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392B1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392B1
KR101765392B1 KR1020150149227A KR20150149227A KR101765392B1 KR 101765392 B1 KR101765392 B1 KR 101765392B1 KR 1020150149227 A KR1020150149227 A KR 1020150149227A KR 20150149227 A KR20150149227 A KR 20150149227A KR 101765392 B1 KR101765392 B1 KR 10176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over
main body
hmd
seating
hm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752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15014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3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전방면이 개방된 안착부를 갖는 HMD 본체; 및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 양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의 개방된 전방면을 폐쇄하고, 하부측에 상기 본체와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안착부를 개방시키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커버의 전면부를 누르면 슬라이딩 커버가 부드럽게 위로 젖혀지면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HMD 본체의 안착부가 오픈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HMD 본체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소자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소형 화상 표시 소자에서 출력된 화상을 광학계를 이용하여 확대하고, 이에 따른 허상을 눈으로 보게 하면서 마치 일정한 거리에 대형의 스크린을 두고 화상을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주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대부분 머리에 안경과 같은 방법으로 착용하는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HMD는 내부에 포함되는 정밀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과 근접한 위치에서 단안 또는 양안에 소정의 영상을 맺힐 수 있도록 해 주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일컫는다.
HMD는 이러한 장치적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초점거리가 매우 짧게 형성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군사, 의료 및 교육용 영상 시스템과 오락용 가상현실 시스템 등의 영상 구현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정용 또는 휴대용 음향/영상(AV) 시스템(예를 들어, DVD 시스템, 홈시어터 등)과, 유무선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가 고급화 추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대량으로 보급됨에 따라 HMD의 활용 및 이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HMD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가 탑재되어 있고, 셋톱박스(큰 사이즈의 외장 제어회로)를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무게가 무겁고 추가적인 외부 전원 공급과 입력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탑재된 디스플레이(Display)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여서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로 교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 - 2015 - 0059085 (공개일 2015. 05. 29)
한국등록특허: 10 -1530788 (공고일 2015. 06. 22)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전면부를 누르면 커버가 부드럽게 위로 젖혀지면서 오픈되는 타입으로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전방면이 개방된 안착부를 갖는 HMD 본체; 및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 양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의 개방된 전방면을 폐쇄하고, 하부측에 상기 본체와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안착부를 개방시키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구조는 상기 HMD 본체의 전면부에서 안착부의 상부측 좌,우 양측에 가이드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서 HMD 본체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면에 상기 가이드돌부가 결합되는 가이드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HMD 본체의 가이드돌부에 슬라이딩 커버의 가이드홈부가 안내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구조는 HMD 본체에서 안착부의 좌,우 양측에 가이드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서 HMD 본체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면의 하단부 측에 가이드돌부가 구비되어 HMD 본체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커버의 가이드돌부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탄성 복원력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착부 폐쇄로 인한 본체와의 잠금 시 변형되었다가 잠금 해제 시 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스프링은 일단이 HMD 본체의 전면부 상부측에 권취되어 결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부 하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착부 폐쇄로 인한 본체와의 잠금 시 풀림 되었다가 잠금 해제 시 권취 성향으로 생성된 복원력에 의해 감기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권취형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은 일단이 HMD 본체의 전면부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부 하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착부 폐쇄로 인한 본체와의 잠금 시 압축되었다가 잠금 해제 시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슬라이딩 커버의 하단부를 한번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개방된 안착부를 폐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하단부가 상기 HMD 본체의 전면부에 걸림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장치는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부에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되게 구비되는 걸쇠부와,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 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쇠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에 안정적인 안착을 위한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종류 및 기종에 따라 내경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HMD 본체의 통신 연결을 위한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HMD 본체에는 상기 안착부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HMD본체의 외측면에는 전원 인가시 LED램프가 발광되어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커버의 전면부를 누르면 슬라이딩 커버가 부드럽게 위로 젖혀지면서 HMD 본체의 안착부가 오픈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HMD 본체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커버가 상부로 슬라이딩 된 상태 및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를 안착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커버가 권취형 판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커버가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잠금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HMD 본체의 전원을 자동 온(on)/오프(off)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커버가 상부로 슬라이딩 된 상태 및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의 (a),(b)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안착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에 따라 카트리지의 내경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의 (a),(b)는 커버가 권취형 판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로서, (a)는 판스프링이 외력에 의해 풀림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외력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판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권취되면서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의 (a),(b)는 커버가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로서, (a)는 외력에 의해 커버의 하강시 코일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외력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압축된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커버가 상부로 슬라이딩 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의 (a),(b)는 잠금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a)는 커버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잠금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커버를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HMD 본체의 전원을 자동 온(on)/오프(off)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전방면이 개방된 안착부를 갖는 HMD 본체(200)와, HMD 본체의 안착부의 양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착부의 개방된 전방면을 폐쇄하고 하부측에 HMD 본체와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안착부를 개방시키는 슬라이딩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본체(200)는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는 면이 얼굴 형상의 곡면 구조를 이루고,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의 착용부재(201)가 결합된다.
그리고, HMD 본체(200)의 전면부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안착되도록 요입된 형상의 안착부(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안착부(210)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한 카트리지(110)가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스마트폰, 휴대용 게임기,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카트리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트리지(110)는 HMD 본체(200)의 안착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외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11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종류 및 기종에 따라 내경의 크기가 달라진다. 이때, 카트리지(11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크기에 따라 내경의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고 외경은 안착부(210)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즉, 카트리지(11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종류 및 기종에 따라 교체될 수 있으며, 교체된 카트리지(110)는 HMD 본체의 안착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카트리지(11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와 HMD 본체(200)의 통신 연결을 위한 연결포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HMD 본체(200)에는 전방면이 개방된 안착부(210)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커버(300)가 결합된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양측 단부가 안착부(210)의 양측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 구조는 HMD 본체(200)의 전면부에서 안착부(210)의 상부측 좌,우 양측에 가이드돌부(220)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커버(300)에서 HMD 본체(200)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면에 가이드돌부(220)가 결합되는 가이드홈부(310)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HMD 본체의 가이드돌부(220)에 슬라이딩 커버의 가이드홈부(310)가 안내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구조는 HMD 본체(200)에서 안착부(210)의 좌,우 양측에 가이드홈부(230)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커버(300)에서 HMD 본체(200)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면의 하단부 측에 가이드돌부(320)가 구비되어 HMD 본체(200)의 가이드홈부(230)에 슬라이딩 커버의 가이드돌부(320)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커버(300)는 잠금장치(400)에 의해 HMD 본체(200)와의 잠금시 안착부(210)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고, HMD 본체(200)와의 잠금 해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안착부(210)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슬라이딩 커버(300)를 슬라이딩시키는 탄성 복원력은 슬라이딩 커버(300)의 안착부(210) 폐쇄로 인한 HMD 본체(200)와의 잠금 시 변형되었다가 잠금 해제 시 복원력으로 슬라이딩 커버(300)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330,340)에 의해 구현된다.
도 4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은 일단이 HMD 본체(200)의 전면부 상부측에 권취되어 결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커버(300)의 후면부 하부측에 고정되는 권취형 판스프링(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본체(200)의 전면부 상부측과 슬라이딩 커버(300)의 후면부 하부측에 고정된 권취형 판스프링(330)은 슬라이딩 커버(3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강 시 풀림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제거되면 권취 성향으로 생성된 복원력에 의해 권취형 판스프링(330)이 감기면서 슬라이딩 커버(300)를 상부로 이송시킨다.
또한,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은 일단이 HMD 본체(200)의 전면부 하부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커버(300)의 후면부 하부 측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HMD 본체(200)의 전면부 하부 측과, 슬라이딩 커버(300)의 후면부 하부 측에 고정된 코일스프링(340)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기본의 상태가 슬라이딩 커버(300)를 상부 측으로 밀어내어 지지하는 탄성력을 갖는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300)에 외력이 가해져 슬라이딩 커버(300)가 하강되면 코일스프링(340)은 압축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30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으로 슬라이딩 커버(300)를 상부로 밀어내어 이송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딩 커버(300)의 상,하 슬라이딩시 곡선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돌부(220,320)와 가이드홈부(310,230)가 형성되는 면은 만곡된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복원스프링(330,340)의 탄성 복원력과 가이드돌부 및 가이드홈부의 (310,230)의 곡면은 슬라이딩 커버(300)를 부드럽게 슬라이딩시킨다.
한편, 잠금장치(400)는 슬라이딩 커버(300)와 HMD 본체(200)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커버(300)로 인한 안착부(210) 폐쇄시 슬라이딩 커버(300)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HMD 본체(2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잠금장치(40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단부를 한번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고, 슬라이딩 커버(300)에 외력을 가하여 개방된 안착부(210)를 폐쇄시키면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단부가 HMD 본체(200)의 전면부에 걸림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의 잠금장치(40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후면부에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되는 걸쇠부(410)와, HMD 본체(200)의 안착부 입구 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안착부 입구를 향해 절곡되는 걸림편(420)으로 구성된다.
이때, 걸쇠부(410)는 저면이 테이퍼지거나 곡면이 형성되고, 걸림편(420)은 절곡된 상면이 테이퍼지거나 곡면이 형성되어 걸쇠부의 저면과 걸림편의 상면이 미끄럼접촉되게 구비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300)는 가해지는 외력에 하강되면서 걸쇠부(410)의 저면이 걸림편(420)의 상면과의 미끄럼접촉을 통해 걸림편(420)을 통과하고 역으로 걸쇠부(410)의 상면이 걸림편(420)의 저면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단부를 누르면 걸림편(420)에 걸림 고정된 걸쇠부(410)가 누르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 걸림편(420)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복원스프링(330,340)의 복원력으로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HMD 본체(200)에는 안착부(210)에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안착되고 슬라이딩 커버(300)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250)와,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5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감지부(251)와 슬라이딩 커버(300)의 닫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감지부(252)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260)는 제 1 감지부(251)와 제 2 감지부(252)로부터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HMD 본체(200)에 구비된 전원부 및 모션센서장치(270) 등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감지부(251) 및 제 2 감지부(252)는 감지 스위칭 또는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260)는 제 1 감지부(251)와 제 2 감지부(252) 중 어느 한곳으로부터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HMD 본체(20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제 1 감지부(251)와 제 2 감지부(252)로부터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HMD 본체(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안착부(210)에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안착되고 슬라이딩 커버(300)의 닫힘이 이루어졌을 때 전원을 온(on) 시키고, 슬라이딩 커버(300)가 열리거나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을 오프(off) 시킨다.
또한, HMD 본체(200)의 외측면에는 전원 인가시 LED램프가 발광되어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표시부(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LED 표시부(280)는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HMD 본체(200)의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의 상태에서 HMD 본체(200)의 안착부(210)를 폐쇄하고 있는 슬라이딩 커버(300)를 눌러 안착부(210)를 개방시킨다. 이때, 슬라이딩 커버(300)를 누르면 잠금장치(400)의 걸쇠부(410)가 누르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 걸림편(420)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잠금이 해제되고 아울러 복원스프링(330,340)의 탄성 복원력으로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 안착부(210)가 개방된다.
이어, 디스플레이 기기(100)를 카트리지(11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도면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기기(100)인 스마트폰이 결합된 카트리지(110)를 안착부(210)에 안착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부로 슬라이딩 된 슬라이딩 커버(300)를 하강시켜 개방된 안착부(210)를 폐쇄시킨다. 이때, 상부로 슬라이딩 된 슬라이딩 커버(300)에 외력을 가하여 하강시키면 복원스프링(330,340)의 신장 또는 압축의 변형과 함께 슬라이딩 커버(300)에 구비된 잠금장치의 걸쇠부(410)가 HMD 본체에 구비된 걸림편(420)에 걸림 고정되어 슬라이딩 커버(300)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 1 감지부(251)는 안착부(2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기기(100) 즉, 스마트폰의 안착 감지신호를 제어부(260)에 전송하고, 제 2 감지부(252)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260)에 전송하며, 제 1 감지부(251) 및 제 2 감지부(252)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260)는 HMD 본체(200)의 전원부 및 모션센서장치(270) 등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전원의 인가로 LED 표시부(280)의 LED 램프가 발광되어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의 전면부를 누르면 슬라이딩 커버가 부드럽게 위로 젖혀지면서 HMD 본체의 안착부가 오픈(Open)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MD 본체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기기 110: 카트리지
200: HMD 본체 201: 착용부재
210: 안착부 220: 가이드돌부
230: 가이드홈부 250: 감지부
251: 제 1 감지부 252: 제 2 감지부
260: 제어부 270: 전원부
280: LED 표시부 300: 슬라이딩 커버
310: 가이드홈부 320: 가이드돌부
330: 권취형 판스프링 340: 코일스프링
400: 잠금장치 410: 걸쇠부
420: 걸림편

Claims (14)

  1. 디스플레이 기기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전방면이 개방된 안착부를 갖는 HMD 본체;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 양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측에 상기 HMD 본체와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안착부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커버;
    일단이 상기 HMD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착부 폐쇄로 인한 HMD 본체와의 잠금시 변형되었다가 잠금 해제시 복원력으로 슬라이딩 커버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원스프링은 일단이 HMD 본체의 전면부 상부측에 권취되어 결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부 하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착부 폐쇄로 인한 HMD 본체와의 잠금 시 풀림 되었다가 잠금 해제 시 권취 성향으로 생성된 복원력에 의해 감기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권취형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2. 디스플레이 기기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전방면이 개방된 안착부를 갖는 HMD 본체;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 양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측에 상기 HMD 본체와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안착부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커버;
    일단이 상기 HMD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착부 폐쇄로 인한 HMD 본체와의 잠금시 변형되었다가 잠금 해제시 복원력으로 슬라이딩 커버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원스프링은 일단이 HMD 본체의 전면부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부 하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착부 폐쇄로 인한 본체와의 잠금 시 압축되었다가 잠금 해제 시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구조는 상기 HMD 본체의 전면부에서 안착부의 상부측 좌,우 양측에 가이드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서 HMD 본체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면에 상기 가이드돌부가 결합되는 가이드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HMD 본체의 가이드돌부에 슬라이딩 커버의 가이드홈부가 안내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구조는 HMD 본체에서 안착부의 좌,우 양측에 가이드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서 HMD 본체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면의 하단부 측에 가이드돌부가 구비되어 HMD 본체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커버의 가이드돌부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슬라이딩 커버의 하단부를 한번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개방된 안착부를 폐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하단부가 상기 HMD 본체의 전면부에 걸림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부에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되게 구비되는 걸쇠부와,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 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쇠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에 안정적인 안착을 위한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HMD 본체의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종류 및 기종에 따라 내경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HMD 본체의 통신 연결을 위한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MD 본체에는 상기 안착부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HMD본체의 외측면에는 전원 인가시 LED램프가 발광되어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20150149227A 2015-10-27 2015-10-27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176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27A KR101765392B1 (ko) 2015-10-27 2015-10-27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27A KR101765392B1 (ko) 2015-10-27 2015-10-27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52A KR20170048752A (ko) 2017-05-10
KR101765392B1 true KR101765392B1 (ko) 2017-08-23

Family

ID=5874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227A KR101765392B1 (ko) 2015-10-27 2015-10-27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449A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41911A (ko)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안면 지지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709A (zh) * 2017-12-21 2018-06-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头显设备
CN117687220B (zh) * 2024-02-02 2024-05-14 玩出梦想(上海)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007B1 (ko) *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007B1 (ko) *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449A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41911A (ko)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안면 지지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52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3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US20230023494A1 (en) Optical redirection adapter
TWI602011B (zh) 成像單元及安裝裝置
TWI480619B (zh) 成像裝置
TWI482489B (zh) 成像裝置
KR200467827Y1 (ko)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1001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SE538390C2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CN102884471A (zh) 一种个人通信设备的附加装置
KR200466864Y1 (ko) 플래시 광량 조절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536343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US2016022708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of multiple views of an object
KR200483039Y1 (ko)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US20140049688A1 (en) Imaging apparatus
US20200366778A1 (en) Mobile device videography system
KR20170003621U (ko)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1644900B1 (ko)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173073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1921623B1 (ko)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83371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2186615B1 (ko) 스마트 안경
KR20160148418A (ko) 전자 장치
KR200483040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2407999B1 (ko)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KR20170001130U (ko)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