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403Y1 -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403Y1
KR200492403Y1 KR2020190001859U KR20190001859U KR200492403Y1 KR 200492403 Y1 KR200492403 Y1 KR 200492403Y1 KR 2020190001859 U KR2020190001859 U KR 2020190001859U KR 20190001859 U KR20190001859 U KR 20190001859U KR 200492403 Y1 KR200492403 Y1 KR 200492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holder
bicycle
cradl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2020190001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전자기기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운행하면서 핸들에 스마트폰을 거치함과 동시에 무선충전 할 수 있는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는, 자전거 핸들에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것으로, 핸들에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스마트폰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후면에 구비되어 자전거 핸들에 스마트폰 거치대를 고정되도록 거치하는 자전거 거치부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간 주행시 길을 밝히는 플래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Bicycle Charging Smartphone Cradle}
본 고안은 자전거용 전자기기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운행하면서 핸들에 스마트폰을 거치함과 동시에 무선충전 할 수 있는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타고 주행함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휴대하기 위해 가방에 수납하거나 주머니에 수납하여 휴대한다.
특히 주머니에 넣고 주행할 경우 주행에 불편함이 따르고, 주행 중 스마트폰이 추락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자전거를 이용하면서도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거나, 주행정보 및 네비게이션 등을 사용하기 위해 자전거에 고정해둘수 있는 거치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자전거에 거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gps 등 부가 기능의 사용과 햇빛의 반사로 인해 시인성이 떨어져, 스마트폰의 화면 밝기를 최대로 설정하는것 등으로 배터리 소모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전거 스마트폰 거치대에 보조배터리를 내장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유선으로 충전을 하며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탈착하는데 번거롭고, 충전 케이블에 의해 스마트폰이 거치대와 분해되면서 바닥으로 낙하하여 파손 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207770 자전거용 충전장치)에서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본체와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회전접촉부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배터리 없이, 바퀴의 회전력을 통한 회전접촉부 회전 조작으로 발전된 전력으로는 스마트폰의 충전량을 확보하기 어렵고, 자전거가 정지해 있을 때 사용할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770호(2012.11.28.)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자전거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를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함과 동시에 무선 충전기를 적용하여 별도의 케이블 없이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 몸체의 후면 상단에 플래시를 구비하여 야간 주행시 길을 밝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거치대 하단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탑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는 타인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 하는 지향성 스피커로 사용자에게만 청취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자전거 핸들에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것으로, 핸들에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스마트폰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자전거 핸들에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되도록 거치하는 자전거 거치부(2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간 주행시 길을 밝히는 플래시부(300); 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11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하부에서 스마트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111)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112)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112)에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 조작부(1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자전거 거치부(200)에 결합될 때 탈착부(130)의 탄성으로 인해 단턱(131)이 단턱홈(211)에 탄성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130)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단턱(131)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착부(130)가 내입되는 탈착홈(210) 내측에도 탈착부(130)의 단턱(131)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홈(211)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탈착부(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탄성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자전거 거치부(200)를 결합하거나 탈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자전거를 주행할 때,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무선충전기를 구비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것만으로 무선충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 몸체의 후면 상단에 플래시를 구비하여 야간 주행시 길을 밝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거치대 하단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탑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는 타인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 하는 지향성 스피커로 사용자에게만 청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에 스마트폰이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스마트폰 거치대와 자전거 거치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스마트폰 거치대와 자전거 거치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하단에 스피커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피커부에 사운드 유도판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피커부에 마찰패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양측면에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후면 하단에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후면 하단에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에 스마트폰이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자전거 핸들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주된 구성은 크게 스마트폰 거치대(100), 자전거 거치부(200) 및 플래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양측면 및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하부에 단말기 고정부재(110)가 형성되어 스마트폰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11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하면에 하부 지지부(111)가 구비되며 양측면에는 측면 지지부(112)가 형성됨으로서 스마트폰을 고정하고, 상기 측면 지지부(112) 일측에는 나사를 통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으로 인해 스마트폰의 폭에 따라 측면 지지부의 좌우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 조작부(113)가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결합 및 탈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스마트폰을 충전함에 있어서,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충전하거나, 내측에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부(120)가 내장되어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폰의 충전과 플래시의 사용으로 소모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분리할 수 있는 탈착부(130)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 후면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탈착홈(2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일측에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확인 버튼(C1)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배터리 잔량 확인 버튼(C1)이 형성된 타측면에는 배터리 잔량 확인 LED(C2)가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배터리 잔량 확인 LED(C2)가 점등되어 잔량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와 자전거 거치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자전거 거치부(200)는 거치부 몸체(B)의 전면에 탈착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 후면에 구비된 탈착부(13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핸들에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 몸체(B)는 후면에 연결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220)의 단부에는 거치 고리(230)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 고리(230)는 힌지에 의해 회동하여 핸들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이를 조임나사(240)에 의해 조여지거나 풀 수 있어서 자전거 핸들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도 8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스마트폰 거치대와 자전거 거치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탈착부(130)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단턱(131)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착부(130)가 내입되는 탈착홈(210) 내측에도 탈착부(130)의 단턱(131)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홈(211)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탈착부(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탄성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자전거 거치부(200)에 결합될 때 탈착부(130)의 탄성으로 인해 단턱(131)이 단턱홈(211)에 탄성결합 됨에 따라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전거 거치부(200)의 양측에는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외측에서 내측으로 왕복 동작되는 탈착 부재(250)가 형성되어, 스마트폰 거치대(100) 및 자전거 거치부(200)를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 부재(250)는 거치부 몸체(B) 내부 양측에 홀(H)이 형성되며, 버튼(251)을 누르면 상기 홀 내측에 탈착부(130)를 가압하는 가압핀(252)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핀(252) 외주면에는 탄성스프링(253)이 형성되는 것이며, 가압핀(252)의 외측 단부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항상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가압핀을 외측에서 가압하였을 때 가압핀의 내측 단부가 탈착부(130)의 외측을 가압함으로서 단턱홈(211)에서 단턱(131)의 이탈을 조장하여 자전거 거치부(200)에서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후면 상단에 야간 주행시 길을 밝히기 위한 플래시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플래시부(300)는, 무선충전부(120)와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켜거나 끌 수 있어서, 필요 시에만 플래시부(300)를 점등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하단에 스피커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피커부(40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 하부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링크부(410)와 고정부(420)가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스피커를 결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상기 스피커부(40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 일측에 링크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410)의 단부에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42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420)는 고정체(421) 및 유동체(422)가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항상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유동체(422)를 개방(하측으로 내려)하여 원통형의 블루투스 스피커가 고정체 및 유동체 사이로 내입시킨 이후 유동체를 놓으면 토션스프링에 의해 블루투스 스피커 외주면을 감싸게 됨으로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에, 상기 유동체(422) 일측에는 사운드홈(4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운드홈은 블루투스 스피커의 소리가 사용자 측을 향하도록 하여 스피커의 소리가 타인에게 들리는 것을 최소화 하고, 사용자만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스피커로 인해 타인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유롭게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나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피커부에 사운드 유도판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사운드홈(423)에는 스피커에서 사운드가 방출되는 위치에 사용자 측을 향해 상하 회동되는 사운드 유도판(423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유도판(423a)은 상기 사운드홈(423)에서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거치대의 설치 위치에 따라 사용자측으로 사운드를 유도하여 타인에게 피해가 가는것을 최소화하면서 자유롭게 음악이나 네비게이션 안내 음성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자전거 핸들에 스마트폰을 고정할 때 무선으로 충전됨과 동시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음향을 사용자 측으로 자유롭게 유도할 수 있고, 스피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스피커부에 마찰패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체(421)와 유동체(422) 내측에 스피커가 고정 지지되는 면에는 스피커가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패드(424)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마찰패드(424)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연질소재로 이루어져 스피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진동에 의해 스피커가 이탈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부여하여 스피커가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스피커부는 원형 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며, 탈착 방식은 슬라이딩 방식 탈착이나 볼트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며, 무선충전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에 의해 이동 중에도 블루투스 스피커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양측면에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스피커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 양 측면에 스피커를 고정지지 할 수 있는 측면 탈착부(140)와 상기 스피커부(400)에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측면 탈착홈(430)이 슬라이드 결합함으로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후면 하단에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의 후면 하단에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스피커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 후면 하부에 스피커를 고정 지지 할 수 있는 하부 탈착부(150)와 상기 스피커부(400)에 상단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 탈착홈(440)이 슬라이드 결합함으로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하부 탈착홈(440) 상단에는 스피커 무선충전부(44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스피커를 결합함과 동시에 무선충전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자전거 거치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단말기 고정부재로 스마트폰을 고정하고, 상기 자전거 거치대의 전면에 무선충전부가 구비되어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배터리 효율을 높이고, 하단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동되어 스마트폰에 저장된 음악을 듣거나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를 지원하여 거치대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 스마트폰 거치대 110 : 단말기 고정부재
111 : 하부 지지부 112 : 측면 지지부
113 : 고정 조작부 120 : 무선충전부
130 : 탈착부 131 : 단턱
140 : 측면 탈착부 150 : 하부 탈착부
200 : 자전거 거치부 210 : 탈착홈
211 : 단턱홈 220 : 연결부
230 : 거치 고리 240 : 조임 나사
250 : 탈착 부재 251 : 버튼
252 : 가압핀 253 : 스프링
300: 플래시부 400 : 스피커부
410 : 링크부 420 : 고정부
421 : 고정체 422 : 유동체
423 : 사운드홈 423a : 사운드 유도판
424 : 마찰패드 430 : 측면 탈착홈
440 : 하부 탈착홈 441 : 스피커 무선충전부
B : 거치부 몸체 C1 : 배터리 잔량 확인 버튼
C2 : 배터리 잔량 LED H : 홀

Claims (3)

  1. 자전거 핸들에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것으로, 핸들에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스마트폰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자전거 핸들에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되도록 거치하는 자전거 거치부(2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간 주행시 길을 밝히는 플래시부(300);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는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단말기 고정부재(110)가 구비되되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는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단말기 고정부재(110)가 구비되되,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11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하부에서 스마트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111)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112)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112)에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 조작부(113)가 더 구비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자전거 거치부(200)에 결합될 때 탈착부(130)의 탄성으로 인해 단턱(131)이 단턱홈(211)에 탄성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130)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단턱(131)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착부(130)가 내입되는 탈착홈(210) 내측에도 탈착부(130)의 단턱(131)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홈(211)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탈착부(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탄성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자전거 거치부(200)를 결합하거나 탈거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하단에는 스피커부(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스피커부(400)는, 스마트폰 거치대(100) 하부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링크부(410)와 고정부(420)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420)는 고정체(421)와 유동체(422)가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항시 닫혀지는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동체(422)의 일측에는 사운드홈(423)이 형성되어 스피커의 소리가 사용자 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1859U 2019-05-07 2019-05-07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2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59U KR200492403Y1 (ko) 2019-05-07 2019-05-07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59U KR200492403Y1 (ko) 2019-05-07 2019-05-07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403Y1 true KR200492403Y1 (ko) 2020-10-07

Family

ID=7280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59U KR200492403Y1 (ko) 2019-05-07 2019-05-07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27B1 (ko) * 2021-03-05 2022-07-21 서일용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WO2024014647A1 (ko) * 2022-07-13 2024-01-18 서일용 확성기가 구비된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770B1 (ko) 2011-01-21 2012-12-05 한국과학기술원 자전거용 충전장치
KR20120137813A (ko) * 2011-06-13 2012-12-24 이커스텍(주) 자전거용 다기능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101281560B1 (ko) * 2012-02-22 2013-07-03 주식회사 프라코 오조립 방지 커넥터
KR20160000572A (ko) * 2014-06-24 2016-01-05 주식회사 에코스미스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770B1 (ko) 2011-01-21 2012-12-05 한국과학기술원 자전거용 충전장치
KR20120137813A (ko) * 2011-06-13 2012-12-24 이커스텍(주) 자전거용 다기능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101281560B1 (ko) * 2012-02-22 2013-07-03 주식회사 프라코 오조립 방지 커넥터
KR20160000572A (ko) * 2014-06-24 2016-01-05 주식회사 에코스미스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27B1 (ko) * 2021-03-05 2022-07-21 서일용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WO2024014647A1 (ko) * 2022-07-13 2024-01-18 서일용 확성기가 구비된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6858B1 (en) Customizable audio speaker assembly
KR200492403Y1 (ko)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EP3484132B1 (en) Support system for mobile devices
KR20048970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9168964B1 (en) Bicycle equipped with electric generator at saddle area
KR20080010631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1572610B1 (ko)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KR20180002295U (ko) 블루투스 자전거용 헬멧
KR20170088215A (ko) 공명스피커를 구비한 자전거용 스마트폰 거치대
MXPA05006543A (es) Instalacion de carga de baterias para dispositivo visualizador de imagenes y soporte con el mismo.
KR20210087794A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CN210351561U (zh) 一种充电式蓝牙耳机装置
KR200190767Y1 (ko)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DK200500021U4 (da) Hovedsæt med bærestil
KR101371132B1 (ko) 자전거용 거치장치
CN220985701U (zh) 内嵌式耳机的手机
KR102536053B1 (ko) 휴대용 거치대
KR20034996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CN218021965U (zh) 一种可无线充电的快速拆装手机支架
KR200489261Y1 (ko)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N204150161U (zh) 自行车用手机固定支架
CN209982656U (zh) 一种户外蓝牙音箱
KR20035906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US20230126316A1 (en) Speaker system for personal transportation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