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575A -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575A
KR20180009575A KR1020160091457A KR20160091457A KR20180009575A KR 20180009575 A KR20180009575 A KR 20180009575A KR 1020160091457 A KR1020160091457 A KR 1020160091457A KR 20160091457 A KR20160091457 A KR 20160091457A KR 20180009575 A KR20180009575 A KR 20180009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neckrest
latch
mov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386B1 (ko
Inventor
김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09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3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60N2/4808
    • B60N2/48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차량의 시트 상측에 마련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페드와, 상기 페드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며 상기 페드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리는 걸림쇠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을 따라 상기 걸림쇠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쇠의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neckrest of head 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목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목받침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마련된다.
헤드레스트는 운행중 탑승자의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하여 뭉친 목의 근육을 풀어주거나 피곤함을 덜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헤드레스트는 운행중 잠시간의 목 피로는 풀어줄 수 있으나, 기댄 상태로 수면을 취하거나, 편안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즉, 장거리나 야간 운행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피곤함을 덜기 위해 시트에 등과 머리를 기댄 상태로 수면을 취할 때 머리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어 머리가 꺽인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고 그로 인해 목 부위 등이 뻐근해져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운행중 뻐근한 목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댈 경우 시선이 차량의 천정으로 향하게 되어 차량 운행이 불편해지는 등 안정적인 운행이 어려웠다.
따라서, 최근에는 헤드레스트의 형상을 개선하여 탑승자의 목이 위치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휴식 중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뭉친 목 근육을 풀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하부를 돌출 형성할 경우, 휴식시에는 편안한 느낌을 얻을 수 있으나,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탑승자의 목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지지하는 위치가 달라지는 등 효과적으로 목을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줄 수 있게 항상 돌출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머리가 뒤로 완전히 젖혀지는 것은 방지해줄 수는 있으나, 운행중 지속적으로 머리가 꼿꼿한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 오히려 목에 무리가 가는 등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한다는 본연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머리를 정확하게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으로 인해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에 큰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헤드레스트에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목받침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휴식시 목받침대를 이동시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는 차량의 시트 상측에 마련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페드와, 상기 페드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며 상기 페드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리는 걸림쇠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을 따라 상기 걸림쇠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쇠의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레스트에 탑승자의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목받침대를 구비하여 뭉친 근육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목받침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행중에는 헤드레스트에 밀착되도록 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휴식중에만 헤드레스트에서 전방으로 돌출시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설치된 헤드레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의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작동부를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 사용된 작동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탑승자의 목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목받침대(100)를 구비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가 설치된 헤드레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100)는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페드(110)와, 상기 페드(110)와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연결하며 상기 페드(11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작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드(110)는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충격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목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탑승자의 목과 접촉되어 탑승자에게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쿠션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드(110)는 일면에 한 쌍의 연결부재(11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12)를 통해 작동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120)는 상기 페드(110)와 헤드레스트(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페드(110)를 헤드레스트(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측이 상기 헤드레스트(10)와 고정결합되며 하부에 다단으로 걸림턱(131)이 형성된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 내에서 슬라이딩 되며 일부분이 상기 걸림턱(131)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이동수단(140)과, 상기 이동수단(140)을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하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다단 형태의 걸림턱(131)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면 양측에 헤드레스트(10)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지지편(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132)에는 후술하는 이동수단(140)의 이동핀(141) 일단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가이드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33)은 상기 이동핀(141)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타원형태로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동핀(141)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진로(133a)와,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회귀로(13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 내에서 상기 가이드홈(133)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이동수단(1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1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이동핀(141)이 마련된 브라켓(142)과, 상기 브라켓(14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걸림턱(131)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걸림쇠(143) 및 상기 걸림쇠(143)를 탄성지지하도록 한 탄성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이 상기 이동수단(14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위치 고정은 상기 이동수단(140)의 걸림쇠(143)가 상기 하우징(130)의 걸림턱(131)의 전단에 걸려서 구속됨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브라켓(142)은 한 쌍의 고정편(142a)이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상호 마주보게 위치되되, 후방 상측이 받침편(142b)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도록 위치된 고정편(142a)의 각 외측면에는 이동핀(141)이 돌출되게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133)에 말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편(142a) 사이에는 걸림쇠(143)가 힌지핀(1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걸림쇠(143)는 하부가 상기 걸림턱(131)과 맞물리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30)의 걸림턱(131)을 타고 넘으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걸림턱(13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걸림턱(131)의 전단에 걸려서 이동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42)의 한 쌍의 고정편(142a) 사이에 걸림쇠(14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고정편(142a)의 후방을 연결하는 받침편(142b)에 의해 상기 걸림쇠(143)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으로, 이동수단(140)이 전방으로 향할때에는 걸림쇠(143)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131)을 타고 넘으면서 이동하나, 후방으로 향할때는 받침편142b)에 상기 걸림쇠(143)의 일부가 접촉지지되면서 회전이 제한되어 이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탄성부재(145)는 상기 걸림쇠(14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편(142a)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14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쇠(143)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걸림턱(131)으로부터 걸림쇠(143)의 구속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쇠(143)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리턴스프링(150)은 상기 이동수단(1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30)의 후방에 한 쌍의 지지편(132)과 지지편(132)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축(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미도시)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는 한편, 타단은 상기 이동핀(141)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수단(140)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미도시)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수단(140)의 원활한 복귀와, 상기 리턴스프링(150)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탄성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보조리턴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리턴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30)의 후방,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편(132)과 지지편(132) 사이에 위치되되, 하부가 상기 지지(132)편과 지지편(132)을 연결하는 지지축(16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161)에 의해 상기 하우징(13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보조리턴부재(160)는 상기 지지축(161)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토션스프링(162)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이동핀(141)과 일단이 결합된 리턴스프링(150)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100)는 도 6a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작동부(120)의 이동핀(141)에 페드(110)가 연결부재(112)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이루며, 걸림쇠(143)는 첫번째 위치의 걸림턱(131)에 걸려 있는 상태이다.
이때는 헤드레스트(10)에 페드(110)가 삽입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페드(110)에 마련된 손잡이(114)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핀(141)이 하우징(130)에 형성된 가이드홈(133)의 전진로(133a)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리턴스프링(150)이 인장되며 탄성복원력이 발생되는 동시에 브라켓(1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걸림쇠(143)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턱(131)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페드(110)가 헤드레스트(10)에서 인출되게 된다.
이때, 탑승자는 원하는 위치까지 페드(110)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의 걸림턱(131)에 걸림쇠(143)가 멈추는 방식으로 페드(1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걸림쇠(143)는 걸림턱(131)과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후방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로서, 원하는 위치의 걸림턱(131)에 상기 걸림쇠(143)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페드(110)를 헤드레스트에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c와 같이, 페드(110)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겨 이동핀(141)이 전진로(133a)의 끝부분까지 위치되도록 한 다음. 헤드레스트(1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힘을 가하여 이동핀(141)이 회귀로(133b)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이동수단(140)을 탄성지지하고 있는 리턴스프링(150)이 인장되는 동시에 보조리턴부재(16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토션스프링(162)은 압축되어 이동수단(14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핀(141)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귀로(133b)에 위치되면 상술한 리턴스프링(150) 및 토션스프링(162) 등에 의해 이동수단(14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됨에 따라 페드(110)가 헤드레스트(10)에 삽입되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100)는 헤드레스트(10)에 탑승자의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목받침대(100)를 구비하여 뭉친 근육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목받침대(1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목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운행중에는 헤드레스트(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휴식중에만 헤드레스트(10)에서 전방으로 돌출시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헤드레스트 100 : 목받침대
110 : 페드 112 : 연결부재
114 : 손잡이 120 : 작동부
130 : 하우징 131 : 걸림턱
132 : 지지편 133 : 가이드홈
133a : 전진로 133b : 회귀로
140 : 이동수단 141 : 이동핀
142 : 브라켓 142a : 고정편
142b : 받침편 143 : 걸림쇠
144 : 힌지핀 145 : 탄성부재
146 : 고정핀 150 : 리턴스프링
160 : 보조리턴부재 161 : 지지축
162 : 토션스프링

Claims (9)

  1. 차량의 시트 상측에 마련되는 헤드레스트(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페드(110)와,
    상기 페드(110)와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연결하며 상기 페드(11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턱(131)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리는 걸림쇠(143)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을 따라 상기 걸림쇠(143)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쇠(143)의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는 작동부(1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20)는
    양측이 상기 헤드레스트(10)와 고정결합되며 하부에 다단으로 걸림턱(131)이 형성된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 내에서 슬라이딩 되며 일부분이 상기 걸림턱(131)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걸림쇠(143)로 이루어진 이동수단(140)과,
    상기 이동수단(140)을 탄성지지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리턴스프링(15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은
    하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다단 형태의 걸림턱(131)이 일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면 양측에 헤드레스트(10)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지지편(13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편(132)에는 상기 이동수단(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홈(133)이 형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33)은
    상기 타원 형태로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수단(14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진로(133a)와,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회귀로(133b)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40)은
    측면 양측에 상기 하우징(13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이동핀(141)이 마련된 브라켓(142)과,
    상기 브라켓(14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걸림턱(131)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걸림쇠(143) 및
    상기 걸림쇠(143)를 탄성지지하도록 한 탄성부재(145)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42)은
    한 쌍의 고정편(142a)이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상호 마주보게 위치되되, 후방 상측이 받침편(142b)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편(142b)은 회동되는 상기 걸림쇠(143)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20)는 상기 하우징(130)의 하부에 지지축(16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1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보조리턴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리턴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30)과의 결합을 위한 상기 지지축(161) 외주면을 감싸도록 토션스프링(162)이 설치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드(110)에는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4)가 포함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20160091457A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83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57A KR101837386B1 (ko)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57A KR101837386B1 (ko)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575A true KR20180009575A (ko) 2018-01-29
KR101837386B1 KR101837386B1 (ko) 2018-04-19

Family

ID=6102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457A KR101837386B1 (ko) 2016-07-19 2016-07-19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3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3261A (zh) * 2019-02-01 2019-05-1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车用座椅颈托
CN112706669A (zh) * 2021-01-08 2021-04-27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头枕
EP4122759A1 (en) 2021-07-22 2023-01-25 Schukra Berndorf GmbH Pneumatic bladder arrangement for neckrest
KR20230092462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862A (ko) 2022-06-28 2024-01-04 (주)대한솔루션 눈을 마사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83B1 (ko) * 2013-01-02 2014-07-09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KR101593048B1 (ko) * 2014-11-26 2016-02-11 주식회사 서연이화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3261A (zh) * 2019-02-01 2019-05-1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车用座椅颈托
CN109733261B (zh) * 2019-02-01 2024-03-08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车用座椅颈托
CN112706669A (zh) * 2021-01-08 2021-04-27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头枕
EP4122759A1 (en) 2021-07-22 2023-01-25 Schukra Berndorf GmbH Pneumatic bladder arrangement for neckrest
WO2023001425A1 (en) 2021-07-22 2023-01-26 Schukra Berndorf Gmbh Pneumatic bladder arrangement for neckrest
KR20230092462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386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JP4348255B2 (ja) 車両用シート
US7488035B2 (en) Automobile seat
JP2021120273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KR20120011631A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JP2012176166A (ja) 車両用ランバーサポート付きシートバックの構造
KR101015447B1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180612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806122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20140065308A (ko)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CN108652303B (zh) 椅子的头枕的上下调整结构
KR10150635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5936104B2 (ja) 椅子
JP4255804B2 (ja) 椅子
JP2004001599A (ja) ヘッドレストの頭部衝撃吸収装置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209202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H06133831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装置
KR10117051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KR200150390Y1 (ko)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101946305B1 (ko) 밀림 방지 헤드레스트
KR10119856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유동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