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09Y1 -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 Google Patents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09Y1
KR200493109Y1 KR2020200003038U KR20200003038U KR200493109Y1 KR 200493109 Y1 KR200493109 Y1 KR 200493109Y1 KR 2020200003038 U KR2020200003038 U KR 2020200003038U KR 20200003038 U KR20200003038 U KR 20200003038U KR 200493109 Y1 KR200493109 Y1 KR 200493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mounting
connection
cas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랩 filed Critical (주)케이디랩
Priority to KR2020200003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가 케이스 부재와 거치 부재 및 거치 연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수 있어 휴대가 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 부재에서 상기 거치 부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거치 부재를 잡아 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케이스 부재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Tablet case with mounting function}
본 고안은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 케이스는 태블릿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태블릿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태블릿을 떨어뜨리는 등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태블릿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태블릿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태블릿 케이스를 장착하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태블릿 케이스의 형태가 다양해짐은 물론, 상기 태블릿 케이스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추가되는 기능 중 하나는 상기 태블릿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무리하게 목을 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태블릿을 소정 각도 기울인 상태로 거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종래의 태블릿 케이스는 상기 태블릿의 액정이 형성된 전면을 덮는 상부 덮개와, 상기 전면과 반대 방향의 면인 배면을 덮는 하부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덮개가 소정 각도 회동되어 상기 태블릿이 설치되는 설치면에 접지되면서 받침 기능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태블릿이 상기 설치면에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태블릿 케이스에 의하면, 상기 태블릿을 덮는 덮개가 두 개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에 따라 상기 태블릿 케이스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2-0015749 호, 공개일자 : 2012.02.22., 발명의 명칭 :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태블릿PC용 케이스 등록실용신안 제 20-0463950 호, 등록일자 : 2012.11.28., 고안의 명칭 : 피사체 촬영을 위한 거치대 겸용 휴대용 태블릿 PC 수납 케이스
본 고안은 태블릿 케이스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간단한 동작만으로도 거치가 가능한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는 그 내부에 태블릿(tablet)의 일부가 수용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를 상기 케이스 부재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시키는 거치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부재 중 상기 태블릿이 수용되는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부재가 연결되는 거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부재의 일단은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거치 부재의 타단은 상기 거치 부재의 일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거치 연결 부재 중 상기 거치 부재의 일단이 연결된 곳과 이격된 위치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거치 부재가 접혀지도록 하고, 접혀진 상기 거치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설치면에 접지되면서 상기 케이스 부재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에서, 상기 거치 부재는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 거치부와, 그 일측 말단부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 말단부는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 1 회동 거치 몸체와,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의 일측 말단부에서 양측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의 타측 말단부에서 양측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의 양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한 쌍의 제 1 회동측 함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 2 회동 거치 몸체와,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의 일측 말단부에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를 연결시키는 삽입 연결체와,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의 타측 말단부에서 돌출되되, 그 단면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돌출체와, 한 쌍의 상기 원형 돌출체에서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슬라이딩 축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연결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 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관통 홀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와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눌려지는 외력에 의해 에어를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 쪽으로 분사시켜,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 사이에 끼이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에어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에어가 수용되는 빈 공간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어 수집체와, 상기 에어 수집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수집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유동될 수 있는 에어 유동 배관과, 상기 에어 유동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회동되면서 접혀질 때,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에 상기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 분사 노즐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은 제 1 회동 거치 몸체 중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에 전달되면, 상기 케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도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접혀지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의 접혀지는 힘에 의해 상기 에어 수집체가 눌리게 되어 상기 에어 수집체가 탄성 변형되면서 수축됨으로써, 상기 에어 수집체의 내부에 있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유동 배관을 통해 상기 유동된 다음,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을 통해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로 분사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에 쌓이는 상기 이물질이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을 통해 분사된 상기 에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에 의하면,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가 케이스 부재와 거치 부재 및 거치 연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수 있어 휴대가 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 부재에서 상기 거치 부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거치 부재를 잡아 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케이스 부재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부재가 접혀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부재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부재에 적용된 제 1 파손 방지체 및 제 2 파손 방지체가 접혀진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수직으로 절단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연결 부재 및 거치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연결 부재에 적용된 수용홈에 거치 부재에 적용된 제 2 회동 거치부의 일부가 수용된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에어 분사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부재가 접혀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부재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부재에 적용된 제 1 파손 방지체 및 제 2 파손 방지체가 접혀진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수직으로 절단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연결 부재 및 거치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거치 연결 부재에 적용된 수용홈에 거치 부재에 적용된 제 2 회동 거치부의 일부가 수용된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태블릿이 수용되어 상기 태블릿을 보호함과 함께, 상기 태블릿을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케이스 부재(110)와, 거치 부재(120) 및 거치 연결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100)는 상기 거치 부재(120)의 일단은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부재(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거치 부재(120)의 타단은 상기 거치 부재(120)의 일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 중 상기 거치 부재(120)의 일단이 연결된 곳과 이격된 위치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거치 부재(120)가 접혀지도록 하고, 접혀진 상기 거치 부재(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설치면에 접지되면서 상기 케이스 부재(110)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부재(110)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100)는 지지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부재(110)는 그 내부에 상기 태블릿(tablet)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부재(110)는 전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태블릿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상기 태블릿의 액정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태블릿과 같이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부재(110)는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 등으로 제작된다.
상기 거치 부재(120)는 상기 케이스 부재(110)를 상기 케이스 부재(110)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시키는 것으로, 제 1 회동 거치부(121)와 제 2 회동 거치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는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와, 한 쌍의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123)과, 한 쌍의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과, 한 쌍의 제 1 회동측 함몰 홈(12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123)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의 일측 말단부에서 양측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123)은 후술되는 회동 연결측 삽입 홈(144)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는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의 타측 말단부에서 양측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은 후술되는 삽입 연결체(133)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되고,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 부재(120)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에 대해 소정 각도 접혀지게 된다.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측 함몰 홈(125)은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의벽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부재(110)로부터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를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태블릿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를 잡아 당길 때 상기 제 1 회동측 함몰 홈(125)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의 회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는 그 일측 말단부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 말단부는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와, 삽입 연결체(133)와, 한 쌍의 원형 돌출체(134)와, 슬라이딩 축(135)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 및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는 그 폭에 비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폭 방향으로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삽입 연결체(133)는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의 일측 말단부에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삽입 연결체(133)는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의 양측면에 각각 근접되고,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연결체(133)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 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구(133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이 상기 개방구(133a)를 통해 상기 관통 홀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방구(133a) 중 개방된 폭의 길이는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되 탄성을 가진다.
그러면,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이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될 때는 상기 개방구(133a)가 벌어지면서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이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이 상기 개방구(133a)를 통해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삽입 연결체(133)의 탄성이 복원됨으로써 상기 삽입 연결체(133)로부터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원형 돌출체(134)는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의 타측 말단부에서 돌출되되, 그 단면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원형 돌출체(134)는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 중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와 대면되는 면에서 돌출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축(135)은 한 쌍의 상기 원형 돌출체(134)에서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122)의 일 면 중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 근접되는 곳에서 돌출되는 제 1 파손 방지체(1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는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의 일 면 중 상기 삽입 연결체(133)와 근접된 곳에서 돌출되는 제 2 파손 방지체(136)를 더 포함한다.
상세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파손 방지체(126) 및 상기 제 2 파손 방지체(136)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132)가 접혀지도록 회동될 때 대면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서로 접혀진 상태로 상기 케이스 부재(110)를 거치시키고 있다가,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133)에서 상대적으로 먼 곳,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파손 방지체(126) 및 상기 제 2 파손 방지체(136)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133)가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태블릿을 손으로 누르는 등의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는 상대적으로 더 접혀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다가 상기 제 1 파손 방지체(126) 및 상기 제 2 파손 방지체(136)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아니하고 정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에 대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회동되어 상기 제 1 파손 방지체(126) 및 상기 제 2 파손 방지체(136)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파손 방지체(126) 및 상기 제 2 파손 방지체(136)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133)가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위치에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개방구(133a)를 통해 상기 삽입 연결체(133)로부터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이 탈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는 상기 케이스 부재(110) 중 상기 태블릿이 수용되는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부재(120)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회동 연결부(141)와 슬라이딩 연결부(151)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 연결부(141)는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과,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과, 회동 연결측 삽입 홈(144)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은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의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은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의 양측 말단부에서 한 쌍이 이격되어 돌출되고,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은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의 양 측면에서 11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의 외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회동 연결측 삽입 홈(144)은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123)이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45는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에서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함몰 형성되는 회동 연결측 함몰 홈이다.
상기 회동 연결측 함몰 홈(145)은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에 배치될 때 상기 제 1 회동측 함몰 홈(125) 대면되는 곳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동측 함몰 홈(125)과 함께 상대적으로 큰 홈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를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태블릿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외력을 전달할 때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151)는 상기 회동 연결부(14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와 연결된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과,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과, 슬라이딩 안내 홈(154)과, 안착 홈(155)과, 수용 홈(157)과, 슬라이딩 안내 경사면(156)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은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과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은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 중앙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양측 말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에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각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양 측면에서 11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외곽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에 의해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142)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이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이 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 홈(154)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축(135)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축(135)의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딩 축(135)이 상기 슬라이딩 안내 홈(154)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착 홈(155)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상단에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에 근접되면서 펼쳐진 형태일 때, 상기 원형 돌출체(134)가 상기 안착 홈(155)에 밀착되면서 안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와 연결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에 대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의 펼쳐진 상태라 함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를 상기 케이스 부재(110) 쪽으로 밀어 주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상기 케이스 부재(110)에 대해 회동되고,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는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안내 홈(15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는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 홈(157)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하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에 비해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수용 홈(157)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의 폭 방향, 즉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의 타측 말단부가 수용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 경사면(156)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과 상기 수용 홈(157)을 연결시키되,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에서 상기 수용 홈(157)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의 타측 말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가 상기 안착 홈(155)에서 상기 수용 홈(157) 쪽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의 타측 말단부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에서 상기 수용 홈(157)까지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123)이 상기 회동 연결측 삽입 홈(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를 상기 케이스 부재(110) 쪽으로 밀어주는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를 구성하는 상기 원형 돌출체(134)가 상기 안착 홈(155)에 안착되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는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에서 서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123)이 상기 회동 연결측 삽입 홈(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에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가 잡아 당겨지도록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를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1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133)가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원형 돌출체(134)는 상기 안착 홈(155)에서 안착 해제되고, 상기 안착 홈(155)에 근접되어 있던 상기 슬라이딩 축(135)은 상기 슬라이딩 안내 홈(15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용 홈(157) 쪽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 축(135)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의 타측 말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152)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다가 상기 슬라이딩 안내 경사면(156)을 거친 후 상기 수용 홈(157)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는 접혀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121)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131)에 의해 상기 케이스 부재(110)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 중 네 개의 각 모서리에서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의 돌출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110)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60)가 형성되면 상기 케이스 부재(110)에 걸리는 무게가 상기 지지부(160) 및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로 분산됨으로써 상기 태블릿 및 외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대해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100)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이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가장자리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케이스 부재(110)는 임의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부(160)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네 개의 모서리를 지탱해 주는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저면은 상기 지지부(160)와,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143)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15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모든 부분에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임의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1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와 상기 거치 부재(120) 및 상기 거치 연결 부재(14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1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수 있어 휴대가 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 부재(110)에서 상기 거치 부재(12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거치 부재(120)를 잡아 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케이스 부재(110)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에어 분사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는 케이스 부재와, 거치 부재와, 거치 연결 부재 및 에어 분사 부재(2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부재는 그 내부에 태블릿(tablet)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를 상기 케이스 부재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거치시키는 것으로, 제 1 회동 거치부와 제 2 회동 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 연결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 중 상기 태블릿이 수용되는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회동 연결부와 슬라이딩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분사 부재(270)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와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눌려지는 외력에 의해 에어를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를 구성하는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224)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를 구성하는 삽입 연결체(233) 쪽으로 분사시켜,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224) 및 삽입 연결체(233) 사이에 끼이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에어 분사 부재(270)는 에어 수집체(271)와, 에어 유동 배관(272)과, 에어 분사 노즐관(273)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수집체(271)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파손 방지체(226) 사이에서 소정 부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 에어가 수용되는 빈 공간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유동 배관(272)은 상기 에어 수집체(271)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수집체(271)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273)은 상기 에어 유동 배관(272)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회동되면서 접혀질 때,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2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233)에 상기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273)은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를 구성하는 제 1 회동 거치 몸체(222) 중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222)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를 잡아 당기는 등의 외력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에 전달되면, 상기 케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도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접혀지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의 접혀지는 힘에 의해 상기 에어 수집체(271)가 눌리게 되어 상기 에어 수집체(271)가 탄성 변형되면서 수축됨으로써, 상기 에어 수집체(271)의 내부에 있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유동 배관(272)을 통해 상기 유동된 다음,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273)을 통해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2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233)로 분사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2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233)에 쌓이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273)을 통해 분사된 에어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224) 및 상기 삽입 연결체(233)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에 의하면,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수 있어 휴대가 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에서 거치 부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거치 부재를 잡아 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케이스 부재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110 : 케이스 부재
120 : 거치 부재
121 : 제 1 회동 거치부
122 : 제 1 회동 거치 몸체
123 :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
124 :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125 : 제 1 회동측 함몰 홈
131 : 제 2 회동 거치부
132 : 제 2 회동 거치 몸체
133 : 삽입 연결체
134 : 원형 돌출체
135 : 슬라이딩 축
140 : 거치 연결 부재
141 : 회동 연결부
142 :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
143 : 회동 연결측 프레임
144 : 회동 연결측 삽입 홈
151 : 슬라이딩 연결부
152 :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
153 :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
154 : 슬라이딩 안내 홈
155 : 안착 홈
156 : 슬라이딩 안내 경사면
157 : 수용 홈
160 : 지지부

Claims (5)

  1. 그 내부에 태블릿(tablet)의 일부가 수용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를 상기 케이스 부재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시키는 거치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부재 중 상기 태블릿이 수용되는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부재가 연결되는 거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부재의 일단은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거치 부재의 타단은 상기 거치 부재의 일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거치 연결 부재 중 상기 거치 부재의 일단이 연결된 곳과 이격된 위치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거치 부재가 접혀지도록 하고, 접혀진 상기 거치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설치면에 접지되면서 상기 케이스 부재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에서,
    상기 거치 부재는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동 거치부와,
    그 일측 말단부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 말단부는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동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 1 회동 거치 몸체와,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의 일측 말단부에서 양측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의 타측 말단부에서 양측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의 양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한 쌍의 제 1 회동측 함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 2 회동 거치 몸체와,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의 일측 말단부에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를 연결시키는 삽입 연결체와,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의 타측 말단부에서 돌출되되, 그 단면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돌출체와,
    한 쌍의 상기 원형 돌출체에서 외곽으로 각각 돌출되는 슬라이딩 축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연결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 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관통 홀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와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눌려지는 외력에 의해 에어를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 쪽으로 분사시켜,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 사이에 끼이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에어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에어가 수용되는 빈 공간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어 수집체와,
    상기 에어 수집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수집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유동될 수 있는 에어 유동 배관과,
    상기 에어 유동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회동되면서 접혀질 때,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에 상기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 분사 노즐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은 제 1 회동 거치 몸체 중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에 전달되면, 상기 케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도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접혀지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의 접혀지는 힘에 의해 상기 에어 수집체가 눌리게 되어 상기 에어 수집체가 탄성 변형되면서 수축됨으로써, 상기 에어 수집체의 내부에 있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유동 배관을 통해 상기 유동된 다음,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을 통해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로 분사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에 쌓이는 상기 이물질이 상기 에어 분사 노즐관을 통해 분사된 상기 에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연결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연결부와,
    상기 회동 연결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와 연결된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과,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의 양측 말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동 연결측 베이스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회동 연결측 프레임과,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이 각각 삽입되는 회동 연결측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의 양측 말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되,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축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축의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 홈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의 상단에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 홈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의 하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에 비해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 수용 홈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과 상기 수용 홈을 연결시키되,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에서 상기 수용 홈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의 타측 말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상기 안착 홈에서 상기 수용 홈 쪽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의 타측 말단부를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에서 상기 수용 홈까지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이 상기 회동 연결측 삽입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를 구성하는 상기 원형 돌출체가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되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에서 서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회동 일측 회전축이 상기 회동 연결측 삽입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에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를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가 상기 거치 연결 부재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원형 돌출체는 상기 안착 홈에서 안착 해제되고, 상기 안착 홈 에 근접되어 있던 상기 슬라이딩 축은 상기 슬라이딩 안내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용 홈 쪽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 축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의 타측 말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베이스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다가 상기 슬라이딩 안내 경사면을 거친 후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는 접혀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 부재가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는
    상기 제 1 회동 거치 몸체의 일 면 중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과 근접되는 곳에서 돌출되는 제 1 파손 방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는
    상기 제 2 회동 거치 몸체의 일 면 중 상기 삽입 연결체와 근접된 곳에서 돌출되는 제 2 파손 방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에 대해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회동되어 상기 제 1 파손 방지체 및 상기 제 2 파손 방지체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파손 방지체 및 상기 제 2 파손 방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 및 상기 삽입 연결체가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위치에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삽입 연결체로부터 상기 제 1 회동 타측 회전축이 탈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 1 회동 거치부 및 상기 제 2 회동 거치부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배면 각 모서리에서 상기 회동 연결측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측 프레임의 돌출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KR2020200003038U 2020-08-19 2020-08-19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KR200493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38U KR200493109Y1 (ko) 2020-08-19 2020-08-19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38U KR200493109Y1 (ko) 2020-08-19 2020-08-19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09Y1 true KR200493109Y1 (ko) 2021-02-02

Family

ID=7456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038U KR200493109Y1 (ko) 2020-08-19 2020-08-19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532A (ko) 2021-12-21 2023-06-28 박태현 자가 발전하는 태블릿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13Y1 (ko) * 2000-07-25 200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무선 단말기의 폴더 댐핑 장치
KR20110001238U (ko) * 2011-01-17 2011-02-08 이진영 받침대가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
KR20120015749A (ko) 2010-08-13 2012-02-22 (주)금오전자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태블릿pc용 케이스
KR200463950Y1 (ko) 2012-08-30 2012-12-04 (주)밸류포인트 피사체 촬영을 위한 거치대 겸용 휴대용 태블릿 pc 수납 케이스
KR20130066853A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20180083200A (ko) * 2017-01-12 2018-07-20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13Y1 (ko) * 2000-07-25 200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무선 단말기의 폴더 댐핑 장치
KR20120015749A (ko) 2010-08-13 2012-02-22 (주)금오전자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태블릿pc용 케이스
KR20110001238U (ko) * 2011-01-17 2011-02-08 이진영 받침대가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
KR20130066853A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200463950Y1 (ko) 2012-08-30 2012-12-04 (주)밸류포인트 피사체 촬영을 위한 거치대 겸용 휴대용 태블릿 pc 수납 케이스
KR20180083200A (ko) * 2017-01-12 2018-07-20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532A (ko) 2021-12-21 2023-06-28 박태현 자가 발전하는 태블릿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46360B (zh) 用于电子尼古丁输送系统的容器
US7380308B2 (en) Vacuum cleaner
KR200493109Y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태블릿 케이스
CN1306898C (zh) 立式真空吸尘器
KR100868394B1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FR2746650A3 (fr) Recipient a desodorisant
US6469693B1 (en) Computer mouse with single-piece top and single-piece bottom
US7886395B2 (en) Pencil sharpener with eraser
CN101416848A (zh) 用于真空吸尘器的灰尘收集单元
AU2007201122A1 (en) Vacuum cleaner
KR100753497B1 (ko) 핏업 리브를 가진 액체연료 라이터
EP2389830B1 (en) Holst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O2013119447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2698720U (zh) 尘杯组件以及吸尘器
AU2004202982B2 (en) Air Discharge Structure for a Vacuum Cleaner
KR102094616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AU2010347852B2 (en)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US20040202922A1 (en) Mobile phone and battery-fixing device
KR101000246B1 (ko) 유에스비 잭 구조
CN213535478U (zh) 一种折叠箱
KR200495128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CN201271645Y (zh) 嵌入式荧幕清洁器
KR100840183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JP3015736U (ja) 傘袋回収箱および傘袋装着装置付き傘袋回収箱
KR20070018285A (ko) 먼지수집봉투 및 먼지수집통을 선택 사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