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610B1 -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610B1
KR101572610B1 KR1020150002763A KR20150002763A KR101572610B1 KR 101572610 B1 KR101572610 B1 KR 101572610B1 KR 1020150002763 A KR1020150002763 A KR 1020150002763A KR 20150002763 A KR20150002763 A KR 20150002763A KR 101572610 B1 KR101572610 B1 KR 10157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center gear
gear
rot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
Priority to KR102015000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610B1/ko
Priority to PCT/KR2015/014277 priority patent/WO20161114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기어와, 상기 중앙기어와 연동되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조임하는 거치날개와, 상기 거치날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중앙기어의 잠김 또는 해제를 위한 락킹버튼으로 구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의 거치날개를 통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확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자전거와 같이 직접적인 충격이 작용하여도 거치대에서 휴대기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기기(3)가 전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전면케이스(10); 상기 전면케이스(10)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케이스(20);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10)(20) 사이에 구성되어 휴대기기(3)의 양측면을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부(30); 및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자전거(2)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STRUT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기어와, 상기 중앙기어와 연동되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조임하는 거치날개와, 상기 거치날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중앙기어의 잠김 또는 해제를 위한 락킹버튼으로 구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의 거치날개를 통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확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자전거와 같이 직접적인 충격이 작용하여도 거치대에서 휴대기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놀이기구나 레저 스포츠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가상승에 따라 하나의 교통수단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전거는 다른 이동수단에 비해 물건을 넣어 둘 수 있는 수납공간이 부족하여, 전면에 거치바구니 형태의 수납공간이나, 안장 뒤에 설치되는 짐받이를 제외하고는 마땅히 물건을 운송할 공간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과거와는 달리 현대인들은 휴대폰, 휴대용 라디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일반인들이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소형의 휴대기기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자전거로 동네 주변의 가까운 목적지를 간편하게 왕래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서서 비교적 장거리에 해당하는 통학, 통근에까지 이용되고 있으며, 레저용 자전거의 경우에는 꽤 먼거리를 여행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개인이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물품 즉, 휴대기기를 가지고 언제 어디서나 전화수신에 응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휴대기기를 거칠시킬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서 기존에 제안된 방법으로서, 휴대기기 예컨대,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을 신체에 휴대할 수 있도록 목걸이형태의 결착수단이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외장품은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착신신호를 용이하게 인삭함과 더불어 의복의 주머니나 가방 등에 스마트폰을 수납시켰을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폰 외장품으로는 차량에 장착되는 휴대폰 거치대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다양한 형태가 제시되었고, 사용의 편의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들이 부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직접적인 충격과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자전거 등에 작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자전거의 경우,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 상에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해야하므로 종래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가지고는 자전거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자전거 하이킹 등을 즐기는 사람들은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를 단순히 주머니에 수납하거나 목걸이형 결착수단에 의존하게 되고, 이 경우, 자전거의 주행을 위해 페달을 구를 때 간섭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행 중 주머니 또는 목걸이형 결착수단에서 휴대기기가 이탈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0503호(2012.02.03.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176342호(2012.08.1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37813호(2012.12.24.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기어와, 상기 중앙기어와 연동되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조임하는 거치날개와, 상기 거치날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중앙기어의 잠김 또는 해제를 위한 락킹버튼으로 구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의 거치날개를 통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확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자전거와 같이 직접적인 충격이 작용하여도 거치대에서 휴대기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기기가 전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전면케이스; 상기 전면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케이스;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부; 및 상기 후면케이스의 일측에 구성되어 자전거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외주연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중앙기어; 상기 중앙기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고,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앙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외주연이 상기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거치날개; 상기 거치날개(3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중앙기어의 일측과 치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중앙기어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잠김상태 또는 해제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케이스에는, 하단에 휴대기기의 하단을 받침하도록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가 전면케이스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일정각도 기울어진 안착대; 및 상부측에 구성되어 상기 휴대기기가 임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부에는, 락킹버튼에서 누름력에 의해 중앙기어의 잠김 또는 해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일측에 상기 중앙기어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톱니가 구성되고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제1회동링크와; 상기 제1회동링크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락킹버튼에서 제공되는 누름력에 의해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회동링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2회동링크; 및 상기 제1회동링크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회동링크의 톱니가 상기 중앙기어의 기어치와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후면케이스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회전공; 및 상기 회전공을 압박시켜 거치대의 설정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압박력을 제공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공의 일측에 연장되어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형 고정링; 또는 상기 회전공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의 끝단에 구성되는 흡착판으로 구성되어 평면을 이루는 위치에 설치 가능한 직립형;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대에는, 휴대기기를 통해 통화 또는 음악청취가 가능하도록 마이크를 포함하는 스피커; 및 상기 휴대기기를 동기화시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전화통화 또는 음악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기어와, 상기 중앙기어와 연동되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조임하는 거치날개와, 상기 거치날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중앙기어의 잠김 또는 해제를 위한 락킹버튼으로 구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의 거치날개를 통해 휴대기기의 양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확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자전거와 같이 직접적인 충격이 작용하여도 거치대에서 휴대기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대에 고정부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후면케이스에 위치되는 회전공과, 상기 회전공을 압박시키는 커버와, 상기 회전공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자전거의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절개부가 구성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공에 의해 거치대의 고정위치를 사용자의 편의대로 설정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폭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대에 안착되는 휴대기기의 하단을 받침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일정각도 기울어진 안착대 및 상단부에 상기 휴대기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부재가 구성된 전면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안착대에 의해 휴대기기가 전면케이스에 안정적으로 밀착 및 미끄럼방지부재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어 고정력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에 휴대기기 거치대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후면 하단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거치부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의 작용상태도로서,
7a는 거치대가 상호 벌림된 상태이고, 7b는 거치대가 상호 조여진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일부확대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락킹부의 작용상태도로서,
9a는 거치대가 상호 벌림된 상태이고, 9b는 거치대가 상호 조여진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가 구성된 거치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2)의 일측에 고정시켜, 휴대기기(3)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1)는 자전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전거와 같이, 파이프형태로 외곽을 이루는 부분이면 어느 곳이든 장착 가능하다. 예컨대, 오토바이나, 트럭, 콘바인, 지게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 또는 특수차량 등에서 사용가능하다.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1)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1)에는 상기 전면케이스(10)와 후면 케이스(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에 위치되는 휴대기기(3)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거치부(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거치부(30)는 전면케이스(10)의 상단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휴대기기(3)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1)에는 상기 후면케이스(20)에 구성되어 자전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40)는 후면케이스(20)의 최상단부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전거(2)에 상기 거치대(1)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1)에는 스피커(50) 및 블루투스(60)가 탑재된다. 물론, 마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케이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유선형이면서 하단부에 휴대기기(3)의 하단을 받침할 수 있도록 받침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휴대기기(3)가 임의로 미끄럼되지 않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마찰계수가 높은 미끄럼방지부재(16)가 구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6)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6)는 전면케이스(10)에 접착, 고정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면케이스(10)에 상기 미그럼방지부재(16)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양면테이프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하단부 즉, 받침부(12)에는 휴대기기(3)의 하단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휴대기기(3)가 상기 전면케이스(1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임의로 이탈됨에 따라 파손 등의 위험성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착대(14)가 구성된다.
상기 안착대(14)는 상기 휴대기기(3)가 전면케이스(10)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정각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14)의 기울기는 휴대기기(3)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면에 밀착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대(14)는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대(14)에는 휴대기기(3)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미끄럼방지부재(16)가 구성된다.
상기 후면케이스(20)는 상기 전면케이스(10)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측에 장착되는 거치부(30)와, 고정부(40)와, 스피커(50) 및 블루투스(60)를 보호하는 수단이다.
상기 후면케이스(20)는 후술되는 거치부(30)의 락킹버튼의 일부가 외주연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22)이 형성된다.
또한, 후면케이스(20)에는 고정부(4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돌출편(24)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10)(20) 사이에 장착되어 휴대기기(3)의 양측면을 압박시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거치부(30)는 중앙에 구성되는 중앙기어(32)와, 상기 중앙기어(32)를 중심으로 양단 각각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거치날개(34)와, 상기 중앙기어(32)와 거치날개(34) 사이에 구성되는 스프링(36) 및 상기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32)가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켜 잠금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락킹버튼(38)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기어(32)는 평기어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거치날개(34)와 상호 치합될 수 있는 기어치를 형성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세레이션이다.
상기 거치날개(34)는 상기 중앙기어(32)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휴대기기(3)의 양단 각각을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날개(34)에는 상기 중앙기어(32)와 치합되는 랙기어(35)가 구성된다.
즉, 상기 거치날개(34)가 양쪽으로 벌림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날개(34)가 상호 조여지도록 안쪽으로 밀면, 중앙기어(32)와 맞물림 상태에서 상기 랙기어(35)가 수평이동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거치날개(34)만 밀어도 상기 중앙기어(32)와의 맞물림된 랙기어(35)가 상호 연동되기 때문에 상기 거치날개(34)는 연동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거치날개(34)는 양단 각각이 전면케이스(10)측으로 돌출되어 휴대기기(3)의 양단 각각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36)은 상기 거치날개(34)가 양측으로 밀림된 상태의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락킹버튼(38)은 일단이 상기 중앙기어(32)의 일부와 치합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이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삽입공(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거치대(30)는 상기 락킹버튼(38)이 중앙기어(32)와 맞물림되지 않은 락킹 해제상태의 경우에 스프링(36)의 작용에 의해 양단에 구성되는 거치날개(34)가 상호 벌림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거치날개(34)를 안쪽으로 밀림한 후 락킹버튼(38)을 밀어넣어 중앙기어(32)와 맞물림되면 상기 락킹버튼(38)의 잠금력에 의해 상기 중앙기어(32)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시켜, 결국 상기 중앙기어(32)와 맞물림된 랙기어(35)가 상호 작용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거치날개(34)가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날개(34)의 양단 내측에 구성되는 휴대기기(3)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40)는 후면케이스(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자전거(2)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자전거(2)에 휴대기기 거치대(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발휘하는 수단이다.
상기 고정부(40)는 후면케이스(20)의 돌출편(24)에 삽입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공(42)과, 상기 돌출편(24)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공(42)을 압박하는 커버(44), 및 상기 회전공(42)에 고정되는 연결대(48)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링(46)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공(42)은 구형이거나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거치대(1)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커버(44)는 상기 돌출편(24)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공(42)을 압박시킴으로써, 거치대(1)의 설치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링(46)은 일단이 절개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해 내측에 자전거(2)의 프레임이 위치되도록 하는 고정단(46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462)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조임됨으로써, 상기 자전거(2)의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46)의 내측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마찰링(464)이 구성된다.
상기 마찰링(464)은 내측에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자전거(2) 프레임과의 밀착력을 극대화시켜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마찰링(464)은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전거(2) 프레임과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형상 및 재료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스피커(50)는 거치대(1)의 하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거치대(1)의 어느 위치에 구성되어도 상관없으며, 디자인 및 사용목적을 고려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50)는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즉, 상기 마이크를 포함하는 스피커(50)는 휴대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전화통화를 할 때 외부로 수신음이 청취되도록 하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상대편으로 발신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2)의 주행 중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50)는 휴대기기, 예컨대, 스마트폰과 동기화되어 음악청취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블루투스(60)는 거치대(1)의 내측에 내장되어 휴대기기(3) 예컨대, 스마트폰과 스피커(50)가 동기화되도록 연결하는 수단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휴대기기(3) 예컨대, 스마트폰을 통해 전환통화 또는 음악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거리 통신망 또는 유선 잭을 이용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전거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설치상태 및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전거(2)의 일측에 거치대(1)의 고정부(40)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 고정부(40)의 고정링(46) 절개부를 통해 상기 자전거(2)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부(40)의 고정단(462)을 체결수단으로 체결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부(40)의 커버(44)를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 후면케이스(20)의 돌출편(24)에 삽입된 회전공(42)을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에 거치대(1)가 위치되도록 설정한 후 느슨한 커버(44)를 조임함으로써, 상기 돌출편(24)에 삽입된 회전공(42)의 설정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써, 자전거(2)에 거치대(1)의 고정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1)에 휴대기기(3) 예컨대,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스마트폰의 하단을 상기 거치대(1)의 전면케이스(10) 안착대(14)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안착대(14)는 상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안착대(14)의 기울기 각도에 의해 상기 전면케이스(10)에 밀착되도록 유도한다.
이후, 거치부(30)의 거치날개(34)를 상기 전면케이스(10)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양측면을 조임하도록 민다.
즉, 도 7a의 상태에서, 도 7b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거치날개(34)를 밀면, 상기 거치날개(34)에서 연장된 랙기어(35)가 중앙기어(32)와 치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랙기어(35)의 밀림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기어(32)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중앙기어(32)의 타방에 위치한 랙기어(35)도 연동됨으로써, 상기 거치날개(34)가 상호 조여들게 되어 스마트폰의 양측면을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거치날개(34)를 통해 스마트폰의 양측면의 밀착이 완료되면, 후면케이스(20)의 삽입공(22)에 위치한 락킹버튼(38)을 중앙기어(32) 측으로 민다. 이때, 밀림된 락킹버튼(38)에 의해 상기 중앙기어(32)의 일측과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32)의 임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거치날개(34)가 스마트폰의 양측면을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거치대(1)에 스마트폰의 거치가 완료된다.
이 경우, 상기 거치날개(3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6)은 상기 락킹버튼(38)에 의해 상기 중앙기어(32)의 회전이 잠김 상태임으로 탄성 복귀하려는 압축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거치대(1)에 스마트폰의 거치한 상태를 해제할 경우에는, 후면케이스(20)의 삽입공(22)에 위치한 락킹버튼(38)을 잡아당기면, 상기 락킹버튼(38)의 치합으로 잠김된 중앙기어(32)에 대하여, 잠김이 해제된다.
이때, 압축력을 받던 스프링(36)의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여, 상호 조임된 상태를 이룬 거치날개(34)가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거치날개(34)에서 연장된 랙기어(35)가 중앙기어(32)와 치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거치날개(34)의 벌려지는 작용에 의해 상기 중앙기어(32)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중앙기어(32)와 연동하여, 대칭되게 구성된 거치날개(34)가 상호 벌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부(30)에 의해 양측면이 고정되었던 스마트폰은 거치가 해제됨에 따라 거치대(1)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휴대기기 거치대(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버튼(38)에 의해 거치부(30)의 중앙기어(32)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락킹부(380)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부(380)는 상기 중앙기어(32)의 일측과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32)의 임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는 제1회동링크(382)와,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측에 구성되어 락킹버튼(38)의 눌림동작에 의해 상기 제1회동링크(382)를 강제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제2회동링크(384), 및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회동링크(382)가 항상 중앙기어(32)를 단속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38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동링크(382)는 일측에 상기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381), 및 중앙에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정각도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는 제1회동축(383)이 구성된다.
상기 톱니(381)는 상기 중앙기어(32)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려 상기 중앙기어(32)의 회전을 단속하는 수단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앙기어(32)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1회동축(383)은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정각도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2회동링크(384)는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측에 구성되어, 락킹버튼(38)을 통해 제공되는 밀림력에 의해 상기 제1회동링크(382)가 제1회동축(38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톱니(381)가 상기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1회동링크(382)를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2회동링크(384)의 일측에는 상기 락킹버튼(38)의 밀림력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회동링크(382)를 회전시키도록 회전을 지지하는 제2회동축(385)이 구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386)은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톱니(381)가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프링(386)은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하단부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톱니(381)가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락킹버튼(38)은 상기 제2회동링크(384)의 일측에 밀림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락킹버튼(38)은 휴대기기 거치대(1)의 측면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실시 예와 같이 배면이나 저면 또는 상면 등과 같이 사용목적 또는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어느 위치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락킹버튼(38)에는 상기 락킹버튼(38)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홈(38a)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38a)은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38a)에는 상기 안내홈(38a)의 방향을 따라 락킹버튼(38)의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축(389)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락킹부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380)의 제1회동링크(382)는 하단에 구성된 제2스프링(38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톱니(381)가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중앙기어(32)는 회전이 단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9b와 같이, 락킹버튼(38)을 외부에서 누르는 누름력을 제공하면, 상기 락킹버튼(38)은 고정축(389)의 안내를 받으면서 내측으로 이송되고, 이때 상기 락킹버튼(38)의 끝단에 위치한 제2회동링크(384)가 제2회동축(385)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2회동링크(384)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제2회동링크(384)의 일측에 위치한 제1회동링크(382)가 제1회동축(38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톱니(381)는 상기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중앙기어(32)는 자유롭게 회전하여, 휴대기기 거치대(1)에 휴대기기를 거치하거나 또는 거치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버튼(38)에 작용한 누름력을 해제하면,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측에 구성된 제2스프링(386)에서 탄성복귀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회동링크(382)와 제2회동링크(384)가 원위치 복귀되면서, 상기 락킹버튼(38)을 밀어냄으로써, 상기 락킹버튼(38)이 원위치 복귀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휴대기기 거치대(1)의 고정부(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24)에 삽입되는 회전공(42)과, 상기 돌출편(24)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공(42)의 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커버(44)와, 상기 커버(44)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연결대(48)와, 상기 연결대(48)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대(47) 및 상기 연장대(47)의 끝단에 구성되는 흡착판(49)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대(47)는 휴대기기 거치대(1)를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책상과 같이 평면을 이루는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역할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상기 흡착판(49)은 상기 연장대(47)의 끝단, 즉 저면에 구성되어, 평면에 상기 연장대(47)가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흡착판(49)은 고무로 이루어져 평면에 안정적인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통상의 고무 흡착판(suction plate)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장대(47)가 평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력을 발휘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즉, 제1실시 예의 고정부(40)는 자전거의 프레임 등과 같은 원형을 이루는 위치에 사용 가능한 파이프형이고, 제3실시 예의 고정부(40)는 평면을 이루는 위치에 사용 가능한 직립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자전거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거치대 2: 자전거
3: 휴대기기 10: 전면케이스
12: 받침대 14: 안착대
16: 미끄럼방지부재 20: 후면케이스
22: 삽입공 24: 돌출편
30: 거치부 32: 중앙기어
34: 거치날개 35: 랙기어
36: 스프링 38: 락킹버튼
40: 고정부 42: 회전공
44: 커버 46: 고정링
462: 고정단 464: 마찰링
48: 연결대 50: 스피커
60: 블루투스

Claims (5)

  1. 휴대기기(3)가 전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전면케이스(1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케이스(20)와,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10)(20) 사이에 구성되어 휴대기기(3)의 양측면을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부(30) 및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자전거(2)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는 외주연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중앙기어(32)와, 상기 중앙기어(32)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고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앙기어(32)와 치합되는 랙기어(35)가 형성되며 외주연이 상기 휴대기기(3)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거치날개(34)와, 상기 거치날개(3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6) 및 상기 중앙기어(32)의 일측과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32)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잠김상태 또는 해제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버튼(38)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30)에는 상기 락킹버튼(38)에서 누름력에 의해 중앙기어(32)의 잠김 또는 해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락킹부(380)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380)는 일측에 상기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톱니(381)가 구성되고 제1회동축(38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제1회동링크(382)와,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락킹버튼(38)에서 제공되는 누름력에 의해 제2회동축(385)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회동링크(382)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2회동링크(384) 및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회동링크(382)의 톱니(381)가 상기 중앙기어(32)의 기어치와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386)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케이스(10)에는, 하단에 휴대기기(3)의 하단을 받침하도록 받침대(12)와, 상기 받침대(12)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3)가 전면케이스(10)에 밀착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측으로 기울어지며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안착대(14) 및 상부 일측과 상기 안착대(14)에 구성되어 상기 휴대기기(3)가 임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회전공(42)과, 상기 회전공(42)을 압박시켜 거치대(1)의 설정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압박력을 제공하는 커버(44) 및 상기 회전공(42)의 일측에 연장되어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형 고정링(46)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46)은 일단이 절개되어 절개부를 통해 내측에 자전거(2)의 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절개부를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조임함으로써, 상기 자전거(2)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단(462) 및 상기 고정링(46)의 내측에 구성되어 마찰계수에 의해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내측에 요철(凹凸)이 형성된 마찰링(464)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1)에는, 휴대기기를 통해 통화 또는 음악청취가 가능하도록 마이크를 포함하는 스피커(50); 및
    상기 휴대기기(3)를 동기화시켜 상기 스피커(50)를 통해 전화통화 또는 음악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2763A 2015-01-08 2015-01-08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KR10157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63A KR101572610B1 (ko) 2015-01-08 2015-01-08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PCT/KR2015/014277 WO2016111490A1 (ko) 2015-01-08 2015-12-24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63A KR101572610B1 (ko) 2015-01-08 2015-01-08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610B1 true KR101572610B1 (ko) 2015-12-11

Family

ID=5502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763A KR101572610B1 (ko) 2015-01-08 2015-01-08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2610B1 (ko)
WO (1) WO20161114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6051A1 (zh) * 2019-01-30 2020-08-06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支架
CN115158517A (zh) * 2022-07-27 2022-10-11 杭州新永迪车业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手机挂放角度的智能自行车把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8513B (zh) * 2017-03-22 2023-05-16 广东小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支架
CN107508946A (zh) * 2017-09-26 2017-12-22 武汉市攀佳财务管理有限公司 一种工商事物代理教学便携式手机扫描支架
CN108471460A (zh) * 2018-03-28 2018-08-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WO2020006583A1 (en) * 2018-06-25 2020-01-02 Roberson Craig Valentine Moun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376A (ko) * 2007-11-28 2009-06-02 박영욱 거치대
KR101279536B1 (ko) * 2011-11-24 2013-07-05 윤세형 자전거의 휴대폰 거치대
KR20130077372A (ko) * 2011-12-29 2013-07-09 원혜숙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KR101394698B1 (ko) * 2012-07-06 2014-05-15 강준묵 자전거용 블루투스 스피커 유닛
KR20140019665A (ko) * 2012-08-07 2014-02-17 강인식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6051A1 (zh) * 2019-01-30 2020-08-06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支架
CN115158517A (zh) * 2022-07-27 2022-10-11 杭州新永迪车业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手机挂放角度的智能自行车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1490A1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610B1 (ko)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US20130237290A1 (en) Protective Communications Device Housing for Retractable Audio Devices Having Optional Gripping Mechanism
US8646736B2 (en) Hold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8579172B2 (en) Cases and covers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US7644895B2 (en) Clamping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s
FR2783663A1 (fr) Dispositif pour une utilisation sans risque d&#39;un telephone cellulaire portable tout en conduisant
US20160014243A1 (en) Carrier apparatus for mobile devices
US20100071168A1 (en) Earpiece retainer
US20110132950A1 (en) Seat Belt Attachment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US20230048105A1 (en) Auxiliary function board of vehicle seats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EP2183989A1 (en) Sports helmet for motorcyclists and other sports,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a use in a bluetooth technology or the like
KR20140002938A (ko)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90006413A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080037399A (ko)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
US20180099622A1 (en) Integrated hanger case for mobile device
KR200492403Y1 (ko)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US6082530A (en) Mobile telephone case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KR20120003972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0454927Y1 (ko) 안테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16401617U (zh) 骑行用移动终端支架
CN216479788U (zh) 电子设备支架
CN212231530U (zh) 一种多功能机械旋转指环支架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