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015B1 - 가상 현실 핸드폰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015B1
KR101706015B1 KR1020160058311A KR20160058311A KR101706015B1 KR 101706015 B1 KR101706015 B1 KR 101706015B1 KR 1020160058311 A KR1020160058311 A KR 1020160058311A KR 20160058311 A KR20160058311 A KR 20160058311A KR 101706015 B1 KR101706015 B1 KR 10170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ain body
virtual reality
eyepiece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상규
Original Assignee
민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상규 filed Critical 민상규
Priority to KR102016005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015B1/ko
Priority to US16/096,416 priority patent/US10725306B2/en
Priority to PCT/KR2017/004466 priority patent/WO2017188740A1/ko
Priority to JP2019509449A priority patent/JP2019520777A/ja
Priority to EP17789924.2A priority patent/EP3451639A4/en
Priority to CN201780026264.6A priority patent/CN109196846A/zh
Priority to US16/904,979 priority patent/US11294190B2/en
Priority to JP2022073113A priority patent/JP202211446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가상 현실 핸드폰은 전면에 메인 디스플레이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메인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핸드폰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본 발명은 가상 현실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 현실이란 말은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등의 용어로 혼용되기도 한다.
가상 현실의 사용 목적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서, 그 응용분야는 교육, 원격조작, 원격위성 표면탐사, 탐사자료 분석,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등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상현실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일 예로, 삼성이 오큘러스와 공동으로 제작한 기어VR, LG의 'G3 VR', 구글의 카드보드가 대표적이며, 이들 제품은 스마트폰과 연동해 가상현실을 체험해볼 수 있고, 기존의 VR 장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능이 포함된 핸드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VR 기능을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바로 구현할 수 있는 핸드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 핸드폰은 전면에 메인 디스플레이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메인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위치와, 상기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은 일반 핸드폰과 가상 현실 모듈이 일체화하되,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일반 휴대폰으로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으로써 가상 현실 유용도는 증가할 것이나,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장치를 휴대하는 것은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로 휴대폰으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여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및 접안 플레이트는 다양한 방식을 구현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카드보드와 같이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분할하고 한 쌍의 접안렌즈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접안 플레이트에 편광렌즈를 장착하는 편광안경방식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서 좌우 접안 렌즈를 시간 차를 두고 개폐하는 셔터글라스 방식 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가상 현실 구현이나 입체 표시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및 렌즈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 현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메인 몸체에 밀착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가상 현실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메인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접안 플레이트는 메인 몸체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가변 가능한 거리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스크린 통의 상호 마찰 및 고정력을 이용하여 접안 플레이트를 밀착 상태 및 이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안 플레이트는 미세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가변 가능한 거리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람마다 시력이나 눈 사이 거리, 눈의 형상 등 생물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렌즈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에서 스크린 통의 상호 거리 조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미세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구성하는 스크린 통은 단일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견고한 지지구조 및 경량화를 위해 이중벽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중벽 구조를 위해서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최소한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나 전자파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린 통에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통풍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에서는 내벽에 제1 통풍구를 형성하고 외벽에는 제2 통풍구를 형성하되,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만 하기 때문에,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를 완전 차단하는 것 외에도 본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상 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휴대폰을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 안경의 걸이부 또는 탄성 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가상 현실 핸드폰은 접안 플레이트의 밀착 상태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몸체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후면 커버는 접안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용도 외에도 가상 현실의 컨텐츠와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은 일반 핸드폰과 가상 현실 모듈이 일체화하되,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일반 휴대폰으로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로 휴대폰으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같은 구조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고, 고급스런 슬라이드 이동 및 견고함을 동시에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특징은, 스크린 통을 이중벽으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배가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긋난 통풍구 형성 및 경량화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현실 핸드폰을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상 현실 핸드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휴대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휴대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휴대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가상 현실 핸드폰을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상 현실 핸드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100)은 메인 몸체(110), 접안 플레이트(120) 및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를 포함한다.
메인 몸체(110)는 전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112) 및 후면에 설치되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를 포함하며,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112)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기본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의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는 접안 플레이트(120)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이동감지 등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1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122)를 통해서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1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1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접안 플레이트(120)의 외곽으로 메인 몸체(110)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외곽을 차단함으로써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그 사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안 플레이트(120)가 강성적으로 견고하게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140)을 포함하며, 스크린 통(140)은 휴대폰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 외에 타원형 또는 눈 형상에 맞게 8-자 외형을 갖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에서 스크린 통(140)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140)은 4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통(140) 중 메인 몸체(110)에 고정되는 것은 메인 몸체(110)의 후면, 측면 또는 내부에 장착되어 밀착 상태에서 전체 두께가 얇아지도록 그 장착 위치 및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휴대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를 구성하는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중벽을 형성하는 스크린 통(140)은 내벽(142) 및 외벽(144)을 포함하며, 내벽(142)과 외벽(144)과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서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단일벽 구조에 비해 동일 두께에 비해 현저히 경량화된 무게를 유지하며,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휴대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스크린 통(140)에는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탄성 돌기(147)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스크린 통(140)이 연장된 이격 상태에서 탄성 돌기(147)는 다른 스크린 통(14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140)이 상호 겹쳐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잇다.
또한, (b)를 보면, 스크린 통(140)이 상호 겹쳐진 밀착 상태에서는 탄성 돌기(147)는 다른 스크린 통(140)에 형성된 돌기 수용홈(149)에 걸림으로써, 역시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140)이 상호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돌기(147)가 스크린 통(140)의 내벽(14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지만, 반대로 외벽 또는 내/외벽 모두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신축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 돌기(147)가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 외에도, 판스프링과 같이 자체 탄성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휴대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의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이중벽으로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경량화를 구현하는 것 외에도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에 통풍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1 통풍구(146) 및 제2 통풍구(148)를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140)에서는 내벽(142)에 제1 통풍구(146)를 형성하고 외벽(144)에는 제2 통풍구(148)를 형성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풍구(146)와 제2 통풍구(148)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는 메인 몸체(110)와 접안 플레이트(120)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1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통(140)이의 사이즈가 점차 줄어들며, 전후 방향으로 늘었다가 줄어들 수 있지만, 반대로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점차 늘어나도록 할 수도 있고,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늘어나다가 줄어들게 하던지 그 반대로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 통(140)은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메인 몸체(110)와 접안 플레이트(120)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상 현실 핸드폰은 메인 몸체(110), 접안 플레이트(120), 및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를 포함하며, 추가로 후면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150)는 접안 플레이트(120)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동안 메인 몸체(110) 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저면으로 늘어져 사용될 수 있다.
후면 커버(150)를 메인 몸체(110)에 형성하는 경우, 접안 플레이트(120)를 보호하는 것 외에 가상 현실의 컨텐츠와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 발생부(170)를 추가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가상 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휴대폰을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60)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양측에 준비되었다가, 사용자의 편의를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메인 몸체(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160)는 안경 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탄성 밴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은 메인 몸체(110), 접안 플레이트(120), 그리고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1)을 포함하며, 이들에 구체적인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1)는 메인 몸체(110)의 측면을 수용하며, 메인 몸체(110)의 측면에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 접안 플레이트(120)를 메인 몸체(110)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메인 몸체(110)와 접안 플레이트(120) 사이로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1)를 형성하는 스크린 통(140)은 단일벽 또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몸체(110)로부터 점차 사이즈가 증가하면서 연결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1)의 후방 단부에는 접안 플레이트(120)가 장착되며, 이 경우 역시 스크린 통(140)의 연장을 통해서 메인 몸체(110)와 접안 플레이트(120) 사이에 실질적으로 차단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가상 현실 핸드폰 110:메인 몸체
120 : 접안 플레이트 130 :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140 : 스크린 통 150 : 후면 커버
160 : 고정 부재 170 : 바람 발생부

Claims (8)

  1. 통화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구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편으로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가 구성된 후면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의 유지가 가능하고, 상기 메인 몸체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위치와, 상기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 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상기 내벽에 형성된 제1 통풍구 및 상기 외벽에 형성된 제2 통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풍구 및 상기 제2 통풍구는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상기 밀착 위치 또는 상기 이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내벽 또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돌기에 대응하여 다른 스크린 통의 내벽 또는 외벽에는 상기 탄성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기 메인 몸체의 측면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메인 몸체의 측면에서부터 후방으로 향해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통해서 상기 이격 위치에 있는 상기 가상현실 핸드폰을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상기 밀착 위치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 발생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8. 삭제
KR1020160058311A 2016-04-28 2016-05-12 가상 현실 핸드폰 KR10170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11A KR101706015B1 (ko) 2016-05-12 2016-05-12 가상 현실 핸드폰
US16/096,416 US10725306B2 (en) 2016-04-28 2017-04-26 Virtual reality cell phone
PCT/KR2017/004466 WO2017188740A1 (ko) 2016-04-28 2017-04-26 가상 현실 핸드폰
JP2019509449A JP2019520777A (ja) 2016-04-28 2017-04-26 仮想現実携帯電話
EP17789924.2A EP3451639A4 (en) 2016-04-28 2017-04-26 CELL PHONE WITH VIRTUAL REALITY
CN201780026264.6A CN109196846A (zh) 2016-04-28 2017-04-26 虚拟现实手机
US16/904,979 US11294190B2 (en) 2016-04-28 2020-06-18 Virtual reality cell phone
JP2022073113A JP2022114466A (ja) 2016-04-28 2022-04-27 仮想現実携帯電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11A KR101706015B1 (ko) 2016-05-12 2016-05-12 가상 현실 핸드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743A Division KR20170128066A (ko) 2017-01-05 2017-01-05 가상 현실 핸드폰
KR1020170001744A Division KR20170128067A (ko) 2017-01-05 2017-01-05 가상 현실 핸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015B1 true KR101706015B1 (ko) 2017-02-22

Family

ID=5831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311A KR101706015B1 (ko) 2016-04-28 2016-05-12 가상 현실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315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절첩광학기구
KR20160024168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026429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6966B1 (ko) * 2015-01-09 2016-04-29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자가 발전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315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절첩광학기구
KR20160024168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026429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6966B1 (ko) * 2015-01-09 2016-04-29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자가 발전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77026B (zh) 具有防尘功能的光学镜片调焦组件
KR101867153B1 (ko)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KR102295452B1 (ko)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반 몰입형 헤드셋
US9766482B2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JP2019520777A (ja) 仮想現実携帯電話
GB2516242A (en) Head mounted display
KR20150027651A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두부 탑재형 장치
KR101851851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20170128067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101706015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101868223B1 (ko) 쌍안경 형태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KR20170128165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20170128066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101644900B1 (ko)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1997318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CN110955046B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以及罩部件
KR20180017062A (ko) 쌍안경 형태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KR20180004069A (ko)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JP4399789B2 (ja) 3次元画像鑑賞メガネ
CN212846146U (zh) 遮光罩构件及vr眼镜组件
EP3504582A1 (en) Light transmissive regions to pass light to cameras
US201601319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patial depth effect of image information present in a 2d image area
CN115236854A (zh) Ar镜架和ar眼镜
KR2005004332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덮개
JP2016170207A (ja) 動画像閲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