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681A -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681A
KR20230044681A KR1020210127127A KR20210127127A KR20230044681A KR 20230044681 A KR20230044681 A KR 20230044681A KR 1020210127127 A KR1020210127127 A KR 1020210127127A KR 20210127127 A KR20210127127 A KR 20210127127A KR 20230044681 A KR20230044681 A KR 2023004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drest
mobile device
pane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102021012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681A/ko
Publication of KR2023004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는 케이스; 거치하고자 하는 물체가 정면에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후면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고정되는 파지부재; 케이스와 파지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대; 및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을 구비하여 케이스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Headrest mounting device and mobile device holder for headres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와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를 운전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폰에 통합되어 있어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는 일단부 측에 스마트폰을 끼움 결합한 후 반대되는 타단부 측을 차량의 유리, 대시 보드 등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중량으로 인해 차량용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에서 측면으로 밀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량의 헤드레스트는 차량 시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차량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부위를 기댈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머리부위를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쿠션기능이 있는 폼(Foam)형태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헤드레스트에 연결하여 고정하여, 후석에 위치한 승객이 모바일기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경우, 차량의 진동에 의해 헤드레스트와의 연결부분이 이탈할 수 있어 모바일기기를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를 헤드레스트용 거치장치에 고정함에 있어, 모바일기기의 각도나 승객과의 간격 등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806121호 (2017.12.01 등록)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806122호 (2017.12.0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는, 케이스; 거치하고자 하는 물체가 정면에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후면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상기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고정되는 파지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파지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대; 및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 상기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고정되는 파지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파지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대; 및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은 모바일 기기가 고정되는 크래들; 및 정면에 상기 크래들이 결합되고, 후면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태블릿 등의 모바일기기를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모바일 기기가 고정되는 크래들과 케이스에 착탈되는 패널이 결합된 모듈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모바일기기뿐 아니라 그 이외에 다양한 물체들을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패널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회전 가이드부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착탈수단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패널의 분리 상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수단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3은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거치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거치장치는 패널(10), 케이스(20), 회전 가이드 부(30), 이탈방지부재(40), 착탈수단(50), 각도 조절수단(60), 연결대(70) 및 파지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널(10)은 정면에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예를 들어, 모바일기기 크래들 또는 쿠션 등)이 위치되고, 후면 좌·우측에 제1 후크돌기(13) 및 제2 후크돌기(14)가 구비된다.
이러한 패널(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15)과 후면판(16)이 볼트(17)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10)은 후술할 착탈수단(50)에 의해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모듈 형태로 구성된 패널(10)을 임의대로 분리하여 다른 패널(10)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판(15)과 후면판(16)이 볼트(17)에 의해 분리 및 결합됨으로 볼트(17)를 풀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모듈로 교환하거나 또는 노후된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태블릿 등의 모바일기기를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모바일 기기가 고정되는 크래들과 케이스에 착탈되는 패널이 결합된 모듈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모바일기기뿐 아니라 그 이외에 다양한 물체들을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10)과 결합된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이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구성들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용 모바일 거치대(100)는 케이스(20),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고정되는 파지부재(80)와, 케이스(20)와 파지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은 모바일 기기가 고정되는 크래들(110)과, 정면에 크래들(110)이 결합되고, 후면은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10)이 결합된 모듈 형태일 수 있다.
크래들(110)은, 패널(10)과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와, 복수의 파지부들(111, 112)을 구비하여 모바일기기를 파지 고정하는 클램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부재는 패널(10)과 결합된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그를 위해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116)과 결합판(116) 정면에 배치되어 모바일기기의 일면이 접촉되는 안착면(1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모바일기기는 크래들(110)의 안착면(115)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하로 배치된 파지부들(111, 112)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된 상태에서 클램핑부재가 패널(10)에 대해 회전하여 모바일기기의 방향이 가로/세로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21)이 구비되고 정면에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가 관통 산입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후면에 수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홈(23)이 형성된다.
수용공간(21)은 후술할 착탈수단(50) 및 각도 조절수단(6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가이드 홈(23)은 후술할 회전 가이드 부(30)의 가이드 돌기(31)와 연계하여 케이스(20)가 회전 가이드 부(30)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한다.
회전 가이드 부(3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31)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 홈(23)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32)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0)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가이드 한다.
한편, 회전 가이드 부(30)는 가이드 돌기(32)가 구비된 정면판(31)과, 이 정면판(31)에 설치되어 후술할 이탈방지부재(40)의 헤드(4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배면덮개(33)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홈(23)이 형성된 케이스(20)의 배면 일부는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과 동일한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재(40)는 상기 케이스(20)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부재(4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 중앙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홈(41)과, 케이스(20)의 후면에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슬롯홈(41)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돌기(42)와, 삽입돌기(42) 끝단에 구비됨과 더불어 슬롯홈(41)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헤드(43)로 구성된다.
헤드(43)는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과 배면덮개(33)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스(20) 상·하 회전 시 정면판(31)과 배면덮개(33) 사이 공간에서 이동됨과 더불어 슬롯홈(41)에 걸려 이탈되지 아니함으로써 케이스(20)가 회전 가이드 부(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착탈수단(50)은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를 잠금하거나 해제하여 패널(10)이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한다.
착탈수단(5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상·하부에 제1경사면(51a)이 구비된 돌기(51b)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 후크돌기(13)가 관통하는 통공(51c)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통공(51c) 일측과 일측변이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이송판(51)과, 제1 경사면(51a)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52a)이 구비되고 수용공간(21)에 수직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케이스(20)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 누름 조작 시 이송판(51)을 타측으로 이송하여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1 버튼(52)과, 이송판(51)에 설치되는 제1 설치판(53a)과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설치판(53b)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버튼(52)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송된 이송판(51)을 원위치시키는 제1 스프링(53)으로 구성된다.
이송판(51)은 무게 감소 및 상기 제2 설치판(53b)이 제1 설치판(53a) 일측에 설치되기 용이하고, 후술할 각도 조절수단(60)의 이송블럭(62)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내부에 살빼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송판(51)이 원활하게 좌우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판(21)에 수평으로 안내 홈(51d)이 형성되고, 이 안내 홈(51d)에 수용되는 안내 돌기(24)가 케이스(20)의 정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제1 버튼(52)이 원활하게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제1 버튼(52) 좌우측에 안내 편(52b)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착탈수단(50)은 패널(10)을 교체하고자 할 때 제1 버튼(52)을 눌러주면 제2 경사면(52a)과 제1 경사면(51a)에 의해 이송판(51)이 수평으로 이송되어 패널(10)에 구비된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패널(10)이 분리되고, 패널(10) 분리 후 제1 버튼(52)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제1 스프링(53)의 복원 작용에 의해 이송판(51) 및 제1버튼(52)이 원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10) 부착 시 이송판(51)의 통공(51c) 일측을 밀어주는 제1 후크돌기(13)와, 이송판(51)의 일측변을 밀어주는 제2 후크돌기(14)에 의해 이송판(51)이 수평으로 이송된 후 제1 스프링(53)의 복원 작용에 의해 원위치하여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를 잠금되어 패널(10)이 케이스(20)에 부착된다.
한편, 각도 조절수단(60)은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회전 가이드 부(30)를 따라 케이스(20)가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것을 조절하여, 케이스(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수단(60)은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끼움홈(61)과,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62)과, 일단은 이송블럭(62)과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20) 후면을 통과하여 회전 가이드 부(30)의 복수 개 제1 끼움홈(61) 중 어느 하나의 제1 끼움홈(61)에 삽입되는 제1 끼움돌기(63)와, 일단 양면에 회전축(64a)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0)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블럭(62)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조작 시 이송블럭(62)을 이송하여 제1 끼움돌기(63)가 제1 끼움홈(6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2 버튼(64)과, 일단은 상기 이송블럭(6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20)의 정면 내측과 연결되어 이송된 이송블럭(62) 및 제1 끼움돌기(63)와 회전된 제2 버튼(64)을 원위치하는 제2 스프링(65)로 구성된다.
제1 끼움돌기(63)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버튼(64)은 타단에 접촉돌기(64b)가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이 접촉돌기(64b)는 일단은 제2 버튼(64)의 타단과 연결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이송블럭(62)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버튼(64) 회전 시 접촉돌기(64b)가 이송블럭(62)을 눌러 이송되게 한다.
즉, 제2 버튼(64)을 눌러주면 접촉돌기(64b)에 의해 이송블럭(62)이 전방측으로 수평 이송되어 이송블럭(62)에 형성된 제1 끼움돌기(63)가 제1 끼움홈(61)으로부터 이탈하여 케이스(20)가 회전 가이드 부(30)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케이스(2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한 후, 제2 버튼(64)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제2 스프링(65)의 복원 작용에 의해 제1 끼움돌기(63)가 제2 끼움홈(61)에 끼워져 패널(10)과 이 패널(10)과 연결된 케이스(20)의 커브 이동(회전)을 멈춤 고정하여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연결대(70)는 회전 가이드 부(30)의 배면덮개(33)에 고정 형성되며 제1 수용홈(71a)이 구비된 제1 관체(71)와, 일부가 제1 수용홈(71a)에 이송 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 수용홈(72a)이 구비된 제2 관체(72)과, 제1 관체(71)과 제2 관체(7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73)로 구성된다.
도 18은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의 클램핑 부재가 베이스 부재 및 패널(10)과 결합되는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패널(10) 상에 베이스 부재(118)가 배치되고, 베이스 부재(118) 상에 결합판(116)과 안착면(115)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결합판(116)의 후면에는 원형돌기(117)가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118)와 패널(10)에는 각각 결합판(116)의 원형 돌기(117)가 삽입되는 제1 회전홈(119)과 제2 회전홈(19)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판(116)의 원형 돌기(117)가 베이스 부재(118)와 패널(10)의 회전홈들(119, 19)에 삽입되어 클램핑 부재가 베이스 부재 및 패널(10)에 결합되며, 원형 돌기(117)의 형상에 따라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핑 부재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73)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체(71)의 일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제1 수용홈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장공(74)과, 장공(7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는 제2 끼움홈(75)과, 장공(71)에 몸체의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제2 관체(72)를 관통하여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76a)와, 제2 관체(72)의 제2 수용홈(72a)에 위치하는 바(76a)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판(76b)과, 2 관체(72)의 외부에 위치하는 바(76a)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76c)로 구성된 레버(76)와, 바(76a)의 중앙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 형성되며 복 수개의 제2 끼움홈(75) 중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75)에 위치하는 제2 끼움돌기(77)와, 일단은 상기 걸림판(76b)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관체(72)의 제2 수용홈(72a) 일측 내면과 연결됨과 더불어 걸림판(76b)을 지속적으로 밀어주어 제2 끼움돌기(77)가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75)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3 스프링(78)으로 구성된다.
길이조절부(73)는 사용자가 손잡이(76c)를 당겨 제2 끼움돌기(77)가 제2 끼움홈(75)에서 이탈하게 한 후, 제1 및 제2 관체(71,72)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인 다음 손잡이(76c)를 놓으면 제3 스프링(78)의 복원 작용에 의해 제2 끼움돌기(77)가 제2 끼움홈(75)에 삽입되어 조정된 제1 및 제2 관체(71,72)의 길이가 고정된다.
파지부재(80)는 제2 관체(72)의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파지부재(80)는 일측에 제1 파지홈(8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3 수용홈(81b)이 형성되며 제3 수용홈(81b)의 개방측 내주연에 제1 걸림턱(81c)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70)의 제2 관체(72)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고정부(81)와, 일측에 제2 파지홈(82a)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수용홈(82b)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 외주연에 제2 걸림턱(82b)이 형성된 이송부(82)과, 일측은 고정부(81)의 제1 걸림턱(81c)과 연결되고 타측은 이송부(82)의 제2 걸림턱(82b)과 연결됨과 더불어 외측으로 이송된 이송부(82)를 원위치로 밀어주어 제1 파지홈(81a)과 제2 파지홈(82a)이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구비된 한 쌍의 수직봉을 파지하도록 하는 제4 스프링(83)으로 구성된다.
고정부(81)와 연결되는 제2 관체(72)는 고정부(8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체(72)의 끝단에 걸림돌기(72b)가 형성되고, 고정부(81)에 상기 걸림돌기(72b)가 삽입 수용되는 걸림홈(82c)이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에 의해 파지되는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이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에 탄성 재질의 패드(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재(80)는 사용자가 이송부(82)를 외측으로 당겨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 내측에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이 위치하도록 한 후 놓으면 제4 스프링(83)의 복원 작용에 의해 이송부(82)가 원 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이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은 도시된 같이 고정부(81)와 이송부(82)의 배면이 개방된 형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패널 11 : 커버
12 : 쿠션 13 : 제1 후크돌기
14 : 제2 후크돌기 15 : 전면판
16 : 후면판 17 : 볼트
20 : 케이스 21: 수용공간
22 : 관통공 23 : 가이드 홈
24 : 안내돌기 30 : 회전 가이드 부
31 : 정면판 32 : 가이드 돌기
33 : 배면덮개 40 : 이탈방지부재
41 : 슬롯홈 42 : 삽입돌기
43 : 헤드 50 : 착탈수단
51 : 이송판 51a : 제 경사면
51b : 돌기 51c : 통공
51d : 안내 홈 52 : 제1 버튼
52a : 제2 경사면 52b : 안내 편
53 : 제1 스프링 53a : 제1 설치편
53b : 제2 설치편 60 : 각도조절수단
61 : 제 끼움홈 62 : 이송블럭
63 : 제1 끼움돌기 64 : 제2 버튼
64a : 회전축 64b : 접촉돌기
65 : 제2 스프링 70 : 연결대
71 : 제1 관체 71a : 제1 수용홈
72 : 제2 관체 72a : 제2 수용홈
72b : 걸림돌기 73 : 길이조절부
74 : 장공 75 : 제2 끼움홈
76 : 레버 76a : 바
76b : 걸림판 76c : 손잡이
77 : 제2 끼움돌기 78 : 제3 스프링
80 : 파지부재 81 : 고정부
81a : 제1 파지홈 81b : 제3 수용홈
81c : 제1 걸림턱 82 : 이송부
82a : 제2 파지홈 82b : 제2 걸림턱
82c : 걸림홈 83 : 제4 스프링
84 : 패드 100 : 헤드레스트용 모바일 거치대
110 : 크래들 111, 112 : 파지부
115 : 안착면 116 : 결합판
118 : 베이스 부재 117 : 원형 돌기
119 : 제1 회전홈 19 : 제2 회전홈

Claims (13)

  1.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장착되는 거치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거치하고자 하는 물체가 정면에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후면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상기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고정되는 파지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파지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대; 및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후면 좌측 및 우측에 제1 후크돌기 및 제2 후크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정면에 상기 패널의 제1, 제2 후크돌기들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후면에 수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 홈이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정면판에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후크돌기들을 잠금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패널이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정면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홈;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슬롯홈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돌기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홈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일측 상하부에 제1 경사면이 구비된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 후크돌기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일측과 일측변이 상기 제1, 제2 후크돌기들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이송판;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52a)이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 누름 조작 시 상기 이송판을 타측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 제2 후크돌기들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1 버튼; 및
    상기 이송판에 설치되는 제1 설치판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설치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송된 이송판을 원위치시키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수용홈이 구비된 제1 관체;
    일부가 상기 제1 수용홈에 이송 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 수용홈이 구비된 제2 관체; 및
    상기 제1 관체와 상기 제2 관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케이스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정면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끼움홈;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
    일단은 상기 이송블럭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1 끼움돌기;
    일단 양면에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블럭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조작 시 상기 제1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2 버튼; 및
    일단은 상기 이송블럭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이송된 상기 이송블럭 및 상기 제1 끼움돌기와 회전된 상기 제2 버튼을 원위치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9.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
    상기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고정되는 파지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파지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대; 및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기기 거치 모듈은
    모바일 기기가 고정되는 크래들; 및
    정면에 상기 크래들이 결합되고, 후면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및
    복수의 파지부들을 구비하여 상기 모바일기기를 파지 고정하는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일면이 접촉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의 후면에는 원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패널 각각에 상기 결합판의 원형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홈들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1020210127127A 2021-09-27 2021-09-27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230044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127A KR20230044681A (ko) 2021-09-27 2021-09-27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127A KR20230044681A (ko) 2021-09-27 2021-09-27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681A true KR20230044681A (ko) 2023-04-04

Family

ID=8592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127A KR20230044681A (ko) 2021-09-27 2021-09-27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468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22B1 (ko)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806121B1 (ko)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22B1 (ko)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806121B1 (ko)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3815B1 (en) Apparatus for holding mobile device
US7559608B2 (en) Seat for vehicle
US7070197B2 (en) Baby carriage chassis adapted to support a baby's car seat thereon
US8905367B2 (en) Retaining device
CN109303672B (zh) 双载架承载器
US9855964B2 (en) Stroller frame
KR101406733B1 (ko)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US10821905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an accessory to a seat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716494B1 (en) Child safety seat
EP3444143B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JP2012105752A (ja) ポータブル機器固定装置
US6746075B2 (en) Adjustable serving tray
US11110818B2 (en) Vehicle structure
CN115027336A (zh) 扶手组件和具有其的车辆
JP5668423B2 (ja) ポータブル機器固定装置
KR20230044681A (ko)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US20210284073A1 (en) Mounting device for headrest of vehicle seat
JP558635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ベルト固定具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EP1712421A1 (en) Device for suspending a portable computer from a vehicle seat, and use of such a device to realize a minicinema in a vehicle.
EP1514748B1 (fr) Dispositif de guidage de sangle d'une ceinture de sécurité
JP2014121974A (ja) 車両座席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20200011158A (ko)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KR10116871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217835432U (zh) 扶手组件和具有其的车辆
KR101937238B1 (ko) 후열 시트용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