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462A -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462A
KR20230092462A KR1020210181871A KR20210181871A KR20230092462A KR 20230092462 A KR20230092462 A KR 20230092462A KR 1020210181871 A KR1020210181871 A KR 1020210181871A KR 20210181871 A KR20210181871 A KR 20210181871A KR 20230092462 A KR20230092462 A KR 2023009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hinge
tooth portion
neck support
sta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383B1 (ko
Inventor
문광수
김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21018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대한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각도와 상하방향 높이를 각각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릴렉션 시트의 필수 기능인 틸트 기능과 슬라이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는 스테이로드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부재, 상기 마운팅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서포트, 상기 넥서포트의 아암부재와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선회각도를 조절하는 제1구속부, 및 상기 스테이로드의 끼움홈과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스테이로드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제2구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Neck-restraints device for seat}
본 발명은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넥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각도와 상하방향 높이를 각각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릴렉션 시트의 필수 기능인 틸트 기능과 슬라이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의 시트백 부위 상단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는 차실내에 탑승한 착좌자의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락감을 제공하고, 충돌 및 추돌 사고시 후두부를 비롯한 경추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착좌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에 구비되는 넥레스트는 착좌자의 목부위와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객의 목부위를 더욱 편안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 공개특허 제10-2015-0004994호에 개시된 차량용 시트의 목받침 장치는 목받침대를 시트백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보관하고 사용시 시트백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데, 이러한 목받침 장치에서는 착좌자의 신체적 특징에 맞춰 목받침대의 상하방향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종래 공개특허 제10-2018-0009575호에 개시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착좌자의 목부위를 지지하는 패드, 상기 패드와 헤드레스트를 연결하여 패드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걸림턱과 걸림쇠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갖춘 구성인 데, 이러한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서는 걸림턱과 걸림쇠를 포함하는 작동부의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과다한 상승과 더불어 재료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종래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릴렉션 시트의 필수 기능인 틸트 기능과 슬라이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릴렉션 시트에 적용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5-0004994호 공개특허 제10-2018-000957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각도와 상하방향 높이를 각각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릴렉션 시트의 필수 기능인 틸트 기능과 슬라이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테이로드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부재, 상기 마운팅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서포트, 상기 넥서포트의 아암부재와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선회각도를 조절하는 제1구속부, 및 상기 스테이로드의 끼움홈과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스테이로드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제2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해 제1힌지축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아암부재의 제1경사치형부와 치결합이 가능한 제2경사치형부를 갖추고서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의 전방을 향한 전개위치로의 선회만을 허용하는 래치, 및 상기 제1힌지축에 대해 상기 래치를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각각 지지하는 복합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넥서포트의 아암부재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구멍, 상기 제1힌지축에 의한 상기 제1구속부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제1힌지부, 및 상기 넥서포트와의 제2힌지축에 의한 힌지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설치를 위해 양단부에 구비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수용부를 매개로 상기 스테이로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제2힌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해 상기 넥서포트를 선회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넥서포트는 착좌자의 목부위를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마운팅부재의 제2힌지부와의 제2힌지축에 의한 힌지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착좌자에 의한 파지를 위해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서 상기 마운팅부재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아암부재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와 치결합되는 제1경사치형부를 구비하되, 상기 아암부재의 제1경사치형부는 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기준축선에 대해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와 동일한 각도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아암부재의 제1경사치형부는 양측부에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에 대한 좌우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 중에서 상기 제1경사치형부의 종단측 위치에는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에 대한 좌우방향 이탈을 허용하는 트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푸시버튼과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로드의 끼움홈에 대해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브라켓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푸시버튼과 상기 리턴스프링을 각각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푸시버튼을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홀더브라켓트를 상기 스테이로드의 끼움홈을 향해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는 넥서포트에 대한 전후방향 각도와 상하방향 높이를 각각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릴렉션 시트의 필수 기능인 틸트 기능과 슬라이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는 넥서포트에 대한 전후방향 각도를 제1구속부에 의한 동작을 매개로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넥서포트에 대한 상하방향 높이를 제2구속부에 의한 동작을 매개로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춰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각도와 상하방향 높이를 각각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는 릴렉션 시트의 필수 기능인 틸트 기능과 슬라이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서 마운팅부재에 대한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각도 조절을 위한 주요 구성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서 마운팅부재에 대해 넥서포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서 구성 요소에 대한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주요 구성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해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서 스테이로드에 대한 마운팅부재의 상하방향 높이 조절을 위한 주요 구성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마운팅부재로부터 푸시버튼과 홀더브라켓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서 제1구속부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서 제1구속부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서 제1구속부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는 크게 스테이로드(10)와 마운팅부재(20), 넥서포트(30), 제1구속부(40), 제2구속부(50),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해 상기 제1구속부(40)의 설치를 위해 구비되는 제1힌지축(61), 및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해 상기 넥서포트(30)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힌지축(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스테이로드(10)는 시트의 백프레임에 설치되는 프레임 형태의 로드부재로서, 부재의 전장에 걸쳐 복수 수량의 끼움홈(1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끼움홈(12)은 후술되는 제2구속부(5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로드(10)는 시트의 백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마운팅부재(20)는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하방향 높이는 착좌자의 의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부재(20)는 상기 넥서포트(30)를 힌지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부재(20)는 후술되는 상기 넥서포트(30)의 아암부재(3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멍(21), 상기 제1구속부(4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제1힌지축(61)에 의한 힌지결합을 목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힌지부(22), 상기 넥서포트(3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넥서포트(30)와의 상기 제2힌지축(62)에 의한 힌지결합을 목적으로 부재의 상부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힌지부(23),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설치를 위해 부재의 양단부에서 오목한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수용부(24), 및 상기 제2힌지축(62)에 설치되어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해 상기 넥서포트(30)를 전후방향을 향한 선회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24)는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양단부에서 오목하게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부(24)는 상기 스테이로드(10)를 따라 상기 마운팅부재(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부재(20)는 후술되는 상기 제2구속부(50)의 푸시버튼(51)과 리턴스프링(52)을 각각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푸시버튼(51)을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26), 및 후술되는 상기 제2구속부(50)의 홀더브라켓트(53)를 상기 스테이로드(10)의 끼움홈(12)을 향해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절개부(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마운팅부재(20)는 상기 제1구속부(40)와 상기 제2구속부(50)의 설치를 위해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전방 베이스플레이트(20a)와 후방 베이스플레이트(20b)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방 베이스플레이트(20a)는 상기 관통구멍(21)과 함께 상기 제1힌지부(22)와 상기 제2힌지부(23)를 갖추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베이스플레이트(20a)는 후술되는 상기 제2구속부(50)의 홀더브라켓트(53)를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절개부(27)를 갖추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 베이스플레이트(20b)는 상기 관통구멍(21)과 함께 후술되는 상기 제2구속부(50)의 푸시버튼(51)을 수용하는 하우징(26)을 갖추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하우징(2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베이스플레이트(20a)와 상기 후방 베이스플레이트(20b)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조립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에 후술되는 상기 제2구속부(50)의 푸시버튼(51)과 리턴스프링(5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넥서포트(30)는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제2힌지부(23)에 대해 제2힌지축(62)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착좌자의 목부위에 대한 후방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넥서포트(30)는 헤드레스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넥서포트(30)는 착좌자의 목부위와의 접촉을 통해 목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몸체부(31), 상기 몸체부(31)의 배면에서 상기 마운팅부재(20)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아암부재(32), 상기 몸체부(31)의 상부에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제2힌지부(23)와의 제2힌지축(62)에 의한 힌지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힌지부(33), 및 상기 몸체부(31)의 측면에서 착좌자에 의한 파지를 위해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부(3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31)는 착좌자의 목부위를 향해 적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착좌자의 목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 9와 도 10을 참조로 하면, 상기 아암부재(32)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래치(41)와의 치결합을 통해 상기 넥서포트(30)의 몸체부(31)가 전방을 향해 선회 가능하게 허용하는 반면에 후방을 향한 선회를 인위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경사치형부(32a)를 갖추되, 상기 제1경사치형부(32a)는 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기준축선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는 양측부에 후술되는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에 대한 좌우방향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2b)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32b) 중에서 상기 제1경사치형부(32a)의 종단측 위치에는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에 대한 좌우방향 이탈을 허용하기 위해 상부를 향해 돌출되지 않는 형태의 트임부(32c)를 구비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제1구속부(40)는 상기 넥서포트(30)의 아암부재(32)와의 탄력적인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후방향 선회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구속부(40)는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의 치결합을 통해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방을 향한 전개위치로의 선회만을 허용하는 래치(41), 및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개위치로의 선회만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힌지축(61)에 대해 상기 래치(41)를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복합스프링(4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래치(41)는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제1힌지부(22)에 대해 제1힌지축(61)을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특히,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하면, 상기 래치(41)는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 치결합이 가능한 제2경사치형부(41a)를 구비하는 데, 상기 제2경사치형부(41a)는 상기 래치(41)를 힌지결합하는 상기 제1힌지축(61)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는 모두 각각의 부재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경사진 방향과 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스프링(42)은 상기 제1힌지축(61)에 대해 상기 래치(41)를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로서, 상기 제1힌지축(61)에 대해 상기 래치(41)가 전방을 향한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에 후방을 향한 회전을 구속하여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복합스프링(42)은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 사이의 치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분력에 의해 상기 제1힌지축(61)에 대해 축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제1구속부(40)의 래치(41)는 상기 제1힌지축(61)에 대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 치결합되어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방을 향한 전개위치로의 선회를 허용하는 반면에,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후방을 향한 수납위치로의 선회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구속부(40)의 복합스프링(42)은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개위치로의 선회만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힌지축(61)에 대해 상기 래치(41)를 전방을 향한 회전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 사이의 치결합부에서 발생하는 수평방향 분력에 의해 상기 래치(41)를 축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복합스프링(42)은 상기 제1힌지축(61)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41)에 대해 전후방향과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래치(41)의 전후방향과 축방향으로의 탄력적인 거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면, 상기 제2구속부(50)는 상기 스테이로드(10)의 끼움홈(12)과의 탄력적인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구속부(50)는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버튼(51), 상기 푸시버튼(5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52), 및 상기 푸시버튼(51)과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로드(10)의 끼움홈(12)에 대해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브라켓트(53)를 구비한다.
즉, 상기 푸시버튼(51)과 상기 리턴스프링(52)은 각각 상기 마운팅부재(20)의 하우징(26)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푸시버튼(51)은 상기 리턴스프링(52)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26)의 외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출물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트(53)는 상기 푸시버튼(51)과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부재(20)에 형성되는 절개부(2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테이로드(10)의 끼움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푸시버튼(51)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홀더브라켓트(53)는 상기 끼움홈(12)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푸시버튼(5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홀더브라켓트(53)는 상기 리턴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끼움홈(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푸시버튼(51)은 상기 하우징(26)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스프링(52)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홀더브라켓트(53)가 상기 스테이로드(10)의 끼움홈(12)에 대해 삽입되는 위치로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높이는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 있어, 상기 제1구속부(40)에 의한 동작을 통해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후방향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먼저,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해 상기 넥서포트(30)가 전방을 향해 선회할 때, 즉 상기 넥서포트(30)가 전방을 향한 사용상태의 인출위치로 선회할 때,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는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의 연속적인 치결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복합스프링(42)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넥서포트(30)의 몸체부(31)에 대한 전후방향 경사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에서 양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돌출부(32b)는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에 대한 좌우방향 이탈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방을 향한 전개위치로의 선회만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해 상기 넥서포트(30)가 후방을 향해 선회할 때, 즉 상기 넥서포트(30)가 전방을 향한 완전 인출위치에서 최초의 수납위치로 복원 선회할 때,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는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 중에서 종단측 위치에 존재하는 제1경사치형부(32a)와의 치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분력(Fx)에 의해 상기 트임부(32c)를 통해 상기 제1힌지축(61)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로부터 벗어난 위치(치결합이 해제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9를 참조로 하면, 상기 아암부재(32)의 종단측 제1경사치형부(32a)에서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접촉방향 하중(F)은 상기 제1힌지축(61)을 향한 수평방향의 분력(Fx)과 상기 아암부재(32)를 향한 수직방향의 분력(Fy) 사이의 합성성분으로 나눠질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제1힌지축(61)을 향한 수평방향의 분력(Fx)이 상기 아암부재(32)의 종단측 제1경사치형부(32a)와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 사이의 치결합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때 상기 래치(41)의 이동은 상기 트임부(32c)를 통해 허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결과, 상기 아암부재(32)의 제1경사치형부(32a)와 상기 래치(41)의 제2경사치형부(41a) 사이에서 지속되던 치결합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후방을 향한 최초 수납위치로의 선회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에 있어, 상기 제2구속부(50)에 의한 동작을 통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먼저, 상기 푸시버튼(51)에 대해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푸시버튼(51)은 상기 마운팅부재(20)의 하우징(26)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홀더브라켓트(53)는 상기 푸시버튼(51)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스테이로드(10)의 끼움홈(12)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반대로, 상기 푸시버튼(5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푸시버튼(51)은 상기 리턴스프링(52)이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운팅부재(20)의 하우징(26)의 외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홀더브라켓트(53)는 상기 푸시버튼(51)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스테이로드(10)의 끼움홈(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는 상기 제1구속부(40)에 의한 동작을 매개로 상기 마운팅부재(20)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30)의 전후방향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구속부(50)에 의한 동작을 매개로 상기 스테이로드(10)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20)의 상하방향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스테이로드 12-끼움홈
20-마운팅부재 21-관통구멍
22-제1힌지부 23-제2힌지부
24-수용부 25-토션스프링
26-하우징 27-절개부
30-넥서포트 31-몸체부
32-아암부재 32a-제1경사치형부
32b-돌출부 32c-트임부
33-힌지부 34-손잡이부
40-제1구속부 41-래치
41a-제2경사치형부 42-복합스프링
50-제2구속부 51-푸시버튼
52-리턴스프링 53-홀더브라켓트
61-제1힌지축 62-제2힌지축

Claims (10)

  1. 스테이로드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부재;
    상기 마운팅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서포트;
    상기 넥서포트의 아암부재와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의 전후방향 선회각도를 조절하는 제1구속부; 및
    상기 스테이로드의 끼움홈과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스테이로드에 대한 상기 마운팅부재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제2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속부는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해 제1힌지축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아암부재의 제1경사치형부와 치결합이 가능한 제2경사치형부를 갖추고서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한 상기 넥서포트의 전방을 향한 전개위치로의 선회만을 허용하는 래치; 및
    상기 제1힌지축에 대해 상기 래치를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각각 지지하는 복합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넥서포트의 아암부재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구멍;
    상기 제1힌지축에 의한 상기 제1구속부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제1힌지부; 및
    상기 넥서포트와의 제2힌지축에 의한 힌지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설치를 위해 양단부에 구비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수용부를 매개로 상기 스테이로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제2힌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해 상기 넥서포트를 선회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넥서포트는
    착좌자의 목부위를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마운팅부재의 제2힌지부와의 제2힌지축에 의한 힌지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착좌자에 의한 파지를 위해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서 상기 마운팅부재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와 치결합되는 제1경사치형부를 구비하되, 상기 아암부재의 제1경사치형부는 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기준축선에 대해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와 동일한 각도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의 제1경사치형부는 양측부에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에 대한 좌우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 중에서 상기 제1경사치형부의 종단측 위치에는 상기 래치의 제2경사치형부에 대한 좌우방향 이탈을 허용하는 트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부는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푸시버튼과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로드의 끼움홈에 대해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브라켓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푸시버튼과 상기 리턴스프링을 각각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푸시버튼을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홀더브라켓트를 상기 스테이로드의 끼움홈을 향해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KR1020210181871A 2021-12-17 2021-12-17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KR10264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71A KR102644383B1 (ko) 2021-12-17 2021-12-17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71A KR102644383B1 (ko) 2021-12-17 2021-12-17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462A true KR20230092462A (ko) 2023-06-26
KR102644383B1 KR102644383B1 (ko) 2024-03-08

Family

ID=8694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871A KR102644383B1 (ko) 2021-12-17 2021-12-17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383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74Y1 (ko) * 2005-10-26 2006-01-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20120001742U (ko) * 2010-08-05 2012-03-09 이무영 넥레스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1231013B1 (ko) * 2011-09-02 2013-02-0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101383094B1 (ko) *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40071699A (ko) * 2012-12-04 2014-06-12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KR20150004994A (ko) 2013-07-03 2015-01-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목 받침 장치
KR20180009575A (ko)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2017614B1 (ko) * 2018-01-22 2019-09-04 광명산업(주) 목받침 헤드레스트
KR20200132139A (ko) *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다스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KR20200142448A (ko) * 2019-06-12 2020-12-22 서정옥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KR102258994B1 (ko) * 2021-01-05 2021-06-01 (주)훠링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74Y1 (ko) * 2005-10-26 2006-01-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20120001742U (ko) * 2010-08-05 2012-03-09 이무영 넥레스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1231013B1 (ko) * 2011-09-02 2013-02-0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20140071699A (ko) * 2012-12-04 2014-06-12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KR101383094B1 (ko) *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50004994A (ko) 2013-07-03 2015-01-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목 받침 장치
KR20180009575A (ko)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2017614B1 (ko) * 2018-01-22 2019-09-04 광명산업(주) 목받침 헤드레스트
KR20200132139A (ko) *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다스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KR20200142448A (ko) * 2019-06-12 2020-12-22 서정옥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KR102258994B1 (ko) * 2021-01-05 2021-06-01 (주)훠링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383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9675B (zh) 头枕以及车辆用座椅
JP2005219732A (ja) 子供用車両シート
JP2009509592A (ja) 椅子
JPH07156704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414975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H09169231A (ja) 車両用リヤシート装置
KR20200142448A (ko)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JP3553302B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JP4523853B2 (ja)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および同シートを備えた車両
KR20090054691A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180612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JPH06482B2 (ja) シ−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230092462A (ko)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JPH10179314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JP2001163101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JP2000217659A (ja) ヘッドレストの可倒装置
KR102546264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KR20220050443A (ko) 전방 틸팅 메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JP526391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522891B1 (ko)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JP41999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40043025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209202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