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941B1 -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941B1
KR101546941B1 KR1020150066091A KR20150066091A KR101546941B1 KR 101546941 B1 KR101546941 B1 KR 101546941B1 KR 1020150066091 A KR1020150066091 A KR 1020150066091A KR 20150066091 A KR20150066091 A KR 20150066091A KR 101546941 B1 KR101546941 B1 KR 10154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air
mobile phone
contro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서
Original Assignee
(주)노트케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트케이스 filed Critical (주)노트케이스
Priority to KR102015006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등산용 지팡이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어 야외에서 휴대폰의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3곳에서 휴대폰의 모서리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휴대폰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고,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등산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PORTABLE HOLDER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등산용 지팡이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어 야외에서 휴대폰의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1인당 휴대폰 사용이 1을 넘어서고 있으며, 휴대폰의 일종으로 대형의 액정이 구비된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은 가장 기본적인 통화의 기능은 물론 DMB, 인터넷, 카메라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상적인 생활은 물론 야외활동에서도 휴대폰을 반드시 휴대하며, 이에 따라, 휴대폰의 방수, 방진 기능을 갖는 방수팩과 같은 야외용품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고, 등산시에도 휴대폰을 휴대하고 있다.
그러나, 바위가 있는 험준한 등산코스를 산행하는 경우, 대형의 액정을 갖는 휴대폰을 주머니나 베낭의 주머니에 수납하기 번거롭고, 휴대폰이 낙하되는 경우 바위에 부딪히는 등 고가의 액정이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등산시 휴대폰으로 일행들과의 산행을 기념하기 위해 셀카(selfie)를 찍는 경우에는 별도의 셀카봉(selfie stick)을 휴대해야 하는데, 단지 사진을 찍기 위해 셀카봉을 지참하여 등산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는 비단 등산시에만 아니라 야외활동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14533호(발명의 명칭: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공개일자:1998년 05월 25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등산용 지팡이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어 야외에서 휴대폰의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3곳에서 휴대폰의 모서리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휴대폰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등산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는, 정면으로 휴대폰의 배면을 지지하며, 배면에는 봉과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설치되되, 내부에는 구동실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길이방향슬롯 및 폭방향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폭방향슬롯이 상기 구동실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제1치합기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치합기어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1결합기어가 형성되는 제1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치합기어와 치합되는 제2치합기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2치합기어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2결합기어가 형성되는 제2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길이방향슬롯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길이방향슬롯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결합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되며, 상기 한 쌍의 길이방향슬롯 중 일측 길이방향슬롯을 출입하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감싸는 제1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결합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되되, 상기 한 쌍의 길이방향슬록 중 타측 길이방향슬롯을 출입하며, 상기 제1이동부와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상기 제1그립부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동시에 감싸는 제2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폭방향슬롯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과, 상기 제3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3이동부:와, 상기 제3이동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휴대폰의 폭방향 모서리를 감싸는 제3그립부:를 포함하는 제3고정부와, 상기 제1회전기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와, 상기 제3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된 제1제어통공과, 상기 제1제어통공에 설치되되, 일측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타측은 상기 제1제어통공에 걸리는 단턱에 의해 상기 제1제어통공에 고정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실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승하강돌기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 구비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치합기어의 기어골에 끼워지되, 상기 제1결합기어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회전기어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락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승하강돌기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구속돌기와 상기 기어골의 결합을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부:가 포함되는 회전제어부재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구동실의 천정면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력이 증감되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구동실의 측벽과 상기 회전제어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골에 끼워진 상기 구속돌기가 상기 제1회전기어의 기어산을 넘어 또 다른 기어골에 치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스톱퍼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이동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부의 출입을 제어하여 상기 제1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돌기와, 일측은 상기 제어돌기에 끼워져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결합기어의 구속 해제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자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3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 형성되는 제어슬롯과, 상기 제3고정부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어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레크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제어통공과, 상기 제2제어통공에서 상기 구동실의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어슬롯에 끼워지며, 내벽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상기 제2제어통공에 끼워지되, 상기 가이드돌기에 끼워져 승하강되며,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는 상기 한 쌍의 레크기어와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이동돌기가 구비된 제2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구동실의 천정면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력이 증감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돌기가 상기 한 쌍의 레크기어의 기어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제4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고정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3그립부와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3그립부가 외부로 이동시 상기 제3고정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등산용 지팡이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어 야외에서 휴대폰의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3곳에서 휴대폰의 모서리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휴대폰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등산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3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주요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3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주요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는, 하우징(100), 제1회전기어(200), 제2회전기어(300), 제1가이드레일(400), 제2가이드레일(430), 제1고정부(500), 제2고정부(600), 제3가이드레일(440), 제3고정부(700), 제1제어부(800) 및 제2제어부(900)가 포함된다.
먼저, 하우징(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정면으로 휴대폰(미도시)의 배면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1)와 배면부(102)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전면부(101)와 배면부(102)가 결합되면 내부에는 구동실(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배면에는 봉(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연결부(1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결부(120)는 예컨대, 등산용 지팡이(미도시)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봉형상이라면 자유롭게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120)는 하우징(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121)과, 이 연결브라켓(121)의 배면에 결합되며, 본 발명이 봉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형상의 회전볼(122)과, 회전볼(122)을 연결브라켓(121)에 고정시켜 본 발명이 봉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123)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을 봉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2개의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 부재에는 조작노브(124)가 볼트결합되어 조작노브(124)의 회전에 의해 2개의 부재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다.
상기 조작노브(124)는 회전에 의해 승하강된다.
여기서, 결합동작은 2개의 고정부재(125)가 봉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결합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해체동작은 봉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2개의 고정부재(125)가 힌지(126)를 매개로 회전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면부(101)와 배면부(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양측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슬롯(103)이 개방형성되고, 폭방향의 일측에는 폭방향슬롯(104)이 개방형성되는데, 상기 길이방향슬롯(103)과 폭방향슬롯(104)은 구동실(110)의 내부와 연통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제1회전기어(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회전기어(200)는 도 3,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110)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1회전기어(200)의 하부에는 제1치합기어(21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결합기어(2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결합기어(220)는 제1치합기어(210)보다 반지름이 작게 형성되며, 제1치합기어(210)와 제1결합기어(220)의 회전중심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2회전기어(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회전기어(300)는 도 3,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110)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2회전기어(30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치합기어(210)와 치합되는 제2치합기어(31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결합기어(3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2결합기어(320)는 제2치합기어(310)보다 반지름이 작게 형성되며, 제2치합기어(310)와 제2결합기어(320)의 회전중심은 동일하다.
다시말하면, 제2회전기어(300)는 제1회전기어(200)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제1치합기어(210)와 제2치합기어(310)가 치합되므로 제1회전기어(200)와 제2회전기어(300)는 맞물려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가이드레일(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400)은 구동실(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이러한 제1가이드레일(40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110)의 바닥면에서 하우징(10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400)의 양측 단부는 길이방향슬롯(103)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400)은 구동실(110)의 바닥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400)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레일(400)을 서로 연결한 스톱퍼(410)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지지대(42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410)는 후술할 제1이동부(510)의 하면에 형성된 제어돌기(511)와 맞닿아 제1이동부(510)의 이동을 제어하며, 지지대(420)는 제어돌기(511)에 일측이 끼워진 제3스프링부재(30)의 타측을 지지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2가이드레일(4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430)은 상술한 제1가이드레일(400)과 마찬가지로 구동실(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이며, 하우징(10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 단부는 길이방향슬롯(103)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2가이드레일(430)은 제1가이드레일(400)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1가이드레일(40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가이드레일(400)에는 후술할 제1고정부(500)의 제1이동부(510)가 끼워져 가이드되며, 제2가이드레일(430)에는 후술할 제2고정부(600)의 제2이동부(610)가 끼워져 가이드된다.
다음으로, 제1고정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고정부(5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510), 제1그립부(520)를 포함하며, 후술할 제2고정부(600)와 함께 휴대폰의 측면을 감싸듯 가압하여 제3고정부(700)와 함께 휴대폰을 본 발명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이동부(5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레일(400) 및 제1결합기어(220)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되며, 한 쌍의 길이방향슬롯(103) 중 일측 길이방향슬롯(103)을 출입한다.
또한, 상기 제1그립부(520)는 제1이동부(51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부재로서,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 중 일측 모서리를 감싸는 부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그립부(520)의 내측면에는 휴대폰의 일측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러버부재(r)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이동부(510)의 하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돌기(511)가 형성되며, 제어돌기(511)에는 제3스프링부재(30)의 일측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제어돌기(511)는 상술한 스톱퍼(410)에 의해 제1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부(510)의 출입, 즉, 이동반경을 제어하는데, 이러한 제어돌기(511)에 의해 제1고정부(500)는 하우징(100)의 폭방향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일측이 제어돌기(511)에 끼워져 지지되는 제3스프링부재(30)는 타측이 상술한 지지대(420)에 의해 지지되며, 후술할 제1스위치(820)의 조작에 의해 저장되어 있던 탄성력이 작용되어 제1이동부(510)가 하우징(100)의 폭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력은 제1이동부(510)에 의해 제1치합기어(210)로, 제1치합기어(210)에 의해 제2치합기어(310)로, 제2치합기어(310)에 의해 후술할 제2이동부(610)로 전달되어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가 동시에 하우징(100)의 폭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고정부(6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610), 제2그립부(620)를 포함하며, 상술한 제1고정부(500)와 함께 휴대폰의 측면을 감싸듯 동시에 가압하여 제3고정부(700)와 함께 휴대폰을 본 발명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부(6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가이드레일(430)과 제2결합기어(32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되며, 한 쌍의 길이방향슬롯 중 타측의 길이방향슬롯(103)을 출입하는 부재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제2이동부(610)는 상술한 제1이동부(510)와는 서로 상대적인 방향, 즉, 대향된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제2그립부(620)는 제2이동부(61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부재로서,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 중 타측 모서리를 감싸는 부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그립부(620)의 내측면에는 휴대폰의 일측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러버부재(r)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3가이드레일(4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3가이드레일(4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의 바닥면에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3가이드레일(440)은 폭방향슬롯(104)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3가이드레일(440)은 한 쌍의 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3고정부(7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3고정부(700)는 제3이동부(710)와 제3그립부(720)를 포함하는 부재로서, 상기 제3이동부(710)는 제3가이드레일(440)을 따라 이동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제3그립부(720)는 제3이동부(7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3이동부(710)의 이동에 의해 휴대폰의 폭방향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제3그립부(720)는 상술한 제1그립부(520)와 제2그립부(620)를 보조하여 휴대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휴대폰과 맞닿는 부위에 러버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1제어부(8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제어부(800)는 제1회전기어(20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술한 제1그립부(520) 및 제2그립부(620)가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1제어부(800)는 제1제어통공(810), 제1스위치(820), 승하강돌기(830), 회전제어부재(840), 제1스프링부재(10) 제2스프링부재(20)가 포함된다.
상기 제1제어통공(810)은 하우징(100)의 배면에 타공되어 구동실(110)과 연통되는 통공이며, 이러한 제1제어통공(810)에는 제1스위치(82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1스위치(820)의 일측은 사용자에 의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외부(배면)로 노출되며, 타측에는 제1제어통공(810)에 걸리도록 단턱(821)이 형성되어 제1스위치(820)가 제1제어통공(81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820)에는 제1스위치(820)가 제1제어통공(8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1스위치(820)의 조작에 의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되는 승하강돌기(8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재(84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110)의 바닥면에 구비된 회전축(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회전제어부재(840)는 제1회전기어(2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구속돌기(841)와 해제부(842)를 포함한다.
상기 구속돌기(841)는 제1치합기어(210)의 기어골에 끼워져 제1회전기어(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구속돌기(841)는 단부가 대체로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1회전기어(200)가 경사면을 넘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기어(200)에는 제3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한 제1이동부(510)가 제1결합기어(220)를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힘은 구속돌기(841)에 의해 구속되고 있는 상태, 즉, 작용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구속돌기(841)는 제1결합기어(220)의 회전에 의한 제1회전기어(200)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락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해제부(842)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돌기(8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하강돌기(830)에 의해 승하강되는데, 승하강돌기(830)에 의한 상승시 구속돌기(841)와 기어골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속돌기(841)가 기어골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제1회전기어(200)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제3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이동부(510)가 이동되면서 제1이동부에 결합(치합)되어 있는 제1결합기어(220)가 회전되고, 제1결합기어(220)가 회전되면, 제1치합기어(210)에 의해 제2치합기어(310)로 제3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이 전달되어 제2회전기어(300)도 회전되면서 제2이동부(610)도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프링부재(10)는 제1스위치(820)와 구동실(110)의 천정면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제1스위치(820)의 조작에 의해 탄성이 증감되는 부재이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한 제1스위치(820)의 미조작시에는 제1스프링부재(10)에 의해 제1스위치(820)는 하우징의 배면측으로 가압되는 상태인데, 사용자가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를 개방하여 휴대폰을 하우징(100)의 정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경우, 제1스위치(820)를 구동실(110) 측으로 가력하여 밀어 올린다.
상기와 같이 제1스위치(820)를 밀어 올리는 외력에 의해 제1스위치(820)를 가압하고 있는 제1스프링부재(10)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제1스프링부재(10)에는 탄성복원력이 저장되고, 상기 외력이 소멸되면 제1스프링부재(10)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면서 제1스위치(8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부재(20)는 구동실(110)의 측벽과 회전제어부재(840)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속돌기(841)를 기어골의 방향으로 가력하게 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제2스프링부재(20)는 제1치합기어(2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 회전제어부재(840)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회전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속돌기(841)가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제1치합기어(210)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허락한다.
상기와 같이 제1치합기어(210)가 회전되면, 기어골에 끼워진 구속돌기(841)가 기어산을 넘어 이웃한 또 다른 기어골에 치합되는데, 이렇게 또 다른 기어골에 치합되는 과정에서 제2스프링부재(20)는 구속돌기(841)가 또 다른 기어골에 끼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2제어부(9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제어부(900)는 제3고정부(700)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어슬롯(910), 레크기어(920), 제2제어통공(930), 연장부(940), 제2스위치(950), 제4스프링부재(40) 및 수평유지돌기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슬롯(9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정부(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되는 개방형 통공으로서, 이러한 제어슬롯(910)에는 구동실(11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940)가 끼워진다.
상기 레크기어(920)는 한 쌍의 부재이며, 제3고정부(700)의 상면에 형성되되, 제어슬롯(910)의 양측에서 제어슬롯(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기어이다.
상기 제2제어통공(930)은 하우징(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통공이며, 이러한 제2제어통공(930)에는 제2제어통공(930)과 연통됨과 동시에 구동실(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940)가 연속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장부(940)의 내벽에는 가이드돌기(94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돌기(941)에는 제2스위치(950)가 끼워져 가이드된다.
상기 제2스위치(950)는 하우징(100)의 배면에서 제2제어통공(930)에 끼워지되, 가이드돌기(941)에 끼워져 승하강이 가이드되며, 하부는 하우징(100)의 배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는 상술한 한 쌍의 레크기어(920)와 각각 치함되는 한 쌍의 이동돌기(95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의 배면 외부로 노출된 부분으로 사용자는 제2스위치(950)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4스프링부재(40)는 제2스위치(950)와 구동실(110)의 천정면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제2스위치(950)를 조작함에 따라 탄성력이 증감되어 한 쌍의 이동돌기(951)가 한 쌍의 레크기어(920)의 기어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4스프링부재(40)는 제2스위치(950)를 하우징(100)의 배면 측으로 가압하며, 사용자가 제2스위치(950)를 구동실(110) 측으로 가력함에 따라 탄성력이 증가되면서 이동돌기(951)가 레크기어(920)의 기어골에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돌기(951)가 레크기어(920)의 기어골에서 이탈되면, 제3고정부(700)는 자유롭게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유지돌기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정부(70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부재로서, 제3그립부(720)와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3그립부(720)가 외부로 이동시 제3고정부(700)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의 제1~3고정부가 휴대폰을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는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며,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는 제1스위치(820)에 의해 작동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돌기(841)가 제1회전기어(200)의 제1치합기어(210)의 기어골에 끼워져 있는 상태는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가 고정된 상태인데, 휴대폰을 하우징(100)의 정면에 지지하기 위해 제1그립부(520)와 제2그립부(620) 사이를 벌어지게 하려면, 사용자는 제1스위치(820)를 구동실 측으로 누른다.
상기와 같이 제1스위치(820)를 누르면 승하강돌기(830)가 상승하며, 승하강돌기(830)는 해제부(842)를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해제부(842)가 상승하면, 구속돌기(841)는 제1치합기어(210)의 기어골에서 이탈되며, 이에 따라, 제1치합기어(210)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이동부(510)의 하면에 형성된 제어돌기(511)와, 이 제어돌기(511)에 일측이 끼워진 제1스프링부재(10)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이 지지대(420)에 작용되면, 제1이동부(510)가 제1가이드레일(400)을 따라 폭방향(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이동부(510)에 결합되어 있는 제1결합기어(220)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결합기어(220)가 회전되면, 제1치합기어(210)가 회전되고, 제1치합기어(210)가 회전되면 제1치합기어(210)에 치합되어 있는 제2치합기어(310)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제2치합기어(310)가 회전되면, 제2결합기어(320)가 회전되고, 제2결합기어(320)가 회전되면, 제2결합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제2이동부(610)가 제2가이드레일(430)을 따라 폭방향(외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제1이동부(510)와 제2이동부(610)가 푹방향(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그립부(520)와 제2그립부(620)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휴대폰을 하우징(100)의 정면에 놓는다.
이후,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여 제1그립부(520)와 제2그립부(620)의 외측을 폭방향(내측방향)으로 가력하면, 제1이동부(510)와 제2이동부(610)가 제1가이드레일(400)과 제2가이드레일(430)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제1이동부(510)와 제2이동부(610)가 이동되면, 제1치합기어(210)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락하는 구속돌기(841)가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후퇴하는데, 후퇴하는 과정에서 구속돌기(841)가 제1치합기어(210)의 기어골들을 따라 이동되며, 이동시 제2스프링부재(20)가 구속돌기(841)를 기어골 측으로 가력하는 탄성력에 의해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이동부(510)와 제2이동부(610)는 휴대폰의 폭방향의 길이만큼 이동되며, 이동이 완료되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아니하고,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는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움켜쥐게 된다.
다음으로, 제3고정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로 휴대폰의 양측 길이방향 모서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라면, 제3고정부(700)는 휴대폰의 일측 폭방향 모서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3고정부(700)는 상술한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고정하기 전에 제3그립부(72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그립부(72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려면 사용자는 제2스위치(950)를 구동실(110) 측으로 가력하여 레크기어(920)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돌기(95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이동돌기(951)가 레크기어(920)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동돌기(95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제3이동부(710)가 제3가이드레일(44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제3그립부(720)를 잡고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후, 사용자는 제2스위치(950)를 누르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이동돌기(951)가 레크기어에 결합되어 제3고정부(700)는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3그립부(720)가 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평유지돌기는 구동실(110)의 천정면과 맞닿아 제3그립부(72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상기 제1고정부(500)와 제2고정부(600)로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가압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제3그립부(720)를 구동실(110) 측으로 전진시키면 레크기어(920)의 기어골에 끼워진 이동돌기(951)가 레크기어(920)의 기어산을 넘어가면서 휴대폰의 폭방향 모서리를 감싸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3고정부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본 발명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1스프링부재(10)는 제1스위치(820)의 승하강에 따라 탄성력이 증감되고, 제2스프링부재(20)는 구동실(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회전축(111)에 결합된 회전제어부재(840)의 회전에 의해 탄성력이 증감되며, 제4스프링부재(40)는 제2스위치(950)와 구동실의 천정면 사이에서 제2스위치(950)의 승하강에 따라 탄성력이 증감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제1스프링부재 20-제2스프링부재
30-제3스프링부재 40-제4스프링부재
100-하우징 101-전면부
102-배면부 103-길이방향슬롯
104-폭방향슬롯
110-구동실 111-회전축
120-연결부 121-연결브라켓
122-회전볼 123-회전방지부재
124-조작노브 125-고정부재
126-힌지
200-제1회전기어 210-제1치합기어
220-제1결합기어
300-제2회전기어 310-제2치합기어
320-제2결합기어
400-제1가이드레일 410-스톱퍼
420-지지대 430-제2가이드레일
440-제3가이드레일
500-제1고정부 510-제1이동부
511-제어돌기 520-제1그립부
521-러버부재
600-제2고정부 610-제2이동부
620-제2그립부 621-러버부배
700-제3고정부 710-제3이동부
720-제3그립부
800-제1제어부 810-제1제어통공
820-제1스위치 821-단턱
830-승하강돌기 840-회전제어부재
841-구속돌기 842-해제부
900-제2제어부 910-제어슬롯
920-레크기어 930-제2제어통공
940-연장부 941-가이드돌기
950-제2스위치 951-이동돌기
960-수평유지돌기

Claims (4)

  1. 정면으로 휴대폰의 배면을 지지하며, 배면에는 봉과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설치되되, 내부에는 구동실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길이방향슬롯 및 폭방향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폭방향슬롯이 상기 구동실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제1치합기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치합기어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1결합기어가 형성되는 제1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치합기어와 치합되는 제2치합기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2치합기어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2결합기어가 형성되는 제2회전기어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길이방향슬롯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길이방향슬롯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결합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되며, 상기 한 쌍의 길이방향슬롯 중 일측 길이방향슬롯을 출입하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감싸는 제1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결합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되되, 상기 한 쌍의 길이방향슬록 중 타측 길이방향슬롯을 출입하며, 상기 제1이동부와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휴대폰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상기 제1그립부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동시에 감싸는 제2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폭방향슬롯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과,
    상기 제3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3이동부:와, 상기 제3이동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휴대폰의 폭방향 모서리를 감싸는 제3그립부:를 포함하는 제3고정부와,
    상기 제1회전기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가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와,
    상기 제3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3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 형성되는 제어슬롯과,
    상기 제3고정부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어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레크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제어통공과,
    상기 제2제어통공에서 상기 구동실의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어슬롯에 끼워지며, 내벽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상기 제2제어통공에 끼워지되, 상기 가이드돌기에 끼워져 승하강되며,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는 상기 한 쌍의 레크기어와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이동돌기가 구비된 제2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구동실의 천정면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력이 증감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돌기가 상기 한 쌍의 레크기어의 기어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제4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고정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3그립부와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3그립부가 외부로 이동시 상기 제3고정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된 제1제어통공과,
    상기 제1제어통공에 설치되되, 일측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타측은 상기 제1제어통공에 걸리는 단턱에 의해 상기 제1제어통공에 고정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실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승하강돌기와,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에 구비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치합기어의 기어골에 끼워지되, 상기 제1결합기어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회전기어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락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승하강돌기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구속돌기와 상기 기어골의 결합을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부:가 포함되는 회전제어부재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구동실의 천정면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력이 증감되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구동실의 측벽과 상기 회전제어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골에 끼워진 상기 구속돌기가 상기 제1회전기어의 기어산을 넘어 또 다른 기어골에 치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스톱퍼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이동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이동부의 출입을 제어하여 상기 제1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돌기와,
    일측은 상기 제어돌기에 끼워져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결합기어의 구속 해제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4. 삭제
KR1020150066091A 2015-05-12 2015-05-12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KR10154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091A KR101546941B1 (ko) 2015-05-12 2015-05-12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091A KR101546941B1 (ko) 2015-05-12 2015-05-12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941B1 true KR101546941B1 (ko) 2015-08-25

Family

ID=5406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091A KR101546941B1 (ko) 2015-05-12 2015-05-12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9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174B1 (ko) 2017-07-26 2018-10-04 주식회사 씨피씨 원터치형 거치대
US10220796B2 (en) 2017-02-09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 holders
KR20220109530A (ko) * 2021-01-28 2022-08-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15B1 (ko) * 2013-10-21 2014-08-13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15B1 (ko) * 2013-10-21 2014-08-13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0796B2 (en) 2017-02-09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 holders
KR101904174B1 (ko) 2017-07-26 2018-10-04 주식회사 씨피씨 원터치형 거치대
KR20220109530A (ko) * 2021-01-28 2022-08-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KR102507070B1 (ko) * 2021-01-28 2023-03-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028B2 (en)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KR101159815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46941B1 (ko)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US20150355525A1 (en) Led cellular phone self-imagery enhancement device
KR200451879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KR20140005297U (ko) 휴대폰 홀더
KR10183731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40002938A (ko)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20083690A (ko)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KR101987581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KR101842886B1 (ko) 립스틱 용기
KR200439844Y1 (ko)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477899Y1 (ko) 다기능 효자손
KR102081859B1 (ko) 스마트 안경
CN214479754U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
CN105847478B (zh) 一种穿戴式智能手机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0467059Y1 (ko) 휴대기기 거치대
KR20130130921A (ko)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용 충전지
KR20120056580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