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674B1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674B1
KR101765674B1 KR1020150148260A KR20150148260A KR101765674B1 KR 101765674 B1 KR101765674 B1 KR 101765674B1 KR 1020150148260 A KR1020150148260 A KR 1020150148260A KR 20150148260 A KR20150148260 A KR 20150148260A KR 101765674 B1 KR101765674 B1 KR 101765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ayer
resin film
film lay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776A (ko
Inventor
윤남운
윤민석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윤남운
윤민석
이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운, 윤민석, 이남희 filed Critical 윤남운
Priority to KR102015014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674B1/ko
Priority to PCT/KR2016/011970 priority patent/WO2017069594A1/ko
Publication of KR2017004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케이스의 외측면에 커버층을 형성하되, 상기 커버층은,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필름층과; 상기 배면케이스를 향하는 상기 수지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인쇄층이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사용에 따라 인쇄된 내용이 지워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인쇄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기타 원단과 인쇄층의 재질 차이에 따른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층이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사용에 따라 인쇄된 내용이 지워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 기타 원단과 인쇄층의 재질 차이에 따른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 및 모바일 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휴대 단말기의 수납 및 보호를 위하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가죽이나 스웨이드 재질의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는데, 이러한 케이스의 외부에 다양한 색깔의 무늬 또는 회사나 제조사의 로고 등을 인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인쇄층이 외부로 직접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사용에 따라 인쇄층이 지워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케이스의 외관이 심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인쇄층의 마모에 의해 멀쩡한 케이스를 바꿔야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죽이나 스웨이드 원단과 인쇄층은 서로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외피와 인쇄층 사이에 이질감이 부각되므로 전체적으로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죽이나 스웨이드는 자체의 색깔을 가지고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색깔을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색에 따라 인쇄층의 색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7214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층이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사용에 따라 인쇄된 내용이 지워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인쇄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기타 원단과 인쇄층의 재질 차이에 따른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층에 공기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층과 배면케이스 사이에 유입된 공기가 흡수 분산되어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면케이스에서 연결부 및 전면케이스를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케이스의 외측면에 커버층을 형성하되, 상기 커버층은,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필름층과; 상기 배면케이스를 향하는 상기 수지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지 필름층의 접착시 발생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하는 공기흡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수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지 필름층은 상기 배면케이스의 배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배면케이스 외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케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케이스와, 상기 배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전면케이스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 및 연결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접촉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은, 광투과성을 갖는 연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층은, 상기 인쇄층과 접착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의 접착시 발생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하는 공기흡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배면케이스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배면케이스 외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각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필름층 또는 연성 수지 필름층은 0.075 ~ 0.3 mm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각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수층은 다공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수지 필름층 또는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의 접착시 상기 수지 필름층 또는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배면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 응집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면케이스와 착탈가능하도록 분리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배면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 또는 배면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돌기와, 상기 연결부 또는 배면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인쇄층이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사용에 따라 인쇄된 내용이 지워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인쇄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기타 원단과 인쇄층의 재질 차이에 따른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커버층에 공기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층과 배면케이스 사이에 유입된 공기가 흡수 분산되어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배면케이스에서 연결부 및 전면케이스를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도,
도 3은, 도 3의 A,B,C 부분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통상의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란 상기의 휴대 단말기의 보호 등을 목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상의 케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케이스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의 측면으로 전면케이스가 연결된 통상의 플립커버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갑형(또는 파우치형) 케이스 등 다양한 종류에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재질 또한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1)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에 커버층(30)을 형성하되, 상기 커버층(30)은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필름층(31)과, 배면케이스(11)를 향하는 수지 필름층(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35)을 포함한다.
이하, 구성별로 설명한다.
커버층(30)은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11)의 배면(111) 또는 측면(115)을 모두 포함하며, 커버층(30)은 필요에 따라 배면(111) 및 측면(115)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배면(111) 또는 측면(115)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면케이스(11)의 배면(111)에만 형성할 수 있다.
커버층(30)은 광투과성의 수지 필름층(31)과, 인쇄층(35)을 포함하며, 추가로 공기흡수층(37)과, 접착층(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지 필름층(31)은 광투과성의 수지 재질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지 필름층(31)은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달리 수지 자체가 연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무관하다.
수지 필름층(31)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등 광투과성을 보유하고 있는 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재질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과성의 정도는 수지 필름층(31)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35)에 의한 색깔, 문양 또는 문자 등이 투과되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도이면 다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수지 필름층(31)은 다양한 두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0.075 ~ 0.3 mm 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으며, 0.2 mm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층(31)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배면케이스(11)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수지 필름층(31)은 배면케이스(11)의 배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인쇄층(35)은 배면케이스(11)를 향하는 수지 필름층(31)의 하부에 형성된다.
인쇄층(35)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다양한 색깔 또는 문자나 무늬 등 제한 없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층(35)을 형성하는 방법 또한 수지 필름층(31)에 인쇄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인쇄된 필름을 수지 필름층(31)의 배면에 접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인쇄층(35)은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 전부에 마련될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인쇄층이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사용에 따라 인쇄된 내용이 지워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수지 필름층의 배면에 인쇄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기타 원단과 인쇄층의 재질 차이에 따른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흡수층(37)은 인쇄층(35)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지 필름층(31)의 접착시 발생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한다.
즉, 수지 필름층(31)이나 인쇄층(35)은 박막이나 공기가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 마련되므로, 커버층(30)을 배면케이스(11)에 접착하는 경우 커버층(30)과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 사이에 유입된 공기가 공기방울을 형성하여 외관을 해칠수 있고 심한 경우 접착력 자체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커버층(30)에 공기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층과 배면케이스 사이에 유입된 공기가 흡수 분산되어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흡수층(37)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다공성 재질로 마련되어, 수지 필름층(31)의 접착시 수지 필름층(31)과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 사이에 응집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공기흡수층(37)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스판덱스(Spandex)로 마련될 수 있다.
접착층(39)은 공기흡수층(37)의 하부에 형성되어 커버층(30)을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에 열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접착층(39)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핫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층(30)을 배면케이스(11)에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핫멜트 재질의 접착층(39)을 커버층(30)의 하부에 형성한 후에 배면케이스(11)에 열을 가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배면케이스(11)를 사출할 때, 미리 커버층(30)(즉, 수지 필름층(31), 인쇄층(35) 및 공기흡수층(37))의 공정, 바인더 공정, 타발 공정까지 제작을 완료한 다음, 사출 금형에 커버층(30)을 위치시킨 채로 배면케이스(11) 사출을 하는 방법으로 접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수층(37)은 선택적으로 사용이 될 수 있으며, 접착층(39)은 별도 공정인 바인더 방식(본드 인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1)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지 필름층(31)은 수지 필름 원단(도 4의 S11에는 연성 수지 필름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연성의 여부가 무관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의 준비한 후에(S11), 수지 필름층(31)을 형성하고자 하는 배면케이스(11)의 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지 필름을 재단한다(S12).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11)의 배면(111)에 대응하는 외곽형상은 물론 내측의 카메라홀 등 다양한 관통공의 형상을 포함하여 재단한다.
그리고, 수지 필름층(31)의 내측에 인쇄층(35)을 형성한다(S13). 인쇄층(35)은 수지 필름층(31)의 전부는 물론 일부 영역에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방법 또한 스크린 인쇄 공법이나 디지털 프린팅 공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 별도로 준비된 공기흡수층(37) 원단을 이용하여(S21),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필름을 재단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지 필름층(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재단(S22)한 다음, 이를 인쇄층(14)의 하부에 접착한다(S14). 공기흡수층(37)을 형성하는 방법 또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열을 가하여 접착시키는 열가접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공정을 통해, 준비된 접착제 원단(S31)을 재단한 다음(S32), 커버층(30)의 하부 즉, 공기흡수층(37)의 하부에 접착한다.
마지막으로, 커버층(30)을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에 열융착하여 커버층(30)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1)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아닌 한 전 실시예에서의 설명은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됨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케이스(11)와,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케이스(15)와, 상기 배면케이스(11) 및 전면케이스(15)의 일측을 연결하며 전면케이스(15)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3)로 구성된다.
이에, 전면케이스(15) 및 연결부(13)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접촉되는 내피(50)와, 내피(50)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층(30)을 포함한다.
커버층(30)은 광투과성을 갖는 연성 수지 필름층(33)과, 내피(50)를 향하는 연성 수지 필름층(33)의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35)과, 인쇄층(35)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층(3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지 필름층(31)은 연성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데, 이는 수지 필름층(31)이 전면케이스(15)는 물론 최소한 연결부(13)까지 확장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반복적이 휨이 발생하는 연결부(13)의 경우 경질의 수지가 이용되면 사용에 따라 파단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심한 경우 휨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면케이스(15) 부분과 연결부(13) 부분을 별도로 제작하여 내피에 접착하는 경우에라면, 연결부(13) 만을 연성 수지 재질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전면케이스(15) 부분과 연결부(13) 부분에 일체형 커버층(30)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연성 수지 필름층(33)은 광투과성 및 연성을 보유하는 한 다양한 재질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커버층(30)은 전면케이스(15) 및 연결부(13)에 걸쳐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추가로 배면케이스(11)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기타, 연성 수지 필름층(33), 인쇄층(35) 및 공기흡수층(37)의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3을 통해, 전면케이스(15), 연결부(13) 및 배면케이스(11)의 단면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여 전면케이스(15) 부분을 살펴보면, 최상부로부터 연성 수지 필름층(33), 인쇄층(35) 및 공기흡수층(37)이 커버층(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면케이스(15)의 내피(50)와의 사이에 플레이트(이는 전면케이스가 덮힌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스크린 일부를 볼수 있는 투명창이 마련되는 경우 이를 위한 광투성과성 경질 수지 플레이트를 의미한다.)가 마련되는 경우에, 커버층(30)은 접착층(39)에 의해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열 접착된다.
한편, 플레이트(40)의 하부에는 통상의 재질 예를 들어, 스웨이드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50)가 마련된다. 내피(5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되며, 통상 스웨이드 재질이 사용된다.
다음 도 3의 B를 통해 연결부(13)의 커버층(30)을 살펴보면, 최상층의 연성 수지 필름층(33)으로부터 하방의 인쇄층(35), 공기흡수층(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착층(39)에 의해 커버층(30)이 내피(50)에 열 접착된다.
한편, 배면케이스(11) 쪽의 단면을 도 3의 c를 통해 살펴보면, 연성 수지 필름층(33), 인쇄층(35) 및 공기흡수층(37)으로 형성된 커버층(30)이 접착층(39)에 의해 배면케이스(11)의 외측면에 열 접착된다.
한편, 연결부(13)는 배면케이스(11)와 착탈가능하도록 분리형성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및 배면케이스(11)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 따라서는 전면케이스(15)의 사용이 불편할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배면케이스(11)에서 연결부(13) 및 전면케이스(15)를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6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연결부(13) 또는 배면케이스(11)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돌기(61)와, 연결부(13) 또는 배면케이스(11)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65)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61)와 돌기수용부(65)의 갯수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1)가 돌기수용부(65)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면케이스(11) 내측의 단차를 맞춰주고, 돌기(61)가 돌기수용부(65)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커버(67)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1)의 제조방법을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점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층(30)을 형성한 후에는 (S14),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된 플레이트(S41)에 접착층(S15)을 이용하여 열접착하게 되며, 이후에는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된 내피(50)(S51, S52)를 플레이트(40)의 하면에 열 가접한 후에(S17), 전체를 열융착하여 제조하고(S18), 마지막으로 외곽선을 따라 마무리 공정을 진행한다(S19).
,
1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11 : 배면케이스
111 : 배면 115 : 측면
13 : 연결부 15 : 전면케이스
30 : 커버층
31 : 수지 필름층 33 : 연성 수지 필름층
35 : 인쇄층 37 : 공기흡수층
39 : 접착층
40 : 플레이트
50 : 내피
60 : 고정부 67 : 고정부커버
61 : 돌기 65 : 돌기수용부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케이스의 외측면에 커버층을 형성하되,
    상기 커버층은,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필름층과;
    상기 배면케이스를 향하는 상기 수지 필름층의 하부에 상기 배면케이스의 외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지 필름층의 접착시 발생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하는 공기흡수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수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지 필름층은 상기 배면케이스의 배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5. 삭제
  6.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케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케이스와, 상기 배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전면케이스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 및 연결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접촉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은, 광투과성을 갖는 연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의 하부에 상기 배면케이스 외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의 접착시 발생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하는 공기흡수층과, 상기 공기흡수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배면케이스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층 또는 연성 수지 필름층은 0.075 ~ 0.3 mm의 두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수층은 다공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수지 필름층 또는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의 접착시 상기 수지 필름층 또는 상기 연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배면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 응집되는 공기방울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48260A 2015-10-23 2015-10-23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765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260A KR101765674B1 (ko) 2015-10-23 2015-10-23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PCT/KR2016/011970 WO2017069594A1 (ko) 2015-10-23 2016-10-24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260A KR101765674B1 (ko) 2015-10-23 2015-10-23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76A KR20170047776A (ko) 2017-05-08
KR101765674B1 true KR101765674B1 (ko) 2017-08-07

Family

ID=5855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260A KR101765674B1 (ko) 2015-10-23 2015-10-23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5674B1 (ko)
WO (1) WO2017069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06A (ko) 2020-02-04 2021-08-12 프리닉스(주) 인쇄 용지 및 이의 제조 방법과 그 인쇄 용지를 이용한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KR102335125B1 (ko) * 2021-07-20 2021-12-03 주식회사 엘피아이팀 시각적 표현이 용이한 에어쿠션 젤하드케이스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104U (ja) * 2011-03-11 2011-06-02 勉 金谷 携帯電子機器用ケース
KR101301722B1 (ko) * 2011-12-13 2013-08-30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20140066079A (ko) * 2012-11-16 2014-05-30 한광열 스마트폰 케이스
KR20140141743A (ko) * 2013-05-30 2014-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케이스
KR20150069822A (ko)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가온랩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594A1 (ko) 2017-04-27
KR20170047776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230B2 (en) Offset control for assembling an electronic device housing
US9553627B2 (en) Protective case capable of enhancing light prompting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6050962B2 (ja) ガラス一体型成形品の製造方法、ガラス一体型成形品
US9658656B2 (en) Cover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67372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765674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20024560A1 (en) Case for enclosing and remaining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pplied fabric
CN111866218B (zh) 移动终端及其壳体和壳体的制作方法
CN108696610A (zh) 壳体、电子装置和壳体的制造方法
CN112134969B (zh) 移动终端及其壳体
KR20130069937A (ko) 방수기능을 갖는 휴대폰 액정화면보호 글라스
KR101546867B1 (ko)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JP2005138410A (ja) 液晶表示部の保護パネル
CN107395836A (zh) 一种裸眼立体手机膜的对位方法
AU201526868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outer glass surfaces
KR101474982B1 (ko) 투광창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41556B1 (ko) 휴대폰 보호용 보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4222A (ko) 휴대단말기용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28388A (ko)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