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163B1 -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163B1
KR101789163B1 KR1020160034881A KR20160034881A KR101789163B1 KR 101789163 B1 KR101789163 B1 KR 101789163B1 KR 1020160034881 A KR1020160034881 A KR 1020160034881A KR 20160034881 A KR20160034881 A KR 20160034881A KR 101789163 B1 KR101789163 B1 KR 10178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ssembly
partition
shaft
assembl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461A (ko
Inventor
박길우
한동호
함동명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03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1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4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02B27/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04N13/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축 어셈블리;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축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A STEREO-SCOPIC IMAGE VIEWE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2차원 영상을 입체(3차원)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 문자 등의 기능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을 정도로 화면이 커지고 하드웨어 성능이 향상되었다.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재생은 그 사용 빈도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동영상 중 입체감을 살려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입체 동영상은 영화, 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양안에 별도의 영상을 전달하기 위한 편광 안경이나 셔터 기능이 있는 안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편광 안경에 맞춰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가 지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확산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셔터 기능이 있는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고 셔터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 장치가 더 구비되어야 하므로 단가가 비싸고 부피가 증대된다는 점에서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0105호 (2013.10.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4705호 (2014.05.0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 제20-0235886호 (2001.10.1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6725호 (2012.03.20.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및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입체 영상 뷰어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실행되는 좌우 영상 사이에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입체 영상 뷰어의 각 구성 요소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반복적인 사용에 대한 내구성과 외부 충격 등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입체 영상 뷰어는 크기가 다른 타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축 어셈블리;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축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제공한다.
상기 축 어셈블리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 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모듈; 및 상기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모듈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에는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샤프트에는 일 단에 상기 힌지 모듈의 축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 안내부에는 상기 축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는 상기 축 어셈블리와 고정 결합되게 하는 고정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격벽 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 어셈블리와 고정 결합되는 원통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내측면에 상기 거치부가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벽 플레이트; 및 기 격벽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 어셈블리와 고정 결합되는 원통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기 원통형 부재에는 내주면에 상기 힌지 샤프트가 고정 결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와, 상기 고정 리브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 공간을 양분하는 분할 리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기 격벽부의 내부에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 기 슬라이드 몸체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그립 부재; 기 슬라이드 몸체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형성되는 슬롯 홀; 기 슬라이드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톱니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상기 톱니 레일부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기어부;를 더 포함하며, 기 기어부에는 상기 거치부가 서로 멀어지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코일이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뷰어는 격벽부를 사이에 두고 렌즈부가 회동하여 접힐 수 있으며 거치부는 격벽부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어 휴대하기 용이하다.
또한, 렌즈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축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축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힌지 샤프트와 힌지 모듈의 특징적인 형상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렌즈부는 소정 토크가 가해질 때 열리거나 닫혀질 수 있다.
또한, 격벽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는 화면이 좌우 영역으로 구분, 차단되어 각 영역을 통해 실행되는 영상 사이에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격벽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로 인해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축 어셈블리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는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격 거리의 조절 가능한 바, 호환성이 높아 타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는 이격 거리를 조절할 때 서로 연동하여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뷰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입체 영상 뷰어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축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축 어셈블리를 단면 처리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힌지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힌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렌즈부의 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2의 격벽부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축 어셈블리와 격벽부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10은 거치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때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거치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뷰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입체 영상 뷰어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는 축 어셈블리(10), 렌즈부(20), 격벽부(30) 및 거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면서 통신을 하거나 혹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스마트 폰, 휴대폰, PDA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뷰어는 미사용 상태에서 렌즈부(20)가 축 회동하여 격벽부(30)를 수용하면서 닫혀지고, 거치부(40)가 격벽부(30)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전체적으로 휴대하기 편리한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반면, 사용자가 입체 영상 뷰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렌즈부(20)를 축 회동시켜 열리도록 한다. 이 때, 렌즈부(20)가 최대 열린 위치에서 렌즈부(20)와 격벽부(3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 다음, 거치부(40)를 양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축 어셈블리(10)의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킨 후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도 3은 도 1의 축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축 어셈블리를 단면 처리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힌지 샤프트(12)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힌지 모듈(14)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축 어셈블리(10)는 힌지 샤프트(12), 힌지 모듈(14), 스프링(16) 및 힌지 캡(18)을 포함한다. 축 어셈블리(10)는 축 방향으로 일 직선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축 어셈블리(10)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먼저, 힌지 샤프트(12)는 고정되어 있는 중심축에 해당된다. 이런, 힌지 샤프트(12)는 격벽부(30)와 고정 결합된다. 이를 위해, 힌지 샤프트(12)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컷팅 평면(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 샤프트(12)에는 힌지 모듈(14)의 축 회동을 구속 안내하는 회동 안내부(12a)가 형성된다. 회동 안내부(12a)는 힌지 모듈(14)이 축 방향으로 0도 내지 90도 이내 범위에서 축 회동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 안내부(12a)에는 축 회동을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턱(12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턱(12b)은 힌지 모듈(14)이 소정 각도 회동하면 힌지 모듈(14)의 회동을 구속한다. 이 때, 힌지 모듈(14)은 가해지던 토크 이상의 토크가 가해져야 더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회동 안내부(12a)에는 축 회동을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12c)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12c)은 예를 들어 렌즈부(20)가 열리거나 닫혀지는 위치에 놓일 때 힌지 모듈(14)이 그 위치에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힌지 샤프트(12)에는 스프링(16)의 일 단이 고정 결합되게 하는 고정 돌기(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힌지 모듈(14)은 힌지 샤프트(12)의 일 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힌지 모듈(14)에는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 돌기(14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 돌기(14a)는 힌지 모듈(14)이 힌지 샤프트(12)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축 회동할 때, 힌지 모듈(14)의 회동 동작을 구속한다. 즉, 구속 돌기(14a)는 회동 모듈의 회동 동작에 따라 회동 안내부(12a)의 형상에 구속되어 안내된다. 이 때, 구속 돌기(14a)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힌지 모듈(14)에는 힌지 샤프트(12)와 동일하게 스프링(16)의 타 단이 고정 결합되게 하는 고정 돌기(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 모듈(14)의 외주면에는 힌지 샤프트(12)와 비슷한 예를 들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컷팅 평면(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16)은 힌지 샤프트(12)와 힌지 모듈(14)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16)은 힌지 모듈(14)이 회동 안내부(12a)에 구속되면서 축 회동할 때, 힌지 모듈(14)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6)은 구속 돌기(14a)가 회동 안내부(12a)의 형상에 구속되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 모듈(14)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힌지 캡(18)은 힌지 모듈(14)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격벽부(30)에 본딩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20)는 렌즈부(20)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축 회동되어 열리거나 닫히지 않는다. 또한, 렌즈부(20)에는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걸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걸림은 전술한 구속 돌기(14a)와 걸림 턱(12b)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렌즈부(20)가 이런 걸림을 극복하고 더 열리거나 더 닫혀지기 위해서는 더 큰 토크가 가해져야 한다.
한편, 최대 열린 위치에서 렌즈부(20)는 일 직선으로 펼쳐진다. 걸림은 렌즈부(20)가 최대 열려 있는 위치에서 의도와 달리 쉽게 닫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렌즈부(20)는 힌지 샤프트(12), 힌지 모듈(14) 및 스프링(16)에 의해 축 어셈블리(10)에 대해 소정 토크가 가해질 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렌즈부(20)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렌즈부(20)는 축 어셈블리(10)를 축으로 축 회동하는 대칭 형상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렌즈부(20)는 어느 한 쪽만이라도 독립적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부(20)는 렌즈(21), 렌즈 프레임(22), 고리형 부재(24) 및 고정면(26)을 포함한다.
렌즈(21)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렌즈부(20)의 소정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 때, 렌즈(21)는 예를 들어 볼록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볼록렌즈를 사용하는 이유는 분할된 각각의 영상 화면을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확대하여 비춰주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렌즈(21)는 볼록한 면이 휴대 단말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사용자는 해당 영상 화면 이외에 다른 부분을 볼 수 없게 되어 입체 영상 뷰어를 통해 하나의 완성된 입체 화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렌즈부(20)는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 프레임(22)을 갖는다. 이러한 렌즈 프레임(22)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렌즈(21)는 렌즈 프레임(2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렌즈(21)는 렌즈 프레임(22) 내에서 그 위치가 가변적일 수 있다.
즉, 렌즈(21)는 그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양안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어떤 사용자라도 입체 영상 뷰어를 통해 입체 영상 화면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렌즈 프레임(22)과 각 렌즈(21)의 결합 부위에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구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21)는 렌즈 프레임(22)에 배치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고리형 부재(24)는 렌즈 프레임(22)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축 어셈블리(10)와 결합된다. 한편, 고리형 부재(24)는 축 어셈블리(10)를 축으로 회동하는 점에 비추어 링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형 부재(24)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는 축 어셈블리(10)와 고정 결합되게 하는 고정면(2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면(26)은 힌지 모듈(14)에 형성되는 컷팅 평면(13)과 접촉면이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렌즈부(20)의 축 회동에 연동하여 힌지 모듈(14)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나머지 고리형 부재(24)는 렌즈부(20)가 축 회동할 때, 렌즈부(20)가 흔들리거나 흔들림에 의해 삐걱거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축 회동 과정에서 렌즈부(20)에 가해지는 토크를 분산하여 고리형 부재(24)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프레임(22)은 자성체(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렌즈부(20)가 닫힌 상태에서 각 자성체(28)의 자기 결합에 따라 렌즈부(20)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격벽부(30)는 일 측이 축 어셈블리(1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격벽부(30)의 타 측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 창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격벽부(30)의 타 측면에는 회면 창과 접촉될 때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30)는 렌즈부(20)가 휴대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격벽부(30)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2분할시킬 수 있다.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 때,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파일을 실행할 때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보는 방향에 따라 즉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2분할시킨다. 그 결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 파일이 구동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는 중간에 어떤 영상도 제공되지 않는 선 형태의 경계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렌즈부(20)의 각 렌즈(21)를 통해 화면 영상을 볼 때 격벽부(30)에 의해 서로 다른 쪽의 화면을 전혀 볼 수 없게 된다.
도 8은 도 2의 격벽부(30)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축 어셈블리(10)와 격벽부(3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격벽부(30)는 격벽 플레이트(32) 및 원통형 부재(34)를 포함한다. 이러한 격벽부(30)는 대칭 관계의 반 쪽 형상을 서로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부(30)는 반 쪽 형상에 대한 설명만으로 나머지 반 쪽에 대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32)는 전술한 것처럼 예를 들어, 좌안을 통해서 보게 되는 영상 화면이 우안으로 보게 되는 영상 화면으로부터 어떤 영향도 받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좌측 화면에서 발생되는 빛이 우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격벽 플레이트(32)는 비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 플레이트(32)에는 내측면에 거치부(40)를 축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36)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돌기(36a)와 선형 레일 돌기(36b) 등을 포함한다.
또한, 격벽 플레이트(32)는 내측면 중앙에 거치부(4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하는 기어부(52)가 배치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착 홈의 중앙에는 끼움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부재(34)는 격벽부(30)가 축 어셈블리(10)와 고정 결합하는 결합 부위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원통형 부재(34)의 내주면에는 힌지 샤프트(12)가 고정 결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34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리브(34a)는 힌지 샤프트(12)의 컷팅 평면(13)과 접촉되어 힌지 샤프트(12)가 원통형 부재(34) 내에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고정 리브(34a)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고정 결합에 대한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부재(34)는 내주면에 원통형 부재(34)의 내측 공간을 양분하는 분할 리브(3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힌지 샤프트(12)는 분할 리브(34b)의 양 쪽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거치부(40)는 입체 영상 뷰어를 휴대 단말기에 고정 거치시킨다. 이를 위해 거치부(40)는 격벽부(30)에 결합되어 축 어셈블리(10)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거치부(40)는 동일 형상의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그 결과, 입체 영상 뷰어는 크기가 다른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도 호환될 수 있다.
도 10은 거치부(40)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거치부(40)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거치부(40)는 슬라이드 몸체(42), 그립 부재(44), 슬롯 홀(46), 톱니 레일부(48)를 포함한다.
먼저 슬라이드 몸체(42)는 격벽부(30)의 내부에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부재이다. 사용자는 그립 부재(44)를 이용하여 거치부(40)를 양 외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데, 이는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맞춰 그립 부재(4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 때, 슬라이드 몸체(42)는 격벽부(3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립 부재(44)는 거치부(40)가 휴대 단말기의 측면을 그립하여 입체 영상 뷰어가 휴대 단말기에 고정되게 한다. 이를 위해, 그립 부재(44)에는 그립되는 부분에 예를 들어 고무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립 부재(44)는 슬라이드 몸체(42)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그립 부재(44)는 입체 영상 뷰어의 양 측면을 이룬다.
또한, 톱니 레일부(48)는 격벽부(30)의 내측면 중앙 지점에 배치되는 기어부(52)와 톱니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몸체(42)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 때, 기어부(52)는 안착 홈에 안착되어 끼움 돌기를 축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40)는 서로 연동하여 동일 간격만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한편, 기어부(52)는 톱니 레일부(48)와 맞물려 구동할 수 있도록 톱니 바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부(52)에는 거치부(40)가 서로 멀어지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코일(54)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코일(54)은 스프링 형상으로 거치부(40)에 양 외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때, 그 크기에 비례하여 거치부(40)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슬라이드 몸체(42)에는 슬롯 홀(46)이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원형 돌기(36a)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몸체(42)가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슬라이드 몸체(42)는 격벽 플레이트(3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36)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뷰어는 격벽부(30)를 사이에 두고 렌즈부(20)가 회동하여 접힐 수 있으며 거치부(40)는 격벽부(3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어 휴대하기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축 어셈블리 20: 렌즈부
30: 격벽부 40: 거치부
12: 힌지 샤프트 14: 힌지 모듈
16: 스프링 18: 힌지 캡
14a: 구속 돌기 12a: 회동 안내부
12b: 걸림 턱 22: 렌즈 프레임
24: 고리형 부재 26: 고정면
32: 격벽 플레이트 34: 원통형 부재
36: 가이드 돌기 36a: 원형 돌기
36b: 선형 레일 돌기 42: 슬라이드 몸체
44: 그립 부재 46: 슬롯 홀
48: 톱니 레일부 52: 기어부
54: 탄성 코일 34a: 고정 리브
34b: 분할 리브 28: 자성체
21: 렌즈 12c: 걸림 홈
13: 컷팅 평면 15: 고정 돌기

Claims (10)

  1. 축 어셈블리;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축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 어셈블리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 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모듈; 및 상기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모듈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에는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 돌기;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에는 일 단에 상기 힌지 모듈의 축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 안내부에는 상기 축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5. 축 어셈블리;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축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는 상기 축 어셈블리와 고정 결합되게 하는 고정면;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6. 축 어셈블리;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축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격벽 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 어셈블리와 고정 결합되는 원통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내측면에 상기 거치부가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격벽 플레이트; 및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 어셈블리와 고정 결합되는 원통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에는 내주면에 상기 힌지 샤프트가 고정 결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와, 상기 고정 리브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 공간을 양분하는 분할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9. 축 어셈블리;
    상기 축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축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혀지는 렌즈부;
    상기 축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격벽부의 내부에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 상기 슬라이드 몸체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그립 부재; 상기 슬라이드 몸체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형성되는 슬롯 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톱니 레일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톱니 레일부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기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에는 상기 거치부가 서로 멀어지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코일;이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20160034881A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178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81A KR101789163B1 (ko)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81A KR101789163B1 (ko)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61A KR20170110461A (ko) 2017-10-11
KR101789163B1 true KR101789163B1 (ko) 2017-10-25

Family

ID=6013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881A KR101789163B1 (ko)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80B1 (ko) * 2017-12-19 2019-10-16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VR Shop - VR Fold - Promo Video", YouTube, 2015.12.31. <인터넷: https://www.youtube.com/watch?v=i52HCNEnCx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61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7132B2 (en) Camera module
US10716228B2 (e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US9235056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8701249B2 (en)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9900695B2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US9762785B2 (en) Camera module
PH12015000105B1 (en) Camera module
US20210181460A1 (en) Camera module
WO201012728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image via media device
US10613405B2 (en) Pi-cell polarization switch for a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US962579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position-retaining camera
JP6047665B2 (ja) 開閉装置及び電子装置
KR101789163B1 (ko)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US8422213B2 (en) Slider electronic device
KR101644900B1 (ko)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1847433B1 (ko) 렌즈 구동장치
US20120324675A1 (en) Multi-directional hinge mechanism
US7253967B2 (en) Optical assembly with a lens magnification-adjusting function
KR20150101671A (ko) 렌즈구동모터
KR20150090410A (ko) 렌즈구동모터
KR100562720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US20160234406A1 (en) Camera assembly
KR20130136352A (ko)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44788B1 (ko) 휴대전자기기용 힌지장치
KR20160111260A (ko) 필터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