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883B1 -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883B1
KR101417883B1 KR1020130000076A KR20130000076A KR101417883B1 KR 101417883 B1 KR101417883 B1 KR 101417883B1 KR 1020130000076 A KR1020130000076 A KR 1020130000076A KR 20130000076 A KR20130000076 A KR 20130000076A KR 101417883 B1 KR101417883 B1 KR 101417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unting bracket
bracket
locking
guid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길민이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to KR102013000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핀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Pin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핀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 시 안락감을 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후방 추돌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탑승자를 충분히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ack),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정차중인 차량이 후방 추돌을 당하는 사고에서는 탑승자의 목 부위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이를 휘프래쉬 상해(whiplash injury)라 부른다. 이러한, 휘프래쉬 상해 즉 목 부위의 상해는 착석자의 상체와 머리 사이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후방 추돌시 시트 백의 충격으로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머리는 그 자리에 있으려 하여 목 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은 목의 관절 및 근육에 급격한 충격을 미침은 물론 목 부위 관절의 상해까지 초래하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추돌 사고 시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가 구성되며, 이러한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착석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차량의 전후방 측으로 조절 가능한 기술이 공지된 바 있으며, 틸팅장치에 의해 축 회전되는 헤드레스트 구조가 주종을 이루었다. 상술된 축회전 식 헤드레스트는 회전축이 형성된 하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만 원호를 이루며 전후 회동하기 때문에 조절 폭이 그리 넓지 않은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차량 전후방 측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공지된 바 있으며, 축회전 식 헤드레스트보다 착석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조절 폭이 넓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평 이동 가능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끼움 결합에 의한 수평이동 구조가 적용되어 동작이 매끄럽지 않고, 강한 하중을 가해야 동작되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평이동식 헤드레스트를 적용하되, 적은 하중을 가해도 동작되어 조작이 용이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86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후방으로 수평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성하며, 헤드부가 고정되는 마운팅브래킷에 구비되는 가이드 볼트가 시트 백에 고정되는 링크브래킷의 가이드 핀을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연결하여 핀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마운팅브래킷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핀 및 가이드 볼트를 통해 링크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을 연결하여 부품수가 감소되고, 마운팅브래킷 슬라이드 시 유격이 감소되는,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는, 헤드부가 결합되며, 차량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볼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마운팅브래킷;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볼트가 끼워지는 슬라이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링크브래킷; 및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링크브래킷에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홀에 연통되며, 내주면에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 핀; 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볼트는, 복수 개가 상하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링크브래킷에 구비되는 로킹브래킷; 상기 로킹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로킹플레이트; 및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맞물려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구비되는 래칭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가 차량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될 경우, 상기 가이드 볼트는 차량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헤드레스트에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상기 링크브래킷 상의 차량 전방 끝단까지 이동했을 때 차량 후방 끝단으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 이 더 구비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볼트에 끼워지며, 상기 링크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에 탄성을 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는, 핀 슬라이드 구조를 통해 헤드레스트가 차량 전후방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적은 하중으로도 동작이 가능하여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상부 및 하부가 동시에 슬라이드 되는 수평 이동식을 적용하여 조절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볼트 및 가이드 핀을 통해 마운팅브래킷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마운팅브래킷 이동 시 유격을 최소화함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부품수 감소에 따라 제품의 무게 감소 및 생산비가 절감되며, 조립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링크브래킷 및 로킹브래킷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링크브래킷 및 마운팅브래킷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로킹부 및 리턴부 작동상태 측면도 (초기 이동 시)
도 5b는 본 발명의 로킹부 및 리턴부 작동상태 측면도 (리턴 이동 시)
도 6a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 (초기위치 시)
도 6b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 (이동 시)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0)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00)는 시트 백의 상단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1000)의 상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대(100)와, 지지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지대(100)와 헤드부(미도시)를 연결하는 프레임(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크게 슬라이드부(220, 230, 241, 243, 251, 253)와, 로킹부(210, 242, 252, 260, 270)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220, 230, 241, 243, 251, 253)는, 지지대(100)에 고정되며 제1 가이드핀(243) 및 제2 가이드핀(253)이 구비되는 링크브래킷(230), 제1 및 제2 가이드핀(243, 253)에 끼워져 직선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1 가이드볼트(241) 및 제2 가이드볼트(251)가 구비되는 마운팅브래킷(22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슬라이드부(220, 230, 241, 243, 251, 253)는 마운팅브래킷(220)에 고정되는 상기 헤드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로킹부(210, 242, 252, 260, 270)는, 마운팅브래킷(220)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링크브래킷(230)에 구비되는 로킹브래킷(210)과, 로킹브래킷(210)에 구비되는 로킹플레이트(260)와, 마운팅브래킷(220)에 구비되며 로킹플레이트(260)가 치합되는 래칭플레이트(270)로 구성된다. 또한, 마운팅브래킷(22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제1 가이드볼트(241)에 끼워지는 제1 리턴스프링(242) 및 제2 가이드볼트(251)에 끼워지는 제2 리턴스프링(252)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로킹부(210, 242, 252, 260, 270)는, 지지대(100)에 연결되는 상기 헤드부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00)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로킹브래킷(210), 로킹플레이트(260) 및 링크브래킷(23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브래킷(210)은 제1 몸체(21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1 몸체(210a)의 차량 후측단을 제1 연결몸체(210b)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몸체(210a)의 차량 전측단에는 링크브래킷(230)과의 결합을 위한 링크결합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몸체(210a)의 상부에는 로킹플레이트(260)의 결합을 위한 로킹플레이트 결합홀(212)이 관통 형성되며, 리벳(R1)을 통해 로킹플레이트(26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210a)의 로킹플레이트 결합홀(212) 하측에는 탄성부재(264)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호를 이루는 제1 탄성부재슬릿(213)이 형성되고, 제1 탄성부재슬릿(213)의 하측에는 탄성부재(264)의 타단이 끼워지도록 제1 탄성부재홀(214)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슬릿(213) 및 제1 탄성부재홀(214)은 한 쌍의 제1 몸체(210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로킹플레이트(260)는 두께가 있는 판상으로 되며, 상측에 래치기어(261)가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260)는 한 쌍의 제1 몸체(210a)에 끼워져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로킹브래킷(210)에 결합된다. 로킹플레이트(260)의 하측에는 제1 몸체(210a)와 힌지 결합을 위한 로킹브래킷 결합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로킹브래킷결합홀(262)의 하측에는 탄성부재(264)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제2 탄성부재홀(263)이 관통 형성된다. 탄성부재(264)는 로킹플레이트(26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제1 몸체(210a)의 외면에 구비된다.
탄성부재(264)는 한 쌍의 제1 몸체(210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64)는 'C' 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의 일단부(264a)는 로킹플레이트(260) 측으로 절곡되어 제1 탄성부재슬릿(213)을 관통한 후 제2 탄성부재홀(263)에 끼워진다. 탄성부재의 타단부(264b)는 제1 몸체(210a) 측으로 절곡되어 제1 탄성부재홀(214)에 끼워진다. 탄성부재의 타단부(264b) 끝단은 한 번 더 절곡되어 제1 탄성부재홀(214)에서 탄성부재(26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264)가 로킹브래킷(210)의 외측에서 조립되게 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링크브래킷(230)은 판상으로 되는 제2 몸체(23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몸체(230a)의 차량 전측단을 제2 연결몸체(230b)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제2 몸체(230a) 사이에는 로킹브래킷(210)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연결몸체(230b)의 하측에는 제1 가이드볼트(241, 도 2 참조)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1 슬라이드홀(231)이 관통 형성되고, 제1 슬라이드홀(231)의 상측에는 제2 가이드볼트(251, 도 2 참조)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2 슬라이드홀(232)이 관통 형성된다. 제2 연결몸체(230b) 상단에는 래칭플레이트(270, 도 2 참조)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래칭슬라이드홈(233)이 형성된다. 래칭슬라이드홈(233)은 제2 연결몸체(230b)의 상단에서 하방을 따라 소정거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드홀(231) 및 제2 슬라이드홀(232)이 제2 연결몸체(230b)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경우 래칭슬라이드홈(233)은 일측 또는 타측 중 다른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몸체(230b) 상에는 로킹브래킷(210)의 링크결합돌기(211)가 끼워지도록 로킹결합홀(234)이 형성된다. 제2 몸체(230a) 하측에는 지지대(100)와의 결합을 위한 지지대 결합부(235)가 형성된다. 지지대 결합부(235)는 지지대(100)에 대응되도록 호를 이루는 홈 형상으로 되며, 지지대(10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브래킷(230)은 로킹브래킷(210)이 고정되며, 마운팅브래킷(220, 도 2 참조)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 도 2 참조)가 끼워져 마운팅브래킷(220, 도 2 참조)이 차량 전후방을 따라 직선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슬라이드홀(231, 232)을 통해 마운팅브래킷(220, 도 2 참조)이 유격 없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4에는 마운팅브래킷(220), 링크브래킷(230), 제1 슬라이드부(240), 제2 슬라이드부(250) 및 래칭플레이트(27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부(240)는 제1 가이드볼트(241), 제1 리턴스프링(242) 및 제1 가이드핀(243)으로 구성되며, 제2 슬라이드부(250)는 제2 가이드볼트(251), 제2 리턴스프링(252) 및 제2 가이드핀(253)으로 구성된다.
마운팅브래킷(220)은 판상으로 되는 제3 몸체(22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제3 몸체(220a)의 차량 후측단을 제3 연결몸체(220b)가 연결하며, 제3 몸체(220a)의 차량 전측단을 제4 연결몸체(220c)가 연결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마운팅브래킷(220)은 상하 중공된 사각 프레임의 형상을 이룬다. 한 쌍의 마운팅브래킷(220)의 내부에는 링크브래킷(230)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제3 몸체(220a)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헤드연결부(221)가 형성된다. 헤드연결부(221)는 마운팅브래킷(220)을 헤드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헤드연결부(221)에는 헤드부가 결합되며, 마운팅브래킷(220)의 회동에 따라 헤드부를 조절하게 된다. 제3 연결몸체(220b)의 중앙에는 래칭플레이트(270)의 차량 후측단 결합을 위한 래칭홀(222)이 형성된다. 제3 연결몸체(220b)의 하측에는 제1 가이드볼트(241)의 차량 후측단이 고정되는 제1 가이드볼트홀(224)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볼트홀(224)의 상측에는 제2 가이드볼트(251)의 차량 후측단이 고정되는 제2 가이드볼트홀(225)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는 차량 후측단이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홀(224, 225)을 통해 제3 연결몸체(220b)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부를 리벳을 통해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다. 상기 리벳은 스핀들 리벳이 적용될 수 있다. 래칭홀(222)은 제3 연결몸체(220b)의 일측과 타측 중 래칭슬라이드홈(233)에 대응되는 측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홀(224, 225)은 제3 연결몸체(220b)의 일측과 타측 중 제1 및 제2 슬라이드홀(231, 232)에 대응되는 측에 형성된다. 제4 연결몸체(220c)에는 래칭플레이트(270)의 차량 전측단 결합을 위한 래칭홈(223)이 형성된다. 래칭홈(223)은 제4 연결몸체(220c)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거리 형성된다. 제4 연결몸체(220c)의 하측에는 제1 가이드볼트(241)의 차량 전측단이 고정되는 제3 가이드볼트홀(226)이 형성되고, 제3 가이드볼트홀(226)의 상측에는 제2 가이드볼트(251)의 차량 전측단이 고정되는 제4 가이드볼트홀(227)이 형성된다. 래칭홈(223)은 제4 연결몸체(220c)의 일측과 타측 중 래칭슬라이드홈(233)에 대응되는 측에 형성되고, 제3 및 제4 가이드볼트홀(226, 227)은 제3 연결몸체(220b)의 일측과 타측 중 제1 및 제2 슬라이드홀(231, 232)에 대응되는 측에 형성된다.
래칭플레이트(270)는 판상으로 마운팅브래킷(220)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래칭플레이트(270)는 차량 후측단에 형성되는 제1 마운팅 결합돌기(272)가 래칭홀(222)에 끼워지고, 차량 전측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마운팅 결합돌기(273)가 래칭홈(223)에 끼움 결합된다. 래칭플레이트(270)의 하단에는 투스(271)가 형성된다. 투스(271)는 다단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톱니이며, 차량 후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가이드볼트(241)는 로드 상으로 마운팅브래킷(220)의 차량 전후 길이방향 하측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제2 가이드볼트(251)는 로드 상으로 마운팅브래킷(220)의 차량 전후 길이방향 상측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는 마운팅브래킷(220)에 고정 설치되며, 링크브래킷(230)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의 차량 후측단에는 리벳이 조립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를 마운팅브래킷(22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볼트를 상하 이격 배치하여 마운팅브래킷(220) 직선 슬라이드 운동 시 좌우 유격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상하 밸런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핀(243, 253)은 내주면에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에 끼워지며, 링크브래킷(230)의 제2 연결몸체(230b)에서 차량 후측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이때 제1 가이드핀(243)의 차량 전측단은 스핀들 리벳으로 구성되어 링크브래킷(230, 도 3 참조)의 제1 슬라이드홀(231, 도 3 참조)에 끼움 결합되고, 제2 가이드핀(253)의 차량 전측단도 스핀들 리벳으로 구성되어 링크브래킷(230, 도 3 참조)의 제2 슬라이드홀(232, 도 3 참조)에 끼움 결합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핀(243, 253)은 링크브래킷(230) 상에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의 슬라이드를 안내하여 마운팅브래킷(220)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보조한다.
제1 및 제2 리턴스프링(242, 252)은, 마운팅브래킷(220)과, 링크브래킷(230) 사이에 구비되어 마운팅브래킷(220)과 링크브래킷(23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에는 제1 및 제2 리턴스프링(242, 252)이 끼워진다. 제1 및 제2 리턴스프링(242, 252)은 차량 전측단이 링크브래킷(230)의 제2 연결몸체(230b)의 차량 후측면에 맞닿고, 차량 후측단이 제3 연결몸체(220b)의 차량 전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제3 연결몸체(220b)와 제2 연결몸체(230b)가 서로 이격되도록 탄성을 가한다.
도 5에는 로킹플레이트(260), 래칭플레이트(270) 및 리턴부(265, 275, 276)의 작동상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리턴부(265, 275, 276)는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이 차량 전방 측 최대 조절 범위 이상으로 슬라이드 되었을 때, 로킹플레이트(260)의 래치기어(261)와, 래칭플레이트(270)의 투스(271)의 치합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며, 제1 및 제2 리턴스프링(242, 252, 도 6 참조)을 통해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이 차량 후측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5a는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에 결합되는 래칭플레이트(270)가 초기 위치 즉 차량의 후측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5b는 래칭플레이트(270)가 차량의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여 리턴부(265, 275, 276)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면상의 좌측이 차량 전방이며, 우측이 차량 후방이다.
로킹플레이트(260)의 래치기어(261)와, 래칭플레이트(270)의 투스(271)는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이 이동된 상태에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리턴부(265, 275, 276)는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이 차량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였을 때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래칭플레이트(270)의 투스(271)에는 로킹플레이트(260)의 래치기어(261)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래치기어(261)가 투스(271)를 따라 순차적으로 회동되어 순차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전진하고, 투스(271)에 래치기어(261)가 치합되어 차량 후측으로 후퇴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리턴부(265, 275, 276)는 래치기어(261)에 형성되는 걸림턱(265)과,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265)을 가압하여 래치기어(261)를 투스(271)에서 이탈되도록 래칭플레이트(270) 차량 후측에 형성된 해제턱(275) 및 해제턱(275)에 의해 해제된 래치기어(261)를 투스(271)에 결합되도록 래칭플레이트(270)의 차량 전측단에 형성된 복원턱(2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265)을 해제턱(275)이 가압하면, 래치기어(261)가 회동되어 탄성부재(264, 도 3 참조)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각도로 회동되어 투스(271)에서 이탈되고, 반대로 마운팅브래킷(220, 도 6 참조)의 리턴에 의해 래치기어(261)의 차량 전측단을 복원턱(276)이 가압하여 탄성부재(264, 도 3 참조)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투스(271)에 래치기어(261)를 치합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상의 좌측이 차량 전측이며, 우측이 차량 후측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마운팅브래킷(220)의 차량 전측에 링크브래킷(230) 및 로킹브래킷(210)이 위치하게 된다. 마운팅브래킷(220)에 차량 전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마운팅브래킷(220)은 제1 및 제2 가이드볼트(241, 251)를 따라 차량 전측으로 직선 슬라이드 운동한다. 이때 제1 및 제2 리턴스프링(242, 252)은 압축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래킷(220)이 차량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게 되면, 상술된 리턴부(265, 275, 276, 도 5 참조)에 의해 래치기어(261, 도 5 참조)가 투스(271, 도 5 참조)에서 해제되고, 제1 및 제2 리턴스프링(242, 252)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마운팅브래킷(22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헤드레스트
100 : 지지대
200 : 프레임
210 : 로킹브래킷 211 : 링크결합돌기
212 : 로킹플레이트 결합홀 213 : 제1 탄성부재슬릿
214 : 제1 탄성부재홀
220 : 마운팅브래킷 221 : 헤드 연결부
222 : 래칭홀 223 : 래칭홈
224 : 제1 가이드볼트홀 225 : 제2 가이드볼트홀
226 : 제3 가이드볼트홀 227 : 제4 가이드볼트홀
230 : 링크브래킷 231 : 제1 슬라이드홀
232 : 제2 슬라이드홀 233 : 래칭슬라이드홈
234 : 로킹결합홀 235 : 지지대 결합부
240 : 제1 슬라이드부 241 : 제1 가이드볼트
242 : 제1 스프링 243 : 제1 가이드핀
250 : 제2 슬라이드부 251 : 제2 가이드볼트
252 : 제2 스프링 253 : 제2 가이드핀
260 : 로킹플레이트 261 : 래치기어
262 : 로킹브래킷 결합홀 263 : 제2 탄성부재홀
264 : 탄성부재
270 : 래칭플레이트 271 : 투스
272 : 제1 마운팅 결합돌기 273 : 제2 마운팅 결합돌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헤드부가 결합되며, 차량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볼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마운팅브래킷;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볼트가 끼워지는 슬라이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링크브래킷; 및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볼트는,
    복수 개가 상하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구비되는,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4. 헤드부가 결합되며, 차량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볼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마운팅브래킷;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볼트가 끼워지는 슬라이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링크브래킷; 및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링크브래킷에 구비되는 로킹브래킷;
    상기 로킹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로킹플레이트; 및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맞물려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구비되는 래칭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가 차량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될 경우, 상기 가이드 볼트는 차량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되는,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에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상기 링크브래킷 상의 차량 전방 끝단까지 이동했을 때 차량 후방 끝단으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 이 더 구비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볼트에 끼워지며, 상기 링크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에 탄성을 가하는,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KR1020130000076A 2013-01-02 2013-01-02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KR101417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76A KR101417883B1 (ko) 2013-01-02 2013-01-02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76A KR101417883B1 (ko) 2013-01-02 2013-01-02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883B1 true KR101417883B1 (ko) 2014-07-09

Family

ID=5174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076A KR101417883B1 (ko) 2013-01-02 2013-01-02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86B1 (ko) * 2016-07-19 2018-04-1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623A (ko) * 1996-10-30 1998-07-25 김영귀 베개 기능을 지니는 헤드레스트
KR200161083Y1 (en) * 1996-12-28 1999-11-15 Hyundai Motor Co Ltd Side protecter of the seat for an automobile
JP2009107519A (ja) * 2007-10-31 2009-05-21 Toyota Boshoku Corp 可動式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9262804A (ja) * 2008-04-25 2009-11-12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623A (ko) * 1996-10-30 1998-07-25 김영귀 베개 기능을 지니는 헤드레스트
KR200161083Y1 (en) * 1996-12-28 1999-11-15 Hyundai Motor Co Ltd Side protecter of the seat for an automobile
JP2009107519A (ja) * 2007-10-31 2009-05-21 Toyota Boshoku Corp 可動式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9262804A (ja) * 2008-04-25 2009-11-12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86B1 (ko) * 2016-07-19 2018-04-1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01807B (zh) 头枕
US20150090853A1 (en) Vehicle seat
US9004602B2 (en) Latching device for a head restraint
US9132756B1 (en) Head restraint assemblies
KR101607103B1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US20180339609A1 (en) Sliding device
KR101015447B1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1391858B1 (ko) 잠금 푸시 버튼을 갖는 충돌 반응성 머리 받침
CN108058621B (zh) 车辆座椅
KR20140071699A (ko)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KR101475212B1 (ko) 차량 시트용 머리 받침대
KR101417883B1 (ko)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WO2014125507A2 (en) An internal bottom locking type sliding system
JP5863352B2 (ja) 椅子
KR101875430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101413966B1 (ko)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JP2005211402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20090111239A (ko) 상하좌우 이동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CN112158110B (zh) 儿童座椅
JP2010208589A (ja) 車両用シート
KR20160013405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1946305B1 (ko) 밀림 방지 헤드레스트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