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938A -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938A
KR20140002938A KR1020120069933A KR20120069933A KR20140002938A KR 20140002938 A KR20140002938 A KR 20140002938A KR 1020120069933 A KR1020120069933 A KR 1020120069933A KR 20120069933 A KR20120069933 A KR 20120069933A KR 20140002938 A KR20140002938 A KR 2014000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shaft
hole
cra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은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에듀카와
김영은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듀카와, 김영은, 김영준 filed Critical (주)에듀카와
Priority to KR102012006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938A/ko
Publication of KR2014000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들 거치시 무게중심이 잘 잡히도록 하여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영상기기들의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한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착가능한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영상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거치부가 결합되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은 나란히 배열되는 제1 지지축과 제2 지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은 지지판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면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부는 지지축의 경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축에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FIXING DEVICE FOR PO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하면서 영상을 즐길 수 있는 기기들이 활발히 소개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영상기기들 거치시 무게중심이 잘 잡히도록 하여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영상기기들의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한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PDA, 네비게이션과 같이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기기가 대중화되었고, 이러한 휴대기기는 휴대기기의 특성상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 특정 장소에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함에 따라 이러한 휴대기기를 특정 장소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휴대기기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거치대에 대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376788호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411603호 '휴대기기의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428218호 '흡착식 거치대'등이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거치대는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의 중앙을 강제로 승강시킴으로서 유리와 같은 편평한 부착면과 흡착판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진공(즉, 저압)상태로 만들어서 거치대를 부착면에 흡착시켜 부착시키게 된다.
더불어 흡착판을 초기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복원수단이 구비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624호(2008.02.28.)『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그리고 오랜 사용으로 흡착력이 떨어진 흡착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906호(2009.04.24.)『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등의 기술들도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들의 공통된 구조를 살펴보면, 모두 거치된 휴대기기에 대한 상하좌우의 각도 변환을 위한 별도의 구조들이 복잡하게 도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휴대기기 거치를 위한 지지부 또는 지지축이 일자형태로 상하로 곧게 뻗은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지지부 또는 지지축에 일정 무게감이 있는 휴대기기를 장착하는 경우 휴대기기의 무게로 인해 휴대기기가 장착된 거치대 자체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경우에는 거치대가 차량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휴대기기를 장착하여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더라도 거치대가 차량에서 떨어지지 않는 한 거치대가 전방으로 엎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나
최근 영화관람 및 카카오톡과 같은 통신 대화 기능 등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거치대를 차량에만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책상이나 소파, 테이블 등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이러한 장소에서 거치대에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는 경우 무게중심을 잡기가 힘들고 이에 거치대가 전방으로 엎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들은 거치대가 앞으로 쏠리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정확히 그리고 정교하게 잡아야만 하고, 일단 무게중심을 잡았다 하더라도 이는 불안정한 상태여서 사용자가 거치대를 무의식적으로 건들기라도 하면 무게중심이 흐트러져 휴대기기가 장착된 거치대가 전방으로 다시 엎어지는 현상이 재발하게 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거치대를 차량과 같이 특정 장소에 반영구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특정 장소에 위치시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요구되는 기능이 발휘되는 휴대기기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휴대성 때문에 휴대기기의 상하좌우 각도 변환을 위해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거치대에 도입된 구조들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거치하면서 각도 변환이 가능한 구조가 요구된다.
물론 최근 공개된 공개특허 제10-2012-0066128호(2012.06.22)『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에서도 언급된 문제점들은 여전히 해결과제로 남아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대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내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된 휴대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형태를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무게중심을 후방에 위치시키되, 영상기기를 장착하게 되면 뒤로 위치한 무게중심이 영상기기의 무게감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거치대 중심에 위치될 수 있어 안정된 영상기기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순히 차량에 고정시키는 거치대가 아니어서 이에 필요한 고정구조를 구비하지 않되 테이블, 소파 등에 위치시 거치대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거치된 영상기기의 각도변환을 위한 구조를 도입하되 무게감이 작게 나가는 간단한 구조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각도변환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치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착가능한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영상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거치부가 결합되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은 나란히 배열되는 제1 지지축과 제2 지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은 지지판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면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부는 지지축의 경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축에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부 저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부착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거치대는 거치되는 영상기기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변환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도변환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 사이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회동판과, 제1 및 제2 회동판이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물림부로 이루어지되,
제1 및 제2 지지축과 접하는 제1 및 제2 회동판의 외주면은 외곽테와, 상기 외곽텍 내측으로 형성되고 외곽테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톱니테와, 상기 톱니테 내측으로 형성되고 톱니테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내부테와, 상기 내부테 내측으로 형성된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과 접하는 제1 및 제2 지지축 접면은 대응외곽테와, 상기 대응외곽테 내측으로 형성되고 대응외곽테보다 높은 면을 형성하는 대응톱니테와, 상기 대응톱니테 내측으로 형성되고 대응톱니테보다 높은 면을 형성하는 대응내부테와, 상기 대응내부테 내측으로 형성된 대응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림부는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물림축이 삽입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물림축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는 물림부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치합되어 물림축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대응관통공은 고정볼트가 지지축으로 삽입되는 제1차공과, 삽입된 고정볼트가 지지축을 빠져나가는 제2차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볼트는 대응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축과, 대응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는 볼트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차공은 비원(非圓)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헤드에는 상기 비원형상의 제1차공에 삽입되는 회전방지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영상기기 거치대는, 영상기기 장착 전에는 무게 중심을 후방에 위치시켜 영상기기를 장착하게 되면 후방에 위치된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거치부 중심 정도에 위치하게 되는바 거치대가 전방으로 엎어지는 현상 없이 안정된 영상기기 장착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베이스부 저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로 인하여 소파 또는 테이블 등 위치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 위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영상 관람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도변환을 위해 도입된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이 접하는 접면의 높낮이를 달리하였는바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각 부품감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어 안정된 결합관계 및 안정된 각도변환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고정볼트가 1차적으로 관통하는 제1차공을 비원형상으로 하고, 고정볼트에도 이에 삽입되는 비원형상의 회전방지턱이 구비되어 지지부에 대한 각도변환수단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역시 안정된 결합관계 유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 특히 B는 가변판이 인장된 상태와 베이스부상의 스토퍼를 도시한 것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각도변환수단을 집중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도 4를 기준으로 영상기기 화면이 보이는 쪽을 전방으로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또한 지지판(21) 자체에서도 영상기기 화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편을 후방으로 방향을 정하여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테이블이나 소파 등의 대상면에 접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된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영상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에 고정시켜서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기기를 장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책상이나 소파 등에 위치시켜 스마프폰을 통해 인터넷 서핑, DMB 시청, 음악 감상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 장착시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 저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6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60)는 접촉 표면과의 마찰로 인해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으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20)는 베이스부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거치부가 결합되는 지지축(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22)은 이후 부가되는 각도변환수단과의 장착을 위해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제1 지지축(22a)과 제2 지지축(22b)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지지축(22)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거치대와 같이 지지판으로부터 일자로 곧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후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거치대의 무게 중심은 거치대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지지축(22)은 지지판의 후방에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지지판(21)은 내부가 중공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바, 돔 형상의 후방 부분에서 지지축(2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무게중심을 뒤쪽으로 위치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축(22)에 거치부(30)가 장착되는데, 후술할 각도변환수단(50)을 매개로 거치부가 지지축에 장착된다.
그리고 거치부(30)가 지지축(22)에 결합되는 방향은 지지축의 경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22)과 거치부(30)가 이루는 각도가 "〈"과 같이 형성되는데(도 4 참조),
이로 인해 1차적으로 뒤쪽으로 이동된 무게중심이 거치부가 장착됨으로서 다시 전방(지지판의 중심부분 정도까지)으로 이동되게 되어 이후 거치부에 영상기기가 장착되더라도 무게중심이 불필요하게 앞으로 쏠려 거치대가 엎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구조에 의하면 스마트폰(영상기기)을 거치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거치대가 전방으로 엎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기에 사용자의 안정적인 영상 관람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21)은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베이스부로의 지지판 슬라이딩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 후 베이스부(10)를 기준으로 지지판(21)을 360도 회전시킬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돌리든 베이스부(10)에 삽입되는 지지판(21) 부분이 동일한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지지판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사용자는 지지부(20)의 아무 부분을 잡고서 이를 베이스부로 슬라이딩 삽입시키기만 하면되는 것이고,
또한 삽입된 이후에도 원형으로 형성된 지지판으로 인해 사용자는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지지판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바,
이후 장착될 영상기기에 대한 설정각도를 지지판을 회전시킴으로서 간편하게 1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판(21)이 베이스부(10)로 슬라이딩 삽입 장착됨에 있어,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는 꺾임을 가지는 수용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된 지지판을 잡아주게 된다.
상기 수용돌기(11)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이스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을 제외한 3개로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용돌기의 갯수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제조 공정 및 제작 단가, 그리고 사용상태를 고려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돌기(11)는 베이스부 상면에서 연결형성되는 연장부(111)와, 꺾임 형상을 위해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 형성된 이탈방지부(1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탈방지부의 경우 지지판의 원형 형상에 대응하여 그 측면을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이후 설명될 돔 형상을 가진 지지판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라운드된 측면(112a)을 통해 베이스부에 대한 지지판의 자연스러운 삽입을 유도하고, 이후 베이스부에 대한 지지판의 장착에 있어서도 보다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3개의 수용돌기 중, 지지판이 슬라이딩되는 입구 쪽 2개의 슬용돌기의 이탈방지부(112)는 측면이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도, 지지판이 처음 접하게 되는 입구쪽 부분의 측면에는 경사면(112b)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지지판에 대한 자연스러운 슬라이딩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판(21)은 내부가 중공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베이스부로의 슬라이딩 삽입시 지지판과 베이스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돔 형상의 가장자리로는 수용돌기의 이탈방지부(112)의 내면과 접촉을 위한 접부(21a)가 연장형성된다. 이에 수용돌기(11)가 베이스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지지판의 접부(21a)를 놀러줌으로써 베이스부에 대한 거치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판의 내부에는 방향제를 부착하여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공(21b)을 통해 향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판이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에 방향제 수용이 보다 수월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단 베이스부로 삽입 장착된 지지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에 스토퍼(40)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40)는 베이스부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같은 것으로,
지지판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지지판이 베이스부로 삽입되는 입구쪽에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0)는 베이스부(10)에 대한 지지판(21)의 삽입이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 즉, 사용자가 지지판을 밀어넣으면 지지판이 스토퍼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 지지판(21)이 스토퍼(40)를 지나가게 되면 삽입된 지지판은 다시 사용자의 추가적인 외압이 없는 이상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40)는 지지판의 진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진입유도면(41)과 상기 진입유도면(41)에서 하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면(4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기 주변으로는 삽입된 지지판(21)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안착상태 유지를 위한 가이드(4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영상기기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변환수단(50)이 상기 지지부(20)에 장착되어 거치부(30)는 각도변환수단을 매개로 지지부에 연결 결합된다.
본 발명의 각도변환수단은 거치부에 장착된 영상기기를 상하로 회동시키고, 좌우 360도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휴대 편의를 위해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각도변환수단(50)은 제1 및 제2 지지축(22a, 22b) 사이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회동판(51a, 51b)과, 제1 및 제2 회동판이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물림부(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림부(52)에는 거치부 저면으로 형성된 물림축(34)이 삽입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변환수단(50)을 통한 영상기기의 상하 회동은,
제1 및 제2 회동판(51a, 51b)과 이와 접하는 제1 및 제2 지지축간의 톱니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 외주면은 아무런 문양 형성이 없는 외곽테(511)와, 상기 외곽테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형으로 톱니가 배열되어 있는 톱니테(512)와, 그리고 상기 톱니테 내측으로 형성되고 아무런 문양 형성이 없는 내부테(5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과 접하는 제1 및 제2 지지축 접면은 상기 외곽테와 접하는 것으로 역시 아무런 문양 형성이 없는 대응외곽테(221)와, 상기 대응외곽테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톱니테에 맞물리는 대응톱니테(222)와, 상기 대응톱니테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테와 대응되는 대응내부테(223)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의 톱니테(512)에 제1 및 제2 지지축 접면에 형성된 대응톱니테(222)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각도변환수단에 장착된 거치부가 상하 회동되고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안정적 결합 상태에서 맞물림 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해 상기 외곽테(511)에서 톱니테(512), 그리고 내부테(513)로 갈수록 면 높이가 낮아지는(즉, 해당 면이 회동판쪽으로 함몰되는) 형태이고,
이와 대응되게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 접면의 대응외곽테(221), 대응톱니테(222), 그리고 대응내부테(223)로 갈수록 면 높이가 높아지는(즉, 해당 면이 지지축 접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에는 관통공(5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에는 대응관통공(224)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이 제1 및 제2 지지축 사이에 배열된 후 고정볼트(70)를 관통공(514)과 대응관통공(224)을 삽입·관통시킨 후 너트(N)로 조임으로서 지지축에 대한 회동판 장착이 이루어진다.
특히 제1 및 제2 지지축에 형성된 대응관통공(224)을 제1 지지축 즉,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지지축에 형성된 제1차공(224a)과, 삽입된 고정볼트가 지지축을 빠져나가기 위해 제2 지지축에 형성된 제2차공(224b)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차공(224a)은 비원(非圓)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설명되는 조립 편의 및 조임기능의 편의를 위한 것인데, 도면에서는 상기 비원형상으로 사각공을 도시하였으나 사각공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추후 설명되는 공회전방지기능이 있는 다각형 형태라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고정볼트(70)는 대응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축(71)과, 상기 볼트축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 대응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고 지지축에 걸리는 볼트헤드(7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볼트헤드에는(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헤드와 볼트축의 연결부분) 비원형상의 제1차공에 삽입되는 회전방지턱(73)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턱(73)은 제1차공의 비원형상과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 대응관통공을 관통한 볼트축(71)의 공회전을 방지하게 되어, 이후 작업자가 조립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영상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30)의 후면으로는 물림축(34)이 형성되고, 상기 물림축의 외주면에는 기어부(3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림축이 삽입 수용되는 물림부(52)의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부(34a)와 치합되는 걸림부(52a)가 형성되어 결국 물림부에서 물림축을 수용한 상태로 제1 및 제2 회동판을 지지축에 장착하게 되면,
물림축의 기어부(34a)가 물림부에 형성된 걸림부(52a)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구조이기에 거치부의 좌우 방향으로의 360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거치부는 다양한 크기의 영상기기 장착을 위해 가변구조를 채택하게 되는데,
상기 거치부(30)는,
영상기기의 저면이 접하면서 안치되는 장착판(31)과, 상기 장착판의 일단 외측에 고정 설치되어 영상기기의 측면을 잡아주는 고정판(32)과, 상기 장착판의 타단 외측에 설치되어 영상기기의 다른 측면을 잡아주는 가변판(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판이 장착판에 대하여 장착판 타단 외측으로 탄지되면서 늘어나는 구조이다.
이에 가변판이 장착판에 대해서 늘어나는 폭이 허용하는 한도에서 다양한 크기의 영상기기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판(32)과 가변판(33)에는 장착되는 영상기기의 안정된 고정 상태 유지를 위해 역시 미끄럼방지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전술된 베이스부 저면에 구비되는 재질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거치대"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부 11: 수용돌기
20: 지지부 21: 지지판 22: 지지축
221: 대응외곽테 222: 대응톱니테 223: 대응내부테
224: 대응관통공 224a: 제1차공 224b: 제2차공
30: 거치부 31: 장착판 32: 고정판
33: 가변판 34: 물림축
34a: 기어부
40: 스토퍼 41: 진입유도면 42: 걸림면
50: 각도변환수단 51a: 제1 회동판 51b: 제2 회동판
511: 외곽테 512: 톱니테 513: 내부테
514: 관통공
52; 물림부 52a: 걸림부
60: 미끄럼방지부재 70: 고정볼트

Claims (4)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착가능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영상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거치부가 결합되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은 나란히 배열되는 제1 지지축과 제2 지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은 지지판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면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부는 지지축의 경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저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거치되는 영상기기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변환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도변환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 사이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회동판과, 제1 및 제2 회동판이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물림부로 이루어지되,
    제1 및 제2 지지축과 접하는 제1 및 제2 회동판의 외주면은 외곽테와, 상기 외곽텍 내측으로 형성되고 외곽테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톱니테와, 상기 톱니테 내측으로 형성되고 톱니테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내부테와, 상기 내부테 내측으로 형성된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과 접하는 제1 및 제2 지지축 접면은 대응외곽테와, 상기 대응외곽테 내측으로 형성되고 대응외곽테보다 높은 면을 형성하는 대응톱니테와, 상기 대응톱니테 내측으로 형성되고 대응톱니테보다 높은 면을 형성하는 대응내부테와, 상기 대응내부테 내측으로 형성된 대응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림부는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물림축이 삽입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물림축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는 물림부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치합되어 물림축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통공은 고정볼트가 지지축으로 삽입되는 제1차공과, 삽입된 고정볼트가 지지축을 빠져나가는 제2차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볼트는 대응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축과, 대응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는 볼트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차공은 비원(非圓)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헤드에는 상기 비원형상의 제1차공에 삽입되는 회전방지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1020120069933A 2012-06-28 2012-06-28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40002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33A KR20140002938A (ko) 2012-06-28 2012-06-28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33A KR20140002938A (ko) 2012-06-28 2012-06-28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38A true KR20140002938A (ko) 2014-01-09

Family

ID=5013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933A KR20140002938A (ko) 2012-06-28 2012-06-28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93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3249A (ja) * 2014-08-19 2016-04-04 エセス アルフレッド 携帯機器ホルダ及びエアフレッシュナ
WO2016085006A1 (ko) * 2014-11-28 2016-06-02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200482303Y1 (ko) * 2016-06-28 2017-01-12 양정식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106585508A (zh) * 2017-02-06 2017-04-26 成都锐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式车载移动终端固定架
CN111845583A (zh) * 2020-08-04 2020-10-30 娄霞莉 一种远程互联的车载手机支架
WO2021141209A1 (en) * 2020-01-06 2021-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EP3715695B1 (en) * 2019-03-27 2023-08-16 Winners' Sun Plastic & Electronic (Shenzhen) Co., Ltd. Clamping mechanism and handheld gimba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3249A (ja) * 2014-08-19 2016-04-04 エセス アルフレッド 携帯機器ホルダ及びエアフレッシュナ
WO2016085006A1 (ko) * 2014-11-28 2016-06-02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200482303Y1 (ko) * 2016-06-28 2017-01-12 양정식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106585508A (zh) * 2017-02-06 2017-04-26 成都锐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式车载移动终端固定架
CN106585508B (zh) * 2017-02-06 2019-04-23 成都锐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式车载移动终端固定架
EP3715695B1 (en) * 2019-03-27 2023-08-16 Winners' Sun Plastic & Electronic (Shenzhen) Co., Ltd. Clamping mechanism and handheld gimbal
WO2021141209A1 (en) * 2020-01-06 2021-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96124B2 (en) 2020-01-06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1845583A (zh) * 2020-08-04 2020-10-30 娄霞莉 一种远程互联的车载手机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938A (ko)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1014930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JP3665063B2 (ja) 薄型表示装置及び表示部の抜脱方法
US8282060B2 (en) Auxiliary fastening apparatus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00264182A1 (en) Cell Phone Holder
US201903726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article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US5661798A (en) Back clip structure of a mobile phone
US20090026330A1 (en) Portable supporting apparatus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2121503A2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US9956979B1 (en) Stroller attachment
US20130181903A1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101572610B1 (ko)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CN109844396B (zh) 云台支架
CN102802372A (zh) 一种带支架的电子装置外壳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101546941B1 (ko) 이동식 휴대폰 거치대
KR101344639B1 (ko) 스마트폰 거치장치
KR101041225B1 (ko) 휴대형 플레이어 장착을 위한 거치대
KR20160136544A (ko) 자체 중력을 이용한 다용도 휴대폰 거치대
KR101301722B1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CN204240007U (zh) 卡扣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