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722B1 -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722B1
KR101301722B1 KR1020110133567A KR20110133567A KR101301722B1 KR 101301722 B1 KR101301722 B1 KR 101301722B1 KR 1020110133567 A KR1020110133567 A KR 1020110133567A KR 20110133567 A KR20110133567 A KR 20110133567A KR 101301722 B1 KR101301722 B1 KR 10130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se
side wall
link base
wal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853A (ko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1013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7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는, 휴대기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 테두리에 돌출형성되는 결착부와 일면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바디와, 바디의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바디의 개구부를 향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용홈부와 수용홈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양측벽부를 갖는 링크베이스와, 일단이 링크베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며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제1링크와,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되, 일단이 제1링크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와 제2링크 사이에 개재되되 일단은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압박하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제2링크의 타단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제2링크가 이동됨과 동시에 제2링크 및 제1링크가 회동되어 바디의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제1링크가 바닥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바디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Stand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모바일 컴퓨터, PDA,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이북(e-book) 리더 등의 휴대기기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최근에는 휴대기기에 동영상이나 DMB 수신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고 있어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통상 사용자의 손바닥 위에 놓고 사용에 편리한 각도 상태에서 사용되거나, 장시간 사용시 책상 등에 수평으로 놓고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휴대기기를 책상 등에 수평으로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야 각도가 거의 수직상태이므로 신체에 상당한 피로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거치대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휴대기기 외에 별도로 거치대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뒤따를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거치대는 일정한 경사각도가 정해진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기기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세우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휴대할 필요가 없도록, 평소에 휴대기기의 케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필요시에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의 경사각도가 단계별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양한 휴대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 테두리에 돌출형성되는 결착부와 일면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향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용홈부와 상기 수용홈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양측벽부를 갖는 링크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링크베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며 상기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제1링크와,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와 상기 제2링크 사이에 개재되되 일단은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압박하며,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제2링크가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 및 제1링크가 회동되어 상기 바디의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제1링크가 바닥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디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압박하는 가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 각각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임의의 지점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복수의 걸림홈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링크베이스의 걸림홈은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홈으로 이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링크는 일단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를 가지며, 상기 바디 및 링크베이스는 상기 제1링크의 회동돌기가 고정지지되도록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링크는 일단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를 가지며, 상기 링크베이스는 상기 제1링크의 회동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양측벽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용홈부와 상기 수용홈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양측벽부와 상기 양측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타면이 휴대기기에 탈착될 수 있는 링크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링크베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일단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링크베이스의 삽입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동돌기를 가져 상기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제1링크와,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와 상기 제2링크 사이에 개재되되 일단은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압박하며,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제2링크 및 제1링크가 회동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제1링크가 바닥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에 의하면, 평소에 휴대기기의 케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필요시에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세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세우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에 의하면, 휴대기기의 경사각도가 단계별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휴대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분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작동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과 관련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는 바디(10), 링크베이스(20), 제1링크(30), 제2링크(40), 탄성부재(5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휴대기기(1)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와, 휴대기기(1)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 테두리에 돌출형성되는 결착부(12)를 갖는다. 즉, 바디(10)는 기본적으로 통상의 휴대기기 케이스와 대응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디(10)는 바닥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4)를 갖는다. 바디(10)의 개구부(14)는 후술하는 제1링크(30)와 제2링크(40)의 회동시 제1링크(30) 및 제2링크(40)의 연결부가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개구부(14)는 바디(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바디(10)를 폭방향으로 세울 것인지, 길이방향으로 세울 것인지에 따른 차이이며, 제조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하면 된다.
바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4)의 외측으로 마련되는 단턱부(16)를 가질 수 있다. 바디(10)에 단턱부(16)를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링크베이스(20)의 결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링크베이스(20)가 바디(10)의 단턱부(16)에 안착되어 결합된 경우 바디(10)와 링크베이스(20)의 면이 수평을 이루게 되어, 이에 따라 휴대기기(1)를 바디(10)에 결합한 경우 휴대기기(1)와 바디(10)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된다.
바디(10)의 단턱부(16)에는 개구부(14)에 인접하도록 반원형 홈(18)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링크베이스(20)에 형성되는 반원형 홈(28)과 함께 제1링크(30)의 회동돌기(32)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다만, 바디(10)의 단턱부(16)에 반드시 반원형 홈(18)을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크베이스(20)에 제1링크(30)의 회동돌기(32)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원형의 삽입홈(도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이 형성된 경우에는 바디(10)에 반원형 홈(18)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링크베이스(20)는 바디(10)의 개구부(14)를 덮도록 형성되는데, 대략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디(10)의 단턱부(16)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링크베이스(20)와 바디(10)의 고정은 다양한 방식에 의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의 단턱부(16)에 다수의 결합돌기(17)를 돌출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링크베이스(2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결합홈(27)을 형성하며, 바디(10)의 결합돌기(17)가 링크베이스(20)의 결합홈(27)에 끼워지도록 한 후, 링크베이스(20)의 결합홈(27) 외부로 노출된 바디(10)의 결합돌기(17)를 압착하여 단부를 확장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트 등을 이용하여 링크베이스를 바디에 고정하는 방식도 가능하겠다.
링크베이스(20)는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용홈부(22)를 가지며, 수용홈부(22)에는 제1링크(30)와 제2링크(40)가 안착배치된다. 또한, 링크베이스(20)는 수용홈부(22)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양측벽부(24)를 갖는다.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에는 탄성부재(50)의 타단이 접촉되고, 탄성부재(50)는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를 향하여 복원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탄성부재(50)의 타단이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를 압박하게 된다. 이 경우,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에는 탄성부재(50)의 타단의 슬라이딩 이동이 임의의 지점에서 유동됨이 없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홈(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홈(26)을 복수로 형성하게 되면 바디(10)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는데 이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링크베이스(20)는 바디(10)의 반원형 홈(18)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반원형 홈(28)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링크(30)의 회동돌기(32)가 바디(10)의 반원형 홈과 링크베이스(20)의 반원형 홈이 이루게 되는 원형 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달리, 링크베이스(20)는 제1링크(30)의 회동돌기(32)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양측벽부(24)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바디(10)에 반원형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제1링크(30)는 링크베이스(20)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제1링크(30)와 제2링크(40)는 링크베이스(20)의 수용홈부(22)에 안착되며,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1링크(30)와 제2링크(40)가 회동되는 경우 양자의 연결부가 바디(10)의 개구부(14)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링크(30)를 바닥에 안착시키게 되면 바디(10)를 경사지게 세울 수가 있게 된다.
제1링크(30)는 그 일단이 링크베이스(2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링크베이스(20)의 수용홈부(22)에 안착된다. 이 경우, 제1링크(30)는 그 일단을 축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제1링크(30)의 일단 양측에는 회동돌기(32)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1링크(30)의 회동돌기(32)는 바디(10)의 반원형 홈(18)과 링크베이스(20)의 반원형 홈(18)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 고정지지된다. 이와 달리,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에 삽입홈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1링크(30)의 회동돌기(32)는 링크베이스(20)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한편, 제1링크(30)의 타단은 회동돌기(32)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바디(10) 또는 링크베이스(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제1링크(30)에 회동돌기(32)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이 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링크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봉 형태의 부재를 제1링크의 관통홀에 관통결합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2링크(40)는 링크베이스(20)의 수용홈부(22)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제1링크(3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링크베이스(20)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링크(40)와 제1링크(30)의 회동결합을 위해 핀부재(42)가 마련되며, 핀부재(42)를 축으로 하여 제1링크(30)와 제2링크(40)가 서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링크(40)의 타단은 제2링크(40)의 일단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축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링크베이스(20)의 수용홈부(22)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탄성부재(50)가 마련된다.
탄성부재(50)는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와 제2링크(40)의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재(50)는 그 일단이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며, 이 경우 제2링크(40)는 탄성부재(50)의 일단을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 탄성부재(50)의 타단은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를 압박한다. 이러한 탄성부재(50)는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50)는 샤프트부(52), 연장부(54), 가압부(56)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부(52)는 제2링크(40)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2링크(40)가 샤프트부(52)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연장부(54)는 샤프트부(52)에서 절곡되어 제2링크(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탄성 변형을 위해 제2링크(4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가압부(56)는 연장부(54)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되어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압박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50)의 가압부(56)에 의한 가압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가 유동됨이 없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해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에 걸림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베이스(20)에 걸림홈(26)을 형성하게 되면, 탄성부재(50)의 가압부(56)가 링크베이스(20)의 걸림홈(26)에 삽입됨으로써 걸림고정되고, 가압부(56)가 걸림홈(26)에서 이탈할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탄성부재(50)의 정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10)를 경사지게 세운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더욱이 걸림홈(26)을 복수로 형성하게 되면 바디(10)의 경사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탄성부재(50)의 정지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링크베이스(20)의 결합홈(27)을 탄성부재(50)의 가압부(5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60은 바디(10)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덮어 링크베이스(2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내부필름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개략적인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링크(30)와 제2링크(40)를 핀부재(42)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제2링크(40)에 탄성부재(50)를 장착한 후, 이들을 링크베이스(20)의 수용홈부(22) 안착결합시킨다. 그러고 나서, 링크베이스(20)를 바디(10)의 단턱부(16)에 안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며, 제1링크(30)와 제2링크(40)는 바디(10)의 개구부(14)를 통해 노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주요 작동상태를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a를 참조하면, 링크베이스(20)의 수용홈부(22)에 제1링크(30)와 제2링크(40)가 안착되고,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에는 복수의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링크(30)는 회동돌기(32)를 통해 바디 및 링크베이스(경우에 따라서는 링크베이스)에 결합되어 있고, 제2링크(40)는 탄성부재(50)를 통해 링크베이스(2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부재(50)는 그 가압부(56)가 링크베이스(20)의 상측에 위치한 걸림홈(26)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상방에서 제2링크(40)를 누르게 되면, 탄성부재(50)의 가압부(56)가 링크베이스(20)의 걸림홈(26)에서 이탈되면서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면상 제2링크(40)의 상단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1링크(30)와 제2링크(40)가 회동되면서 양자의 연결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도면상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탄성부재(50)는 만곡형성된 가압부(56)로 인해 연장부(54)가 제2링크(40) 쪽으로 꺾이게 되어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를 향하여 강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50)의 가압부(56)가 강한 힘으로 링크베이스(20)의 양측벽부(24)를 압박하기 때문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0)의 슬라이딩이 정지될 수는 있지만, 어떠한 걸림구조에 의해 탄성부재(50)가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유동현상이 발생할 수는 있다.
제2링크(40)를 계속 누르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가압부(56)가 링크베이스(20)의 걸림홈(26)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50)가 링크베이스(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30)와 제2링크(40)가 펼쳐진 상태에서 바디(10)의 결착부(12)를 바닥에 안착시켜 세움으로써 휴대기기(1)를 수직하게 세울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세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링크(40)를 도면상 상방에서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40)가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제2링크(40)와 제1링크(30)가 회동하여 양자의 연결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바디(10)의 개구부를 통해 도면상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제1링크(30)가 바닥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0) 및 이에 결합된 휴대기기(1)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더 경사지게 세우고자 한다면, 제2링크(40)에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여 제2링크(4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링크(40) 및 제1링크(30)를 회동시킨 후 제1링크(30)를 바닥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기기(1)의 경사각도가 도 6c 또는 도 6d와 같이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에서 바디 구성을 배제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링크베이스(20), 제1링크(30), 제2링크(40),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베이스에 탈착기능을 부여하여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모듈화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휴대기기의 배면에 결합 또는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베이스를 휴대기기에 부착하기 위해 점착테이프(도시되지 않음) 등이 사용될 수 있겠다.
여기에서, 링크베이스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와 마찬가지로 일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용홈부, 수용홈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양측벽부를 가진다. 다만,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의 일측에는 제1링크의 회동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가 전체적으로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성부재의 가압부가 상시 양측벽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와 제2링크가 링크베이스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링크베이스를 휴대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테이프는 링크베이스의 타면, 수용홈부가 형성된 일면의 반대쪽면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차이점 외에 링크베이스, 제1링크, 제2링크, 탄성부재의 기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10 : 바디 12 : 결착부
14 : 개구부 16 : 단턱부
18, 28 : 반원형 홈 20 : 링크베이스
22 : 수용홈부 24 : 양측벽부
26 : 걸림홈 30 : 제1링크
32 : 회동돌기 40 : 제2링크
50 : 탄성부재 52 : 샤프트부
54 : 연장부 56 : 가압부
60 : 내부필름

Claims (7)

  1. 휴대기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 테두리에 돌출형성되는 결착부와, 일면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향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용홈부와, 상기 수용홈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양측벽부를 갖는 링크베이스; 일단이 상기 링크베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며, 상기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제1링크;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와 상기 제2링크 사이에 개재되되 일단은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압박하며,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제2링크가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 및 제1링크가 회동되어 상기 바디의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제1링크가 바닥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디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압박하는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 각각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임의의 지점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복수의 걸림홈이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베이스의 걸림홈은 상기 탄성부재의 이동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5. 청구항 1, 3,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일단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를 가지며, 상기 바디 및 링크베이스는 상기 제1링크의 회동돌기가 고정지지되도록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6. 청구항 1, 3,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일단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를 가지며, 상기 링크베이스는 상기 제1링크의 회동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양측벽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7. 일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용홈부와, 상기 수용홈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양측벽부와, 상기 양측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타면이 휴대기기에 탈착될 수 있는 링크베이스;
    일단이 상기 링크베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일단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링크베이스의 삽입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동돌기를 가져 상기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제1링크;
    상기 링크베이스의 수용홈부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와 상기 제2링크 사이에 개재되되 일단은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압박하며, 상기 링크베이스의 양측벽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제2링크 및 제1링크가 회동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제1링크가 바닥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1020110133567A 2011-12-13 2011-12-13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10130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67A KR101301722B1 (ko) 2011-12-13 2011-12-13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67A KR101301722B1 (ko) 2011-12-13 2011-12-13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53A KR20130066853A (ko) 2013-06-21
KR101301722B1 true KR101301722B1 (ko) 2013-08-30

Family

ID=4886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567A KR101301722B1 (ko) 2011-12-13 2011-12-13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674B1 (ko) * 2015-10-23 2017-08-07 윤남운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80052915A (ko) * 2016-11-11 2018-05-21 김건희 휴대폰케이스 겸 거치대
KR200493109Y1 (ko) * 2020-08-19 2021-02-02 (주)케이디랩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639A (ko) * 2008-10-10 2010-04-20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탠딩장치
KR20110106199A (ko) * 2010-03-22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639A (ko) * 2008-10-10 2010-04-20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탠딩장치
KR20110106199A (ko) * 2010-03-22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53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011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2223569B1 (ko) 안정화 장치
US9374918B2 (en) Stand assembl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10050063A1 (en) Adjustable table stand and device using the same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TWI580340B (zh) 連接機構及具有該連接機構的電子裝置
KR101358408B1 (ko) 도킹스테이션
US20150214989A1 (en) Support base for electronic device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US7236354B2 (en) Display device and stand thereof
TW201302031A (zh) 支撐裝置
KR101301722B1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US5895022A (en) Monitor support adjusting apparatus
KR20100071800A (ko) 휴대통신단말기용 스탠드조립체
JP2011147099A (ja) 携帯式電子装置
KR200468496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JP2008178016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取付台
JP3224744U (ja) 扇風機
US20090135379A1 (en) Adjusting apparatus for projector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JP5396640B2 (ja) 形態可変型電子機器ホルダー
US7850316B2 (en) Adjusting apparatus assembly for projector
CN208874606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KR200461864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