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886Y1 -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886Y1
KR200235886Y1 KR2020010009183U KR20010009183U KR200235886Y1 KR 200235886 Y1 KR200235886 Y1 KR 200235886Y1 KR 2020010009183 U KR2020010009183 U KR 2020010009183U KR 20010009183 U KR20010009183 U KR 20010009183U KR 200235886 Y1 KR200235886 Y1 KR 200235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rame
pair
screw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하
손치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큐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큐픽스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9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88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양 눈에 접안렌즈가 근접되도록 두부에 착용되어 화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에 관한 것으로서, 외장 케이스 내측에 마련되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를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초점 조절 나사와, 그 초점 조절 나사 및 디스플레이 몸체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초점 조절 장치가 마련된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 Head mount display }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부위에 장착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상 이미지를 사용자의 양 눈에 근접되게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에 관한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양 눈 사이의 간격에 따라 재생되는 화상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초점 조절 장치가 마련된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방법에 따라서 헬멧형과 안경형으로 분류되어지며, 그 일례로 도 1에 안경형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10)는 사용자의 머리부위에 착용되기 위해 외장 케이스(11)에 착용부재(12)가 마련되고, 그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인입선(13)을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전기와 데이터 신호에 따라 동영상 및 정지화상 등의 화상 이미지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몸체(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외장 케이스(11)는 사용자의 귀에 걸수 있도록 마련된 착용부재(12)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접안케이스(14)측의 접안렌즈(14a)가 사용자의 양 눈에 근접되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장 케이스(11)나 착용부재(1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에 의해 재생되는 이미지와 함께 재생되는 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해 음향재생수단인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의 내부에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상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도록 광원과, 상기 광원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재생시키는 액정패널 등의 이미지 생성수단 및 생성된 화상 이미지를 사용자의 양눈에 주사시키도록 가이드 하고, 확대시키는 다수의 렌즈와, 반사경, 및 광학소자들로 구성된 소정의 광학계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는 각각 상기 외장 케이스(11) 내부의 일정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람들은 눈과 눈 사이의 간격(Inter Pupillary Distance)이 개인별로 다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몸체가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출시되는 일반적인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제품을 사용할 경우, 눈과 눈 사이의 간격과 디스플레이 몸체간의 간격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각 개인별로 재생되는 이미지의 초점이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사용자가 선명한 영상화질의 이미지를 시청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의 양 눈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가능토록 하여 재생되는 이미지의 초점을 사용자 각 개인별로 맞출 수 있도록 초점 조절 장치가 마련된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의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21 : 외장 케이스
23 : 인입선 25 : 디스플레이 몸체
26 : 프레임 30 : 초점 조절 장치
31 : 초점 조절 나사 34 : 링크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는, 소정 광학계가 내측에 마련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와, 그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를 내장하며 생성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두 눈에 근접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된 한 쌍의 접안렌즈를 가지는 외장 케이스와, 외장 케이스가 사용자의 머리에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 케이스에 마련된 착용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를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프레임;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를 프레임상에서 이동시켜 접근 및 이격시키기 위한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두 눈 사이의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몸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초점 조절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초점 조절 나사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초점 조절 나사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되게 그 초점 조절 나사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 각각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초점 조절 나사의 회전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몸체는 상기 링크 부재에 연동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의 위치를 소정 이동거리 패턴에 따라 이동되도록 한정하고, 소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억제하는 위치결정수단이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20)는 외장 케이스(21)와, 그 외장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26)과, 상기 프레임(26)에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를 상기 프레임(26)상에서 이동시켜 상호 접근 및 이격 시킴으로서 사용자의 두 눈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초점 조절 장치(30)가 마련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21)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기 위한 착용부재(2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재(22)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재(22)에 의해 상기 외장 케이스(21)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상기 외장 케이스(21)에 마련된 접안케이스(24)의 접안렌즈(24a)가 사용자의 눈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착용부재(24)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 케이스(21) 역시 헬멧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가 접안렌즈(24a)의 규격보다 넓은 범위에서 좌우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접안렌즈(24a)를 둘러싸고 있는 접안 케이스(24)에 의해 이미지가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안렌즈(24a)를 기존의 접안렌즈보다 횡방향으로 넓게 확장시켜, 상기 접안 케이스(24)에 의해 이미지의 가려짐 없이 사용자가시청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21)나 착용부재(2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에 의해 재생되는 이미지와 동시에 재생되는 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한 음향재생수단으로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이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는 인입선(23)을 통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기 및 데이터 신호에 따라 동영상 등의 화상 이미지를 재생하는 핵심부위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 내부에는 광원과, 그 광원에서 생성된 광선에 따라 이미지를 재생시키도록 마련된 예컨대, 액정패널(LCD) 등의 이미지 생성수단, 및 상기 광원에서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으로 주사되어지는 광선의 광경로를 조절하고, 상기 이미지가 사용자의 양 눈에 주사되도록 광경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렌즈와, 반사경, 및 광학소자들로 구성된 소정의 광학계가 마련된다. 본 고안에서의 상기 광학계는 현재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20)에 통용되고 있는 광학계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광학계의 구조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의 각각의 상하부에는 가이드 돌기(25a)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6)에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돌기(25a)에 대응되는 가이드 레일(27a)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가 상기 프레임(26)에 삽입된 후, 상기 프레임(26)상에서 미끄럼 이동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6)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들 각각이 상기 가이드레일(27a)을 따라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장착부(27c)가 마련된 프레임 몸체(27)와, 상기 프레임 몸체(27)의 장착부(27c)를 통한 디스플레이 몸체(2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27)의 장착부(27c)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2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몸체(27)의 내측에는 가이드 레일(27a)이 마련되고, 그 프레임 몸체(27)의 양단은 개방되어 장착부(27c)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가 삽입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8)는 상기 프레임 몸체(27)의 양단부의 외측을 덮도록 덮개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몸체(27)의 중앙부에는 초점 조절 나사(3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9a)이 마련된 안착부(29)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9a)의 중앙부에는 회전중심공(29c)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9)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 몸체(27)을 좌우로 양분시키고, 프레임 몸체(27)의 상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격벽부(27b)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몸체(27)는 일측단만 개방되어,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가 전부 상기 프레임 몸체(27)의 일측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몸체(27)는 단일축에 가이드 레일(27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25a)는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의 상부 혹은 하부에 하나만 돌출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6)이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를 일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게 변형 형성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볼트나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26)이 상기 외장 케이스(2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장착돌기(28a)가 상기 프레임(26)의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점 조절 장치(30)는 상기 프레임(2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초점 조절 나사(31)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되게 그 초점 조절 나사(31)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 각각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링크 부재(3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는 나사몸체(33)와, 나사조절손잡이(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몸체(33)는 상단에 결합공(33d)이 형성된 몸체(33a)와, 상기 몸체(33a)의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34)들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플랜지부(33b), 및 상기 몸체(33a)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27)에 형성된 회전 중심공(29c)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몸체(33a)의 회전을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부(33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조절손잡이(32)는 그 하단에 상기 결합공(33d)에 대응되는 결합부(3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2b)와 상기 결합공(33d)은 모두 비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3b)와 상기 결합공(33d)은 키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나사조절손잡이(32)를 돌림으로써 발생되는 회전력이 나사 몸체(33)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 몸체(3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나사 몸체(33)의 플랜지부(33b)에 힌지결합된 링크부재(34)의 일단이 연동되어 플랜지부(33b)의 원주상에서 상기나사조절손잡이(32)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나사조절손잡이(32)는 제품의 조립시 외장 케이스(21)의 외측에 일부가 노출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나사조절손잡이(32)를 돌림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나사조절손잡이(32)를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회전날개(32a)가 상기 나사조절손잡이(32)의 외주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32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 케이스(21)의 내측으로 향한 회전날개(32a)가 생략되어 마련되기도 한다. 이렇게 회전날개(32a)가 마련된 구성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나사조절손잡이(32)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점 조절 장치(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의 위치를 소정 이동거리 패턴에 따라 이동되도록 한정하고, 소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억제하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의 외주와 상기 외주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26)의 소정부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패턴돌기(29b)와, 상기 패턴돌기(29b)에 대응되도록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패턴홈(33e)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돌기(29b)는 상기 프레임 몸체(27)의 안착부(29)의 내주에 하나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패턴홈(33e)은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의 플랜지부(33b)의 외측에 다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에 의하면, 나사 몸체(33)의 회전이 소정 패턴에 따라 다단계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다단계 조절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 사이의 간격이 통상의 사람들의 양 눈 간격인 50mm~70mm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의 회전각도의 범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최대 30°의 회전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턴홈(33e)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회전범위 내에서 3단계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패턴돌기(29b) 및 패턴홈(33e)이 초점 조절 나사(31)와 프레임(26)에 동일 회전 범위내에서 더 많은 갯수로 형성된다면, 더욱 세밀하게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초점 조절 나사(31)는 상기 패턴홈(33e)에 안착된 패턴돌기(29b)에 의해 용이하지 않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중심공(29c)과 상기 나사 몸체(33)의 몸체(33a)와의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부(33c)에 의해 이러한 유격이 마련되게 된다. 상기 후크부(33c)는 상기 몸체(33a)의 하부에 다수개가 상기 몸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간격들이 좁아지게 되어 상기 몸체(33a)와 상기 회전중심공(29c)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수단이 마련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만 가한다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26)과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 는 그 두부재(26)(25)를 연결시키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패턴돌기(29b)가 상기 패턴홈(33e)으로의 안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의 회전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나사조절손잡이(32)와 상기 나사 몸체(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초점 조절 장치(30)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들(25) 간의 간격(D)이 최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링크 부재(34)가 동축상에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돌기(29b)가 플랜지부(33b)의 최우측 패턴홈(33e)에 안착되게 되어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는 상기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 간격(D)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초점 조절 나사(31)를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 부재(34)의 초점 조절 나사(31)측 일단은 플랜지부(33b)의 원주를 따라 이동되게 된다. 상기 링크 부재(34)의 타단은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타단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도 상기 링크 부재(34)와 연동되어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이렇게 회전되는 초점 조절 나사(31)의 회전력은 양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와 상기 초점조절나사(31)에 힌지 결합된 링크 부재(34)에 의해 직선 병진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좌우 디스플레이 몸체(25)에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25)들 간의 간격(d)이 이전 간격(D)보다 좁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돌기(29b)는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기 이전 상태에서 안착되었던 패턴홈(33e)의 좌측에 위치된 다른 패턴홈(33e)에 안착되게 되어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는 다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들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후, 상기 초점 조절 나사(31)를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점 조절 장치(30)에 의해 사용자의 양 눈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25)들이 상호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르면,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에 초점 조절 장치가 마련됨으로써, 개인별로 다양한 양 눈 사이의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화상 이미지와 사용자의 눈과의 초점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화질의 화상 이미지를 사용자에게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소정 광학계가 내측에 마련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와, 그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를 내장하며 상기 생성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두 눈에 근접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된 한 쌍의 접안렌즈를 가지는 외장 케이스와, 상기 외장 케이스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 케이스에 마련된 착용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를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를 상기 프레임상에서 이동시켜 접근 및 이격시키기 위한 초점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두 눈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들 각각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착탈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프레임 몸체;
    상기 프레임 몸체의 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초점 조절 나사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초점 조절 나사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되게 그 초점 조절 나사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 각각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초점 조절 나사의 회전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몸체는 상기 링크 부재에 연동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 나사는,
    상단에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들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에 형성된 회전중심공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부를 가지는 나사 몸체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나사조절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몸체의 위치를 소정 이동거리 패턴에 따라 이동되도록 한정하고, 소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억제하는 위치결정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초점조절나사의 외주와 상기 외주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의 소정부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패턴 돌기;
    상기 패턴돌기에 대응되도록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패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KR2020010009183U 2001-04-02 2001-04-02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KR200235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83U KR200235886Y1 (ko) 2001-04-02 2001-04-02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83U KR200235886Y1 (ko) 2001-04-02 2001-04-02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886Y1 true KR200235886Y1 (ko) 2001-10-10

Family

ID=7306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183U KR200235886Y1 (ko) 2001-04-02 2001-04-02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8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900B1 (ko) * 2015-03-25 2016-08-03 (주)쓰리옵틱스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CN109239925A (zh) * 2018-10-26 2019-01-18 歌尔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900B1 (ko) * 2015-03-25 2016-08-03 (주)쓰리옵틱스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WO2016153302A1 (ko) * 2015-03-25 2016-09-29 (주)쓰리옵틱스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CN109239925A (zh) * 2018-10-26 2019-01-18 歌尔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6841A (en) Glasses type display apparatus
US6822623B2 (en) Head mounted display
EP3360001B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US7319437B2 (en) Image display device
JP3322283B2 (ja) 画像表示装置
US6232934B1 (en) Binocular head mounted display system
EP1720058A1 (en) Image display device
WO2003081319A1 (fr) Casquette a afficheur
KR200235886Y1 (ko)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US4810057A (en) Three-dimensional viewing glasses
KR19990012359A (ko) 머리장착영상표시기
JP3163701B2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H07140416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H06315124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3302130B2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H0949999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05276467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2003521002A (ja) 景観立体画像のペアを光学的に操作するための装置
JPH0990268A (ja) 光学視覚装置
JP3298233B2 (ja) 眼鏡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90271A (ja) 光学視覚装置
JP200122843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H09266554A (ja) 表示装置
JPH06315123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H06315121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