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121B1 -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121B1
KR101806121B1 KR1020160091462A KR20160091462A KR101806121B1 KR 101806121 B1 KR101806121 B1 KR 101806121B1 KR 1020160091462 A KR1020160091462 A KR 1020160091462A KR 20160091462 A KR20160091462 A KR 20160091462A KR 101806121 B1 KR101806121 B1 KR 10180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eadrest
neckrest
vehicle
suppo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09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48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002/48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차량의 시트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와 고정결합되는 브라켓과,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강성을 갖는 지지커버가 마련된 페드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neckrest of head 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목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목받침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마련된다.
헤드레스트는 운행중 탑승자의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하여 뭉친 목의 근육을 풀어주거나 피곤함을 덜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헤드레스트는 운행중 잠시간의 목 피로는 풀어줄 수 있으나, 기댄 상태로 수면을 취하거나, 편안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즉, 장거리나 야간 운행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피곤함을 덜기 위해 시트에 등과 머리를 기댄 상태로 수면을 취할 때 머리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어 머리가 꺽인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고 그로 인해 목 부위 등이 뻐근해져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운행중 뻐근한 목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댈 경우 시선이 차량의 천정으로 향하게 되어 차량 운행이 불편해지는 등 안정적인 운행이 어려웠다.
따라서, 최근에는 헤드레스트의 형상을 개선하여 탑승자의 목이 위치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휴식 중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뭉친 목 근육을 풀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하부를 돌출 형성할 경우, 휴식시에는 편안한 느낌을 얻을 수 있으나,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탑승자의 목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지지하는 위치가 달라지는 등 효과적으로 목을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줄 수 있게 항상 돌출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머리가 뒤로 완전히 젖혀지는 것은 방지해줄 수는 있으나, 운행중 지속적으로 머리가 꼿꼿한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 오히려 목에 무리가 가는 등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한다는 본연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머리를 정확하게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으로 인해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에 큰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헤드레스트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목받침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휴식시 목받침대를 이동시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차량의 시트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와 고정결합되는 브라켓과,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강성을 갖는 지지커버가 마련된 페드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레스트에 탑승자의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목받침대를 구비하여 뭉친 근육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목받침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행중에는 헤드레스트에서 돌출시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 사용된 링크부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 사용된 링크부를 결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작동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탑승자의 목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목받침대(100)를 구비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100)는 차량의 시트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헤드레스트(10)와 고정결합되는 브라켓(110)과,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페드(120) 및 상기 브라켓(110)과 상기 페드(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드(1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링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10)은 일측이 헤드레스트(10)와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시트에 대해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이(12)와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양측이 상기 스테이(12)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지지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페드(120)는 탑승자의 목과 접촉되는 것으로, 탑승자로 하여금 편안함과 안락감을 얻을 수 있도록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며, 안정적으로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의 지지커버(122)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커버(122)는 후술하는 링크부(1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는 제1결합부(123) 및 제2결합부(124)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체 면에 걸쳐 복수개의 통공(125)이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페드(120)의 전체적인 무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링크부(130)는 상기 브라켓(110)과 상기 지지커버(122)를 연결하며 상기 페드(120)가 상기 헤드레스트(1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상기 브라켓(110)과 고정결합되며 측면 양측에 결합편(133)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편(133)에 제1체결공(133a) 및 제2체결공(133b)이 형성된 하우징(132)과, 일측이 상기 지지커버(122)의 제1결합부(12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편(133)의 제1체결공(133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34)와, 상기 지지커버(122)의 제2결합부(124)와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편(133)의 제2체결공(133b)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134)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대해 상기 페드(1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2링크(136)는 상기 페드(120)가 전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32)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양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편(133)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링크(134)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1체결공(133a)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제1링크(134)와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편(135)을 상기 결합편(133)과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제1링크(134)의 일단이 상기 결합편(133)과 상기 보강편(135) 사이에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32)과 상기 제1링크(134)와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편(133)과 상기 보강편(135) 사이에 위치되는 제1링크(134)의 하부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7)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스토퍼(137)는 상기 제1체결공(133a)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1링크(134)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링크(13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137)는 도 6의 좌측 확대도에 표현된 탄성부재(138)를 제거한 모습을 표현한 도면을 참고하면, 끝단이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지지부(137a)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134)의 하방향으로의 회전시 제1링크(134)의 일부분이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링크(134)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130)는 탄성부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8)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32)에 형성된 고리(132a)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커버(122)의 제1결합부(123)와 상기 제1링크(134)를 연결하는 힌지핀에 결합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1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목받침대는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형성된 함몰부(14)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페드(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손잡이(126)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페드(120) 내에 설치된 지지커버(122)와 헤드레스트(10) 내에 위치된 하우징(132)을 연결 제1링크(134) 및 제2링크(136)가 회전되면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드(12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며 탄성부재(138)가 인장된다.
이후, 손잡이(126)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드(120)가 헤드레스트(1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되는데, 이때 제1링크(134)의 일부분이 스토퍼(137)의 경사지지부(137a)와 접촉되면서 이동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페드(120)에 목을 지지하여도 상기 스토퍼(137)에 의해 제1링크(134) 및 제2링크(136)의 회전이 제한되어 페드(120)가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편안함과 안락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페드(120)에 목을 기대어 휴식을 취한 이후에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6)를 파지한 후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주게 되면, 제1링크(134) 및 제2링크(136)에 의해 페드(120)가 회동되면서 헤드레스트(10)의 함몰부(14) 내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제1링크(134)와 지지커버(122)를 연결한 힌지핀에 일단이 연결된 탄성부재(13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페드(120)를 헤드레스트(10)의 함몰부(14)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헤드레스트(!0)에 탑승자의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목받침대(100)를 구비하여 뭉친 근육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목받침대(!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행중에는 헤드레스트(10)에서 돌출시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등 사용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헤드레스트 12 : 스테이
100 : 목받침대 110 : 브라켓
120 : 페드 122 : 지지커버
123 : 제1결합부 124 : 제2결합부
125 : 통공 126 : 손잡이
130 : 링크부 132 : 하우징
132a : 고리 133 : 결합편
133a : 제1체결공 133b : 제2체결공
134 : 제1링크 135 : 보강편
136 : 제2링크 137 : 스토퍼
138 : 탄성부재

Claims (8)

  1. 차량의 시트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10)와 고정결합되는 브라켓(110)과,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강성을 갖는 지지커버(122)가 마련된 페드(120) 및
    상기 브라켓(110)과 상기 지지커버(1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드(1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링크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130)는
    일면이 상기 브라켓(110)과 고정결합되며 측면 양측에 결합편(133)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편(133)에 제1체결공(133a) 및 제2체결공(133b)이 형성된 하우징(132)과,
    일측이 상기 지지커버(122)의 제1결합부(12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편의 제1체결공(133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34)와,
    상기 지지커버(122)의 제2결합부(124)와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편(133)의 제2체결공(133b)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36)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122)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125)이 형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2)은 상기 제1링크(134)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1체결공(133a)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제1링크(134)와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편(135)이 상기 결합편(133)과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제1링크(134)의 일단이 상기 결합편(133)과 상기 보강편(135) 사이에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2)의 제1체결공(133a)과 일단이 결합되는 상기 제1링크(134)의 하부에는 상기 제1링크(13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스토퍼(137)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37)의 끝단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지지부(137a)를 형성하여 상기 제1링크(134)의 일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13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32)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커버(122)의 제1결합부(123)와 상기 제1링크(134)를 연결한 힌지핀과 결합되는 탄성부재(138)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드(120)의 하부에는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6)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20160091462A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80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62A KR101806121B1 (ko)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62A KR101806121B1 (ko)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121B1 true KR101806121B1 (ko) 2017-12-07

Family

ID=6092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462A KR101806121B1 (ko)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1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3261A (zh) * 2019-02-01 2019-05-1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车用座椅颈托
KR102157274B1 (ko) * 2019-06-07 2020-09-17 손익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KR20230044681A (ko) 2021-09-27 2023-04-04 (주)훠링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230076182A (ko) 2021-11-24 2023-05-31 이준석 헤드레스트에 매립 장착되는 목베개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127A (ja) * 2004-03-23 2005-11-04 Toyo Seat Co Ltd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127A (ja) * 2004-03-23 2005-11-04 Toyo Seat Co Ltd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3261A (zh) * 2019-02-01 2019-05-1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车用座椅颈托
CN109733261B (zh) * 2019-02-01 2024-03-08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车用座椅颈托
KR102157274B1 (ko) * 2019-06-07 2020-09-17 손익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KR20230044681A (ko) 2021-09-27 2023-04-04 (주)훠링 헤드레스트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230076182A (ko) 2021-11-24 2023-05-31 이준석 헤드레스트에 매립 장착되는 목베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12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JP4647331B2 (ja)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
JP3113656U (ja) 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20190089354A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JP2011243165A (ja) 車両の操作ペダル取り付け構造
JP2006311900A (ja) 身体支持装置
KR100811005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KR101806122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JPH10179313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JP3123994U (ja) ヘッドレスト
JP4445244B2 (ja) 背凭れ傾動装置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US20190029427A1 (en) Arm rest for a piece of seating furniture
KR10217093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9202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199629Y1 (ko) 암레스트의 기능을 갖는 콘솔 박스
KR10082320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CN217488493U (zh) 护理装置
JP2002010872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3811597B2 (ja) 椅子
KR20230092462A (ko)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JPH0721135Y2 (ja) 車両用シート
JP2000004981A (ja) 座席のレグ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