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448A -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 Google Patents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448A
KR20200142448A KR1020200027117A KR20200027117A KR20200142448A KR 20200142448 A KR20200142448 A KR 20200142448A KR 1020200027117 A KR1020200027117 A KR 1020200027117A KR 20200027117 A KR20200027117 A KR 20200027117A KR 20200142448 A KR20200142448 A KR 2020014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stay
neck pillow
nec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308B1 (ko
Inventor
서정옥
Original Assignee
서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옥 filed Critical 서정옥
Publication of KR2020014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뒷목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목통증이나 목부상을 방지하고, 목베개지지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목베개지지부를 틸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목베개지지부의 인출거리를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편의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Neck supporting pillow of headrest for chair}
본 발명은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석등받이 상단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목을 밀착 지지할 뿐 아니라 쿠션의 높낮이조절 및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고 쿠션의 인출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는 좌석 등받이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것으로, 좌석 등받이 상단에 2개의 스테이가 꽂아진 상태로 구비되고 2개의 스테이 상단에 헤드레스트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스테이에는 높이조절홈이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2개의 스테이를 좌석 등받이로부터 인출하거나 좌석 등받이측으로 2개의 스테이를 인입하는 것에 의해 헤드레스트 높낮이를 조절하는 바 이 때 높이조절홈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 2개의 스테이가 좌석 등받이 상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좌석용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머리 즉 뒷머리를 받쳐 지지하는데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사용자가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에 뒷머리를 받칠 경우 사용자의 목이 2개의 스테이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목에 대한 지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책상용 의자의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반면, 자동차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경우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뒷머리를 헤드레스트에 밀착하여 운전할 때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또는 덜컹거림에 의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목이 흔들거림에 따라 경추질환과 같은 목부상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경우 장거리 차량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댄 상태로 휴식이나 취침을 하고 있는 바, 이 때 탑승자의 목에 대한 지지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목에 대한 통증이 유발됨은 물론 편안함과 안락감을 갖는 휴식이나 취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의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될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해 머리가 뒤로 젖혀지게 되는 바, 이 때 머리는 헤드레스트에 의해 보호되는 반면, 목은 전혀 보호되지 않음에 따라 목부분에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목을 지지하는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7644호인 자동차 헤드 레스트용 베개(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한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외피와 내피의 가장자리를 융착 또는 재봉하여 내부에 포켓을 구성하고 한쪽 측면에 완충재를 넣고 빼는 닫을 수 있도록 된 지퍼가 형성된 가죽이나 양피로 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헤드 레스트를 감쌀 수 있도록 된 절첩부와, 상기 절첩부의 끝 부분 전·후면에 절첩부가 서로 고정되도록 자석단추나 벨크로 테이프 또는 훅크로 된 고정수단,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내장되는 완충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헤드레스트에 쉽게 탈착할 수 있게 하여 세척이 용이함은 물론 승차시 탑승자가 안락함을 느끼게 하여 자동차의 품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 1은 헤드레스트 전체가 덮어지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신체조건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좌석 상단으로부터 인출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높게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뒷목에 헤드레스트가 전혀 닿지 않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전혀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48452호인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목 지지구(이하 '선행문헌 2'라 한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탑승자의 목을 후방에서 감싸면서 완충 지지하기 위한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장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탑승자의 목 부위를 후방에서 감싸는 형상의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몸체의 기본 형태를 형성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변형을 수반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보강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운전자의 뒷목부분과 목의 측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고, 추돌사고시 운전자의 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목부분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 2 역시 헤드레스트에 덮어지는 커버부재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앞선 선행문헌 1과 마찬가지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높게 할 경우 운전자의 뒷목에 목 지지구가 위치될 수 없어 추돌사고시에 운전자의 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7644호(2015.06.18. 공개)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348452호(2004.04.12.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뒷목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목통증이나 목부상을 방지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베개지지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목베개지지부를 틸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목베개지지부의 인출거리를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좌석 상단에 구비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목을 받쳐 지지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끼워져 연결되는 스테이연결부와; 전면에 쿠션이 구비되고 후면에 높낮이조절부를 갖는 목베개지지부; 상기 스테이연결부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전·후로 인출되며 상기 스테이연결부와 목베개지지부를 연결하는 인출부; 상기 스테이연결부의 끼움부재에 형성되어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상기 스테이연결부에 결합된 인출부의 인출 거리를 조절하여 잠금설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연결부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인출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 중앙부에 걸림공간이 형성되는 연결케이스; 상기 결합공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통해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수용하는 끼움부재; 상기 끼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고정하도록 차단공간을 갖는 회전고정부재; 상기 회전고정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끼움부재에 형성된 회전공간에 결합되며 회전고정부재가 끼움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는 걸림후크가 구비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목베개지지부의 가이드 내측에 수직으로 연속 형성되는 높이조절기어; 상기 인출부의 가이드축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조절돌기가 높이조절기어에 맞물려 목베개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구에 형성되는 회전구멍으로 가이드축이 끼워지고, 사기 조절구가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목베개지지부의 상·하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베개지지부는, 전면에 구비되는 쿠션; 상기 쿠션의 후방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판; 상기 수직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쿠션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판; 상기 수직지지판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높낮이조절부가 결합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스테이연결부의 인출공간으로 결합되는 인출몸체; 상기 인출몸체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축; 상기 인출몸체의 중앙부 하단에 탄력있게 형성되는 걸림돌부; 상기 인출몸체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돌부; 상기 끼움돌부와 스테이연결부 내부 사이에 장착되어 인출몸체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끼움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래크기어; 상기 끼움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중앙부에 장착되어 래크기어의 양측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스테이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내공간; 상기 안내공간에 안내돌기가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잠금레버; 상기 잠금레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잠금돌기; 상기 인출부의 상면 후방에 형성되는 인출조절공간; 상기 인출부의 상면 전방에 형성되는 인출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의 잠금돌기가 인출조절공간 및 인출방지턱에서 이탈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인출부는 스테이연결부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잠금돌기가 인출방지턱에 걸리게 되면 인출부는 스테이연결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연결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좌석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안착구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테이연결부의 기본 설치높이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뒷목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목통증이나 목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베개지지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목베개지지부를 틸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목베개지지부의 인출거리를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목베개지지부에 높낮이조절부가 결합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끼움부재에 회전고정부재가 결합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목베개지지부의 틸팅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목베개지지부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끼움부재의 간격 조절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인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의 거리조절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석(2) 상단에 구비된 헤드레스트 스테이(1)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목을 받쳐 지지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1)에 끼워져 연결되는 스테이연결부(10)와; 전면에 쿠션(31)이 구비되고 후면에 높낮이조절부(20)를 갖는 목베개지지부(30); 상기 스테이연결부(10)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전·후로 인출되며 상기 스테이연결부(10)와 목베개지지부(30)를 연결하는 인출부(40); 상기 스테이연결부(10)의 끼움부재(12)에 형성되어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0); 상기 스테이연결부(10)에 결합된 인출부(40)의 인출 거리를 조절하여 잠금설정하는 잠금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1)가 구비된 좌석(2)은 차량에 설치되는 좌석은 물론 일반 사무용 좌석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인출부(40)가 스테이연결부(1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목베개지지부(30)의 거리가 조절되고, 목베개지지부(30)에 사용자의 목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목을 뒤로 젖혀주거나 앞으로 숙이는 동작에 의해 목베개지지부(30)의 회전이 가능하며, 목베개지지부(30)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동작에 의해 목베개지지부(30)의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끼움부재(12)를 스테이연결부(10) 외측으로 빼거나 내측으로 삽입시켜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하고, 잠금레버(62)의 좌·우 이동에 의해 인출부(40)의 인출되는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1)에 스테이연결부(10)를 끼워주는 것만으로 쉽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스테이연결부(10)는 연결케이스(11), 끼움부재(12), 회전고정부재(13), 걸림후크(1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케이스(11)에는 인출부(40)가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공간(111)이 전방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끼움부재(12)가 결합되도록 결합공간(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케이스(11)의 내측 중앙부에는 인출부(40)의 걸림돌부(43)가 걸림설정되어 연결케이스(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공간(11)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재(12)는 결합공간(112)으로 각각 결합되어 수용공간(121)을 통해 헤드레스트 스테이(1)에 끼움 설정되며, 끼움부재(12)의 하부 테두리에는 회전공간(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재(12)의 상부에는 차단공간(131)이 형성된 회전고정부재(13)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고정부재(13)는 끼움부재(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끼움부재(12)의 수용공간(121)을 차단공간(131)으로 폐쇄하여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회전고정부재(13)의 하부에는 걸림후크(14)가 돌출형성되며, 끼움부재(12)의 회전공간(122)에 결합되어 걸림설정됨과 동시에 회전고정부재(13)가 끼움부재(12)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높낮이조절부(20)는 높이조절기어(21), 조절구(22), 회전구멍(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기어(21)는 목베개지지부(30)의 수직지지판(32) 후면 양측에 형성되되, 가이드(34)의 내측에 수직으로 연속 형성된다.
상기 조절구(22)는 인출부(40)의 가이드축(42)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조절구(22)에는 탄성을 갖는 조절돌기(221)가 형성되어 높이조절기어(21)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조절구(22)에는 가이드축(42)에 결합되도록 회전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가드축(42)의 양측 단부는 중앙부가 절개되어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조절구(22)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목베개지지부(3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쿠션(31)을 잡고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되면, 조절돌기(22)가 탄력있게 변형되면서 높이조절기어(21)를 따라 이동하여 목베개지지부(30)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목베개지지부(30)의 틸팅시에는 사용자가 목을 뒤로 젖히거나 목을 하향으로 숙이게 되면, 가이드축(42)에 결합된 조절구(22)가 가이드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목베개지지부(30)가 틸팅된다.
또한, 상기 목베개지지부(30)는 쿠션(31), 수직지지판(32), 수평지지판(33), 가이드(34)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31)은 스펀지와 같은 쿠션작용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지지판(32)은 쿠션(31)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수평지지판(33)은 쿠션(3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직지지판(32)의 후방 양측에는 가이드(34)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34)의 내측에는 높낮이조절부(20)의 높이조절기어(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목베개지지부(30)는 승·하강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고, 쿠션(31)을 뒤로 젖히거나 앞으로 숙이는 동작에 의해 틸팅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40)는 스테이연결부(10)의 인출공간(111)으로 인출몸체(41)가 결합되어 잠금부(60)의 설정에 의해 전·후방으로 인출되고, 인출몸체(41)의 전방에는 높낮이조절부(20)의 조절구(22)가 결합되도록 가이드축(42)이 형성된다.
인출몸체(41)의 중앙부 하단에는 탄력을 갖는 걸림돌부(43)가 형성되어 연결케이스(11)에 형성된 걸림공간(113)으로 결합된다.
상기 인출몸체(41)의 후방 양측에는 스프링(45)을 끼울 수 있도록 끼움돌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44)에 스프링(45)의 일단이 결합되고 연결케이스(11)의 인출공간(11) 내측면에 타측이 지지되어 인출몸체(41)에 탄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50)는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부(50)는 레크기어(51), 피니언기어(52)로 구성되며, 연결케이스(11)의 양측으로 결합된 끼움부재(12)의 일측면에 래크기어(51)가 각각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재(12)가 서로 결합되는 중앙부에는 래크기어(51)가 서로 맞물리도록 피니언기어(52)가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스테이(1)의 간격이 본 발명인 끼움부재(12)의 수용공간(121)의 간격보다 작거나 넓을 경우, 끼움부재(12)를 연결케이스(11)의 양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끼움부재(12)에 형성된 래크기어(51)가 피니언기어(52)에 안내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수용공간(121)과 차단공간(131)으로 끼운 후, 회전고정부재(1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차단공간(131)이 수용공간(121)을 폐쇄하면서 헤드레스트 스테이(1)가 본 발명인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부(60)는 스테이연결부(10)의 연결케이스(11) 상부에 잠금레버(62)가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공간(61)이 형성되며, 잠금레버(62)는 하부에 안내돌기(621)가 형성되어 안내공간(61)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잠금레버(62)는 안내돌기(61)에 의해 연결케이스(11)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인출부(40)의 상면 후방에는 인출조절공간(64)이 형성되고, 인출부(40)의 상면 전방에는 인출방지턱(65)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60)는 잠금레버(62)의 좌·우 이동으로 잠금돌기(63)가 위치되는 곳에 따라 목베개지지부(30)의 인출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목베개지지부(30)의 쿠션(31)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스테이연결부(10)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 후, 잠금레버(62)를 동작으로 잠금돌기(63)를 인출방지턱(65)에 걸리도록 하면 인출부(40)는 스테이연결부(10)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레버(62)를 인출방지턱(65)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인출부(40)를 스테이연결부(10)로부터 일정 거리 인출시킨 상태에서 잠금돌기(63)가 인출조절공간(64)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인출부(40)의 인출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베개지지부(30)를 스테이연결부(10)로부터 최대로 인출되도록 한 후, 잠금레버(62)의 동작으로 잠금돌기(63)가 인출조절공간(64) 또는 인출방지턱(65)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키게 되면 목베개지지부(30)의 쿠션(31)은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어 운전 중 발생되는 충격이 목에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시키므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테이연결부(10)의 연결케이스(11) 하부에는 안착구(7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테이연결부(10)의 기본 설치높이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70)가 좌석(2)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스테이연결부(1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스테이연결부 11: 연결케이스
12: 끼움부재 13: 회전고정부재
14: 걸림후크
20: 높낮이조절부 21: 높이조절기어
22: 조절구 23: 회전구멍
30: 목베개지지부 31: 쿠션
32: 수직지지판 33: 수평지지판
34: 가이드
40: 인출부 41: 인물몸체
42: 가이드축 43: 걸림돌부
44: 끼움돌부 45: 스프링
50: 간격조절부 51: 래크기어
52: 피니언기어
60: 잠금부 61: 안내공간
62: 잠금레버 63: 잠금돌기
64: 인출조절공간 65: 인출방지턱
70: 안착구

Claims (6)

  1. 좌석(2) 상단에 구비된 헤드레스트 스테이(1)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목을 받쳐 지지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1)에 끼워져 연결되는 스테이연결부(10)와;
    전면에 쿠션(31)이 구비되고 후면에 높낮이조절부(20)를 갖는 목베개지지부(30);
    상기 스테이연결부(10)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전·후로 인출되며 상기 스테이연결부(10)와 목베개지지부(30)를 연결하는 인출부(40);
    상기 스테이연결부(10)의 끼움부재(12)에 형성되어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0);
    상기 스테이연결부(10)에 결합된 인출부(40)의 인출 거리를 조절하여 잠금설정하는 잠금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테이연결부(10)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인출공간(111)이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공간(112)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 중앙부에 걸림공간(113)이 형성되는 연결케이스(11);
    상기 결합공간(112)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21)을 통해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수용하는 끼움부재(12);
    상기 끼움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1)를 고정하도록 차단공간(131)을 갖는 회전고정부재(13);
    상기 회전고정부재(13)의 하부에 형성되어 끼움부재(12)에 형성된 회전공간(122)에 결합되며 회전고정부재(13)가 끼움부재(12)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는 걸림후크(14)가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높낮이조절부(20)는,
    상기 목베개지지부(30)의 가이드(34) 내측에 수직으로 연속 형성되는 높이조절기어(21);
    상기 인출부(40)의 가이드축(42)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조절돌기(221)가 높이조절기어(21)에 맞물려 목베개지지부(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구(22);
    상기 가이드축(42)이 결합되도록 조절구(22)에 관통형성되는 회전구멍(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출부(40)는,
    상기 스테이연결부(10)의 인출공간(111)으로 결합되는 인출몸체(41);
    상기 인출몸체(41)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축(42);
    상기 인출몸체(41)의 중앙부 하단에 탄력있게 형성되는 걸림돌부(43);
    상기 인출몸체(41)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돌부(44);
    상기 끼움돌부(44)와 스테이연결부(10) 내부 사이에 장착되어 인출몸체(41)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4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부(60)는,
    상기 스테이연결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내공간(61);
    상기 안내공간(61)에 안내돌기(621)가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잠금레버(62);
    상기 잠금레버(62)의 하부에 형성되는 잠금돌기(63);
    상기 인출부(40)의 상면 후방에 형성되는 인출조절공간(64);
    상기 인출부(40)의 상면 전방에 형성되는 인출방지턱(6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연결부(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좌석(2)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구(7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안착구(7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테이연결부(10)의 기본 설치높이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KR1020200027117A 2019-06-12 2020-03-04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KR102305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27 2019-06-12
KR20190069327 2019-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448A true KR20200142448A (ko) 2020-12-22
KR102305308B1 KR102305308B1 (ko) 2021-09-27

Family

ID=7408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117A KR102305308B1 (ko) 2019-06-12 2020-03-04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3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94B1 (ko) * 2021-01-05 2021-06-01 (주)훠링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CN114750662A (zh) * 2022-04-29 2022-07-15 佛山市贵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多功能车载护颈枕
CN115179834A (zh) * 2022-03-21 2022-10-14 佛山市高瑞斯硅橡胶制品有限公司 头颈支撑装置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86B1 (ko) * 2021-12-17 2023-04-21 주식회사 린백 등받이 의자의 헤드레스트 조절구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744U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차량용 시트의 목 받침대
KR200295578Y1 (ko) * 2002-08-14 2002-11-18 박경진 자동차 시트용 목받침
KR200348452Y1 (ko) 2003-11-06 2004-04-28 이정혜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목 지지구
KR200377866Y1 (ko) * 2004-12-16 2005-03-14 배순조 목받침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KR20110000315U (ko) * 2009-07-06 2011-01-13 이창민 자동차시트의 목 쿠션
KR20120000286U (ko) * 2010-07-02 2012-01-10 조병철 목받침대
KR20130036365A (ko) * 2004-05-15 2013-04-11 햅토젠 리미티드 감염 박테리아에서의 생물막 형성을 저감시키는 방법
KR20150067644A (ko) 2013-12-10 2015-06-18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 레스트용 베개
CN105059155A (zh) * 2015-08-18 2015-11-18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带自适应颈托功能的座椅头枕
JP2017056858A (ja) * 2015-09-17 2017-03-23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878633B1 (ko) * 2018-02-19 2018-08-17 서준덕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744U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차량용 시트의 목 받침대
KR200295578Y1 (ko) * 2002-08-14 2002-11-18 박경진 자동차 시트용 목받침
KR200348452Y1 (ko) 2003-11-06 2004-04-28 이정혜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목 지지구
KR20130036365A (ko) * 2004-05-15 2013-04-11 햅토젠 리미티드 감염 박테리아에서의 생물막 형성을 저감시키는 방법
KR200377866Y1 (ko) * 2004-12-16 2005-03-14 배순조 목받침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KR20110000315U (ko) * 2009-07-06 2011-01-13 이창민 자동차시트의 목 쿠션
KR20120000286U (ko) * 2010-07-02 2012-01-10 조병철 목받침대
KR20150067644A (ko) 2013-12-10 2015-06-18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 레스트용 베개
CN105059155A (zh) * 2015-08-18 2015-11-18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带自适应颈托功能的座椅头枕
JP2017056858A (ja) * 2015-09-17 2017-03-23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878633B1 (ko) * 2018-02-19 2018-08-17 서준덕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94B1 (ko) * 2021-01-05 2021-06-01 (주)훠링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CN115179834A (zh) * 2022-03-21 2022-10-14 佛山市高瑞斯硅橡胶制品有限公司 头颈支撑装置
CN114750662A (zh) * 2022-04-29 2022-07-15 佛山市贵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多功能车载护颈枕
CN114750662B (zh) * 2022-04-29 2024-02-27 佛山市贵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多功能车载护颈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308B1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2448A (ko)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JP7360787B2 (ja) ヘッドレスト高さ調整機構付きチャイルド安全シート
EP2873555B1 (en) Vehicle seat
US7866748B2 (en)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US6616235B1 (en) Seat assembly with integral head/neck rest
EP2657073B1 (en) Headrest device
US10703242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JP2008526425A (ja) 車両用シート
JP3201591B2 (ja) 車両用シート
JP6053657B2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KR200159427Y1 (ko) 수평조절식 헤드 레스트
CN220639611U (zh) 底座、保持机构、胯带扣具收纳装置以及儿童安全座椅
KR19990041156A (ko)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 수납장치
JP2023154834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0716382B1 (ko) 후방 추돌 시 승객의 목 상해 방지장치
KR19990035662A (ko) 내장형 리어 센터 헤드레스트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90023902U (ko) 승객 보호용 헤드레스트
JP2010137587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998001881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46731U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80016819U (ko)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head rest) 두께 조절장치
KR19990038576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20080712A (ko) 자동차 시트의 회전가능한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