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153B1 -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153B1
KR101867153B1 KR1020160064028A KR20160064028A KR101867153B1 KR 101867153 B1 KR101867153 B1 KR 101867153B1 KR 1020160064028 A KR1020160064028 A KR 1020160064028A KR 20160064028 A KR20160064028 A KR 20160064028A KR 101867153 B1 KR101867153 B1 KR 10186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eyepiece plate
virtual reality
screen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067A (ko
Inventor
민상규
Original Assignee
민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상규 filed Critical 민상규
Priority to KR102016006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153B1/ko
Priority to US16/303,854 priority patent/US10948727B2/en
Priority to CN201780031853.3A priority patent/CN109152456B/zh
Priority to JP2018561705A priority patent/JP7053041B2/ja
Priority to ES17803042T priority patent/ES2940260T3/es
Priority to PCT/KR2017/005335 priority patent/WO2017204523A1/ko
Priority to EP17803042.5A priority patent/EP3466295B1/en
Publication of KR2017013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153B1/ko
Priority to PH12018502435A priority patent/PH1201850243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5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for holding portable computers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adjustable nose p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케이싱과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케이싱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 현실이란 말은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등의 용어로 혼용되기도 한다.
가상 현실의 사용 목적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서, 그 응용분야는 교육, 원격조작, 원격위성 표면탐사, 탐사자료 분석,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등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상현실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일 예로, 삼성이 오큘러스와 공동으로 제작한 기어VR, LG의 'G3 VR', 구글의 카드보드가 대표적이며, 이들 제품은 스마트폰과 연동해 가상현실을 체험해볼 수 있고, 기존의 VR 장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능이 포함된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VR 기능을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바로 구현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케이싱과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케이싱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핸드폰과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드폰에 가상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물리적 구조를 제공하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으로써 가상 현실 유용도는 증가할 것이나, 종래와 같이 거대한 VR 기기를 휴대하는 것은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드폰 몸체 중 후방을 향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로 핸드폰으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여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내에서 핸드폰 몸체가 역전 가능하게 장착되게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는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다가, 가상 현실 기능을 위해서 핸드폰 몸체가 역전되어 후방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가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케이싱은 핸드폰 몸체의 측면 전부를 수용할 필요가 없으며,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와 같이, 일부만 수용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전면 커버 없이도 제공될 수가 있다.
핸드폰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중 가상 현실을 위한 디스플레이가 후방을 향하도록 한 뒤, 이격 상태의 접안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가상 현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카드보드와 같이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를 좌우 분할, 상하 분할, 180도 시야각 또는 360도 시야각 등 한 쌍의 접안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접안 플레이트에 편광렌즈를 장착하는 편광안경방식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서 좌우 접안 렌즈를 시간 차를 두고 개폐하는 셔터글라스 방식 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가상 현실 구현이나 입체 표시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및 렌즈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 현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핸드폰 몸체에 밀착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가상 현실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핸드폰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접안 플레이트는 핸드폰 몸체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가변 가능한 거리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를 밀착 상태 및 이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복수의 스크린 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크린 통의 상호 마찰 및 고정력을 이용하여 역전된 핸드폰 몸체의 디스플레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 광을 차단할 수가 있다. 다르게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밀착 상태 및 상기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부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상기 이격 상태에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스크린 통으로 구현하는 경우, 스크린 통이 단일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견고한 지지구조 및 경량화를 위해 이중벽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중벽 구조를 위해서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최소한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나 전자파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린 통에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통풍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빛이 직접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에서는 내벽에 제1 통풍구를 형성하고 외벽에는 제2 통풍구를 형성하되,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만 하기 때문에, 핸드폰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를 완전 차단하는 것 외에도 본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상 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핸드폰을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 안경의 걸이부, 헬멧 마운트 또는 탄성 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핸드폰 케이스는 접안 플레이트의 밀착 상태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 및 케이싱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후면 커버는 접안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용도 외에도 가상 현실의 컨텐츠와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는 일반 핸드폰과 가상 현실 모듈을 일체화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일반 핸드폰으로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내에서 핸드폰 몸체가 역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일반 모니터로서의 사용 및 가상 현실 모니터로서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로 핸드폰으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같은 구조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고, 고급스런 슬라이드 이동 및 견고함을 동시에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특징은, 스크린 통을 이중벽으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배가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긋난 통풍구 형성 및 경량화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가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가 이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핸드폰이 이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핸드폰 중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그에 장착된 핸드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핸드폰을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핸드폰이 이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200)는 핸드폰 몸체(100)와 결합, 즉 핸드폰 몸체(100)를 수용하고 있다. 핸드폰 몸체(100)에 대응하여, 핸드폰 케이스(200)는 케이싱(210), 접안 플레이트(220) 및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를 포함한다.
핸드폰 몸체(100)는 전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112) 및 후면에 설치되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를 포함하며,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112)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핸드폰 몸체(100)는 기본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의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는 접안 플레이트(120)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이동감지 등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다.
케이싱(210)은 핸드폰 몸체(1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는 가상 디스플레이(114)를 개방하기 위한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는 하나의 홀 또는 2개 이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휴대폰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케이싱(210)의 전면 일측에 전면 덮개(21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접안 플레이트(2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2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222)를 통해서 역전된 메인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2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2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는 케이싱(210)의 후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통(240)은 핸드폰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 외에 타원형 또는 눈 형상에 맞게 8-자 외형을 갖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에서 스크린 통(240)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240)은 4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를 구성하는 스크린 통(240)은 이중벽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중벽을 형성하는 스크린 통(240)은 내벽(242) 및 외벽(244)을 포함하며, 내벽(242)과 외벽(244)과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서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스크린 통(240)은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단일벽 구조에 비해 동일 두께에 비해 현저히 경량화된 무게를 유지하며,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스크린 통(240)에는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탄성 돌기(247)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스크린 통(240)이 연장된 이격 상태에서 탄성 돌기(247)는 다른 스크린 통(24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240)이 상호 겹쳐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잇다.
또한, (b)를 보면, 스크린 통(240)이 상호 겹쳐진 밀착 상태에서는 탄성 돌기(247)는 다른 스크린 통(240)에 형성된 돌기 수용홈(249)에 걸림으로써, 역시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240)이 상호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돌기(247)가 스크린 통(240)의 내벽(24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지만, 반대로 외벽 또는 내/외벽 모두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신축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 돌기(247)가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 외에도, 판스프링과 같이 자체 탄성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의 스크린 통(240)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이중벽으로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경량화를 구현하는 것 외에도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에 통풍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1 통풍구(246) 및 제2 통풍구(248)를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240)에서는 내벽(242)에 제1 통풍구(246)를 형성하고 외벽(244)에는 제2 통풍구(248)를 형성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풍구(246)와 제2 통풍구(248)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는 케이싱(210)과 접안 플레이트(220)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2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통(240)이의 사이즈가 후방으로 점차 늘어나며, 전후 방향으로 늘었다가 줄어들 수 있지만, 반대로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점차 줄어들도록 할 수도 있고,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늘어나다가 줄어들게 하던지 그 반대로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 통(240)은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핸드폰 몸체(100)와 접안 플레이트(220)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 몸체(100)를 수용하며, 케이싱(210), 접안 플레이트(220), 및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를 포함하고, 이전 실시예와 달리 추가로 후면 커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250)는 접안 플레이트(220)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동안 케이싱(210) 또는 접안 플레이트(220)의 저면으로 늘어져 사용될 수 있다.
후면 커버(250)를 핸드폰 몸체(100)에 형성하는 경우, 접안 플레이트(220)를 보호하는 것 외에 가상 현실의 컨텐츠와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 발생부(270)를 추가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가상 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핸드폰을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60)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접안 플레이트(220)의 양측에 준비되었다가, 사용자의 편의를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핸드폰 몸체(10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260)는 안경 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탄성 밴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핸드폰이 이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싱(210)은 핸드폰 몸체(101)를 직접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216) 및 내부 프레임(216)을 역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215)을 포함한다. 이전 실시예와 달리, 핸드폰 몸체(101)가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112)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핸드폰 몸체(101)를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216)이 메인 프레임(215) 내에서 역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접안 플레이트(220)가 밀착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드폰 몸체(100)의 메인 디스플레이(112)는 전면을 향할 수 있다. 하지만, 접안 플레이트(2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내부 프레임(216)과 함께 핸드폰 몸체(100)가 역전될 수 있으며, 역전된 핸드폰 몸체(101)의 메인 디스플레이(112)도 후방을 향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핸드폰 몸체(100)는 케이싱(210)의 내부 프레임(216)에 수용됨으로써, 메인 프레임(215)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핸드폰 몸체(100) 및 내부 프레임(216)의 회전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2)가 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거나 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될 수가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12)의 방향은 핸드폰 몸체(100)의 회전 상태를 통해 감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핸드폰 몸체(100)의 방향 또는 접안 플레이트(220)의 이동감지 등을 통해서 가상 현실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및 그에 장착된 핸드폰의 사시도이며, 도 12은 도 1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1의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300)은 핸드폰 몸체(100)를 수용하는 케이싱(310), 접안 플레이트(320) 및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330)를 포함한다.
핸드폰 몸체(100)는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12) 및 후면에 설치되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를 포함하며,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112)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핸드폰 몸체(100)는 기본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후면의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14)는 접안 플레이트(120)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몸체(100)는 케이싱(310) 내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없지만, 다르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10)을 내부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으로 구현한 경우라면, 역전 가능하게 방향을 전환시킬 수도 있다.
접안 플레이트(3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3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322)를 통해서 역전된 디스플레이(312)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3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3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330)는 거리 조절부(331) 및 광차단 스크린(340)을 포함하며, 거리 조절부(331)는 중앙 일측에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332) 및 제2 링크(334)를 포함하며, 제1 링크(332)의 타단은 케이싱(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334)의 타단은 접안 플레이트(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332) 및 제2 링크(334)을 포함하는 4개의 조합이 케이싱(310)의 4개 모서리에서 접안 플레이트(320)를 연결하며, 제1 링크(332) 및 제2 링크(334)는 일자(一字)으로 펼쳐지거나 V-자 형상으로 꺾이면서 접안 플레이트(320)를 이격 상태 및 밀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중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링크(332)는 길이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링크(332)는 상호 중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로드(336,237)를 포함하며, 로드(336,237)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미세 조절 나사(338)가 장착되어 로드(336,237) 간의 중첩된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장공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턱을 이동시키면서 로드 간의 중첩 길이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중첩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미세한 거리 조정이 가능하며, 4개의 링크 조합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접안 디스플레이의 각도, 디스플레이의 가로축에 대한 틀어짐도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광차단 스크린(340)은 케이싱(310)과 접안 플레이트(320)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3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차단 스크린(340)은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단이 각각 케이싱(310) 및 접안 플레이트(320)에 고정되어 실질적으로 완벽한 암실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광차단 스크린(340)는 벨로우즈가 아닌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가 있다. 어느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가 이격 상태에 이르러서야 다른 타측에 고정되게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광차단 스크린(340)는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케이싱(310)과 접안 플레이트(320)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핸드폰을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60)는 접안 플레이트가 아닌 케이싱(310)에서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케이싱(310)의 후면 양측에 준비되었다가, 사용자의 편의를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고정 부재(360)는 안경 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탄성 밴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300: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100, 101:핸드폰 몸체 210, 310 : 케이싱
220, 320 : 접안 플레이트 230, 330 :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240 : 스크린 통 250 : 후면 커버
260, 360 : 고정 부재 270 : 바람 발생부

Claims (10)

  1.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핸드폰 케이스에 있어서,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상기 내벽에 형성된 제1 통풍구 및 상기 외벽에 형성된 제2 통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풍구 및 상기 제2 통풍구는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통해서 상기 이격 상태에 있는 상기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5.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핸드폰 케이스에 있어서,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상기 밀착 상태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 발생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 및 후면의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핸드폰 몸체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싱은 상기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8.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핸드폰 케이스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핸드폰 몸체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핸드폰 몸체를 직접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을 역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상기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내부 프레임과 함께 역전된 상기 핸드폰 몸체의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가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64028A 2016-05-25 2016-05-25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KR10186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28A KR101867153B1 (ko) 2016-05-25 2016-05-25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US16/303,854 US10948727B2 (en) 2016-05-25 2017-05-23 Virtual reality dual use mobile phone case
CN201780031853.3A CN109152456B (zh) 2016-05-25 2017-05-23 虚拟现实兼用手机套
JP2018561705A JP7053041B2 (ja) 2016-05-25 2017-05-23 仮想現実兼用携帯電話ケース
ES17803042T ES2940260T3 (es) 2016-05-25 2017-05-23 Carcasa de teléfono móvil de doble uso de realidad virtual
PCT/KR2017/005335 WO2017204523A1 (ko) 2016-05-25 2017-05-23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EP17803042.5A EP3466295B1 (en) 2016-05-25 2017-05-23 Virtual reality dual use mobile phone case
PH12018502435A PH12018502435A1 (en) 2016-05-25 2018-11-19 Virtual reality dual use mobile phon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28A KR101867153B1 (ko) 2016-05-25 2016-05-25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63A Division KR20180004069A (ko) 2017-12-27 2017-12-27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67A KR20170133067A (ko) 2017-12-05
KR101867153B1 true KR101867153B1 (ko) 2018-06-12

Family

ID=6041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28A KR101867153B1 (ko) 2016-05-25 2016-05-25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48727B2 (ko)
EP (1) EP3466295B1 (ko)
JP (1) JP7053041B2 (ko)
KR (1) KR101867153B1 (ko)
CN (1) CN109152456B (ko)
ES (1) ES2940260T3 (ko)
PH (1) PH12018502435A1 (ko)
WO (1) WO20172045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20A (ko) * 2021-01-29 2022-08-0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구현기기를 이용한 양안시 훈련용 교정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4175A (zh) * 2018-01-30 2018-06-15 小派科技(上海)有限责任公司 基于移动端的vr显示系统
CN109218489A (zh) 2018-09-29 2019-01-1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夹紧装置及头戴设备
KR102467408B1 (ko) * 2020-03-06 2022-11-16 주식회사 디바스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KR200496499Y1 (ko) * 2020-10-16 2023-02-09 민상규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73162U (zh) * 2014-04-14 2014-08-13 黃通兵 一种可平行折叠的头戴立体成像装置
US20150253574A1 (en) * 2014-03-10 2015-09-10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3834A1 (en) 2001-08-09 2004-06-02 Information Decision Technologies LLC Augmented reality-based firefight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2003319227A (ja) * 2002-04-25 2003-11-07 Hiromasa Suzuki ディスプレイ用遮光フード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DE202006011058U1 (de) 2006-07-18 2006-10-12 Jerichow, Ulrich, Dr. System zur Darstellung einer virtuellen Umgebung
US10575979B2 (en) * 2009-02-06 2020-03-03 Jamshid Ghajar Subject-mounted device to measure relative motion of human joints
FR2943797B1 (fr) * 2009-03-27 2011-03-18 Thales Sa Systeme d'imagerie a afficheur actif et muni d'une bonnette
US20100289725A1 (en) 2009-05-14 2010-11-18 Levine Robert A Apparatus for holding an image display device for viewing multi-dimensional images
JP3163964U (ja) * 2010-06-10 2010-11-11 康史 田澤 液晶遮光フード
US9198492B2 (en) * 2011-11-17 2015-12-01 Alfred Chehebar Luggage system
KR20130072315A (ko)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절첩광학기구
KR20140078237A (ko) 2012-12-17 2014-06-25 (주)이재경스튜디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157357A1 (ja) * 2013-03-27 2014-10-0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端末、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156642B1 (ko) * 2013-07-30 2020-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JPWO2015025511A1 (ja) 2013-08-23 2017-03-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匂い再生装置
US9840125B2 (en) * 2013-08-30 2017-12-12 B/E Aerospace, Inc. Aircraft galley with air-through carts
KR20150027651A (ko) 2013-09-04 2015-03-12 (주)판도라나인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두부 탑재형 장치
WO2015051660A1 (zh) * 2013-10-13 2015-04-16 北京蚁视科技有限公司 头戴式立体显示器
KR20150050825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N203643689U (zh) * 2013-12-18 2014-06-11 成都理想境界科技有限公司 一种3d眼镜
US9615177B2 (en) 2014-03-06 2017-04-04 Sphere Optics Company, Llc Wireless immersive experience capture and viewing
JP6278490B2 (ja) * 2014-03-28 2018-02-14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表示システム、アタッチメント、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579130B1 (ko) 2014-07-31 2015-12-21 이현호 휴대용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어
US9599821B2 (en) * 2014-08-08 2017-03-21 Greg Van Curen Virtual reality system allowing immersion in virtual space to consist with actual movement in actual space
KR20160024168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297102B1 (ko) 2014-09-01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0076B1 (ko) * 2014-09-01 2021-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6966B1 (ko) 2015-01-09 2016-04-29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자가 발전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충전장치
CN204631357U (zh) 2015-06-05 2015-09-09 罗明杨 可折叠的便携式虚拟现实眼镜
CN104849864A (zh) 2015-06-05 2015-08-19 罗明杨 虚拟现实眼镜
CN204832685U (zh) * 2015-06-05 2015-12-02 罗明杨 虚拟现实眼镜
CN204906466U (zh) * 2015-09-08 2015-12-23 李托 内设有vr眼镜的手机壳
CN105445940A (zh) 2016-01-15 2016-03-30 厦门根号叁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与手机配合使用的vr眼镜
EP3200007A1 (en) * 2016-01-29 2017-08-02 Shenzhen D-Light Technology Corp., Ltd. A portable folding virtual reality glasses with adjustable focus
CN105527714B (zh) * 2016-01-29 2018-05-01 深圳市谛源光科有限公司 一种焦距可调的便携式折叠虚拟现实眼镜
CN205490711U (zh) * 2016-02-03 2016-08-17 深圳零二科技有限公司 一种设置有vr眼镜的手机壳
EP3451639A4 (en) * 2016-04-28 2019-11-13 Sang Kyu Min CELL PHONE WITH VIRTUAL REALITY
WO2017192540A1 (en) * 2016-05-02 2017-11-09 I-Blad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mart media hu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3574A1 (en) * 2014-03-10 2015-09-10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CN203773162U (zh) * 2014-04-14 2014-08-13 黃通兵 一种可平行折叠的头戴立体成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20A (ko) * 2021-01-29 2022-08-0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구현기기를 이용한 양안시 훈련용 교정 디바이스
KR102525274B1 (ko) * 2021-01-29 2023-04-24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구현기기를 이용한 양안시 훈련용 교정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8536A (ja) 2019-07-04
CN109152456A (zh) 2019-01-04
ES2940260T3 (es) 2023-05-04
US20200174260A1 (en) 2020-06-04
EP3466295A4 (en) 2020-03-11
KR20170133067A (ko) 2017-12-05
EP3466295B1 (en) 2022-12-14
US10948727B2 (en) 2021-03-16
JP7053041B2 (ja) 2022-04-12
WO2017204523A1 (ko) 2017-11-30
EP3466295A1 (en) 2019-04-10
PH12018502435A1 (en) 2019-03-18
CN109152456B (zh)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153B1 (ko)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CN107003523B (zh) 基于微显示器的沉浸式头戴视图器
JP2022114466A (ja) 仮想現実携帯電話
KR20140013676A (ko)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KR20150027651A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두부 탑재형 장치
KR101851851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WO2016139497A1 (en) Optical attachment for mobile display devices
KR101868223B1 (ko) 쌍안경 형태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KR20170128165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20180004069A (ko)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KR101997318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101706015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20170128067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102395790B1 (ko) 비현실고글용 안구보조장치
KR20180017062A (ko) 쌍안경 형태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KR20170128066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200496499Y1 (ko)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EP4310578A1 (en) Devices with detachable headbands
US201601319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patial depth effect of image information present in a 2d image area
JP2016170207A (ja) 動画像閲覧装置
JP2011203411A (ja) 立体画像鑑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