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980B1 -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980B1
KR102032980B1 KR1020170174995A KR20170174995A KR102032980B1 KR 102032980 B1 KR102032980 B1 KR 102032980B1 KR 1020170174995 A KR1020170174995 A KR 1020170174995A KR 20170174995 A KR20170174995 A KR 20170174995A KR 102032980 B1 KR102032980 B1 KR 102032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ortable terminal
lens unit
shaft assembly
view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817A (ko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7017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980B1/ko
Priority to PCT/KR2018/015666 priority patent/WO2019124849A1/ko
Publication of KR2019007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20Collapsible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가상현실(VR) 뷰어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 장치는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한 쌍의 볼록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축 어셈블리와의 연결부의 축 회동을 통해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볼록 렌즈 각각을 통한 화면을 분리하는 격벽부; 및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의 압착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볼록 렌즈는 각각은 전후면이 모두 볼록한 양면 볼록렌즈이며, 상기 오목부 각각의 깊이는 상기 양면 볼록렌즈의 중심부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Foldable Virtual Reality Viewer}
이하의 설명은 접이식 가상현실(VR) 뷰어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VR 시청자의 몰입도를 높이면서도 렌즈 오염/손상을 방지하고, 휴대 단말기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VR 뷰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 문자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을 정도로 화면이 커지고 하드웨어 성능이 향상되었다.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재생은 그 사용 빈도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동영상 중 입체감을 살려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입체 동영상은 영화, 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한 입체영상/이미지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선 이동에 따라 표시 화면이 변경되는 가상현실(VR)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다만, VR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무거운 HMD (Head Mounted Device)를 착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HMD는 휴대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성이 간편한 접이식 VR 뷰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접이식 VR 뷰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접이식 VR 뷰어는 크게 축(8)을 중심으로 한 쌍의 렌즈(7), 프레임(6) 및 조절판(7)을 포함한다. 해당 VR 뷰어는 탄성 클램프 패드(1)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화면 상단에 집계 원리로 고정되며, 한 쌍의 차광판(2)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화면 이외의 외부 시야를 차단해 준다.
추가적으로 조정 수단(3 - 5)를 이용하여 상술한 구성들의 위치를 조정해 줄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VR 뷰어는 VR 시청시의 몰입감에 가장 중요한 좌측 화면과 우측화면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줄 수 없으며, 뷰어를 접었을 때 컴팩트하게 접힐 수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VR 뷰어는 접은 상태에서 렌즈가 외부와 마찰 등으로 손상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 상단 중앙부와 연결되는 방식의 경우, 휴대 단말기의 해당 위치에 위치하는 버튼을 조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의 화면 상단에 집계 원리로 일방향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따라 렌즈 중심부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화면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렌즈 중심이 위치할 수 있고, 작은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화면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렌즈 중심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VR 뷰어는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렌즈 외주부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빈 공간은 사용자가 VR 영상을 시청할 때 몰입감을 저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접이식 VR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가상현실(VR) 뷰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한 쌍의 볼록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축 어셈블리와의 연결부의 축 회동을 통해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볼록 렌즈 각각을 통한 화면을 분리하는 격벽부; 및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의 압착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볼록 렌즈는 각각은 전후면이 모두 볼록한 양면 볼록렌즈이며, 상기 오목부 각각의 깊이는 상기 양면 볼록렌즈의 중심부보다 깊게 형성되는, VR 뷰어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 화면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상기 격벽부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의 접촉부 방향으로 압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은, 상기 축의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동일 비율만큼씩 확장 또는 수축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측면 스위치 조작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부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의 접촉부 및 상기 거치부의 휴대 단말기 후면과의 접촉부 중 하나 이상은 고무 패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 각각은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렌즈 패널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패널 각각은 상기 축 어셈블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된 제 1 렌즈부 및 제 2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축 어셈블리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렌즈부의 제 1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 2 렌즈부의 제 1 연결부 순서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 1 렌즈부의 제 2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 2 렌즈부의 제 2 연결부 순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는 각각 상기 축 어셈블리와 가장 먼 위치에 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뷰어 장치와 착탈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어뎁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뎁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 화면 이외의 시선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뎁터는 상기 제 1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 각각에 포함된 자석부재와의 착탈방식 결합을 통해 상기 VR 뷰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 어셈블리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모듈; 및 상기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모듈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를 경우, VR 시청시의 몰입감에 가장 중요한 좌측 화면과 우측화면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줄 수 있으며, 뷰어를 접었을 때 컴팩트하게 접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경우 VR 뷰어를 접은 상태에서 렌즈가 외부와 마찰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는 버튼 조작에 문제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경우,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항상 VR 뷰어의 렌즈 중심이 휴대 단말기 화면 중심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양안 거리 차이 등에 따라 렌즈를 이동시키더라도, 렌즈 주변에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도출되는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접이식 VR 뷰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식 VR 뷰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 장치에 사용되는 볼록 렌즈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 장치의 렌즈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장치에서 거치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축 어셈블리와 렌즈부를 연결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축 어셀블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어뎁터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식 VR 뷰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는 축 어셈블리(10)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VR 뷰어 장치로서, 축 어셈블리(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한 쌍의 볼록 렌즈(21)를 포함하며, 축 어셈블리(10)와의 연결부의 축 회동을 통해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VR 장치는 축 어셈블리(10)에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볼록 렌즈(21) 각각을 통한 화면을 분리하는 격벽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격벽부는 종래 접이식 VR 뷰어에서 좌측 화면과 우측 화면이 정확히 분리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는 축 어셈블리(10)의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의 압착으로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거치부(40)를 포함하며, 이 거치부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 장치에 사용되는 볼록 렌즈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렌즈에는 양면이 볼록한 양면 볼록렌즈와, 한쪽 면만 볼록한 평면 볼록 렌즈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 장치는 상기 도 2 및 3에 도시된 한 쌍의 볼록 렌즈 각각을 전/후면이 모두 볼록한 양면 볼록렌즈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볼록렌즈가 이미지를 모아 주는 정도는 VR 시청에서 몰입감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지나, 휴대성이 중요한 접이식 VR 뷰어에 있어서는 이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 렌즈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 장치의 렌즈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한 쌍의 렌즈부(20)에 형성된 오목부 각각의 깊이는 양면 볼록렌즈(21)의 중심부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볼록 렌즈는 오목부 내에 일면이 함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양면 볼록렌즈(21)의 중심부가 렌즈부(20)의 면보다 높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장치에서 거치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0)는 축 어셈블리(10)의 축 방향(X-X')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으로 휴대 단말기(A)의 화면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축 방향(X-X')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은 축의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동일 비율만큼씩 확장 또는 수축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상단에 집계 형태로 고정하는 종래 VR 뷰어와 달리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관계 없이 렌즈 중앙부의 높이가 휴대 단말기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는 이와 같은 축 어셈블리(10)의 축 방향(X-X')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만으로 휴대 단말기(A)의 측면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거치부의 휴대 단말기 접촉부(41)는 고무 패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측면 중앙부에 거치부가 접촉하여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해당 부분에 위치하는 버튼을 조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의도치 않게 버튼이 눌려 휴대 단말기 오작동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VR 뷰어 장치의 거치부(40)는 축 어셈블리(10)의 축 방향(X-X')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으로 휴대 단말기(A)의 화면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격벽부(30)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의 접촉부(31) 방향으로 압착하여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때, 거치부(40)의 암(들)은 축 어셈블리(10)의 축 방향(X-X')과 수직한 방향(Y-Y')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며, 탄성력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압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후면 방향 암(들)은 거치부의 축 방향(X-X')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중앙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접촉하는 접촉부(42) 역시 고무 패드로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거치부(40)는 휴대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측면 스위치 조작 공간(B)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측면 버튼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는 렌즈부와 축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하나의 금형으로 양측 렌즈부를 모두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축 어셈블리와 렌즈부를 연결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VR 뷰어 장치의 렌즈부(20)는 축 어셈블리(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된 제 1 렌즈부(20B) 및 제 2 렌즈부(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부(20)는 축 어셈블리(10)과 일측에서 제 1 렌즈부의 제 1 연결부(20B-1) 그리고 제 2 렌즈부의 제 1 연결부(20A-1) 순서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 1 렌즈부의 제 2 연결부(20B-2) 그리고 상기 제 2 렌즈부의 제 2 연결부(20A-2) 순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부와 축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경우, 한 쌍의 렌즈부(20A 및 20B)는 하나의 금형으로 동일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렌즈부(100)는 양면 볼록렌즈(121)를 포함하는 렌즈 프레임(120) 양측에서 렌즈부 전면 커버(110a) 및 렌즈부 후면 커버(110b)를 덮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렌즈 프레임(120) 내에서, 양면 볼록렌즈(121)는 렌즈 프레임(120) 에 UV 융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부위에는 링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결합부를 가려줄 수 있다. 한편, 렌즈 프레임(120)의 양측면에는 격벽 돌기(111) 및 레일 돌기(122)가 형성되어 렌즈부 전후면 커버(110a 및 110b)에 형성된 격벽 홈(112) 및 레일 홈(115a 및 115b)과 맞물려, 렌즈 프레임(120)이 축 어셈블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렌즈부(100)는 렌즈 패널(120)의 위치가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어 양 쪽 렌즈(1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시형태의 VR 뷰어 장치는 사용자의 양안 시차의 크기 및/또는 휴대 단말기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차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렌즈(121)를 양면 볼록 렌즈로 구성하는 경우, 렌즈부의 오목부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렌즈 프레임(120)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프레임(120) 각각은 축 어셈블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20)은 양측에서 렌즈부 전면 커버(110a) 및 렌즈부 후면 커버(110b)가 덮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 프레임(120)이 이동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렌즈(121) 주위에 빈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렌즈부 전면 커버(110a)에는 축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위한 고리형 부재(124) 및 렌즈(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면(11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 전면 커버(110a) 및 렌즈부 후면 커버(110b)는 각각 렌즈 프레임(120)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레일 홈 및/또는 격벽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렌즈부(100)의 내부 특히 슬라이딩이 발생하는 제1 레일홈(115a)과 제2 레일홈(115b)에는 오일(oil) 예를 들어, 고점도를 갖는 그리스 등을 도포하여 소정의 마찰 계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렌즈 프레임(120)은 부드러우면서 묵직하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렌즈 프레임(120)은 저온이나 고온의 다습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렌즈부 전후면 커버(110a 및 110b)에 형성되는 격벽 홈(112)은 주입된 그리스 등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렌즈부 및 제 2 렌즈부는 각각 축 어셈블리와 가장 먼 위치에 자석부재를 포함하여, VR 뷰어를 접었을 때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축 어셀블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어셈블리는 힌지 샤프트(12), 상기 힌지 샤프트(12)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모듈(14)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샤프트(12)와 상기 힌지 모듈(14)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힌지 모듈(14)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캠(1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식 VR 뷰어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렌즈부를 여는 경우 자동적으로 열린 상태로 천이하고, 반대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렌즈부를 닫는 경우 자동적으로 닫힌 상태로 천이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어뎁터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어뎁터(200)는 상술한 VR 뷰어 장치와 착탈 방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210a 및 21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VR 뷰어 장치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될 상태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 어뎁터(200)의 연결부(210a 및 210b)에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 뷰어 장치의 제 1 렌즈부 및 제 2 렌즈부의 외주부에 위치한 자석부재(220a 및 220b)를 이용하여 VR 어뎁터의 연결부(210a 및 210b)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어뎁터(200)는 일반 VR HMD (Head Mounted Device)와 달리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지 않고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어뎁터(200)는 사용자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VR 어뎁터(200)는 접이식 VR 뷰어와 별도로 판매되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VR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VR 뷰어 장치는 그 자체에 거치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VR 어뎁터(200) 없이도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휴대성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 상술한 VR 어뎁터(200)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VR 영상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VR 어뎁터(200)는 휴대 단말기 화면 이외의 외측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VR 영상을 시청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VR 북 형태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VR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3)

  1.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가상현실(VR) 뷰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한 쌍의 볼록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축 어셈블리와의 연결부의 축 회동을 통해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볼록 렌즈 각각을 통한 화면을 분리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상기 격벽부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의 접촉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VR 뷰어 장치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키는 두 개의 암을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두 개의 암은 그 단면이 'ㄷ'자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부와의 물리적인 접촉이 없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 스위치 조작 공간(B, B')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볼록 렌즈는 각각은 전후면이 모두 볼록한 양면 볼록렌즈이며,
    상기 오목부 각각의 깊이는 상기 양면 볼록렌즈의 중심부보다 깊게 형성되는, VR 뷰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 화면 크기에 따라 조정되는, VR 뷰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의 확장과 수축 이동은, 상기 축의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동일 비율만큼씩 확장 또는 수축 이동하는, VR 뷰어 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의 접촉부 및 상기 거치부의 휴대 단말기 후면과의 접촉부 중 하나 이상은 고무 패드로 형성되는, VR 뷰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각각은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렌즈 패널 내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 패널 각각은 상기 축 어셈블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VR 뷰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패널은 상기 렌즈부의 전면 커버 및 후면 커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 패널이 이동하더라도 렌즈 외주부에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는, VR 뷰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된 제 1 렌즈부 및 제 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 어셈블리는 일측에서 상기 제 1 렌즈부의 제 1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 2 렌즈부의 제 1 연결부 순서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 1 렌즈부의 제 2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 2 렌즈부의 제 2 연결부 순서로 연결되는, VR 뷰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는 각각 상기 축 어셈블리와 가장 먼 위치에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VR 뷰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R 뷰어 장치의 상기 렌즈부의 외주부와 착탈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어뎁터를 더 포함하는, VR 뷰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 화면 이외의 시선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VR 뷰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VR 뷰어 장치와 착탈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어뎁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뎁터는 상기 제 1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 각각에 포함된 자석부재와의 착탈방식 결합을 통해 상기 VR 뷰어 장치와 연결되는, VR 뷰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어셈블리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모듈; 및
    상기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모듈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VR 뷰어 장치.
KR1020170174995A 2017-12-19 2017-12-19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KR10203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95A KR102032980B1 (ko) 2017-12-19 2017-12-19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PCT/KR2018/015666 WO2019124849A1 (ko) 2017-12-19 2018-12-11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95A KR102032980B1 (ko) 2017-12-19 2017-12-19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17A KR20190073817A (ko) 2019-06-27
KR102032980B1 true KR102032980B1 (ko) 2019-10-16

Family

ID=6699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995A KR102032980B1 (ko) 2017-12-19 2017-12-19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2980B1 (ko)
WO (1) WO2019124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6747B (zh) * 2019-08-05 2022-08-19 湖南普东科技有限责任公司 便携式vr眼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21Y1 (ko) * 2012-03-02 2013-02-04 둘툰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KR101913887B1 (ko) * 2014-12-31 2018-12-28 최해용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US10120199B2 (en) * 2015-01-14 2018-11-06 Ginger W. Kong Foldable virtual reality viewer structure integrated in mailer and/or product packaging
KR101814883B1 (ko) * 2015-12-28 2018-01-04 김선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
KR101789163B1 (ko) * 2016-03-23 2017-10-25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17A (ko) 2019-06-27
WO2019124849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WO2013123725A1 (zh) 移动设备
JP2009232133A (ja) 携帯端末器
KR101579130B1 (ko) 휴대용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어
JP5942467B2 (ja) 表示装置
KR101814883B1 (ko)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
CN105657099B (zh) 便携式3d摄像头及可拍摄3d视频的手机
KR20150027651A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두부 탑재형 장치
WO2011093046A1 (ja) 電子機器、携帯端末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用双眼レンズアダプタ
EP3992693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6923218B2 (ja) スマートフォン、キーボード、タブレットを全て合体して備え画像をキャプチャできる個人用情報端末
KR101890621B1 (ko) 안경
KR102032980B1 (ko)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CN202003135U (zh) 立体拍摄和观片观屏装置
CN205430343U (zh) 便携式3d摄像头及可拍摄3d视频的手机
CN204855953U (zh) 头戴式2d/3d全兼容眼镜
CN111025650A (zh) 一种可穿戴式激光微投装置
CN205581406U (zh) 一种虚拟现实设备
KR101115062B1 (ko)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JP2012022018A (ja) 立体表示装置
KR101639744B1 (ko) 가상 현실 구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 케이스
KR20160093249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CN209842265U (zh) 一种高倍率变焦穿戴设备
US9800849B2 (en) Combined optical lens module and optical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CN208673036U (zh) 一种便携式三维动画演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