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720B1 -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720B1
KR100562720B1 KR1020040035547A KR20040035547A KR100562720B1 KR 100562720 B1 KR100562720 B1 KR 100562720B1 KR 1020040035547 A KR1020040035547 A KR 1020040035547A KR 20040035547 A KR20040035547 A KR 20040035547A KR 100562720 B1 KR100562720 B1 KR 10056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holder
lens unit
coil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737A (ko
Inventor
문재호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엠
Priority to KR102004003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72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를 파지하는 제1렌즈홀더를 갖는 제1렌즈유닛; 상기 제1렌즈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파지하는 제2렌즈홀더를 갖는 제2렌즈유닛; 및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전류를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코일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magnet)를 가지며, 상기 제1렌즈유닛 및 상기 제2렌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광학적 줌(Zoom) 기능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광학적 줌(Zoom)을 위하여 렌즈유닛이 이동하여야 하는, 광학적 줌 기능이 없는 종래 보다 긴 행정거리를 종래에 비하여 전체 외관 크기의 큰 증대 없이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통신기기, 휴대폰, 카메라장치, 광학 줌(Zoom), 오토포커싱, 마그네트, 가이드홈, 돌출부, 판스프링

Description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Camera device for communication machine and communication machin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와이드 모드(Wid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텔레 모드(Tel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
도 5는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제2렌즈유닛과 구동부의 조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판스프링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와이드 모드(Wid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
도 9는 도 7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텔레 모드(Tel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10 : 이미지센서
11 : 적외선 차단 필터 20 : 제1렌즈유닛
21 : 제1렌즈 23 : 제1렌즈홀더
25 : 돌출부 27 : 제1캠핀
30 : 제2렌즈유닛 31 : 제2렌즈
33 : 제2렌즈홀더 33a : 가이드홈
35 : 돌출부 37 : 제2캠핀
40 : 제3렌즈유닛 41 : 제3렌즈
43 : 제3렌즈홀더 50 : 구동부
51 : 제1코일 52 : 제2코일
53 : 마그네트 53a : 가이드홈
55 : 요크 55a : 가이드홈
56 : 제3코일 57 : 제3마그네트
60 : 경통 62 : 제1캠홈
64 : 제2캠홈 70 : 판스프링
71 : 제1판스프링 73 : 제2판스프링
75 : 내측환형링 77 : 외측환형링
79 : 연결탄성부재 80 : 플렉시블 피씨비(PCB)
본 발명은,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PDA, 휴대용 PC와 같은 통신기기에 내장될 수 있으며 광학 줌(Zoom) 기능 또는 오토포커싱 기능을 구비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의 통신기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에 카메라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통신기기들에 설치되는 이러한 카메라장치는 통신기기가 소형이므로 그 크기가 소형이어야 하는 설계적 제약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소형화라는 설계 제약 때문에 종래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는 구성이 간단한 고정렌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101)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10)와, 이미지센서(11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렌즈조립체(130)와, 이미지센서(1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통신기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플렉시블 피씨비(18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미지센서(110)는 렌즈조립체(130)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얻은 뒤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플렉시블 피씨비(180)를 통하여 카메라장치가 설치되는 통신기기의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에 있어서는, 통신기기의 사용자가 어떠한 거리에 있는 피사체라도 확대하여 촬영하고 싶어하는 기대를 갖는 것과 달리 카메라장치의 제작 시 설정된 특정의 배율로만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어 원거리의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촬영된 영상을 확대하는 디지털 줌(Zoom)을 실시하여 촬영된 영상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욕구를 어느 정도 해소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광학적 줌(Zoom)이 아니라 촬영된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확대하는 디지털 줌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어떠한 배율의 상태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장치에 설치된 특정의 렌즈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광학적 줌 기능을 갖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가 요구되고 실정이다. 그런데 광학적 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렌즈유닛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행정거리 보통 적어도 3mm 내지 4mm의 거리를 움직여야 하는데, 종래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동하여야 하는 렌즈유닛마다 마그네트와 코일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크기가 종래 보다 훨씬 크게 되고 이는 결국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가 가져야 하는 소형화라는 설계 개념에 반하게 되어 적용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가 광학 줌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외관 크기를 종래 보다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렌즈유닛의 행정거리를 증가시켜야 하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통신기기용 카메라 장치는, 또한 자동으로 초점을 맞춰주는 오토포커싱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통신기기에 오토포커싱 기능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130만 화소 이하의 카메라장치가 그 동안 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오토포커싱 기능을 구비할 필요성이 그다지 크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고급화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통신기기에 130만 화소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설치할 필요성이 근자에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토포커싱 기능을 구비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개발의 필요성 또한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광학 줌과 오토포커싱 기능을 구비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에서 품질이 우수하여야 하므로 그러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품질을 위하여 렌즈유닛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 광축이 잘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설계 상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학적 줌(Zoom) 기능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광학적 줌을 위하여 렌즈유닛이 이동하여야 하는, 광학적 줌 기능이 없는 종래 보다 긴 행정거리를 종래에 비하여 전체 외관 크기의 큰 증대 없이 달성할 수 있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유닛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시 광축이 잘 유지될 수 있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학 줌 기능과 동시에 오토포커싱 기능을 함께 구비할 수 있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를 파지하는 제1렌즈홀더를 갖는 제1렌즈유닛; 상기 제1렌즈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파지하는 제2렌즈홀더를 갖는 제2렌즈유닛; 및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전류를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코일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magnet)를 가지며, 상기 제1렌즈유닛 및 상기 제2렌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상기 코일이 결합되는 적 어도 어느 하나의 렌즈홀더에 결합되는 내측환형링과,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외측환형링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배치되어 상기 내측환형링 및 상기 외측환형링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탄성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동렌즈가 광축방향으로 이동 시 광축을 잘 유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각도는 90。이며, 상기 마그네트는 네 개로 분할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렌즈홀더에 결합되는 제1코일과 상기 제2렌즈홀더에 결합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순환시키며 상기 마그네트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요크(yoke)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상기 제1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에 대한 광학 줌을 위하여 상기 제1렌즈유닛이 상기 제2렌즈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제2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에 대한 광학 줌을 위하여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을 선명하게 하는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상기 제2렌즈유닛이 상기 제1렌즈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여 오토포커싱 기능을 함께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렌즈홀더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2렌즈홀더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제1렌즈 사이에 상기 제1렌즈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3렌즈와, 상기 제3렌즈를 파지하는 제3렌즈홀더를 갖는 제3렌즈유닛; 및 상기 제1렌즈유닛 및 상기 제2렌즈유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렌즈유닛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렌즈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렌즈유닛을 상기 제1렌즈유닛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경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렌즈홀더에 결합되며 전류를 인가받는 제3코일과, 상기 제3코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3코일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제3마그네트(magnet)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렌즈유닛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을 선명하게 하도록 하여 오토포커싱 기능을 함께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홀더에는 제1캠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렌즈홀더에는 제2캠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통에는, 상기 제1렌즈홀더가 이동시에 상기 제1캠핀을 안내하는 제1캠홈과, 상기 제1렌즈홀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경통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렌즈홀더를 상기 제1렌즈홀더에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상기 제2캠핀이 안내되는 제2캠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를 구비한 통신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기기는 휴대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와이드 모드(Wid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텔레 모드(Tel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1)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0)와, 이미지센서(10)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렌즈유닛(20)과, 제1렌즈유닛(20)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렌즈유닛(30)과, 제1렌즈유닛(20)과 이미지센서(10) 사이에 배치되는 제3렌즈유닛(40)과, 제1렌즈유닛(20) 및 제2렌즈유닛(30)을줌(zoom) 촬영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0)와, 줌 촬영 위치에서 제1렌즈유닛(20) 및 제2렌즈유닛(30)을 일반 촬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판스프링(70)과, 이미지센서(10)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본체 내의 제어부로 전송시키는 플렉시블 피씨비(80)를 구비한다.
이미지센서(10)는 통신기기의 본체 내에 내장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통신기기의 키패드(미도시)에는 이미지센서(10)를 구동시키는 온/오프 버튼(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미지센서(10)의 전방에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Ray Cutoff Filter)(11)가 설치되어 있다.
제1렌즈유닛(20)은, 이미지센서(10)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본 실시 예에서의 2개의 제1렌즈(21, 21a, 21b)와, 이들 제1렌즈(21)를 파지하는 제1렌즈홀더(23)를 갖는다. 제1렌즈유닛(20)은 광학 줌을 위하여 구동부(50)에 의하여 구동되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와이드 모드(Wide Mode)와 텔레 모드(Tele Mode)의 위치간을 이동하게 된다.
제2렌즈유닛(30)은, 제1렌즈(21)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렌즈(31)와, 제2렌즈(31)를 파지하는 제2렌즈홀더(33)를 갖는다. 제2렌즈유닛(30)도 광학 줌을 위하여 구동부(50)에 의하여 구동되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와이드 모드(Wide Mode)와 텔레 모드(Tele Mode)의 위치간을 이동하게 됨은 물론 이미지센서(10)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을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즉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줌 촬영위치에서 다시 미세한 폭으로 구동부(50)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렌즈유닛(20)은 광학 줌을 위하여 구동부(50)에 의하여 이동되나 제2렌즈유닛(30)은 광학 줌 뿐만 아니라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구동부(50)에 의하여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구동부(50)가 광학 줌과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제1렌즈유닛(20)을 이동시키고 광학 줌을 위하여 제2렌즈유닛(3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렌즈유닛(20)과 제2렌즈유닛(30)은 구동부(50)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구동부(50)는, 제1렌즈홀더(23) 및 제2렌즈홀더(33)에 각각 결합되어 전류를 인가받는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과,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magnet)(53)와,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 그리고 마그네트(53)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마그네트(53)의 자속을 순환시키는 요크(yoke)(55)를 갖는다. 여기서 마그네트(53) 는 코일을 향한 측이 N극이 되도록 착자되어 마그네트(53)로부터 나온 자속이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을 지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은 이미지센서(10)와 같이 통신기기의 본체 내에 내장된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통신기기의 본체 내에 내장된 제어부는 와이어나 플렉시블 피씨비(PCB)(80)를 통하여 이미지센서(10)와 이러한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구동부(50)의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미지센서(10)에 촬상되는 영상에 대한 광학 줌을 위하여 제1렌즈유닛(20)과 제2렌즈유닛(30)이 상호 접근하여 줌 촬영 위치에 놓이게 되며, 그 상태에서 다시 이미지센서(10)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을 선명하게 하는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부(50)의 제2코일(52)에 인가되는 전류가 변하게 되면 제2렌즈유닛(30)이 제1렌즈유닛(20)에 대하여 줌 촬영을 위한 이동보다는 소폭으로 이동하여 오토포커싱이 실행된다.
도 5는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제2렌즈유닛과 구동부의 조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부분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53)와 요크(53)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본 실시 예에서는 90。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4개의 소정 폭의 가이드홈(53a, 55a)이 형성되어 있는데 마그네트(53)는 네 개로 분할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53a, 55a)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가이드홈(53a, 55a)이 마련되게 된다. 그리고 제1렌즈홀더(23) 및 제2렌즈홀더(33)에는 이 가이드홈(53a, 55a)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돌출부(25, 35)가 마련되어 제1렌즈유닛(20)과 제2렌즈유닛(3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 돌출부(25, 35)가 마그네트(53)와 요크(53)의 가이드홈(53a, 55a)에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53)와 요크(53)에 가이드홈(53a, 55a)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53a, 55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1렌즈홀더(23) 및 제2렌즈홀더(33)에 돌출부(25, 35)를 마련함으로써 하나의 마그네트(53)와 요크(53)로써 제1렌즈유닛(20)과 제2렌즈유닛(30)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카메라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제1렌즈유닛(20)과 제2렌즈유닛(30)이 긴 행정거리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제1렌즈유닛(20) 및 제2렌즈유닛(30)을 줌 촬영 위치에서 일반 촬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바이어스된 판스프링(70)은, 제1렌즈유닛(20)을 위한 제1판스프링(71)과, 제2렌즈유닛(30)을 위한 제2판스프링(73)을 갖는데, 본 실시 예에서 그 구성은 동일하다. 도 6은 도 2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판스프링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판스프링(70)은, 제1렌즈홀더(23) 또는 제2렌즈홀더(33)에 결합되는 내측환형링(75)과, 요크(53)에 결합되는 외측환형링(77)과, 가이드홈(53a, 55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본 실시 예에서 90。의 각도 간격마다 배치되어 내측환형링(75) 및 외측환형링(77)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탄성부재(79)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줌 촬영 위치에서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전원이 차단되면 줌 촬영 위치에 있던 내측환형링(75)이 외측환형링(77) 쪽으로 복원되어 제1렌즈홀더(23) 및 제2렌즈홀더(33)를 일반 촬영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탄성부재(79)가 90。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이유는 요크(53)와 마그네트(53)의 가이드홈(53a, 55a)이 90。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다시 말해서 외측환형링(77)이 마그네트(53)의 외측에 있는 요크(53) 부분에 결합되고 내측환형링(75)은 마그네트(53)의 내측에 있는 제1렌즈홀더(23) 또는 제2렌즈홀더(33) 부분에 결합되기 때문에 연결탄성부재(79)가 가이드홈(53a, 55a)을 관통함으로써 요크(53) 및 마그네트(53)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이러한 판스프링(70) 구조에서는 제1렌즈홀더(23) 및 제2렌즈홀더(33)가 내측환형링(75)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1렌즈유닛(20)과 제2렌즈유닛(30)이 내측환형링(75)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 시 광축이 잘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1)를 우선 통신기기 예를 들어 휴대폰에 설치한다. 이때 카메라장치는 통상적으로 저배율 촬영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마그네트(53)의 자속은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을 통과하지만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1렌즈유닛(20) 및 제2렌즈유닛(30)을 이동시키는 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제 사용자가 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 통신기기의 키패드에 있는 온/오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2렌즈유닛(30)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영상은 제1렌즈유닛(20), 제2렌즈유닛(30), 그리고 제3렌즈유닛(40)을 통하여 이미지센서(10)에서 전기적인 시그널(signal)로 변환되어 플렉시블 피씨비(80)를 통하여 본체 내의 제어부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저배율 촬영이 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저배율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데, 만약 이미지센서(10)의 정보를 받은 본체 내의 제어부가 촬영된 영상에 포커싱 에러가 있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제2렌즈유닛(30)의 제2코일(52)에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여 포커싱 에러를 보정하는 오토포커싱 모드를 실행하게 되어 이미지센서(10)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이 선명하게 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의 본체에 있는 키패드(미도시)에서 줌 촬영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줌 촬영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가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전류의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그네트(53)에 의하여 자속이 발생하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서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력 즉 자기력이 발생되며, 이 이동력에 의하여 제1렌즈유닛(20) 및 제2렌즈유닛(30)이 상호 접근하여 줌 촬영에 적합한 배열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통신기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촬영 버튼을 누르면 고배율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데, 저배율 촬영과 마찬가지로 만약 이미지센서(10)의 정보를 받은 본체 내의 제어부가 촬영된 영상에 포커싱 에러가 있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제2코일(52)에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여 포커싱 에러를 보정하는 오토 포커싱 모드를 실행하게 되어 이미지센서(10)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이 선명하게 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배율 촬영을 끝내고 다시 저배율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통신기기의 키패드에서 저배율 촬영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저배율 촬영 버튼이 눌러 지면 제어부는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인가되는 전원을 모두 차단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제1코일(51) 및 제2코일(52)에 발생하던 전자력이 모두 소멸한다. 그리고 전자력이 소멸되면 제1판스프링(71) 및 제2판스프링(73)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렌즈유닛(20)과 제2렌즈유닛(30)이 모두 저배율 촬영이 적합한 초기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한편, 줌(Zoom)의 양적 조절은 사용자가 줌 촬영 버튼을 누르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이러한 시간은 제어부가 코일에 인가하는 전류를 조절하는 인자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와이드 모드(Wid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텔레 모드(Tele Mode)에서의 조립단면도로서,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가 사용되고 다소 변경된 부분에는 '200'이 더해져서 부가되며 새로운 구성요소에는 새로운 부호가 지시된다. 그리고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카메라장치(201)에서는, 광학 줌을 위하여 제1렌즈유닛(20)은 구동부(50)에 의하여 이동되고 제1렌즈유닛(20)이 이동할 때 제2렌즈유닛(30)이 제1렌즈유닛(20)에 연동되어 제1렌즈유닛(20)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일 실시 예에서 고정되어 있던 제3렌즈유닛(40)이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이동하는 점이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다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1코일(51)이 제1렌즈홀더(23)에 결합되어 있는 점은 동일하나 제2코일(52)이 없으며, 제2렌즈홀더(33)에 가이드홈이(33a)이 형성되고, 구동부(50)는 제1렌즈유닛(20)만을 직접적으로 구동시키게 되는데, 제2렌즈유닛(30)은 후술할 경통(60)에 의하여 제1렌즈유닛(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되게 된다. 전술한 구성과 다른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201)는, 제1렌즈유닛(20) 및 제2렌즈유닛(30)의 외측에 배치되어 구동부(50)가 제1렌즈유닛(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2렌즈유닛(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렌즈유닛(30)을 제1렌즈유닛(20)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경통(60)을 더 포함하며, 구동부(50)는, 또한 제3렌즈홀더(43)에 결합되며 전류를 인가받는 제3코일(56)과, 제3코일(56)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3코일(56)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제3마그네트(magnet)(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광학 줌을 위하여 제1렌즈유닛(20)을 이동시키는 외에 제3렌즈유닛(40)을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렌즈유닛(2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렌즈유닛(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렌즈유닛(30)이 제1렌즈유닛(20)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렌즈홀더(23)에는 제1캠핀(27)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렌즈홀더(33)에는 제2캠핀(37)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경통(60)에는, 제1렌즈홀더(23)가 이동시에 제1캠핀(27)을 수용 안내하는 제1캠홈(62)과, 제1렌즈홀더(23)의 이동에 의하여 경통(60)이 회전하면서 제2렌즈홀더(33)를 제1렌즈홀더(23)에 접근 및 이격시키 도록 제2캠핀(37)을 수용 안내하는 제2캠홈(64)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은 간단히 또는 생략하기로 한다.
저배율 촬영이 가능한 상태에서 촬영 버튼을 누르는 때에 만약 이미지센서(10)의 정보를 받은 본체 내의 제어부가 촬영된 영상에 포커싱 에러가 있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2렌즈유닛(30)을 이동시키는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달리 자동으로 제3코일(56)에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여 제3렌즈유닛(40)을 이동시켜 포커싱 에러를 보정하는 오토 포커싱 모드를 실행하게 되어 이미지센서(10)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이 선명하게 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의 본체에 있는 키패드에서 줌 촬영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줌 촬영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가 제1코일(51)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마그네트(53)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의 영향으로 제1렌즈유닛(20)을 이동시키는 전자력이 발생된다. 제1렌즈유닛(20)이 피사체 쪽으로 이동하면 이에 고정된 제1캠핀(27)이 경통(60)의 제1캠홈(62)을 따라 피사체 쪽으로 나아가게 되고 이에 의하여 경통(60)을 회전시킨다. 경통(60)이 회전하면 제2캠홈(64)에 수용 안내되는 제2캠핀(37)이 이미지센서(10) 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렌즈유닛(30)도 이미지센서(10) 쪽으로 이동되게 되며 제1렌즈유닛(20) 및 제2렌즈유닛(30)이 광학 줌 촬영에 적합한 배열을 이루게 되고 고배율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고배율 촬영이 가능한 상태에서 촬영 버튼을 누르는 때에 만약 이미지센서(10)의 정보를 받은 본체 내의 제어부가 촬영된 영상에 포커싱 에러가 있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제3코일(56)에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여 제3렌즈유닛(40)을 이동시켜 포커싱 에러를 보정하는 오토포커싱 모드를 실행하게 되어 이미지센서(10)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이 선명하게 되면서 촬영이 이루어짐은 저배율 촬영 때와 동일하다.
한편, 고배율 촬영을 끝내고 다시 저배율 촬영을 하려면, 통신기기의 키패드에서 저배율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저배율 촬영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가 제1코일(51) 및 제3코일(56)에 인가되는 전원을 모두 차단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제1코일(51) 및 제3코일(56)에 발생하던 전자력이 모두 소멸한다. 이렇게 되면 제1판스프링(7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렌즈유닛(20)이 이미지센서(10) 쪽으로 이동되고 제1렌즈유닛(20)이 이동하면서 제1캠핀(27)이 제1캠홈(62)을 따라 이동하여 경통(60)을 회전시키며, 이러한 경통(60)의 회전과 제1캠핀(27)의 제1캠홈(62)에 따른 이동으로 제2렌즈유닛(30)이 제1렌즈유닛(20)으로부터 이격되어 저배율 촬영에 적합한 상태가 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는, 복잡한 기어장치를 사용하여 배율조정을 실행하는 대형의 줌 카메라장치와 달리 마그네트(53)와 코일들 즉 제1코일(51), 제2코일(52) 그리고 제3코일(56) 간에 발생하는 전자력으로 줌 조정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를 휴대폰에 적용할 경우, 카메라장치를 본체나 폴더의 어느 곳이나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폴더를 본체로부터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통체 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를, 마그네트(53) 또는 요크(55) 또는 제2렌즈홀더(33)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53a, 55a, 33a)을 형성하고, 제1렌즈홀더(23) 또는 제2렌즈홀더(33)에는 가이드홈(53a, 55a, 33a)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돌출부(25, 35)를 구성하여 제1렌즈유닛(20) 또는 제2렌즈유닛(30)이 마그네트(53)와 코일간에 발생하는 전자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홈(53a, 55a, 33a)을 따라 안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학적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광학적 줌을 위하여 렌즈유닛이 이동하여야 하는, 광학적 줌 기능이 없는 종래 보다 긴 행정거리를 종래에 비하여 전체 외관 크기의 큰 증대 없이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소정의 각도가 90。인 것 즉 가이드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90。마다 마그네트 또는 요크 또는 제2렌즈홀더에 형성되고 탄성연결부재도 90。마다 배치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소정의 각도는 60。가 될 수도 120。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마그네트가 네 개의 분할되어 배치됨으로써 가이드홈이 마련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전술한 요크 또는 제2렌즈홀더에서의 가이드홈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적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광학적 줌을 위하여 렌즈유닛이 이동하여야 하는, 광학적 줌 기능이 없는 종래 보다 긴 행정거리를 종래에 비하여 전체 외관 크기의 큰 증대 없이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가 제공된다.
또한, 내측환형링, 외측환형링 그리고 마그네트와 요크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배치되어 내측환형링 및 외측환형링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탄성부재를 갖는 판스프링을 사용하면 렌즈유닛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에 광축이 잘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줌을 위한 구동 외에 마그네트와 코일간에 발생하는 전자력으로 제3렌즈유닛을 구동시키거나 제2렌즈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광학 줌과 동시에 오토포커싱 기능도 갖출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삭제
  2.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를 파지하는 제1렌즈홀더를 갖는 제1렌즈유닛;
    상기 제1렌즈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파지하는 제2렌즈홀더를 갖는 제2렌즈유닛; 및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전류를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코일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magnet)를 가지며, 상기 제1렌즈유닛 및 상기 제2렌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돌출부가 마련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상기 코일이 결합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렌즈홀더에 결합되는 내측환형링과,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외측환형링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배치되어 상기 내측환형링 및 상기 외측환형링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탄성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3. 삭제
  4.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를 파지하는 제1렌즈홀더를 갖는 제1렌즈유닛;
    상기 제1렌즈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파지하는 제2렌즈홀더를 갖는 제2렌즈유닛; 및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전류를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코일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magnet)를 가지며, 상기 제1렌즈유닛 및 상기 제2렌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돌출부가 마련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렌즈홀더에 결합되는 제1코일과 상기 제2렌즈홀더에 결합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순환시키며 상기 마그네트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요크(yoke)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상기 제1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에 대한 광학 줌을 위하여 상기 제1렌즈유닛이 상기 제2렌즈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제2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에 대한 광학 줌을 위하여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을 선명하게 하는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상기 제2렌즈유닛이 상기 제1렌즈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5.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를 파지하는 제1렌즈홀더를 갖는 제1렌즈유닛;
    상기 제1렌즈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파지하는 제2렌즈홀더를 갖는 제2렌즈유닛; 및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전류를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코일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magnet)를 가지며, 상기 제1렌즈유닛 및 상기 제2렌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렌즈홀더 및 상기 제2렌즈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돌출부가 마련된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렌즈홀더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2렌즈홀더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광축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제1렌즈 사이에 상기 제1렌즈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3렌즈와, 상기 제3렌즈를 파지하는 제3렌즈홀더를 갖는 제3렌즈유닛; 및
    상기 제1렌즈유닛 및 상기 제2렌즈유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렌즈유닛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렌즈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렌즈유닛을 상기 제1렌즈유닛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경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렌즈홀더에 결합되며 전류를 인가받는 제3코일과, 상기 제3코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3코일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광축 방향의 가로로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제3마그네트(magnet)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렌즈유닛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의 초점을 선명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홀더에는 제1캠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렌즈홀더에는 제2캠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통에는, 상기 제1렌즈홀더가 이동시에 상기 제1캠핀을 안내하는 제1캠홈과, 상기 제1렌즈홀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경통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렌즈홀더를 상기 제1렌즈홀더에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상기 제2캠핀이 안내되는 제2캠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7. 제2항,제4항,제5항,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를 구비한 통신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KR1020040035547A 2004-05-19 2004-05-19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KR10056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47A KR100562720B1 (ko) 2004-05-19 2004-05-19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47A KR100562720B1 (ko) 2004-05-19 2004-05-19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37A KR20050110737A (ko) 2005-11-23
KR100562720B1 true KR100562720B1 (ko) 2006-03-20

Family

ID=3728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547A KR100562720B1 (ko) 2004-05-19 2004-05-19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49B1 (ko) * 2009-11-30 201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199667B1 (ko) 2009-10-12 2012-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의 판 스프링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이스 코일 모터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38B1 (ko) * 2005-04-18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립성이 향상된 렌즈 이송장치
KR100774560B1 (ko) * 2005-07-23 2007-11-08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줌 카메라장치
WO2009096664A1 (en) * 2008-01-29 2009-08-06 Hysonic. Co., Ltd. Image photographing device
KR100926686B1 (ko) * 2008-01-29 2009-11-17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KR100926685B1 (ko) * 2008-04-08 2009-11-17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자동초점 구동장치
CN115442497A (zh) * 2021-06-01 2022-12-06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镜头组件和摄像模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667B1 (ko) 2009-10-12 2012-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의 판 스프링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이스 코일 모터의 조립 방법
KR101061249B1 (ko) * 2009-11-30 201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37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103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に使用されるフィルタ切り替え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を含むモバイル機器
US20070177279A1 (en) Mini camera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KR100865776B1 (ko) 줌 렌즈 장치
KR20060084130A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JP2013257499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100562720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JP2007148354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562723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KR100746714B1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CN113994247B (zh) 镜头组件驱动设备和包括该镜头组件驱动设备的相机模块
KR101795553B1 (ko) 필터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JP20225417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00124135A (ko)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0562721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JP2017151312A (ja) レンズ鏡筒、レンズ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205562928U (zh) 透镜镜筒
JP2006047906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0519632B1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KR100514533B1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20060105194A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KR20060043619A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100795210B1 (ko) 소형 줌 카메라장치
KR100690029B1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KR100919116B1 (ko) 구동력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20210034400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