system
KR101644900B1 (ko)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JP20185103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に使用されるフィルタ切り替え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を含むモバイル機器
US9762785B2 (en) Camera module
KR101659395B1 (ko)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필터전환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200004513A (ko) 카메라 모듈
KR101867153B1 (ko)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KR1017653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1795553B1 (ko) 필터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JP2017531822A (ja) 立体視眼鏡
KR101789163B1 (ko)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0562720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KR20160093249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KR102032980B1 (ko)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US20160065809A1 (en) Digital camera
KR20160148418A (ko) 전자 장치
KR101868223B1 (ko) 쌍안경 형태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KR20160019254A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111371923A (zh) 终端及镜头
KR101187952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개폐 장치
KR101724426B1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CN220234805U (zh) 一种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1706015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