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44Y1 -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 Google Patents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44Y1
KR200439844Y1 KR2020070001777U KR20070001777U KR200439844Y1 KR 200439844 Y1 KR200439844 Y1 KR 200439844Y1 KR 2020070001777 U KR2020070001777 U KR 2020070001777U KR 20070001777 U KR20070001777 U KR 20070001777U KR 200439844 Y1 KR200439844 Y1 KR 200439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ing
mobile phone
battery
safety
phon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관
Original Assignee
오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관 filed Critical 오재관
Priority to KR2020070001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상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은 휴대폰의 밧데리 결합시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면상에 안전고리와 상기 안전고리의 작동버튼으로 구성된 안전고리구조체를 매설하고 작동버튼을 밀면 안전고리가 직립작동되고 다시 작동버튼을 당기면 안전고리가 접히게 작동되어 휴대폰의 사용시 휴대폰을 떨어트리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안전고리가 밧데리 외부로 나오지 않게 안전고리의 단면 직경 만큼 고정홈을 만든 구조이므로, 휴대폰 통화시에는 휴대폰의 밧데리상에 안전고리를 세워서 검지등의 손가락을 안전고리에 끼워서 사용하므로 통화시에 휴대폰을 바닥에 떨어뜨려 파손등의 망실을 미연에 방지하며, 또한 휴대폰 밧데리 교체시에 휴대폰이나 밧데리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휴대폰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portablephone with a ring in a battery}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가 접혀진 휴대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가 접혀진 휴대폰의 밧데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가 사용가능하도록 직립상태로 기립된 휴대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가 사용가능하도록 직립상태로 기립된 휴대폰의 밧데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는 도2의 I-I선을 따라 취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가 접혀진 휴대폰의 밧데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가 접혀진 휴대폰의 사시도
도 7은 도6의 II-II선을 따라 취한 안전고리가 사용가능 하도록 직립상태로 기립된 휴대폰의 밧데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휴대폰 본체 100. 휴대폰밧데리
101. 안전고리구조체 102. 안전고리
103. 조절버튼
본 고안은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휴대폰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사용되는 밧데리상에 손가락으로 밀어 조절하는 버튼과 버튼이 밀려 올라오면 일어서는 안전고리를 설치한것으로, 버튼을 검지등으로 밀어 올리면 고리가 일어서게 되어 검지등을 안전고리에 걸어서 안전한 통화를 하거나 휴대폰 밧데리 교환시 휴대폰이나 밧데리를 떨어뜨려 발생하는 휴대폰 파손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버튼을 반대로 밀어 고리를 눕혀 주머니나 가방등에 집어넣을 수 있게하여 휴대폰에 대한 휴대의 편리를 최대한 도모하기 위한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폰이나 휴대폰의 밧데리에는 직접 고리가 설치되어 출시되지 않았고 다만 휴대폰 본체에만 휴대고리를 걸 수 있는 홈이 있었을 뿐이었다.
이 때문에, 휴대폰 사용자가 통화중 조금의 부주의에도 휴대폰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또한 휴대폰의 밧데리 교체시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해서 홈에서 휴대폰 본체와 밧데리를 분리하느라 힘을 사용하다가 휴대폰 본체와 밧데리 모두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상당히 있었다.
이와 같은 휴대폰과 휴대폰의 밧데리의 떨어짐에 의한 파손에 의하여 휴대폰과 휴대폰의 밧데리의 내구수명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의 밧데리상에 손가락으로 밀어 조절하는 버튼과 버튼이 밀려 올라오면 일어서는 안전고리를 설치한 것으로, 버튼을 검지등으로 밀어 올리면 안전고리가 일어서게 되어 검지등을 안전고리에 걸어서 안전한 통화를 하거나 휴대폰 밧데리 교환시 휴대폰이나 밧데리를 떨어뜨려 발생하는 휴대폰 파손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버튼을 반대로 밀어 안전고리를 눕혀 주머니나 가방등에 집어넣을 수 있게하여 휴대폰에 대한 휴대의 편리를 최대한 도모하기 위한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밧데리 결합시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면상에 안전고리와 상기 안전고리의 작동버튼으로 구성된 안전고리구조체를 매설하고 작동버튼을 밀면 안전고리가 직립작동되고 다시 작동버튼을 당기면 안전고리가 접히게 작동되어 휴대폰의 사용시 휴대폰을 떨어트리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안전고리가 밧데리 외부로 나오지 않게 안전고리의 단면 직경 만큼 홈을 만들어 안전고리 미 사용시에는 부피문제나 걸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에 의 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A)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휴대폰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휴대폰밧데리(100)가 결합된다.
상기 휴대폰밧데리(100)의 노출면(100a)상에는 안전고리구조체(101)가 매설되어 있다. 상기 안전고리구조체(101)는 사용자의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이 끼워지며 기립작동이 가능한 안전고리(102)와 상기 안전고리(102)를 기립작동시키도록 전후진 작동되는 조절버튼(103)을 포함한다.
상기 휴대폰밧데리(100)의 휴대폰 본체(10)에 고정시 외측으로 드러나는 노출면(100a)상에는 안전고리(102)가 직립작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고리(10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부가 원호상의 가옥형상이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안전고리(102)의 휴대폰밧데리(100)에 접하는 하단부에는 하향연장된 하향돌출부(102a)가 설치되고 상기 하향돌출부(102a)의 양측에는 휴대폰밧데리(100)에 직립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힌지고정부(102b)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폰밧데리(100)의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100a)에 조절버튼(103)이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버튼이 안내되는 안내대(104)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안내대가 없이 소정의 깊이만큼 안내홈을 파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조절버튼(103)에는 상기 안전고리(102)의 하향돌출부(102a)가 위치되는 곳에 상기 하향돌출부(102a)와 부딪혀서 상기 안전고리(102)를 작동시키는 작동홈(10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홈(103a)의 일면은 안전고리(102)를 기립시킬시에 작동되고 상기 작동홈(103a)의 타면은 안전고리(102)를 접을 때에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안전고리(102)가 일측 방향으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구성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조절버튼(103)이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안전고리(102)가 접혀져 있고, 상기 조절버튼(103)을 밀어 올리면 안전고리(102)의 하향돌출부(102a)가 밀리면서 힌지고정부(102b)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안전고리(102)를 90도 내지 150도 정도를 회전시켜 일어서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전고리(102)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휴대폰 밧데리(100)상에 안전고리 단면의 직경 만큼 고정홈(105)을 파서 안전고리(102)의 걸리적 거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고리(102)가 설치된 밧데리가 부착된 휴대폰(A)의 안전고리(102)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버튼(103)을 전방으로 밀면, 조절버튼(103)의 좌측의 작동홈(103a)이 안전고리(102)의 하향돌출부(102a)를 밀게 되므 로 안전고리(102)는 힌지고정부(102b)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90도 정도로 회전되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안전고리(102)상에 손을 걸고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므로 휴대폰의 이탈이 미연에 방지되게 되므로 휴대폰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절버튼(103)을 후방으로 밀면 조절버튼(103)의 우측의 작동홈(103a)이 안전고리(102)의 하향돌출부(102a)를밀게 되므로 안전고리(102)는 힌지고정부(102b)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고정홈(105)상에 안착되게 접히게 되므로 아무런 돌출된 부분이 없이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거나 가방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밧데리(100)의 노출면(100a)상에 안전고리구조체(101)가 횡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다. 상기 안전고리(102)의 하단부에 원통기어(108)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기어(108)의 양측에는 직립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된 힌지고정부(109)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버튼(103)에는 상기 안전고리(102)의 원통기어(108)가 위치되는 곳에 상기 원통기어(108)와 맞물려 상기 안전고리(102)를 작동시키는 래크기어(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고리(102)가 설치된 휴대폰밧데리(100)가 부착된 휴대폰(A)의 안전고리(102)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버튼(103)을 전방으로 밀면, 조절버튼(103)의 일측에 형성된 래크기어(110)가 안전고리(102)의 원통기 어(108)와 맞물려 작동하게 되므로 안전고리(102)는 힌지고정부(109)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직립 상태로 기립되는 것이다. 또한, 휴대폰(A)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절버튼(103)을 후방으로 밀면 조절버튼(103)의 래크기어(110)가 안전고리(102)의 원통기어(108)와 작동하게 되므로 안전고리(102)는 힌지고정부(109)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고정홈(105)상에 안착되게 접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상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은 휴대폰의 밧데리 결합시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면상에 안전고리와 상기 안전고리의 작동버튼으로 구성된 안전고리구조체를 매설하고 작동버튼을 밀면 안전고리가 직립작동되고 다시 작동버튼을 당기면 안전고리가 접히게 작동되어 휴대폰의 사용시 휴대폰을 떨어트리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안전고리가 밧데리 외부로 나오지 않게 안전고리의 단면 직경 만큼 고정홈을 만든 구조이므로, 휴대폰 통화시에는 휴대폰의 밧데리상에 안전고리를 세워서 검지등의 손가락을 안전고리에 끼워서 사용하므로 통화시에 휴대폰을 바닥에 떨어뜨려 파손등의 망실을 미연에 방지하며, 또한 휴대폰 밧데리 교체시에 휴대폰이나 밧데리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휴대폰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폰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휴대폰밧데리(100)가 결합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밧데리(100)의 노출면(100a)상에는 안전고리구조체(101)가 매설되고, 상기 안전고리구조체(101)는 기립작동이 가능한 안전고리(102)와 상기 안전고리(102)를 기립작동시키도록 전후진 작동되는 조절버튼(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102)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안전고리(102)가 휴대폰 밧데리(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휴대폰 밧데리(100)상에 안전고리 단면의 직경 만큼 고정홈(1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3. 휴대폰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휴대폰밧데리(100)가 결합된 휴대폰(A)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밧데리(100)의 노출면(100a)상에는 안전고리구조체(101)가 횡방 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안전고리구조체(101)는 기립작동이 가능한 안전고리(102)와 상기 안전고리(102)를 기립작동시키도록 전후진 작동되는 조절버튼(103)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고리(102)의 휴대폰밧데리(100)에 접하는 하단부에는 원통기어(108)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기어(108)의 양측에는 휴대폰밧데리(100)에 직립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힌지고정부(109)가 설치되고,
    휴대폰밧데리(100)의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100a)에 조절버튼(103)이 전후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절버튼(103)에는 상기 안전고리(102)의 원통기어(108)가 위치되는 곳에 상기 원통기어(108)와 맞물려서 상기 안전고리(102)를 작동시키는 래크기어(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4. 휴대폰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휴대폰밧데리(100)가 결합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밧데리(100)의 노출면(100a)상에는 안전고리구조체(101)가 매설되고, 상기 안전고리구조체(101)는 기립작동이 가능한 안전고리(102)와 상기 안전고리(102)를 기립작동시키도록 전후진 작동되는 조절버튼(103)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고리(102)의 휴대폰밧데리(100)에 접하는 하단부에는 하향연장된 하향돌출부(102a)가 설치되고 상기 하향돌출부(102a)의 양측에는 휴대폰밧데 리(100)에 직립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힌지고정부(102b)가 설치되고,
    휴대폰밧데리(100)의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100a)의 상기 안전고리(102)의 하부에 상기 하향돌출부(102a)와 부딪혀서 상기 안전고리(102)를 기립 및 수평작동시키는 작동홈(103a)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버튼(103)이 전후진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KR2020070001777U 2007-01-12 2007-01-31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KR200439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777U KR200439844Y1 (ko) 2007-01-12 2007-01-31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606 2007-01-12
KR2020070001777U KR200439844Y1 (ko) 2007-01-12 2007-01-31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44Y1 true KR200439844Y1 (ko) 2008-05-07

Family

ID=4164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777U KR200439844Y1 (ko) 2007-01-12 2007-01-31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84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908A1 (ko) * 2011-01-21 2012-06-28 Kim Hye-Ryon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267636B1 (ko) 2012-11-09 2013-05-27 원무웅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WO2013151324A1 (ko) * 2012-04-03 2013-10-10 Kim Beom Ji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RU182986U1 (ru) * 2017-12-27 2018-09-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вестиционная группа "Коперник" Подставка-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0490062Y1 (ko) * 2019-01-24 2019-11-04 전형우 핑거링 액세서리 및 이를 구비한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908A1 (ko) * 2011-01-21 2012-06-28 Kim Hye-Ryon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13151324A1 (ko) * 2012-04-03 2013-10-10 Kim Beom Ji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267636B1 (ko) 2012-11-09 2013-05-27 원무웅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RU182986U1 (ru) * 2017-12-27 2018-09-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вестиционная группа "Коперник" Подставка-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0490062Y1 (ko) * 2019-01-24 2019-11-04 전형우 핑거링 액세서리 및 이를 구비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844Y1 (ko)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JP5553053B2 (ja) 電池パック、電動工具及び充電器
US7619388B1 (en) Detachable back-up battery pack for cell phone
GB2293056A (en) Charging the batteries of radio telephones
KR101192287B1 (ko) 투시창이 마련된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JP2009032595A (ja) 携帯型電子機器ケースの電池パック収納部構造
JP200611560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1546941B1 (ko)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FR2974642B1 (fr) Etui de protection pour une console de jeux
KR101558730B1 (ko)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KR20120003271U (ko) 거치대 겸용 휴대폰 케이스
US8727170B2 (en) Cover lock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N210215949U (zh) 一种带有防触电结构的无线充电电熨斗组件
CN208386184U (zh) 多功能移动电源
KR200483488Y1 (ko) 파지용 휴대폰 케이스
KR1009685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AU2021105960A4 (en) Counterweight Type Incense Socket
JP2010022563A (ja) 電気掃除機
JP2005237572A (ja) 携帯用傘ホルダー
KR200475921Y1 (ko)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한 휴대폰 충전기
CN216479723U (zh) 一种支架
CN215221785U (zh) 一种多功能旅行充电装置
CN211046523U (zh) 一种便携式多电压太阳能充电设备
KR20100004314A (ko) 이동 단말기용 스트랩 홀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