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130U -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Google Patents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130U
KR20170001130U KR2020150006240U KR20150006240U KR20170001130U KR 20170001130 U KR20170001130 U KR 20170001130U KR 2020150006240 U KR2020150006240 U KR 2020150006240U KR 20150006240 U KR20150006240 U KR 20150006240U KR 20170001130 U KR20170001130 U KR 201700011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guide portion
virtual reality
outer case
reality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민
Original Assignee
최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민 filed Critical 최태민
Priority to KR2020150006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130U/ko
Publication of KR20170001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외부 케이스; 제1 렌즈 조립체 및 제2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가이드부에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내부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암형 가이드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수형 가이드부가 정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본체는 상기 수형 가이드부를 따라서 상기 외부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상기 외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부 본체를 외부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뛰어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초점 조절이 용이한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Virtual reality headset capable of reducing volume of headset}
본 고안은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하, VR)은 시간이나 공간을 멀리해 존재하는 가상의 세계를 컴퓨터로 유사적으로 만들어 내고, 영상 표시 장치 등을 통해서 그 가상의 세계를 체험시키고, 그것을 신체의 움직임 등에 따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시도는 플라이트 시뮬레이터나 로봇의 원격 조작 등을 시작으로 하여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고, 최근에는 게임의 세계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 체험을 위한 장치는 매우 고가여서 범용성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별도의 가상 현실 헤드셋을 통해 간단하게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기술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헤드셋은 전면에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공간이 있으며, 후방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2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가상 현실 헤드셋은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를 통해 보는 형태가 된다. 가상 현실 헤드셋의 예로는 오큘러스 리프트, 기어 VR, G3 VR 등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로 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렌즈 사이의 최소한의 이격 거리가 필요하여,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부피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부피로 인해 기존의 핸드백이나 작은 가방에는 잘 들어가지 않아서, 이를 휴대하기 위해서는 손에 들고 다니거나 별도의 가방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스마트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제한적이어서 사람에 따라서는 초점 조절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533085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부피 축소가 가능하고 스마트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성이 뛰어나고 초점 조절이 용이한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은,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외부 케이스; 제1 렌즈 조립체 및 제2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가이드부에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내부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암형 가이드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수형 가이드부가 정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본체는 상기 수형 가이드부를 따라서 상기 외부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상기 외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 차단부를 갖는 보조 케이스;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의 양측 단부에는 랙이 형성되고, 상기 랙과 치결합하면서 그 단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돌출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손잡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의 치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 본체는 상기 수형 가이드부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는, 상기 랙이 형성되는 제1 내부본체; 상기 제1 내부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암형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2 내부본체; 상기 제1 내부본체와 상기 제2 내부본체 사이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상기 제1 렌즈조립체 및 상기 제2 렌즈 조립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본체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차단부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 본체를 외부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뛰어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초점 조절이 용이한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내부본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외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내부본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외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휴대폰(스마트폰)의 앱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여 가상 현실(증강 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전면에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있으며, 후방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2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좋게 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눈의 형태에 따라 초점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외부 케이스(120), 내부 본체(130, 140, 150, 160), 쿠션부(170), 보조 케이스(180), 피니언(126), 이동 손잡이(127) 등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20)는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외부를 덮는 케이스로서,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수납 공간에는 휴대폰(10)을 수납하는 수납부(110)가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110)와 결합되는 수납 공간은 전방 차단부(123)와 벽부(12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수납부(110)의 전면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 영상을 보는 동안에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20)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형성된다. 수형 가이드부(121, 122)는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120)의 상부에 2개의 수형 가이드부(121)가 형성되고, 하부에 2개의 수형 가이드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120)의 양 측부에는 피니언(126)의 단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를 포함하고, 수형 가이드부(121, 122)에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161, 16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제1 내부본체(130), 제2 내부본체(160), 제1 렌즈 조립체(140), 제2 렌즈 조립체(150) 및 조절부(149)를 포함한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암형 가이드부(161, 162)와 외부 케이스(120)의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정합된 상태에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휴대폰(10)에 가까이 가는 방향을 말하고, 후방은 휴대폰(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여기서, 외부 케이스(120)에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형성되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암형 가이드부(161, 16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반대로 외부 케이스(120)에 암형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수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암형 가이드부(161, 162) 대신에 레일을 따라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암형 가이드부(161, 162)는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를 통해 휴대폰(10)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볼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전방은 사용자의 이마 등이 닿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쿠션부(17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로 하고 착용감을 좋게 한다. 쿠션부(170)에는 복수의 돌기부(171)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부(171)를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형성된 개구(164)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쿠션부(170)가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120)에는 후방 차단부(183)를 갖는 보조 케이스(180)가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특정 부분이 보조 케이스(180)의 후방 차단부(183)에 접촉되면서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보조 케이스(180)의 측부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면서 외부 케이스(120)의 측부를 덮도록 하여, 보조 케이스(180)와 외부 케이스(120)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보조 케이스(180)의 측부에는 외부 케이스(120)의 개구(125)와 연통되는 개구(18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케이스(180)에는 외부 케이스(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181)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양측 단부에는 랙(rack)(134)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랙(134)에는 피니언(pinion)(126)이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126)은 랙(134)과 치결합하고, 피니언(126)의 단부는 외부 케이스(120)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125)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손잡이(127)는 피니언의 단부와 결합되고 외부 케이스(12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손잡이(127)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랙(134)과 피니언(126)의 치결합에 의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부본체(130), 제1 렌즈 조립체(140), 제2 렌즈 조립체(150), 제2 내부본체(160) 및 조절부(149)가 조립되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구성한다.
제1 내부본체(130)의 양 측부에는 랙(134)이 형성된다. 제2 내부본체(160)는 제1 내부본체(1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외부 케이스(120)의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161, 162)는 제2 내부본체(16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에서, 암형 가이드부(161, 16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개구(131, 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본체(130)에서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부분에도 개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본체(160)에는 제1 내부본체(130)의 개구(136)에 대응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코 형상으로 돌출되는 코 형상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는 결합하면서 그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의 수납 공간에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각각 수납된다. 그에 따라,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에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개구(133, 163)가 형성된다.
제1 렌즈 조립체(140)는 전방 커버(143), 후방 커버(141), 제1 렌즈부(142) 및 조절 기어(144)를 포함한다. 전방 커버(143)와 후방 커버(141)는 제1 렌즈부(142)를 수납한 상태에서 결합된다. 조절 기어(144)는 제1 렌즈부(142)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기어와 치결합하고, 이러한 조절 기어(1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렌즈부(142)는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눈과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후방 커버(141)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밑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톱니부(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조립체(150)는 전방 커버(153), 후방 커버(151), 제2 렌즈부(152) 및 조절 기어(154)를 포함한다. 전방 커버(153)와 후방 커버(151)는 제2 렌즈부(152)를 수납한 상태에서 결합된다. 조절 기어(154)는 제2 렌즈부(152)의 기어와 치결합하고, 이러한 조절 기어(15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렌즈부(152)가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눈과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후방 커버(151)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윗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2 톱니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각각의 조절 기어(144, 154)는 약간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절 기어(144, 15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부(142, 15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부(149)는 제1 렌즈 조립체(140)의 제1 톱니부(141a) 및 제2 렌즈 조립체(150)의 제2 톱니부(151a)와 치결합되어, 제1 렌즈부(142)와 제2 렌즈부(15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다른 다양한 사용자의 눈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절부(149)는 제1 톱니부(141a) 및 제2 톱니부(151a)와 치결합하는 조절 치형부(149a)와, 이러한 조절 치형부(149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이동 노브(149b)를 포함한다.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 노브(149b)는 약간 위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이동 노브(149b)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렌즈부(142)와 제2 렌즈부(15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노브(149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렌즈부(142)와 제2 렌즈부(15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동 노브(149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렌즈부(142)와 제2 렌즈부(15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외부 케이스(1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이동 손잡이(127)를 사용자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외부 케이스(120)의 밖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손잡이(127)를 사용자의 반대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외부 케이스(120)의 안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는 보조 케이스(180)의 후방 차단부(183)에 접촉되어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전방으로 이동할 때는 외부 케이스(120)의 전방 차단부(123)에 접촉되어 전방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외부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외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폰(10)을 이용하여 영상을 볼 때는,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동 손잡이(127)를 돌려 휴대폰(10)과 제1 렌즈부(142) 및 제2 렌즈부(15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제1 렌즈부(142) 및 제2 렌즈부(152)를 통해 휴대폰(10)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렌즈에 맞는 적절한 초점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10)과 제1 렌즈부(142) 및 제2 렌즈부(15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상당한 범위에 걸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눈에 적합하게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렌즈를 다른 렌즈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초점 거리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서 호환성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조절 기어(144, 15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부(142, 152)를 개별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 노브(149b)를 회전시키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부(142, 15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보조 케이스(180)에는 후방 차단부(183)와 연속되고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는 반원형 돌출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반원형 돌출부(184)는 제2 내부본체(160)의 코 형상부(165)의 하부와 연속되는 형태로 코 형상부(165)의 하부를 막아서, 사용자의 눈 쪽으로 들어오는 광을 최소화하여 영상이 더욱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원형 돌출부(184)는 코 형상부(165)의 하부를 막아서 코 형상부(165)의 하부의 비교적 날카로운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가 영상을 다 본 후에는, 이동 손잡이(127)를 반대로 돌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삽입 위치에 있도록 하여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핸드백이나 작은 가방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되어 휴대성이 좋아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가상 현실 헤드셋
110 : 수납부
120 : 외부 케이스
121, 122 : 수형 가이드부
123 : 전방 차단부
124 : 벽부
125 : 개구
126 : 피니언
127 : 이동 손잡이
130 : 제1 내부본체
135 : 렉
140 : 제1 렌즈 조립체
142 : 제1 렌즈부
144 : 조절 기어
149 : 조절부
150 : 제2 렌즈 조립체
152 : 제2 렌즈부
154 : 조절 기어
160 : 제2 내부본체
161 , 162 : 암형 가이드부
170 : 쿠션부
180 : 보조 케이스
183 : 후방 차단부

Claims (5)

  1. 가상 현실 헤드셋에 있어서,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외부 케이스;
    제1 렌즈 조립체 및 제2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가이드부에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내부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암형 가이드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수형 가이드부가 정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본체는 상기 수형 가이드부를 따라서 상기 외부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상기 외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 차단부를 갖는 보조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양측 단부에는 랙이 형성되고,
    상기 랙과 치결합하면서 그 단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돌출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손잡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의 치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 본체는 상기 수형 가이드부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는,
    상기 랙이 형성되는 제1 내부본체;
    상기 제1 내부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암형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2 내부본체;
    상기 제1 내부본체와 상기 제2 내부본체 사이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상기 제1 렌즈조립체 및 상기 제2 렌즈 조립체;
    를 포함하는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본체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차단부를 갖는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KR2020150006240U 2015-09-18 2015-09-18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KR201700011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40U KR20170001130U (ko) 2015-09-18 2015-09-18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40U KR20170001130U (ko) 2015-09-18 2015-09-18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30U true KR20170001130U (ko) 2017-03-28

Family

ID=5849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240U KR20170001130U (ko) 2015-09-18 2015-09-18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1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2751A (zh) * 2017-04-14 2018-11-02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可伸缩的虚拟现实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85B1 (ko) 2014-12-01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85B1 (ko) 2014-12-01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2751A (zh) * 2017-04-14 2018-11-02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可伸缩的虚拟现实装置
US10520698B2 (en) * 2017-04-14 2019-12-31 Wistron Corporation Retractable virtual realit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039Y1 (ko)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US11892646B2 (en) Head mount display support and head mount display
US10488742B2 (en) Multi-lens optical attachment for mobile devices
KR101419007B1 (ko)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US20160299569A1 (en) Autonomous computing and telecommunications head-up displays glasses
US20170318281A1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CN107003523A (zh) 基于微显示器的沉浸式头戴视图器
CN107003516B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WO2017016299A1 (zh) 一种镜头遮挡机构、方法和头戴显示器
WO2015173444A1 (es) Visor adaptador de dispositivos gráficos móviles para visión virtual estereoscópica
KR20140013676A (ko)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JP6500793B2 (ja) 取付具、表示システム、及び、取付システム
KR20170003621U (ko)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17653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US20230011002A1 (en) Mixed,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eadset and system
KR20170001130U (ko)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KR101850619B1 (ko)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US11415807B2 (en) Bumper system
KR20160003517U (ko) 착용감이 개선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83371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0483040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CN201499218U (zh) 电子设备内置摄像头结构
KR101904174B1 (ko) 원터치형 거치대
CN207517034U (zh) 采集低偏心度虹膜图像的vr或ar设备
CN204666967U (zh) 立体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