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535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535B1
KR100968535B1 KR1020080007068A KR20080007068A KR100968535B1 KR 100968535 B1 KR100968535 B1 KR 100968535B1 KR 1020080007068 A KR1020080007068 A KR 1020080007068A KR 20080007068 A KR20080007068 A KR 20080007068A KR 100968535 B1 KR100968535 B1 KR 10096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e
charging
charging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142A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단자의 상시 노출로 인한 저온 화상과 같은 부상의 염려가 없고 충전단자의 안전도 고려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는 충전단자가 상시 노출되어 있으므로 충전단자에 피부가 닿으면 저온 화상을 당할 가능성이 있어 위험하고, 또 충전단자가 다른 물체에 부딪쳐 파손되거나 일그러지는 등 손상될 염려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저온 화상의 위험이 없고, 충전단자의 안전도 보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가 출현되지 않아 안타깝다.
본 발명은 충전단자의 무단 촉수로 인한 저온 화상의 우려가 없고, 충전단자도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충전 시에는 단자공 속에 숨어 있다가 배터리가 장전되면 단자공으로 튀어나와 배터리의 단자에 접촉되므로서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에 배터리를 거두면 다시 단자공 속으로 숨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출몰식 충전단자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슬라이더, 복귀스프링, 충전단자, 단자 지지구, 단자공, 접촉자, 안내공, 지지구공, 경사캠, 접점, 축, 종동부, 단자걸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Charg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충전단자의 상시 노출로 인한 저온 화상과 같은 부상의 염려가 없고 충전단자의 안전도 고려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전되는 외장용 배터리는 용량이 저마다 달라 사용시간이 어떤 것은 길고 또 어떤 것은 짧다.
1회 충전당 사용시간이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시간에 상응하는 만큼 방전된다.
방전된 배터리는 충전된 다른 배터리로 교체하거나 충전해야 이동통신 단말기를 계속 사용할 수가 있다.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는 충전단자가 상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늘 노출된 상태인 충전단자에 피부가 닿으면 저온 화상을 당할 가능성이 있어 위험하다.
또, 충전단자가 다른 물체에 부딪쳐 파손되거나 일그러지는 등 손상될 염려 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저온 화상의 위험이 없고, 충전단자의 안전도 보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가 출현되지 않아 안타깝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단자의 무단 촉수로 인한 저온 화상의 우려가 없고, 충전단자도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비충전 시에는 단자공 속에 숨어 있다가 배터리가 장전되면 단자공으로 튀어나와 배터리의 단자에 접촉되므로서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에 배터리를 거두면 다시 단자공 속으로 숨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출몰식 충전단자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로 달성할 수 있다.
비충전 시에는 충전단자가 단자공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손길이 닿지 않으므로 저온 화상을 입을 우려가 없고, 원하지 않는 외부 물체와의 접촉 가능성도 배제되어 외부 물체와의 물리적 접촉으로 인한 충전단자의 변형, 손상, 파손의 우려로부터도 안심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는 상부 케이스(1) 와 하부 케이스(2), 슬라이더(3), 복귀스프링(4), 충전단자(5), 단자 지지구(6) 및 잠금 노브(7)로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1)는 하부 케이스(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 즉 슬라이더(3)와 복귀스프링(4) 그리고 충전단자(5)와 단자 지지구(6) 및 잠금 노브(7)가 저마다의 위치에서 주어진 역할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배터리좌(11)의 선단 쪽에는 슬라이더 접촉자가 헐겁게 끼워지는 접촉자공(12)이 천공되어 있고, 배터리좌(11)의 후반부와 후단에는 충전단자 접점 출입용 단자공(13)과 잠금 노브가 설치되는 노브공(1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는 상부 케이스(1) 밑에 결합하여 상부 케이스(1)에 딸린 구성요소를 단지 보호하고, 슬라이드(3)가 미끄럼 이동하여 충전단자를 출몰시킬 때 그 움직임이 안정되도록 밑을 받쳐주는 역할이 주된 임무이며, 바닥에는 슬라이더(3)의 활동방향으로 평탄하게 돌출된 슬라이더용 미끄럼대(21)가 있다.
또, 미끄럼대(21)의 직후방에는 슬라이더(3)의 저면 양쪽에 형성된 날개를 안내하는 날개안내부(22)도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는 배터리좌(11)에 충전할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장전하면 상부 케이스(1) 상에서 미끄럼대(21)의 도움을 받아 접촉자공(12) 쪽으로 전진하면서 충전단자를 노출시키고 대기위치로 복귀하면서 충전단자를 숨기는 것으로, 선단에는 접촉자공(12)에 헐겁게 끼워져서 배터리좌(11)에 장전되는 배터리의 선단에 닿으면 밀려서 슬라이더(3)가 전진되도록 하는 접촉자(31)가 돌출되어 있고, 전반부의 판면 상에는 상기한 상부 케이스(1)의 스프링 걸이(16)(도 3 및 도 5 참조)에 끼워져서 안내를 받는 안내공(32)도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3)의 후단에는 충전단자(5)가 결합된 단자 지지구(6)를 들어 앉힐 지지구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공(33)은 사각공이며, 좌우 공벽의 내면에는 방향과 형상이 동일한 경사캠(34)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캠(34)은 뒤쪽으로 상향 경사져서 전진할 때 단자 지지구(6)를 상승시켜 거기에 결합된 충전단자(5)가 단자공(13)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복귀시에는 단자 지지구(6)를 하강시킴으로써 단자공(13)으로 노출된 충전단자를 숨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내공(32)의 선단 쪽에는 상부 케이스(1)측 스프링 걸이(16)에 대응하여 복귀스프링(4)의 선단을 거는 스프링 걸이(35)도 형성되어 있다.
복귀스프링(4)은 상부 케이스(1)의 스프링 걸이(16)와 슬라이더(3)의 스프링 걸이(35)에 선단과 후단을 걸어서 슬라이더(3)가 항상 충전단자(5)를 숨기는 방향으로 쏠리게 하는 것이다.
충전단자(5)는 단자공(13)으로 드나드는 접점(51)과 단자 지지구(6)의 뒤쪽 저면에 걸리는 후반부(52) 사이에 단자 지지구(6)의 축에 끼워 거는 축공(53)을 둔 탄성 단자이다.
단자 지지구(6)는 지지구공(33)에 헐겁게 끼워져서 슬라이더(3)가 전진하고 복귀할 때마다 그 경사캠(34)을 타고 승강하면서 단자공(13)으로 충전단자(5)를 노출시키고 숨게 하는 것으로, 옆길이는 지지구공(33)의 폭 보다도 기계적 허용공차만큼 작게 형성하여 지지구공(33) 내에서 자유롭게 승강되도록 하고, 전후 폭은 지 지구공(33)의 전후방향쪽 길이 보다도 훨씬 작게 형성하여 양자 사이의 공간 내에서 충전단자(5)가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게 한다.
단자 지지구(6)의 앞벽과 뒷벽 중간에는 충전단자(5)의 축공(53)을 끼워서 거는 축(61)을 형성하고, 앞벽과 뒷벽의 양단에는 경사캠(34)을 미끄럼타고 다니는 종동부(62)도 함께 형성한다.
잠금 노브(7)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충전기에 관행적으로 갖춰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의 저면에는 슬라이더(3)가 정숙하고 바르게 활동하도록 슬라이더(3)의 길이방향의 양측을 안내하는 옆가이드(15)와 복귀스프링(4)의 선단을 걸어서 지지하는 스프링 걸이(16)도 함께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조립은 단자 지지구(6)에 충전단자(5)를 먼저 결합 후 슬라이더(3)의 지지구공(33)에 내장하고, 상부 케이스(1)에 대한 슬라이더(3)의 결합, 복귀스프링(4)의 장전, 상부 케이스(1)에 대한 하부 케이스(2)의 조립 순으로 진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점점(51)이 단자공(13)을 향하는 자세로 한 쌍의 충전단자(5)를 준비하고, 각 축공(53)은 앞벽과 뒷벽의 축(61)에 나눠서 끼운 다음에 접점(51) 쪽과 후반부(52)를 양단부의 단자걸이(63)에 각기 끼워 건다.
충전단자(5)가 결합된 단자 지지구(6)를 슬라이더(3)의 지지구공(33)에 내리끼운다.
이때, 좌우측 종동부(62)는 좌우 공벽의 경사캠(34)을 미끄럼탈 수 있게 결합해야 한다.
슬라이더(3)는 접촉자(31)가 있는 쪽의 전반부 판면과 지지구공(33)이 있는 쪽의 후반부 판면이 옆가이드(15)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부 케이스(1)의 저면에 갖다 대고 누른다.
그러면 접촉자(31)는 자연스레 접촉자공(12)에 헐겁게 끼워지고, 안내공(32)의 후단부는 상부 케이스(1)의 스프링 걸이(16)에 헐겁게 끼워진다.
이어서 앞뒤 스프링 걸이(16)(35) 사이로 복귀스프링(4)을 들이밀고 선단과 후단을 걸어서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장전하여 슬라이더(3)가 항상 복귀방향으로 쏠리게 한다.
그리고 노브공(14)으로 드러나도록 잠금 노브(7)를 마저 조립한 다음에 상부 케이스(1) 밑에 하부 케이스(2)를 조립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깃든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가 완성된다(도 2).
도 3과 도 4는 비충전 시의 상황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는 경사캠(34)의 하사점에 단자 지지구(6)의 종동부(62)가 머물고, 이에 따라 충전단자(5)의 접점(51)은 단자공(13) 속으로 숨은 채로 있는다.
도 5와 도 6은 배터리좌(11)에 충전할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장전한 경우로 가정하여 충전단자(5)의 접점(51)이 단자공(13)으로 노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배터리좌(11)에 배터리가 장전되면서 배터리의 선단이 접촉자(31)를 화살표 d1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슬라이더(3)는 복귀스프링(4)을 압축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3)의 이 같은 움직임을 따라가는 경사캠(34)은 종동부(62)를 화살표 d2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종동부(62)의 상승움직임에 단자 지지구(6)가 순응하여 수직 상승하고, 축(61)은 축공(53)을 꿰차고 따라 상승하므로 충전단자(5)도 단자 지지구(6)를 따라 동반 상승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관동작에 의해서 충전단자(5)의 접점(51)이 단자공(13) 위로 솟아 충전 가능한 상태로 반전되는 것이다.
배터리를 충전한 후 배터리좌(11)에서 배터리가 제거되는 즉시 슬라이더(3)는 복귀스프링(4)에 의해 대기위치로 복귀하고, 충전단자(5)는 경사캠(34)에 이끌려 하강하는 단자 지지구(6)와 함께 동반 하강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이 접점(51)을 단자공(13) 속에 숨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의 분해도
도 2는 동 조립도
도 3은 비충전 시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동 종단정면도
도 5는 충전 가능한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 6은 동 종단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 케이스 2: 하부 케이스
3: 슬라이더 4: 복귀스프링
5: 충전단자 6: 단자 지지구
12: 접촉자공 13: 단자공
15: 옆가이드 16,35: 스프링 걸이
21: 미끄럼대 31: 접촉자
32: 안내공 33: 지지구공
34: 경사캠 51: 접점
53: 축공 61: 축
62: 종동부 63: 단자걸이

Claims (1)

  1. 배터리좌(11) 상에 충전단자의 접점 출입용 단자공(13)과 잠금 노브용 노브공(14) 및 슬라이더의 접촉자 활동용 접촉자공(1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슬라이더용 옆안내구(15)와 스프링 걸이(16)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1)와;
    상기 상부 케이스(1) 밑에 씌워 내장된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용 미끄럼대(21)와 날개안내부(22)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2)와;
    배터리의 장전과 제거에 따라 지지구공(33) 내에 형성된 경사캠(34)이 단자 지지구(6)를 승강시켜 상기 단자공(13)으로 접점(51)을 출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 걸이(16)에 헐겁게 끼워져서 진퇴방향으로 안내받는 안내공(32)과 복귀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걸이(35)를 가진 슬라이더(3)와;
    상기 스프링 걸이(16)(35)에 선단과 후단을 걸어서 슬라이더(3)를 복귀방향으로 쏠리게 하는 복귀스프링(4)과;
    상기 단자공(13)으로 출몰하는 접점(51)과 후반부(52) 사이에 축공(53)이 형성된 충전단자(5)와;
    상기 축공(53)을 꿰는 축(61)과 경사캠(34)에 종동되는 종동부(62) 및 충전단자용 단자걸이(63)를 갖고서 상기 지지구공(33)에 삽입되어 경사캠(34)에 의해 승강되면서 접점(51)이 단자공(13)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단자 지지구(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1020080007068A 2008-01-23 2008-01-23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100968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68A KR100968535B1 (ko) 2008-01-23 2008-01-23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68A KR100968535B1 (ko) 2008-01-23 2008-01-23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42A KR20090081142A (ko) 2009-07-28
KR100968535B1 true KR100968535B1 (ko) 2010-07-08

Family

ID=4129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068A KR100968535B1 (ko) 2008-01-23 2008-01-23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443B1 (ko) 2012-02-02 2018-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장면 구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892082B1 (ko) 2012-03-13 201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유니버셜 도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095B1 (ko) 2002-04-0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KR100474212B1 (ko) 2001-07-30 2005-03-10 쿄세라 코포레이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 및 휴대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12B1 (ko) 2001-07-30 2005-03-10 쿄세라 코포레이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 및 휴대단말
KR100475095B1 (ko) 2002-04-0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42A (ko) 200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186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703475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TWI514110B (zh) 充電裝置及連接設備
KR200467455Y1 (ko)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09685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CN104332766A (zh) 连接器及具有该连接器的移动终端设备
KR20060090034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EP3730000A1 (en) Sliding device for drawer
CN110098545A (zh) 一种转换器
KR2006010089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장치
KR200439844Y1 (ko) 밧데리상에 안전고리가 설치된 휴대폰
CN112087024B (zh) 具有移动设备无线隔空充电的桌具
CN110190454A (zh) 一种多国转换器
US11063627B2 (en) Storage device for portable device used in luggage
CN212262192U (zh) 一种锁舌式防坠装置
CN209981670U (zh) 一种多国转换器
JP2013232321A (ja) 小型電気機器の接続装置
KR101714051B1 (ko) 휴대 단말기의 커버 로킹 장치
CN112134071A (zh) 一种旅行转换器
KR19990040864U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CN204947166U (zh) 插座保护门结构组件
KR100559717B1 (ko) 안전기능을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CN213151194U (zh) 一种旅行转换器
CN211907853U (zh) 一种应用于电瓶车的电源插座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