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174B1 - 원터치형 거치대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174B1
KR101904174B1 KR1020170094748A KR20170094748A KR101904174B1 KR 101904174 B1 KR101904174 B1 KR 101904174B1 KR 1020170094748 A KR1020170094748 A KR 1020170094748A KR 20170094748 A KR20170094748 A KR 20170094748A KR 101904174 B1 KR101904174 B1 KR 10190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unit
touch
path portion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피씨
Priority to KR102017009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74B1/ko
Priority to US15/823,585 priority patent/US10232795B2/en
Priority to EP17205145.0A priority patent/EP34345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5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파지를 위한 준비 상태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원터치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터치형 거치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개구부가 구비되는 거치대본체와, 한 쌍의 개구부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반대 방향을 따라 거치대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유닛과, 거치대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자기기의 안착을 위해 거치대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파지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원터치왕복유닛과, 거치대본체에 대하여 원터치왕복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원터치탄성부재 및 거치대본체에서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원터치안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터치형 거치대{ONE TOUCH TYPE SUPPORTING HOLDER}
본 발명은 원터치형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파지를 위한 준비 상태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원터치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휴대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동영상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이 휴대폰에 융합된 스마트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에서의 동영상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스마트폰을 고정 설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케이스에는 스마트폰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기능이 제한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차량에 거치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는 자석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밧데리 뒷면만을 부착하는 구조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파지하기 위한 구조가 없으므로, 차량이 노면의 요철 등과 같은 굴곡이 심한 도로를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스마트폰이 거치대에서 떨어지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고, 자석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의 핸즈프리 통화 상태를 불량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373호 (고안의 명칭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2004. 06. 1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파지를 위한 준비 상태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원터치형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개구부가 구비되는 거치대본체; 한 쌍의 개구부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거치대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유닛; 상기 거치대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자기기의 안착을 위해 상기 거치대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파지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원터치왕복유닛; 상기 거치대본체에 대하여 상기 원터치왕복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원터치탄성부재; 및 상기 거치대본체에서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원터치안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본체는, 상기 원터치탄성부재가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안착부가 구비되는 제1본체바디; 및 상기 제1본체바디에 결합되는 제2본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유닛과 상기 원터치왕복유닛은 각각, 상기 제1본체바디와 상기 제2본체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파지톱니가 배열되는 제1파지슬라이더; 상기 제1파지슬라이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파지슬라이더; 상기 제1파지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제2파지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파지탄성부재; 및 상기 제2파지슬라이더의 일단부에서 상기 거치대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파지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지슬라이더와 상기 제2파지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거치대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파지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상기 파지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2파지슬라이더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왕복유닛은, 전자기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거치대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기안착브라켓; 상기 원터치탄성부재가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기기안착브라켓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브라켓; 상기 기기안착브라켓에서 상기 거치대본체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랙기어부; 및 상기 거치대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랙기어부와 치합되는 구동피니언부와, 상기 파지유닛과 치합되는 파지피니언부를 포함하는 피니언기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안내유닛은, 상기 거치대본체와 상기 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원터치가이드; 및 상기 원터치가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거치대본체와 상기 파지유닛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및 상기 원터치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따라 상기 원터치가이드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거치대본체에서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원터치경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가이드는, 상기 거치대본체와 상기 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돌부; 상기 결합돌부에 절곡 형성되는 연결가이드부; 및 상기 원터치경로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상기 원터치경로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경로부는,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1왕복경로부;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왕복경로부에서 연장되는 제2왕복경로부; 상기 제2왕복경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거치대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파지유닛의 삽입을 제한하는 삽입제한경로부; 상기 삽입제한경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원터치탄성부재 또는 상기 파지유닛의 파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원터치가이드가 지지되는 멈춤경로부; 및 상기 멈춤경로부와 상기 제1왕복경로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멈춤경로부와 상기 제2왕복경로부를 연결하는 복귀경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경로부는, 상기 삽입제한경로부에서 상기 제2왕복경로부로의 역행을 방지하는 제1역행방지턱과, 상기 멈춤경로부에서 상기 삽입제한경로부로의 역행을 방지하는 제2역행방지턱과, 상기 복귀경로부에서 상기 멈춤경로부로의 역행을 방지하는 제3역행방지턱 및 상기 제1왕복경로부 또는 상기 제2왕복경로부에서 상기 복귀경로부로의 역행을 방지하는 제4역행방지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본체를 설치 위치의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본체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지지유닛은, 상기 거치대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지지바디; 및 상기 본체지지바디에 구비되는 볼안착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파지를 위한 준비 상태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원터치왕복유닛과 연계하여 파지유닛이 원터치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파지하고, 원터치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파지유닛이 상호 벌어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파지날개가 벌어진 상태 및 원터치왕복유닛의 돌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원터치왕복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화시키며, 거치대본체에서 파지유닛과 원터치왕복유닛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을 통해 전자기기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전자기기가 파지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파지유닛이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파지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슬라이더들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전자기기의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랙기어부와 피니언기어부와 제1파지슬라이더의 치합을 통해 원터치왕복유닛과, 파지유닛과, 원터치안내유닛 사이의 연계 동작을 간편하게 구현하고, 파지유닛과 원터치왕복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및 파지탄성부재의 탄성력 그리고 원터치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원터치 방식을 구현하여 파지유닛의 돌출 상태 및 파지유닛의 삽입 상태,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 원터치왕복유닛의 돌출 상태 및 원터치왕복유닛의 삽입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가이드와 원터치경로부의 끼움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원터치가이드의 순환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에게 햅틱 감각을 부여하고,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 원터치왕복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 원터치안내유닛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가이드의 가이드돌부가 원터치경로부의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고, 가이드돌부가 원터치경로부의 바닥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서 전자기기를 추가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거치대본체에서 전자기기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으며, 거치대본체에서 전자기기를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기기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거치대본체의 자율 운동을 통해 전자기기의 배치 상태를 자유롭게 하며, 거치대본체에서 전자기기의 파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서 원터치안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서 전자기기의 파지를 위한 제1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서 전자기기의 파지를 위한 제2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서 전자기기의 파지를 위한 제3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서 도 6 내지 도 8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파지유닛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터치형 거치대의 형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표시한다. 일예로, 전자기기(EA)는 거치대본체(10)의 전방에 안착되고, 파지유닛(20)은 거치대본체(10)의 좌우 양측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원터치왕복유닛(30)은 거치대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거치대본체(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탄성지지브라켓(32)은 탄성부재안착부(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거치대본체(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본체지지유닛(60)은 거치대본체(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고, 지지슬라이더(115)와 지지슬라이드홈(611)의 끼움 결합됨에 따라 거치대본체(10)에서 본체지지유닛(60)의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는 거치대본체(10)와, 한 쌍의 파지유닛(20)과, 원터치왕복유닛(30)과, 원터치탄성부재(40)와, 원터치안내유닛(50)을 포함한다. 그러면, 초기 상태에서 한 쌍의 파지유닛(20)은 거치대본체(10)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원터치왕복유닛(30)은 거치대본체(10)의 전방에 돌출된 상태에서 원터치탄성부재(40)에 의해 거치대본체(10)에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거치대본체(10)에서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과 연계하여 한 쌍의 파지유닛(20)이 거치대본체(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파지유닛(20)은 원터치왕복유닛(30)에 안착되는 전자기기(EA)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는 한 쌍의 파지유닛(20)과, 원터치왕복유닛(30)과, 원터치탄성부재(40)가 설치되는 외관을 형성한다.
거치대본체(10)는 제1본체바디(11)와, 제1본체바디(11)에 결합되는 제2본체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파지유닛(20)과 원터치왕복유닛(30)은 각각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개구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부(101)는 각각 거치대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된다. 개구부(101)는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는 원터치탄성부재(40)가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안착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안착부(102)는 원터치탄성부재(40)가 삽입되도록 제1본체바디(11)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안착부(102)의 바닥에는 원터치탄성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제2부재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안착부(102)는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는 파지슬라이딩부(1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파지슬라이딩부(111)는 한 쌍의 개구부(101)를 상호 연통시킨다. 파지슬라이딩부(111)는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파지슬라이딩부(111)는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는 기어안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안착부(112)에는 원터치왕복유닛(30)의 피니언기어부(34)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 지지된다. 기어안착부(112)는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는 파지가이드홈(113)이 구비될 수 있다. 파지가이드홈(113)은 파지슬라이딩부(111)에 함몰 형성된다. 파지가이드홈(113)은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파지유닛(20)에 구비되는 파지가이더가 끼움 결합된다. 파지슬라이딩부(111)에 파지가이더가 구비되면, 파지유닛(20)에는 파지가이드홈(113)이 구비되도록 한다.
거치대본체(10)에는 랙가이드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랙가이드부(114)는 원터치왕복유닛(30)의 랙기어부(33)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랙가이드부(114)는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는 지지슬라이더(115)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슬라이더(115)는 본체지지유닛(60)의 지지슬라이드홈(611)에 끼움 결합된다. 지지슬라이더(115)가 본체지지유닛(60)에 구비되면, 지지슬라이드홈(611)은 거치대본체(10)에 구비되도록 한다. 지지슬라이더(115)는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는 지지날개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날개부(116)는 본체지지유닛(60)을 지지한다. 거치대본체(10)에 본체지지유닛(60)이 결합될 때, 지지날개부(116)는 거치대본체(10)에 본체지지유닛(60)을 지지하여 거치대본체(10)에서 본체지지유닛(60)의 유동을 방지하고, 거치대본체(10)에서 본체지지유닛(60)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지지날개부(116)는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파지유닛(20)은 한 쌍이 상대 운동하도록 거치대본체(10)에 배치된다. 파지유닛(20)은 한 쌍의 개구부(101)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반대 방향을 따라 거치대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파지유닛(20)은 거치대본체(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거치대본체(10)의 측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파지유닛(20)은 초기 상태에서 거치대본체(10)의 양측에 각각 돌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파지유닛(20)은 거치대본체(10)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파지유닛(20a)과, 거치대본체(10)의 타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파지유닛(2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파지유닛(20a)은 한 쌍의 개구부(10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방향을 따라 거치대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파지유닛(20b)은 한 쌍의 개구부(101)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파지유닛(20a)의 슬라이드 이동과 연계하여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거치대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유닛(20)은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파지톱니(미도시)가 배열되는 제1파지슬라이더(21)와, 제1파지슬라이더(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파지슬라이더(22)와, 제1파지슬라이더(21)에 대하여 제2파지슬라이더(22)를 탄성 지지하는 파지탄성부재(23)와, 제2파지슬라이더(22)의 일단부에서 거치대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파지날개(24)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톱니(미도시)는 원터치왕복유닛(30)의 피니언기어부(34) 중 파지피니언부(342)와 치합되도록 한다.
제1파지슬라이더(21)에는 제1파지가이더(2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파지가이더(211)는 제1파지슬라이더(21)의 길이 방향 및 제1파지슬라이더(21)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파지가이더(211)는 유닛가이드홈(222)과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제1파지슬라이더(21)에는 제1지지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212)에는 파지탄성부재(23)의 일측이 연결된다.
제2파지슬라이더(22)에는 유닛슬라이딩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유닛슬라이딩부(221)는 제2파지슬라이더(22)에 함몰 형성되어 제1파지슬라이더(21)의 전체 또는 일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파지슬라이더(22)에는 유닛가이드홈(222)이 구비될 수 있다. 유닛가이드홈(222)은 유닛슬라이딩부(221)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고, 제1파지가이더(21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제2파지슬라이더(22)에는 제2파지가이더(22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파지가이더(223)는 제2파지슬라이더(22)의 길이 방향 및 제2파지슬라이더(22)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파지가이더(223)는 파지가이드홈(1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제2파지슬라이더(22)에는 제2지지부(2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지지부(224)는 유닛슬라이딩부(221)에 구비되고, 제2지지부(224)에는 파지탄성부재(23)의 타측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파지탄성부재(23)의 일측은 제1지지부(212)를 매개로 제1파지슬라이더(21)에 연결되고, 파지탄성부재(23)의 타측은 제2지지부(224)를 매개로 제2파지슬라이더(22)에 연결된다. 파지탄성부재(23)는 제1파지슬라이더(21)에서 제2파지슬라이더(22)의 끼움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파지날개(24)에는 파지쿠션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파지쿠션부(241)는 탄성을 가지고, 파지날개(24)에 결합된다. 파지날개(24)가 전자기기(EA)를 파지할 때, 파지쿠션부(241)는 전자기기(EA)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전자기기(EA)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전자기기(EA)의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파지슬라이더(21)는 제2파지슬라이더(22)에 형성되는 유닛슬라이딩부(221)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파지유닛(20)에는 파지가이드홈(113)과의 끼움 결합을 위한 파지가이더가 구비될 수 있다. 파지가이더는 제1파지슬라이더(21)와 제2파지슬라이더(22) 사이의 결합 상태에 따라 제1파지슬라이더(21) 또는 제2파지슬라이더(2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지가이더는 제1파지슬라이더(21)가 제2파지슬라이더(22)에 형성되는 유닛슬라이딩부(221)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제2파지가이더(223)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닛슬라이딩부(221)가 제1파지슬라이더(21)에 형성되면, 제2파지슬라이더(22)가 제1파지슬라이더(21)에 형성되는 유닛슬라이딩부(2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파지가이더는 제1파지가이더(211)로 구성될 수 있다.
원터치왕복유닛(30)은 거치대본체(1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원터치왕복유닛(30)은 거치대본체(10)의 전방에 돌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원터치왕복유닛(30)은 전자기기(EA)의 안착을 위해 거치대본체(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파지유닛(20)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일예로, 원터치왕복유닛(30)은 전자기기(EA)의 안착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거치대본체(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파지유닛(20)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원터치왕복유닛(30)은 전자기기(EA)가 안착되도록 거치대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기안착브라켓(31)과, 원터치탄성부재(40)가 탄성 지지되도록 기기안착브라켓(31)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브라켓(32)과, 기기안착브라켓(31)에서 거치대본체(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랙기어부(33)와, 거치대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터치왕복유닛(30)은 탄성지지브라켓(3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거치대본체(10)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기기안착브라켓(31)에 결합되는 유동방지브라켓(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안착브라켓(31)에는 전자기기(EA)의 안착에 따라 전자기기(EA)를 탄성 지지하는 안착쿠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지지브라켓(32)에는 원터치탄성부재(4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돌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랙기어부(33)에는 피니언기어부(34)와의 치합을 위한 랙톱니가 배열된다. 랙톱니는 랙기어부(33)의 길이 방향 및 랙기어부(33)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피니언기어부(34)는 랙기어부(33)와 치합되는 구동피니언부(341)와, 파지유닛(20)과 치합되는 파지피니언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부(34)는 피니언축을 매개로 거치대본체(10)에서 회전 가능하다. 구동피니언부(341)에는 구동피니언톱니가 배열되고, 파지피니언부(342)에는 파지피니언톱니가 배열된다. 각각의 피니언톱니는 피니언기어부(34)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다.
여기서, 구동피니언부(341)와 파지피니언부(342)의 직경을 다르게 함으로써,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와,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동피니언부(341)의 직경이 파지피니언부(342)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가 작더라도 상대적으로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가 커지므로, 파지유닛(20)의 변형을 다양화시킬 수 있고, 파지유닛(20)에서 전자기기(EA)의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동방지브라켓(35)에는 유동방지돌부(3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돌부(351)는 유동방지브라켓(35)에서 거치대본체(10)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유동방지브라켓(35)과 거치대본체(1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원터치왕복유닛(30)이 거치대본체(10)에서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원터치탄성부재(40)는 거치대본체(10)에 대하여 원터치왕복유닛(30)을 탄성 지지한다. 원터치탄성부재(40)는 탄성부재안착부(102)에 삽입 지지되고, 탄성부재안착부(102)의 바닥에 대하여 탄성지지브라켓(32)을 탄성 지지한다. 원터치탄성부재(40)의 일측은 탄성지지브라켓(32)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제1부재지지부에 지지되고, 원터치탄성부재(40)의 타측은 탄성부재안착부(102)의 바닥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제2부재지지부(미도시)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서 제1부재지지부는 탄성지지브라켓(32)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321)로 구성될 수 있다.
원터치안내유닛(50)은 거치대본체(10)에서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조절한다. 원터치안내유닛(50)은 한 쌍의 파지유닛(2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원터치안내유닛(50)은 원터치가이드(51)와, 원터치경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터치가이드(51)는 거치대본체(10)와 파지유닛(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원터치가이드(51)는 거치대본체(10)의 제1본체바디(11)에 결합된다.
원터치가이드(51)는 거치대본체(10)와 파지유닛(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11)와, 결합돌부(511)에 절곡 형성되는 연결가이드부(512)와, 원터치경로부(52)에 삽입되도록 연결가이드부(512)에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돌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가이드부(512)는 결합돌부(511)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가이드돌부(513)를 원터치경로부(52)의 바닥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원터치가이드(51)는 거치대본체(10)와 파지유닛(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11)와, 원터치경로부(52)에 삽입되도록 결합돌부(511)에서 연장되는 가이드돌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가이드부(512)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때, 가이드돌부(513)가 원터치경로부(5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돌부(511)는 탄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결합돌부(511)의 탄성력으로 가이드돌부(513)를 원터치경로부(52)의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터치가이드(51)는 원터치경로부(5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가이드돌부(513)는 원터치경로부(52)의 바닥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원터치경로부(52)는 거치대본체(10)와 파지유닛(2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원터치경로부(52)는 원터치가이드(51)가 삽입된 상태에서 원터치가이드(51)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원터치경로부(52)는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및 파지탄성부재(23)의 탄성력 그리고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및 원터치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따라 원터치가이드(51)의 이동을 제한하여 거치대본체(10)에서 파지유닛(20)의 돌출 또는 삽입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거치대본체(10)에서 파지유닛(20)의 돌출 또는 삽입 상태를 조절하는 것은 파지유닛(20)과 원터치왕복유닛(30)과 원터치안내유닛(50)의 사이의 상호 연계 동작을 통해 명확해진다.
원터치경로부(52)는 제1왕복경로부(521)와, 제2왕복경로부(522)와, 삽입제한경로부(523)와, 멈춤경로부(524)와, 복귀경로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왕복경로부(521)는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된다.
제2왕복경로부(522)는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제1왕복경로부(521)에서 연장된다. 그러면,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는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제1왕복경로부(521)와 제2왕복경로부(522)를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왕복경로부(522)에는 제1왕복경로부(521)와 제2왕복경로부(522) 사이의 단차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5221)가 포함될 수 있다. 제1경사부(5221)는 제1왕복경로부(521)와 제2왕복경로부(522) 사이의 단차에도 불구하고,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제1왕복경로부(521)로 역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제1왕복경로부(521)와 제2왕복경로부(522)에서는 파지유닛(20)이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거치대에서 전자기기(EA)의 탈부착 여부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왕복경로부(522)에는 제2왕복경로부(522)와 삽입제한경로부(523) 사이의 단차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5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부(5222)는 제2왕복경로부(522)와 삽입제한경로부(523)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삽입제한경로부(523)로부터 제2왕복경로부(522)로 역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제한경로부(523)는 제2왕복경로부(522)에서 연장되어 거치대본체(10)를 기준으로 파지유닛(20)의 삽입을 제한한다.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삽입제한경로부(523)에 진입하면, 가이드돌부(513)는 제2왕복경로부(522)로 역행할 수 없도록 한다. 삽입제한경로부(523)에는 외력에 의해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삽입제한홈(5231)이 구비되도록 한다.
멈춤경로부(524)는 삽입제한경로부(523)에서 연장되어 원터치탄성부재의 탄성력 및 파지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지지된다.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멈춤경로부(524)에 진입하면, 가이드돌부(513)는 삽입제한경로부(523)로 역행할 수 없도록 한다. 멈춤경로부(524)에는 원터치탄성부재의 탄성력 및 파지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삽입되는 멈춤홈(5241)이 구비되도록 한다.
복귀경로부(525)는 멈춤경로부(524)에서 연장되어 제1왕복경로부(521) 또는 제2왕복경로부(522)와 연결된다. 다른 표현으로, 복귀경로부(525)는 멈춤경로부(524)와 제1왕복경로부(521)를 연결하거나, 멈춤경로부(524)와 제2왕복경로부(522)를 연결한다.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제1왕복경로부(521) 또는 제2왕복경로부(522)로 진입하면, 가이드돌부(513)는 복귀경로부(525)로 역행할 수 없도록 한다. 복귀경로부(525)에는 외력에 의해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삽입제한홈(5251)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터치경로부(52) 상에서 제2왕복경로부(522)와 멈춤경로부(524)와 복귀경로부(525)는 원터치순환블럭(53)을 감싸는 형태를 나타내고, 원터치순환블럭(53)에 멈춤홈(53)이 함몰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1왕복경로부(521)와 제2왕복경로부(522)는 가이드돌부(513)의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깊이를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다만, 제2왕복경로부(522)와 삽입제한경로부(523)가 만나는 부근에서 삽입제한경로부(523)의 깊이는 제2왕복경로부(522)의 깊이 또는 제2왕복경로부(522)의 끝단부 깊이보다 깊게 함으로써, 가이드돌부(513)의 역행을 방지한다.
또한, 삽입제한경로부(523)와 멈춤경로부(524)가 만나는 부분에서 멈춤경로부(524)의 깊이는 삽입제한경로부(523)의 깊이보다 깊게 함으로써, 가이드돌부(513)의 역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경로부(525)와 멈춤경로부(524)가 만나는 부분에서 복귀경로부(525)의 깊이는 멈춤경로부(524)의 깊이보다 깊게 함으로써, 가이드돌부(513)의 역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경로부(525)와 제1왕복경로부(521)가 만나거나, 복귀경로부(525)와 제2왕복경로부(522)가 만나는 부분에서 제1왕복경로부(521)의 깊이 또는 제2왕복경로부(522)의 깊이는 복귀경로부(525)의 깊이보다 깊게 함으로써, 가이드돌부(513)의 역행을 방지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경로부의 바닥은 단차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거나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로부의 바닥은 단차에 대응하여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원터치안내유닛(50)은 제1역행방지턱(531)과, 제2역행방지턱(532)과, 제3역행방지턱(533)과, 제4역행방지턱(5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역행방지턱(531)은 삽입제한경로부(523)에서 제2왕복경로부(522)로의 역행을 방지한다. 제1역행방지턱(531)은 제2왕복경로부(522)와 삽입제한경로부(523)가 만나는 부분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역행방지턱(532)은 멈춤경로부(524)에서 삽입제한경로부(523)로의 역행을 방지한다. 제2역행방지턱(532)은 삽입제한경로부(523)와 멈춤경로부(454)가 만나는 부분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역행방지턱(533)은 복귀경로부(525)에서 멈춤경로부(524)로의 역행을 방지한다. 제3역행방지턱은 멈춤경로부와 복귀경로부가 만나는 부분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4역행방지턱(534)은 제1왕복경로부(521) 또는 제2왕복경로부(522)에서 복귀경로부(525)로의 역행을 방지한다. 제4역행방지턱(534)은 복귀경로부(525)와 제1왕복경로부(521)가 만나는 부분의 단차 또는 복귀경로부(525)와 제2왕복경로부(522)가 만나는 부분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는 본체지지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지지유닛(60)은 거치대본체(10)를 설치 위치의 베이스(B)에 결합시킨다.
본체지지유닛(60)은 거치대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지지바디(61)와, 본체지지바디(61)에 구비되는 볼안착브라켓(62)을 포함하고, 베이스(B)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63)과, 고정브라켓(63)에 구비되고 볼안착브라켓(6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볼(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지지바디(61)는 거치대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된다. 본체지지바디(61)에는 지지슬라이드홈(611)이 함몰 형성된다. 지지슬라이드홈(611)은 거치대본체(10)에 형성되는 지지슬라이더(115)와 끼움 결합된다.
일예로, 본체지지바디(61)는 제2본체바디(12)에 의해 제1본체바디(11)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지지슬라이더(115)와 지지슬라이드홈(611)의 끼움 결합을 통해 제1본체바디(11)에 본체지지바디(61)를 결합하고, 제1본체바디(11)와 제2본체바디(12)를 결합하면, 제2본체바디(12)의 일부가 본체지지바디(61)를 지지하게 되므로, 제2본체바디(12)는 제1본체바디(11)에서 본체지지바디(61)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볼안착브라켓(62)은 본체지지바디(61)에 구비된다. 볼안착브라켓(62)은 결합볼(65)과 끼움 결합되도록 홈을 형성한다. 볼안착브라켓(62)에는 탈부착슬릿(621)이 구비되어 볼안착브라켓(62)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브라켓(63)은 베이스(B)에 결합된다. 고정브라켓(63)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베이스(B)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볼(65)은 고정브라켓(63)에 결합되고, 볼안착브라켓(62)에 끼움 결합된다. 볼안착브라켓(62)과 결합볼(65)의 결합에 따라 베이스(B)를 기준으로 거치대본체(10)는 롤링 운동, 피칭 운동, 요잉 운동이 가능해진다.
본체지지유닛(60)은 결합볼(65)을 볼안착브라켓(62)에 고정시키는 탈착캡(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캡(66)은 볼안착브라켓(62)과 나사 결합됨에 따라 볼안착브라켓(62)이 결합볼(65)을 탄성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볼(65)을 볼안착브라켓(62)에 고정시킬 수 있다.
탈착캡(66)은 볼안착브라켓(6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탈착캡(66)이 볼안착브라켓(62)에 결합되면, 결합볼(65)이 볼안착브라켓(62)에 고정되고, 탈착캡(66)과 볼안착브라켓(62)의 결합이 해제되면, 볼안착브라켓(62)에서 결합볼(65)이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볼안착브라켓(62)에서 결합볼(65)을 분리할 수 있다.
본체지지유닛(60)은 고정브라켓(63)과 결합볼(65)을 연결하는 연장로드(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 및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거치대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받침유닛(미도시)은 파지유닛(20)에 의해 파지되는 전자기기(EA)의 아래 부분 또는 윗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에서 원터치 방식에 따른 전자기기(EA)의 파지 동작과 전자기기(EA)의 파지 해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거치대본체(10)에서 원터치를 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유닛(20)은 거치대본체(10)의 양측에 각각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원터치왕복유닛(30)은 거치대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거치대본체(10)의 전방에서 원터치왕복유닛(30)의 기기안착브라켓(31)에 전자기기(EA)를 안착시키고, 전자기기(EA)를 거치대본체(10)의 후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랙기어부(33)는 피니언기어부(34)에 치합된 상태에서 거치대본체(10)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피니언기어부(34)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파지유닛(20)은 피니언기어부(34)에 치합된 상태에서 거치대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돌부(513)는 제1왕복경로부(521)를 거쳐 제2왕복경로부(522) 쪽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1파지슬라이더(21)와 제2파지슬라이더(22)는 파지탄성부재(23)를 매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거치대본체(1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계속해서, 전자기기(EA)를 거치대본체(10)의 후방으로 가압하면, 원터치왕복유닛(30)과 파지유닛(20) 사이의 연계 동작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24)는 전자기기(EA)의 양측을 파지한다.
이때, 가이드돌부(513)는 제1왕복경로부(521)와 제2왕복경로부(522)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파지슬라이더(21)와 제2파지슬라이더(22)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탄성부재(23)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1파지슬라이더(21)는 파지날개(24)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최초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전자기기(EA)를 거치대본체(10)의 후방으로 가압하면, 원터치왕복유닛(30)과 파지유닛(20) 사이의 연계 동작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24)는 전자기기(EA)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1파지슬라이더(21)만 거치대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돌부(513)는 제2왕복경로부(522)를 거쳐 삽입제한경로부(523)로 이동되고, 제1삽입제한홈(5231)에 안착된다. 여기서, 파지탄성부재(23)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므로, 파지날개(24)는 전자기기(EA)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파지슬라이더(21)는 파지날개(24)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파지탄성부재(23)의 탄성력이 증가된다.
마지막으로, 전자기기(EA)에 가해지는 외력을 해제하면, 원터치왕복유닛(30)과 파지유닛(20) 사이의 연계 동작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24)는 전자기기(EA)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1파지슬라이더(21)는 거치대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약간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돌부(513)는 삽입제한경로부(523)를 거쳐 멈춤경로부(524)로 이동되고, 멈춤홈(5241)에 안착된다. 여기서, 파지탄성부재(23)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파지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파지날개(24)는 전자기기(EA)의 양측을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고, 가이드돌부(513)는 멈춤홈(524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기기(EA)의 파지를 해제하기 위해서 전자기기(EA)를 거치대본체(10)의 후방으로 가압하면, 원터치왕복유닛(30)과 파지유닛(20) 사이의 연계 동작으로 파지날개(24)가 전자기기(EA)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1파지슬라이더(21)만 거치대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돌부(513)는 멈춤경로부(524)를 거쳐 복귀경로부(525)로 이동되고, 제2삽입제한홈(5251)에 안착된다. 여기서, 파지탄성부재(23)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자기기(EA)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면, 원터치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왕복유닛(30)은 거치대본체(1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와 연계하여 파지유닛(20)이 거치대본체(10)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그러면, 제1파지슬라이더(21)는 도 9의 (a)와 같이 제1파지슬라이더(21)가 파지날개(24)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다음, 파지날개(24)는 전자기기(EA)로부터 이격되어 파지유닛(20)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거치대로부터 전자기기(EA)를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원터치형 거치대에 따르면, 전자기기(EA)의 파지를 위한 준비 상태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전자기기(EA)를 거치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본체(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원터치왕복유닛(30)과 연계하여 파지유닛(20)이 원터치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전자기기(EA)를 간편하게 파지하고, 원터치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파지유닛(20)이 상호 벌어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파지날개(24)가 벌어진 상태 및 원터치왕복유닛(30)의 돌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화시키며, 거치대본체(10)에서 파지유닛(20)과 원터치왕복유닛(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20)을 통해 전자기기(EA)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전자기기(EA)가 파지된 상태에서 전자기기(EA)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파지유닛(20)이 전자기기(EA)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파지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슬라이더들(21, 22)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전자기기(EA)의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랙기어부(33)와 피니언기어부(34)와 제1파지슬라이더(21)의 치합을 통해 원터치왕복유닛(30)과, 파지유닛(20)과, 원터치안내유닛(50) 사이의 연계 동작을 간편하게 구현하고, 파지유닛(20)과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및 파지탄성부재(23)의 탄성력 그리고 원터치탄성부재(40)의 탄성력으로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원터치 방식을 구현하여 파지유닛(20)의 돌출 상태 및 파지유닛(20)의 삽입 상태,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 원터치왕복유닛(30)의 돌출 상태 및 원터치왕복유닛(30)의 삽입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가이드(51)와 원터치경로부(52)의 끼움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원터치가이드(51)의 순환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가이드(51)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에게 햅틱 감각을 부여하고,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 원터치왕복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 원터치안내유닛(5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가이드(51)의 가이드돌부(513)가 원터치경로부(52)의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고, 가이드돌부(513)가 원터치경로부(52)의 바닥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서 전자기기(EA)를 추가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거치대본체(10)에서 전자기기(EA)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으며, 거치대본체(10)에서 전자기기(EA)를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EA)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기기(EA)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B)와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거치대본체(10)의 자율 운동을 통해 전자기기(EA)의 배치 상태를 자유롭게 하며, 거치대본체(10)에서 전자기기(EA)의 파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거치대본체 11: 제1본체바디 12: 제2본체바디
101: 개구부 102: 탄성부재안착부 111: 파지슬라이딩부
112: 기어안착부 113: 파지가이드홈 114: 랙가이드부
115: 지지슬라이더 116: 지지날개부 20: 파지유닛
20a: 제1파지유닛 20b: 제2파지유닛 21: 제1파지슬라이더
211: 제1파지가이더 212: 제1지지부 22: 제2파지슬라이더
221: 유닛슬라이딩부 222: 유닛가이드홈 223: 제2파지가이더
224: 제2지지부 23: 파지탄성부재 24: 파지날개
241: 파지쿠션부 30: 원터치왕복유닛 31: 기기안착브라켓
32: 탄성지지브라켓 321: 지지돌부 33: 랙기어부
34: 피니언기어부 341: 구동피니언부 342: 파지피니언부
35: 유동방지브라켓 351: 유동방지돌부 40: 원터치탄성부재
50: 원터치안내유닛 51: 원터치가이드 511: 결합돌부
512: 연결가이드부 513: 가이드돌부 52: 원터치경로부
521: 제1왕복경로부 522: 제2왕복경로부 52221: 제1경사부
5222: 제2경사부 523: 삽입제한경로부 5231: 제1삽입제한홈
524: 멈춤경로부 5241: 멈춤홈 525: 복귀경로부
5251: 제2삽입제한홈 531: 제1역행방지턱 532: 제2역행방지턱
533: 제3역행방지턱 534: 제4역행방지턱 53: 원터치순환블럭
60: 본체지지유닛 61: 본체지지바디 611: 지지슬라이드홈
62: 볼안착브라켓 621: 탈부착슬릿 63: 고정브라켓
64: 연장로드 65: 결합볼 66: 탈착캡
EA: 전자기기 B: 베이스

Claims (6)

  1.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개구부가 구비되는 거치대본체; 한 쌍의 개구부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거치대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유닛; 상기 거치대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자기기의 안착을 위해 상기 거치대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파지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원터치왕복유닛; 상기 거치대본체에 대하여 상기 원터치왕복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원터치탄성부재; 및 상기 거치대본체에서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원터치안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원터치안내유닛은, 상기 거치대본체와 상기 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원터치가이드; 및 상기 원터치가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거치대본체와 상기 파지유닛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및 상기 원터치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따라 상기 원터치가이드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거치대본체에서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원터치경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터치경로부는,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1왕복경로부;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왕복경로부에서 연장되는 제2왕복경로부; 상기 제2왕복경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거치대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파지유닛의 삽입을 제한하는 삽입제한경로부; 상기 삽입제한경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원터치탄성부재 또는 상기 파지유닛의 파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원터치가이드가 지지되는 멈춤경로부; 및 상기 멈춤경로부와 상기 제1왕복경로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멈춤경로부와 상기 제2왕복경로부를 연결하는 복귀경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파지톱니가 배열되는 제1파지슬라이더;
    상기 제1파지슬라이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파지슬라이더;
    상기 제1파지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제2파지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파지탄성부재; 및
    상기 제2파지슬라이더의 일단부에서 상기 거치대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파지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지슬라이더와 상기 제2파지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거치대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왕복유닛은,
    전자기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거치대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기안착브라켓;
    상기 원터치탄성부재가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기기안착브라켓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브라켓;
    상기 기기안착브라켓에서 상기 거치대본체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랙기어부; 및
    상기 거치대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랙기어부와 치합되는 구동피니언부와, 상기 파지유닛과 치합되는 파지피니언부를 포함하는 피니언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거치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가이드는,
    상기 거치대본체와 상기 파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돌부;
    상기 결합돌부에 절곡 형성되는 연결가이드부; 및
    상기 원터치경로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거치대.
  6. 삭제
KR1020170094748A 2017-07-26 2017-07-26 원터치형 거치대 KR10190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48A KR101904174B1 (ko) 2017-07-26 2017-07-26 원터치형 거치대
US15/823,585 US10232795B2 (en) 2017-07-26 2017-11-28 One touch type supporting holder
EP17205145.0A EP3434525A1 (en) 2017-07-26 2017-12-04 One touch type supporting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48A KR101904174B1 (ko) 2017-07-26 2017-07-26 원터치형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174B1 true KR101904174B1 (ko) 2018-10-04

Family

ID=6062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48A KR101904174B1 (ko) 2017-07-26 2017-07-26 원터치형 거치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32795B2 (ko)
EP (1) EP3434525A1 (ko)
KR (1) KR101904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085B (zh) * 2022-05-30 2024-07-16 中交机电工程局有限公司 模块配装装置及综合监控用信息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41B1 (ko) 2015-05-12 2015-08-25 (주)노트케이스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KR101572101B1 (ko) 2015-03-02 2015-11-26 서치영 차량 핸들용 스마트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5506C2 (de) * 1994-02-21 1996-04-18 Aeg Mobile Communication Halterung für ein Handfunktelefon
US5457745A (en) * 1994-07-11 1995-10-10 Wang; Chin-Yang Adjustable mobile phone holder
JP2658909B2 (ja) * 1994-09-30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ホルダ
US7272984B2 (en) * 2004-04-27 2007-09-25 Eagle Fan Electronic appliance h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101B1 (ko) 2015-03-02 2015-11-26 서치영 차량 핸들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46941B1 (ko) 2015-05-12 2015-08-25 (주)노트케이스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32795B2 (en) 2019-03-19
EP3434525A1 (en) 2019-01-30
US20190031112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2262A1 (en) Virtual Reality Headset
KR101563058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24288Y1 (ko)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101406733B1 (ko)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20160001328A (ko)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EP2420405A1 (en) Drawer
KR101904174B1 (ko) 원터치형 거치대
KR200407607Y1 (ko)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KR20170003621U (ko)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US20180364549A1 (en) Camera accessory and imaging unit
KR20140146466A (ko)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KR200483371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230044681A (ko)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100581503B1 (ko) 핸드폰 거치대
JP6881947B2 (ja) テーブル
CN215344674U (zh) 补光位置可调节的连接臂及具有该连接臂的自拍杆
KR200179543Y1 (ko) 핸드폰 케이스
CN219181819U (zh) 一种电子设备壳套
KR101600528B1 (ko)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KR200480175Y1 (ko)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
JP2016051674A (ja) ヘッドライト
KR101533387B1 (ko) 오디오 노브에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3040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CN211059766U (zh) 一种夹持结构及自拍装置
CN221490416U (zh) 多功能耳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