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859B1 - 스마트 안경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859B1
KR102081859B1 KR1020170178062A KR20170178062A KR102081859B1 KR 102081859 B1 KR102081859 B1 KR 102081859B1 KR 1020170178062 A KR1020170178062 A KR 1020170178062A KR 20170178062 A KR20170178062 A KR 20170178062A KR 102081859 B1 KR102081859 B1 KR 10208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upply passage
spectacle frame
mounting groo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340A (ko
Inventor
오 리처드
Original Assignee
오 리처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 리처드 filed Critical 오 리처드
Priority to KR102017017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859B1/ko
Priority to US16/210,529 priority patent/US10859828B2/en
Publication of KR2019007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3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 compressed gas container, e.g. a nitrogen cartridg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경 다리를 구비한 안경 프레임; 상기 안경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기능성 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카트리지; 상기 렌즈 프레임에 코걸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분사 노즐까지 기능성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통로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산소,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등의 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스마트 안경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종으로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다.
더불어, 최근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안경 타입으로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동되어 스마트 기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 기기를 대신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구글 글라스' 또는 '스포츠형 안경' 등과 같은 스마트 안경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안경은, 사용자가 안경과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글라스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휴대전화 및 카메라 기능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스마트 안경은 근본적으로 전자기기이므로, 전자파나 열을 발생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의 피로를 유발하고, 두통이나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042780호(2011.06.20.)
선행기술문헌 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09571호(2000.06.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산소,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등의 기능성 성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스마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경 다리를 구비한 안경 프레임; 상기 안경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기능성 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카트리지; 상기 렌즈 프레임에 코걸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분사 노즐까지 기능성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통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 프레임은 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카트리지가 적층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소진된 카트리지 대신에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공급 통로와 연결되도록, 소진된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상기 장착홈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을 슬라이딩되도록 조작 가능한 레버; 및 상기 장착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의 상단에 위치한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소진된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홈의 외부로 배출되고,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밀려서 상기 공급 통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안경 프레임은 측면에 복수 개의 상기 카트리지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 실린더가 내장된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소진된 카트리지 대신에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공급 통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장착 실린더를 회전시켜 소진된 카트리지 및 새로운 카트리지를 회전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상기 장착홈의 상단에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구를 천공하는 공이; 상기 공이가 슬라이딩되도록 조작 가능한 레버; 상기 레버와 상기 장착 실린더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1회 슬라이딩 왕복 운동시 상기 장착 실린더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1회 슬라이딩 왕복 운동시, 상기 장착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장착홈의 상단에 위치한 카트리지가 상기 공이로부터 멀어지고,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공이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이에 의해 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리지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안경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신축 가능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카트리지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급 통로와 상기 제2 공급 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질들을 배합하는 배합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배합 수단의 배합 비율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 프레임은 태양광 집광 패널 및 축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집광 패널은 복수 개로 적층되어 집광 효율을 증폭시킬 수 있는 투명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는 스마트폰 및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 프레임에는, 평상시 안경 렌즈로서 역할을 하고, 작동시 상기 단말기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상기 안경 다리는 각각 인출 가능한 2개의 분기부로 나뉘고, 상기 2개의 분기부 중 하나에는 상기 단말기용 이어폰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분기부 중 다른 하나에는 보청기용 이어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리지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 통로 및 제2 공급 통로는 각각 상기 안경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 및 사용자의 구강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에는 기체 압력 완충기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통로는 회동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 내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안경의 사용 중에, 사용자는 카트리지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 예를 들면 산소,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등의 성분을 흡입하여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이 내장된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카트리지를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경 프레임에 형성된 장착홈과 이 장착홈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카트리지 교체 수단의 대안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추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또 하나의 추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렌즈 프레임(110)과 한 쌍의 안경 다리(120)로 이루어진 안경 프레임(100), 안경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카트리지(200), 안경 프레임(100)에 형성된 분사 노즐(300) 및 카트리지(200)와 분사 노즐(300)을 연결하는 공급 통로(400)를 포함한다.
안경 프레임(100)의 렌즈 프레임(110)에는 한 쌍의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500)가 결합된다. 이 렌즈 프레임(110)의 양단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경 다리(120)가 구비된다,
카트리지(200)는 안경 프레임(10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카트리지(200)는 기능성 물질이 내장된 압력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200)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은 산소,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등과 같이 인체의 유익한 성분을 가지며, 소정의 압력을 갖는 기체 상태로 카트리지(200)에 저장될 수 있다.
분사 노즐(300)은 카트리지(200)에 내장된 기체 상태의 기능성 물질을 안경 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분사 노즐(300)은 렌즈 프레임(110)의 코걸이 부분(111)에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의 코 주변으로 기능성 물질을 배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기능성 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안경 프레임(100)에는 분사 노즐(300)을 개폐하는 밸브 및 이 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급 통로(400)는 안경 프레임(100)의 내부에 별도의 튜브로 매립되거나, 안경 프레임(100) 자체에 형성된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공급 통로(400)는 일단이 카트리지(200)와 연결되고 타단이 분사 노즐(300)과 연결되어, 카트리지(200)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을 분사 노즐(300) 측으로 공급해준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안경 프레임(100)의 렌즈 프레임(110)은 측면에 카트리지(200)가 장착되는 장착홈(130)을 구비한다. 이 장착홈(130)은 안경 프레임(100)의 측면 일부와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카트리지(200)는 장착홈(13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물론, 카트리지(200)는 장착홈(13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카트리지(200)는 2개 이상으로 적층되어 장착홈(13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홈(130)의 내측면 상부에는 공급 통로(400)와 연결된 접속부(140)가 구비되고, 카트리지(200)는 이 접속부(140)에 접속되어 내장된 기능성 물질이 공급 통로(40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여기서, 접속부(140)는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10)를 누르는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10)는 접속부(140)의 돌기에 의해 눌려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배출구(210)에는 접속부(140)의 돌기에 의해 파열되어 내부의 기능성 물질이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파열성 막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접속부(140)의 돌기는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10)를 펀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착홈(130)에는 카트리지(200)가 소진된 경우, 소진된 카트리지 대신에 새로운 카트리지가 공급 통로(400)와 연결되도록, 소진된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 수단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장착홈(130)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턱(131), 걸림턱(131)을 이동시키는 레버(132) 및 걸림턱(131)를 카트리지(200)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133)를 포함한다. 먼저, 걸림턱(131)은 장착홈(130)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안경 프레임(100)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걸림턱(131)의 측방향 단부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133)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133)는 걸림턱(131)이 장착홈(1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을 가압한다. 레버(132)는 걸림턱(131)의 상부에서 걸림턱(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걸림턱(131)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탄성 부재(133)는 장착홈(130)에 삽입된 카트리지들(200)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이 탄성 부재(133)의 상부에는 가압 패드(134)가 설치되고, 가압 패드(134)는 탄성 부재(1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카트리지(2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때, 장착홈(13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31)에 의해, 카트리지(200)는 장착홈(130)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장착홈(130) 내에서 최상부에 위치한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10)는 접속부(140)와 접속되어 공급 통로(400) 측으로 기능성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착홈(130)의 최상부에 위치한 카트리지(200)가 소진된 경우, 사용자가 레버(132)를 측방향으로 조작하면, 걸림턱(131)이 안경 프레임(100) 내부로 슬라이딩되고, 탄성 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카트리지들(200)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장착홈(130)에서 최상부의 카트리지(200)를 제거한 후, 레버(132) 조작을 멈추면 된다. 그러면, 소진된 카트리지의 바로 아래에 있던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새로운 카트리지의 배출구(210)가 접속부(140)와 접속되어 공급 통로(400) 측으로 기능성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수동식 구성이지만, 대안적으로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자동식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개별 카트리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 이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소진된 카트리지를 장착홈(13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동되는 해제 기구 및 장착홈(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트리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제 기구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술한 걸림턱(131)을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전술한 수동식 구성에 카트리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사용 중에, 사용자는 카트리지(200)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 예를 들면 산소,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등의 성분을 흡입하여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이 내장된 카트리지(200)가 소진된 경우, 카트리지를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4a와 4b를 참조하면, 안경 프레임(100)은 측면에 복수 개, 예를 들면 10개의 카트리지들(200)이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 실린더(150)가 내장된 장착홈(1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장착홈(130)에는 하나의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소진된 카트리지 대신에 새로운 카트리지가 공급 통로(400)와 연결되도록, 장착 실린더(150)를 회전시켜 소진된 카트리지 및 새로운 카트리지를 회전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 수단을 포함하다. 여기서,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리볼러(revolver) 방식으로 장착 실린더(1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장착홈(130)의 상단에는 전술한 걸림턱(131)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공이(131')가 구비된다. 이 공이(131')는 탄성 부재(133')에 의해 가압되고,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장착홈(130)의 상단에 위치한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10)를 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이(131')의 상부에는 공이(131')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레버(132')가 구비된다. 또한, 공이(131')의 하부에는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10)를 펀칭하는 돌기 형태의 접속부(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장착 실린더(150)와 레버(132') 사이에는 기어부(160)가 결합된다. 이 기어부(160)는 연결 기어들(미도시)을 이용하여 장착 실린더(150)와 레버(13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16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레버(132')가 정위치에서 후퇴하면 장착 실린더(150)를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10개의 카트리지들을 수용하는 장착 실린더(150)의 경우, 레버(132')가 후퇴하면 장착 실린더(150)는 36도만큼 회전한다. 그러면, 소진된 카트리지, 즉 장착홈(130)의 상단의 카트리지가 공이(131')로부터 멀어지고 새로운 카트리지가 공이(131')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후퇴 위치에 있는 레버(132')에서 손을 떼면, 공이(131')는 탄성 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새로운 카트리지의 배출구(210)를 펀칭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술한 카트리 교체 수단은 카트리지들(200)을 리볼버 방식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가 장착되는 장착홈(130)은 안경 프레임(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200)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200a)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200b)를 포함하고, 제1 카트리지(200a)는 안경 프레임(100)의 일측면의 장착홈(130)에 장착되고, 제2 카트리지는 안경 프레임(100)의 타측면의 장착홈(130)에 장착된다. 또한, 공급 통로(400)는 제1 카트리지(200a)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400a) 및 제2 카트리지(200b)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400b)를 포함한다. 그리고, 분사 노즐(300)은 제1 카트리지(200a)와 연결되는 제1 분사 노즐(300a) 및 제2 카트리지(200b)와 연결되는 제2 분사 노즐(30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분사 노즐(300a) 및 제2 분사 노즐(300b)은 안경 프레임(100)의 코걸이 부분에 하나씩 구비된다. 또한, 제1 분사 노즐(300a) 및 제2 분사 노즐(300b)은 안경 프레임(100)의 코걸이 부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분사 노즐(30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구성되어, 사용 시에만 외측으로 신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가 장착되는 장착홈(130)은 안경 프레임(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200)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200a)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200b)를 포함하고, 제1 카트리지(200a)는 안경 프레임(100)의 일측면의 장착홈(130)에 장착되고, 제2 카트리지(200b)는 안경 프레임(100)의 타측면의 장착홈(130)에 장착된다. 그리고, 공급 통로(400)는 제1 카트리지(200a)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400a) 및 제2 카트리지(200b)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4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경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제1 공급 통로(400a)와 제2 공급 통로(400b)를 통해 공급되는 물질들을 배합하는 배합 수단(600)이 구비된다. 이 배합 수단(600)은 제1 카트리지(200a)의 기능성 물질과 제2 카트리지(200b)의 기능성 물질의 배합 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합 비율의 조절은 배합 수단(600)과 연결된 제1 공급 통로(400a) 및 제2 공급 통로(400b)를 개폐하는 온/오프 밸브(610, 620)의 개폐 시간을 조절하여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안경 프레임(100)에 구비된 터치식 버튼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밸브(610, 620)의 개폐가 제어되어, 배합 수단(600)의 배합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프레임(100)은 태양광 집광 패널 및 축전지(700)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축전지(700)는 전기 에너지가 필요한 스마트 안경의 부품들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도 7 참조).
여기서, 태양광 집광 패널은 안경 프레임(100)의 표면에 복수 개로 적층되어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증폭시킬 수 있는 렌즈와 같은 투명 소재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스마트폰 및 컴퓨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이 단말기는 안경 프레임(100)에 내장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데이터 저장 메모리, 음성 녹음, 영상 녹화, 웹 서핑, 음성 수신 및 발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안경 프레임(100)의 렌즈 프레임(110)에는 평상시 안경 렌즈로서 역할을 하고, 작동시 단말기의 콘텐츠나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500)가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500)는 선글라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명암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의 기능 선택 및 디스플레이(500)의 전환은 안경 프레임(100)의 상면에 구비된 터치식 작동 버튼들(51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한 쌍의 안경 다리(120)는 각각 2개의 분기부로 나뉘고, 이 2개의 분기부 중 하나에는 단말기용 이어폰(121)이 구비되며, 2개의 분기부 중 다른 하나에는 보청기용 이어폰(122)이 구비된다(도 1 참조). 그리고, 분기부들은 인출 가능한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들(121, 122)은 안경 프레임(100)에 구비된 터치식 버튼들(20)에 의해 전원 및 음량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30은 단말기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식 버튼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카트리지(200a, 200b)와 연결된 공급 통로(400a, 400b)가 사용자의 코를 향하여 연장된 제1 통로(400a', 400b') 및 사용자의 입을 향하여 연장된 제2 통로(400a", 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로(400a", 400b")는 안경 프레임(100)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통로(400a", 400b")는 튜빙(tub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부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통로(400a", 400b")는 환자의 구강 안으로 직접 기능성 물질이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직접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하다. 한편, 환자에게 기능성 물질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기능성 물질이 필요하므로, 카트리지(200a, 200b)만으로는 충분한 양을 감당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다량의 기능성 물질이 저장된 별도의 저장 용기(미도시)를 카트리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용기는 환자들이 수용된 병원에 비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카트리지(200a, 200b)로부터 공급 통로(400a, 400b) 측으로 공급되는 기능성 물질 기체의 압력을 완충하기 위한 기체 압력 완충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체 압력 완충기(800)는 제1 통로(400a', 400b')와 제2 통로(400a", 400b")에 결합되어 노즐 측으로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을 어느 정도 완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체 압력 완충기(800)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버퍼로서 구성되어,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기체의 압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2 통로(400a", 400b")는 안경 프레임(100) 측으로 회동되어 안경 프레임(100) 내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한 쌍의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경 다리를 구비한 안경 프레임;
    상기 안경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기능성 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카트리지;
    상기 렌즈 프레임에 코걸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분사 노즐까지 기능성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은 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카트리지가 적층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소진된 카트리지 대신에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공급 통로와 연결되도록, 소진된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상기 장착홈의 상단에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을 슬라이딩되도록 조작 가능한 레버; 및 상기 장착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의 상단에 위치한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소진된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홈의 외부로 배출되고,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밀려서 상기 공급 통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2. 한 쌍의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경 다리를 구비한 안경 프레임;
    상기 안경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기능성 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카트리지;
    상기 렌즈 프레임에 코걸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에 내장된 기능성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분사 노즐까지 기능성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은 측면에 복수 개의 상기 카트리지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 실린더가 내장된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소진된 경우, 소진된 카트리지 대신에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공급 통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장착 실린더를 회전시켜 소진된 카트리지 및 새로운 카트리지를 회전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교체 수단은,
    상기 장착홈의 상단에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구를 천공하는 공이; 상기 공이가 슬라이딩되도록 조작 가능한 레버; 상기 레버와 상기 장착 실린더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1회 슬라이딩 왕복 운동시 상기 장착 실린더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1회 슬라이딩 왕복 운동시, 상기 장착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장착홈의 상단에 위치한 카트리지가 상기 공이로부터 멀어지고, 새로운 카트리지가 상기 공이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이에 의해 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안경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신축 가능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급 통로와 상기 제2 공급 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질들을 배합하는 배합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배합 수단의 배합 비율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은 태양광 집광 패널 및 축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집광 패널은 복수 개로 적층되어 집광 효율을 증폭시킬 수 있는 투명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부에는 스마트폰 및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 프레임에는, 평상시 안경 렌즈로서 역할을 하고, 작동시 상기 단말기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7. 제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안경 다리는 각각 인출 가능한 2개의 분기부로 나뉘고, 상기 2개의 분기부 중 하나에는 단말기용 이어폰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분기부 중 다른 하나에는 보청기용 이어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산소가 내장된 제1 카트리지 및 타우린, 비타민,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제1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1 공급 통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제2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 통로 및 제2 공급 통로는 각각 상기 안경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 및 사용자의 구강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에는 기체 압력 완충기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통로는 회동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 내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78062A 2017-12-22 2017-12-22 스마트 안경 KR10208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62A KR102081859B1 (ko) 2017-12-22 2017-12-22 스마트 안경
US16/210,529 US10859828B2 (en) 2017-12-22 2018-12-05 Smart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62A KR102081859B1 (ko) 2017-12-22 2017-12-22 스마트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40A KR20190076340A (ko) 2019-07-02
KR102081859B1 true KR102081859B1 (ko) 2020-02-26

Family

ID=6695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062A KR102081859B1 (ko) 2017-12-22 2017-12-22 스마트 안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59828B2 (ko)
KR (1) KR102081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1911B (zh) * 2021-06-03 2022-11-22 四川泽南世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微量元素的保健眼镜框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467B1 (en) * 1998-04-14 2001-08-07 Richard W. Ye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mputer vision syndrome
US7306332B2 (en) * 2005-08-30 2007-12-11 Chien Pong Chen Eyewear temple assembly
US7784936B2 (en) * 2008-02-19 2010-08-31 Steve Stinson Ophthalmic solution dispensing device
US7981097B2 (en) * 2008-03-27 2011-07-19 Paoli Jr Alexander Delli Medical devic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ye and respiratory tract conditions
KR102399731B1 (ko) * 2013-04-22 2022-05-20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스위칭 가능한 가스 및 액체 방출 및 전달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50007453A (ko) * 2013-07-11 2015-01-21 주수영 향기를 발산하는 안경테와 그 코 패드
JP2017181584A (ja) * 2016-03-28 2017-10-05 京セラ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40A (ko) 2019-07-02
US20190196191A1 (en) 2019-06-27
US10859828B2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2364C (en) Mobile phone holder
CN204031223U (zh) 一种活动听筒闪光灯摄像头全屏智能手机
US10031340B2 (en) Head mounted device
CN207838250U (zh) 一种手机游戏手柄
US20150355525A1 (en) Led cellular phone self-imagery enhancement device
KR102081859B1 (ko) 스마트 안경
TWM487584U (zh) 瓶蓋式無線喇叭
KR101546941B1 (ko)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CN105183175B (zh) 穿戴式通讯设备
CN205285383U (zh) 一种眼镜收纳盒
CN206638914U (zh) 一种滴眼药水眼镜
CN207380383U (zh) 一种带蓝牙模块的智能眼镜
CN105847478B (zh) 一种穿戴式智能手机
CN206421432U (zh) 一种便携式存储终端
CN110133992A (zh) 拍摄方向可调的智能手表
CN212933144U (zh) 一种智能调节松紧的vr头盔一体机
CN210860559U (zh) 一种实现ar拍照的结构
CN112462516A (zh) 智能眼镜
CN208508991U (zh) 一种双屏显示手机
CN209086693U (zh) 一种拍摄方向可调的智能手表
CN210515086U (zh) 智慧社区的居民手持终端
CN204206277U (zh) 手机支架键盘
CN202376108U (zh) 一种血氧检测仪
CN206611471U (zh) 一种可装眼镜的手机套
CN207354510U (zh) 集成摄像头和vr虚拟现实视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