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633B1 -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 Google Patents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633B1
KR101878633B1 KR1020180019184A KR20180019184A KR101878633B1 KR 101878633 B1 KR101878633 B1 KR 101878633B1 KR 1020180019184 A KR1020180019184 A KR 1020180019184A KR 20180019184 A KR20180019184 A KR 20180019184A KR 101878633 B1 KR101878633 B1 KR 10187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llow
neck
fix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덕
Original Assignee
서준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덕 filed Critical 서준덕
Priority to KR102018001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와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폴대에 설치되며 좌석에 앉은 사람의 키에 대응하여 베개부재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성이나 소아 등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부재의 각도 조절을 통해 더욱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고, 사고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과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시트(50)에 설치되어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차량용 목받침으로서, 시트(52)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부재(10)와; 차량용 시트(50)의 등받이(52)와 헤드레스트(53)를 연결하는 폴대(55)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등받이(52)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개부재(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베개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승강 가이드부재(30)와; 상기 베개부재(10)와 승강 가이드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5);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와 고정부재(20)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26)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로드(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Neck Supportfor Car having a Location and Angle Adjustable}
본 발명은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와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폴대에 설치되며 좌석에 앉은 사람의 키에 대응하여 베개부재의 높이와 전후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성이나 소아 등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부재의 각도 조절을 통해 더욱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고, 사고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트의 등받이 상부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추돌 사고 시 탑승자의 목이 순간적으로 뒤로 꺾여 목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운전 중에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시트에 앉은 사람의 키에 따라 높이즐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운전할 때 헤드레스트에 자신의 머리를 기댄 채로 운전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에 따라, 장시간 운전시 운전자는 만성적으로 피로를 느끼게 되고, 심한 경우 거북목 증후근 형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운전 중에는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지 않기 때문에, 사고로 인해 갑작스럽게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헤드레스트가 어느 정도 충격을 완화시켜주기는 하지만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충돌함에 따라 목에도 상단한 충격이 전달되어 목을 다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목의 안락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동차 사고시 목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헤드레스트 외에 별도의 목받침대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목받침대에 관한 연구로 인해 다수의 특허가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나 차량용 목받침은 대부분 성인 남성의 키를 기준으로 제작되어 있어, 키가 작은 사람이나 여성, 어린이 등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에 운전자의 머리만을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만이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목을 받쳐주기 위한 목받침본체에는 각각의 관통구로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된 모든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장착할 수 있도록 받침대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체결판에 의하여 체결구에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고 좌,우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너트부와 볼트부의 나사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 받침대의 너트부를 회전조작 함으로서 받침대의 길이를 신장 및 수축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목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목받침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 시트용 목받침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의자 또는 시트(seat)의 등받이 상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봉에 의하여 상기 등받이와 결합하는 헤드레스트의 하나의 상기 지지봉이 관통하는 결합홀를 가지는 결합수단; 결합수단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 제1 방향 연장부에서 계속하여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방향 연장부, 후방방향 연장부에 이어서 제1 방향의 연장부의 길이보다 길게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대방향 연장부, 반대방향 연장부에 이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위치의 가상 연장선의 위치보다 더 연장되게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방향 연장부, 전방방향 연장부에 이어서 다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나선 형상의 와이어 또는 파이프; 및 말단방향 연장부를 둘러싸서 그것과 결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운전석에 장착하여 운전자의 목을 지지함으로써 운전으로 인한 만성적 피로를 방지하고 아울러 자동차 사고로 인한 충격시에 그 충격을 완화해주는 안전기능을 가지는 목받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미사용시에는 목 받침대를 시트백속에 수납시켜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시트백으로부터 인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부로의 노출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목 받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차량의 등받이 시트와, 차량의 등받이 시트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봉이 구비되고 머리를 기댈 수 있는 머리 받침대 사이에 구비되어, 목을 받치는 목받침대에 있어서, 전방이 곡면을 이루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목을 받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봉을 감싸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결합된 제1자성부재; 및 상기 밴드부의 타단에 결합된 제2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는, 서로 다른 자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밴드부가 상기 삽입봉을 감싸며 서로 부착됨에 따라, 상기 몸체가 상기 등받이 시트와 머리 받침대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가 서로 다른 자성으로 이루어져 밴드부가 삽입봉을 감쌀때 서로 부착됨에 따라, 몸체가 등받이 시트와 머리 받침대 사이에 용이하게 구비시키거나 분리시켜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한 목 받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KR 20-0295578 Y1 KR 20-2012-0000286 U KR 10-2015-0004994 A KR 10-2016-0031892 A JP 1996-047435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와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폴대에 설치되며 베개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성이나 소아 등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부재의 각도 조절을 통해 더욱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고, 사고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어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차량용 목받침으로서, 시트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부재와;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와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폴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등받이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개부재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베개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승강 가이드부재와; 상기 베개부재와 승강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와 고정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는 고정부재에 가변형 연결로드로 연결되고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된 캠 가이드와, 상기 베개부재에 연결로드로 연결되며 상기 캠 가이드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 대응부 및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성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는 고정부재에 가변형 연결로드로 연결되고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홈 가이드와, 상기 베개부재에 연결로드로 연결되며 상기 홈 가이드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록부가 구비된 가이드 대응부 및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성 고정부 또는 상기 홈 가이드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볼 및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볼 베어링과 상기 베개부재에 연결로드로 연결되고 상기 볼 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 지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상기 베개부재와 승강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강하는 베개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상기 베개부재는 받침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받침판의 측부에 베개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은,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어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차량용 목받침으로서, 시트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가 설치되는 받침판과;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와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폴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등받이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승강 가이드부재와; 상기 받침판과 승강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와 고정부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의 측부에 베개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과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은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된 승강 가이드부재를 통해 시트에 앉은 사람의 키에 대응하여 베개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변형 연결로드를 통해 베개부재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키가 작은 사람이나 여성 및 소아의 경우에도 베개부재를 승강시켜 목을 기댈 수 있게 되고 가변형 연결부재를 통해 베게부재를 전후 이동시켜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됨은 물론 사고 발생시에도 베개부재가 목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전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캠 가이드와 탄성 고정부로 이루어진 승강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베개부재를 승강시키거나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베개부재의 위치 조절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베개부재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는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베개부재의 위치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홈 가이드와 탄성 고정부 또는 홈 가이드와 볼 베어링 및 베어링 지지구로 이루어진 승강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베개부재를 승강시키거나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베개부재의 위치 조절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베개부재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는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베개부재의 위치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베개부재와 승강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각도 조절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베개부재의 각도를 변화시켜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에 따르면, 베개부재가 설치된 받침판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판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베개부재의 각도를 변화시켜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은 베개부재를 생략하고 받침판에 연결로드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받침판에 평소에 사용하던 베개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 효과와 더불어 심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목받침이 도시된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 가이드 부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홈 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의 변형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목받침은 차량용 시트(50)에 설치되어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차량용 목받침으로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52)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부재(10)와; 차량용 시트(50)의 등받이(52)와 헤드레스트(53)를 연결하는 폴대(55)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등받이(52)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개부재(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베개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승강 가이드부재(30)와; 상기 베개부재(10)와 승강 가이드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5);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와 고정부재(20)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26)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로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도 2의 (a)와 같이 한 쌍의 폴대(55)에 동시에 결합되는 일체형 블록 형태의 일체형 고정부재(21)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2의 (b)와 같이 한 쌍의 폴대(55) 각각에 결합되어 독립적으로 고정되는 독립형 블록 형태의 독립형 고정부재(22)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가변형 연결로드(25)의 길이조절부(26)는 가변형 연결로드(25)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는 도 3의 (a)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에 가변형 연결로드(25)로 연결되고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된 캠 가이드(31)와, 상기 베개부재(10)에 연결로드(15)로 연결되며 상기 캠 가이드(31)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 대응부(33a)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가이드 대응부(33a)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3b)로 이루어진 탄성 고정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캠 가이드(31)를 따라 탄성 고정부(33)를 승강시켜 베개부재(1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베개부재(10)의 위치 조절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베개부재(10)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는 캠 가이드(31)와 탄성 고정부(33)의 요철 결합으로 인해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베개부재(10)의 위치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에 가변형 연결로드(25)로 연결되고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홈(34')이 형성된 홈 가이드(34)와, 상기 베개부재(10)에 연결로드(15)로 연결되며 상기 홈 가이드(34)의 삽입홈(34')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록부가 구비된 가이드 대응부(35a)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가이드 대응부(35a)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5b)로 이루어진 탄성 고정부(35)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에 가변형 연결로드(25)로 연결되고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홈(34')이 형성된 홈 가이드(34)와, 상기 홈 가이드(34)의 삽입홈(34')에 삽입되는 볼(36a) 및 이를 지지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6b)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볼 베어링(36)과, 상기 베개부재(10)에 연결로드(15)로 연결되고 상기 볼 베어링(36)이 설치되는 베어링 지지구(37)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홈 가이드(34)를 따라 탄성 고정부(35) 또는 베어링 지지구(37)를 승강시켜 베개부재(1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베개부재(10)의 위치 조절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베개부재(10)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는 홈 가이드(34)의 삽입홈(34')에 삽입된 탄성 고정부(35)의 볼록부 또는 볼 베어링(36)의 볼(36a)로 인해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베개부재(10)의 위치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홈 가이드(34)에 형성되는 삽입홈(34')은 도 4의 (a)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b)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이드 대응부(35)의 볼록부 또는 볼 베어링(36)의 볼(36a)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만 있다면 그 형상이나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상기 베개부재(10)의 연결로드(15)에 탄성 고정부(33)(35) 또는 베어링 지지구(37)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가변형 연결로드(25)에 캠 가이드(31) 또는 홈 가이드(34)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상기 고정부재(20)의 가변형 연결로드(25)에 탄성 고정부(33)(35) 또는 베어링 지지구(37)가 연결되고 상기 베개부재(10)의 연결로드(15)에 캠 가이드(31) 또는 홈 가이드(34)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은 차량용 시트(50)의 등받이(52)에 설치되어 베개부재(10)가 사용자의 목을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시트(50)에 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하거나 등받이(52)를 젖히고 누운 상태에서 베개부재(10)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키가 작은 사람이나, 여성, 소아 등의 경우에도 승강 가이드부재(30)를 통해 베개부재(1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자신에게 맞는 높이에 베개부재(21)를 위치시키고 길이조절부(26)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부재(25)를 이용하여 적정 위치로 베개부재(10)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베개부재(10)에 기댄 상태로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게 되고, 사고 발생시에도 상기 베개부재(1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목을 다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목이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부재(10)의 높이와 전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베개부재(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부재(10)와 승강 가이드부(3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5)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승강하는 베개부재(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재(40);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부재(40)를 이용하여 베개부재(10)의 각도를 변화시켜 더욱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부재(10)가 받침판(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11)의 측부에 베개부재(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3)를 설치하여 베개부재(10)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11)에 구비된 각도 조절부(13)를 통해 베개부재(10)의 각도를 변화시켜 더욱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베개부재(10)가 연결로드(15)에 직접 연결되거나 받침판(11)에 의해 지지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베게부재(10)를 생략하고 연결로드(15)에 공지의 베개를 지지하는 받침판(11)만 연결하여 차량용 목받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목받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가 설치되는 받침판(11)과; 차량용 시트(50)의 등받이(52)와 헤드레스트(53)를 연결하는 폴대(55)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등받이(52)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11)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11)의 위치를 고정하는 승강 가이드부재(30)와; 상기 받침판(11)과 승강 가이드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5);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와 고정부재(20)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26)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로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판(11)의 측부에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부(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판(11)에는 베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받침판(11)에 통상의 베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베개부재(10)를 배제하고 자신이 평소에 사용하던 베개를 사용하여 경제적 효과와 심리적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베개부재
11...받침판
13...각도 조절부
15...연결로드
20...고정부재
25...가변형 연결로드
26...길이조절부
30...승강 가이드 부재
31...캠 가이드
33...탄성 고정부
33a...가이드 대응부
33b...탄성부재
34....홈 가이드
35a...가이드 대응부
35b...탄성부재
36...볼 베어링
36a...볼
36b...탄성부재
37...베어링 지지구
40...각도 조절부재

Claims (6)

  1. 차량용 시트(50)에 설치되어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차량용 목받침으로서,
    시트(52)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부재(10)와;
    차량용 시트(50)의 등받이(52)와 헤드레스트(53)를 연결하는 폴대(55)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등받이(52)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개부재(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베개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승강 가이드부재(30)와;
    상기 베개부재(10)와 승강 가이드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5)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와 고정부재(20)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26)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로드(25); 및
    상기 베개부재(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는 고정부재(20)에 가변형 연결로드(25)로 연결되고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된 캠 가이드(31)와, 상기 베개부재(10)에 연결로드(15)로 연결되며 상기 캠 가이드(31)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 대응부(33a) 및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3b)로 이루어진 탄성 고정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는 고정부재(20)에 가변형 연결로드(25)로 연결되고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홈(34')이 형성된 홈 가이드(34)와, 상기 베개부재(10)에 연결로드(15)로 연결되며 상기 홈 가이드(34)의 삽입홈(34')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록부가 구비된 가이드 대응부(35a) 및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5b)로 이루어진 탄성 고정부(35) 또는 상기 홈 가이드(34)의 삽입홈(34')에 삽입되는 볼(36a) 및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6b)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볼 베어링(36)과 상기 베개부재(10)에 연결로드(15)로 연결되고 상기 볼 베어링(36)이 설치되는 베어링 지지구(3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받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베개부재(10)와 승강 가이드부(3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5)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승강하는 베개부재(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재(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받침.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베개부재(10)를 지지하는 받침판(11)의 측부에 구비되어 베개부재(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받침.
  6.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어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차량용 목받침으로서,
    시트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가 설치되는 받침판(11)과;
    차량용 시트(50)의 등받이(52)와 헤드레스트(53)를 연결하는 폴대(55)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등받이(52)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11)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11)의 위치를 고정하는 승강 가이드부재(30)와;
    상기 받침판(11)과 승강 가이드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5);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30)와 고정부재(20)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26)가 구비된 가변형 연결로드(25);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11)의 측부에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부(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받침.
KR1020180019184A 2018-02-19 2018-02-19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KR10187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84A KR101878633B1 (ko) 2018-02-19 2018-02-19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84A KR101878633B1 (ko) 2018-02-19 2018-02-19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633B1 true KR101878633B1 (ko) 2018-08-17

Family

ID=6340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84A KR101878633B1 (ko) 2018-02-19 2018-02-19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6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0493A (zh) * 2019-12-26 2020-03-27 沈阳市中瑞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动六向调节汽车座椅头枕骨架
KR102108861B1 (ko) 2018-11-15 2020-05-11 테크젠정공(주) 거북목 증후군 예방 목 보호구
KR20200142448A (ko) * 2019-06-12 2020-12-22 서정옥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861B1 (ko) 2018-11-15 2020-05-11 테크젠정공(주) 거북목 증후군 예방 목 보호구
KR20200142448A (ko) * 2019-06-12 2020-12-22 서정옥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KR102305308B1 (ko) 2019-06-12 2021-09-27 서정옥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CN110920493A (zh) * 2019-12-26 2020-03-27 沈阳市中瑞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动六向调节汽车座椅头枕骨架
CN110920493B (zh) * 2019-12-26 2024-05-17 沈阳市中瑞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动六向调节汽车座椅头枕骨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748B2 (en)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KR101878633B1 (ko)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US7441838B2 (en) Back support mechanism for vehicle seat
US20150375647A1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SE510735C2 (sv) Fordonsstol försedd med ett nackstöd
KR20190089354A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JP5508790B2 (ja) 自動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安全装置
JP6053657B2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KR20120010102A (ko)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JP2021502292A (ja) 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KR100833319B1 (ko)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
KR101878616B1 (ko)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목받침
KR10193885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US9132757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head restraint
KR200436740Y1 (ko) 암레스트 조립체
KR101736736B1 (ko) 폴딩 가능한 헤드레스트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RU2278032C2 (ru) Подголовник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сна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46731U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JP2001010379A (ja) 自動車用のシート
KR940006741Y1 (ko) 의자용 목 받침구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20220168165A (ko) 어린이 안전 시트
JPH05132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