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699A -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699A
KR20140071699A KR1020120139572A KR20120139572A KR20140071699A KR 20140071699 A KR20140071699 A KR 20140071699A KR 1020120139572 A KR1020120139572 A KR 1020120139572A KR 20120139572 A KR20120139572 A KR 20120139572A KR 20140071699 A KR20140071699 A KR 2014007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cket
mounting bracket
link ro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길민이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to KR102012013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1699A/ko
Publication of KR2014007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Link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 시 안락감을 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후방 추돌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탑승자를 충분히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ack),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정차중인 차량이 후방 추돌을 당하는 사고에서는 탑승자의 목 부위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이를 휘프래쉬 상해(whiplash injury)라 부른다. 이러한, 휘프래쉬 상해 즉 목 부위의 상해는 착석자의 상체와 머리 사이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후방 추돌시 시트 백의 충격으로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머리는 그 자리에 있으려 하여 목 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은 목의 관절 및 근육에 급격한 충격을 미침은 물론 목 부위 관절의 상해까지 초래하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추돌 사고 시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가 구성되며, 이러한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착석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차량의 전후방 측으로 조절 가능한 기술이 공지된 바 있으며, 틸팅장치에 의해 축 회전되는 헤드레스트 구조가 주종을 이루었다. 상술된 축회전 식 헤드레스트는 회전축이 형성된 하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만 원호를 이루며 전후 회동하기 때문에 조절 폭이 그리 넓지 않은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차량 전후방 측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공지된 바 있으며, 축회전 식 헤드레스트보다 착석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조절 폭이 넓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평 이동 가능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끼움 결합에 의한 수평이동 구조가 적용되어 동작이 매끄럽지 않고, 강한 하중을 가해야 동작되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평이동식 헤드레스트를 적용하되, 적은 하중을 가해도 동작되어 조작이 용이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86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후방으로 수평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성하며, 시트 백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헤드부에 고정되어 차량의 전후방으로 조절되는 마운팅브래킷을 링크 구조로 연결하여 링크 구조에 의해 마운팅브래킷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링크 구조를 포함하는 링크브래킷의 양측에 가이드홀을 추가하여 샤프트를 통해 링크 구조를 안내하고, 추가적으로 마운팅브래킷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고정브래킷에 형성되는 가이드핀 및 가이드볼트에 마운팅브래킷이 끼움 결합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는,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는 마운팅브래킷;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을 연결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을 수용하는 링크브래킷;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로드; 및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로드;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로드의 일단과, 상기 링크브래킷을 연결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링크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2 링크로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링크로드의 타단과,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연결하는 제3 샤프트; 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직선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링크브래킷에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운동 방향을 따라 호를 이루어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끼움 결합되어 회동한다.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힌지 결합되고, 래치기어가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로킹플레이트;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래치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래칭플레이트; 및 상기 래칭플레이트와, 로킹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상기 래치기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 시키는 치합부; 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마운팅브래킷은, 상기 치합부에 의해 상기 래칭플레이트에서 상기 로킹플레이트 이탈 시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초기위치로 복원하는 리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부는, 일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고정되며, 타단부에 상기 고정브래킷 및 링크브래킷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에 탄성을 가하는 리턴스프링; 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는, 링크 구조를 통해 헤드레스트가 차량 전후방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적은 하중으로도 동작이 가능하여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상부 및 하부가 동시에 슬라이드 되는 수평 이동식을 적용하여 조절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 구조가 가이드홀을 통해 안내되도록 하여 헤드레스트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유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정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을 링크브래킷과 링크 구조에 의해 연결하고, 마운팅브래킷이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헤드레스트의 강도가 보장되고, 기존의 헤드레스트보다 미세 거리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브래킷 및 로킹플레이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링크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운팅브래킷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로킹부 및 치합부 작동상태 측면도 (초기 이동 시)
도 6b는 본 발명의 로킹부 및 치합부 작동상태 측면도 (리턴 이동 시)
도 7a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 (초기위치 시)
도 7b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 (이동 시)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0)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00)는 시트 백의 상단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1000)의 상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대(100)와, 지지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지대(100)와 헤드부(미도시)를 연결하는 프레임(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0)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지지대(100)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210)과, 고정브래킷(210)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마운팅브래킷(220)과, 마운팅브래킷(220)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도록 고정브래킷(210)과 마운팅브래킷(220)을 연결하는 링크부(230, 240)와, 고정브래킷(210)에 설치되어 마운팅브래킷(220)의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부(250, 260)와, 마운팅브래킷(220)을 초기 위치로 리턴시키는 리턴부(271, 272, 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링크부(230, 240)는, 고정브래킷(210)을 수용하는 링크브래킷(230)과, 링크브래킷(230)을 마운팅브래킷(220)에 연결하는 링크로드(240)로 구성된다. 또한, 로킹부(250)는 고정브래킷(210)에 구비되는 로킹플레이트(250)와, 마운팅브래킷(220)에 구비되는 래칭플레이트(26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고정브래킷(210) 및 로킹플레이트(25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210)은 제1 몸체(21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1 몸체(210a)의 차량 후측단을 제1 연결몸체(210b)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몸체(210a)에는 하측에 지지대(100)와의 결합을 위한 지지대결합부(211)가 형성된다. 지지대결합부(211)는 지지대(100)와의 결합면적을 넓혀 고정브래킷(210)을 지지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제1 몸체(210a)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대결합부(211)는 지지대(10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210a)의 차량 전측단에는 링크브래킷(230)과의 결합을 위한 링크결합부(212)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몸체(210a)의 상부에는 로킹플레이트(250)의 결합을 위한 로킹플레이트홀(213)이 관통 형성되며, 리벳(R)을 통해 로킹플레이트(2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210a)의 로킹플레이트홀(213) 하측에는 탄성부재(255)의 타단이 끼워지도록 제1 탄성부재홀(215)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홀(215)은 한 쌍의 제1 몸체(210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로킹플레이트(250)는 두께가 있는 판상으로 되며, 상측에 래치기어(251)가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250)는 한 쌍의 제1 몸체(210a)에 끼워져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브래킷(210)에 결합된다. 로킹플레이트(250)의 하측에는 제1 몸체(210a)와 힌지 결합을 위한 고정브래킷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홀(252)의 하측에는 탄성부재(255)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제2 탄성부재홀(253)이 관통 형성된다.
탄성부재(255)는 로킹플레이트(25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로킹플레이트(250)와, 제1 몸체(210a)의 내면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부재(255)는 한 쌍의 제1 몸체(210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55)는 'C' 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의 일단부(255a)는 로킹플레이트(250) 측으로 절곡되어 제2 탄성부재홀(253)에 끼워진다. 탄성부재의 타단부(255b)는 제1 몸체(210a) 측으로 절곡되어 제1 탄성부재홀(215)에 끼워진다. 탄성부재의 타단부(255b) 끝단은 한 번 더 절곡되어 제1 탄성부재홀(215)에서 탄성부재(25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는 링크부(230, 24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230, 240)는 링크브래킷(230)과, 링크로드(240)를 포함하며, 링크로드(240)는 제1 링크로드(241)와, 제2 링크로드(242)로 구성된다.
링크브래킷(230)은 판상으로 되는 제2 몸체(23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몸체(230a)의 차량 전측단을 제2 연결몸체(230b)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제2 몸체(230a) 사이에는 고정브래킷(210)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몸체(230a)의 하측에는 제1 링크로드(241)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 링크로드홀(231)이 관통 형성된다. 제2 몸체(230a)의 상측에는 제1 링크로드(241)와 제2 링크로드(242)를 힌지 결합하는 제2 샤프트(S2)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가이드홀(232)이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홀(232)은 제2 링크로드(242)의 타단이 수평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하기 위한 구성으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호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232)은 차량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몸체(230b) 상에는 래칭플레이트(260, 도 2 참조)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래칭플레이트홈(233)이 형성된다. 래칭플레이트홈(233)은 제2 연결몸체(230b)의 상단에서 하방을 따라 소정거리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로드(241)는 제2 몸체(230a)의 외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제2 몸체(230a)의 제1 링크로드홀(23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2 링크로드(242)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링크로드(241)의 일단에는 제1-1 힌지홀(241a)이 형성되며, 제1 샤프트(S1)를 통해 결합된다. 제1 링크로드(241)의 타단에는 제1-2 힌지홀(241b)이 형성되며, 제2 샤프트(S2)를 통해 결합된다. 제2 링크로드(242)는 제2 몸체(230a)의 외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제1 링크로드(242)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마운팅브래킷(220, 도 5 참조)의 제2 링크로드홀(225, 도 5 참조)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2 링크로드(242)의 일단에는 제2-1 힌지홀(242a)이 형성되며, 제2 샤프트(S2)를 통해 결합된다. 제2 링크로드(242)의 타단에는 제2-2 힌지홀(242b)이 형성되며, 제3 샤프트(S3)를 통해 결합된다. 제3 샤프트(S3)는 마운팅브래킷(220, 도 5 참조)의 내측에서 제2-2 힌지홀(242b)과, 제2 링크로드홀(225, 도 5 참조)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링크로드(242)를 마운팅브래킷(220, 도 5 참조)에 힌지 결합시킨다. 이때 제2 샤프트(S2)는 가이드홀(232)에 끼워져 제1 링크로드(241) 및 제2 링크로드(242)의 힌지회동을 안내한다. 이는 제2 링크로드(242)의 타단이 차량 수평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 링크로드(241, 242)는 굽힘 강도가 보장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부(230, 240)는 고정브래킷(210)과, 마운팅브래킷(220)을 연결하며, 마운팅브래킷(220)이 차량 전후방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2 샤프트(S2) 및 가이드홀(232)의 구성을 통해 마운팅브래킷(220)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5에는 마운팅브래킷(220), 래칭플레이트(260) 및 리턴부(27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리턴부(270)는 가이드볼트(271), 리턴스프링(272) 및 가이드핀(273)으로 구성된다. 마운팅브래킷(220)은 판상으로 되는 제3 몸체(22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제3 몸체(220a)의 차량 후측단을 제3 연결몸체(220b)가 연결하며, 제3 몸체(220a)의 차량 전측단을 제4 연결몸체(220c)가 연결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마운팅브래킷(220)은 상하 중공된 사각 프레임의 형상을 이룬다. 한 쌍의 마운팅브래킷(220)의 내부에는 링크브래킷(230)이 수용될 수 있다. 제3 몸체(220a)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헤드연결부(221)가 형성된다. 헤드연결부(221)는 마운팅브래킷(220)을 헤드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헤드연결부(221)에는 헤드부가 결합되며, 마운팅브래킷(220)의 회동에 따라 헤드부를 조절하게 된다. 제3 연결몸체(220b)의 중앙에는 래칭플레이트(260)의 차량 후측단 결합을 위한 래칭플레이트홀(222)이 형성된다. 제4 연결몸체(220c)에는 래칭플레이트(260)의 차량 전측단 결합을 위한 래칭플레이트홈(223)이 형성된다. 래칭플레이트홈(223)은 제4 연결몸체(220c)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거리 형성된다. 제3 연결몸체(220b)의 하측에는 가이드볼트(271)가 관통되는 가이드볼트홀(224)이 관통 형성된다. 제3 몸체(220a)의 하측에는 제2 링크로드(242)의 타단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2 링크로드홀(2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샤프트(S3, 도 4 참조)를 통해 결합된다. 제2 링크로드(242)는 제3 몸체(220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래칭플레이트(260)는 판상으로 마운팅브래킷(220)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래칭플레이트(260)는 차량 후측단에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262)가 래칭플레이트홀(222)에 끼워지고, 차량 전측 하단에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263)가 래칭플레이트홈(223)에 끼움 결합된다. 래칭플레이트(260)의 하단에는 투스(261)가 형성된다. 투스(261)는 다단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치차이며, 차량 후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리턴부(270)는, 마운팅브래킷(220)과, 고정브래킷(210) 사이에 위치되어 마운팅브래킷(220)과 고정브래킷(21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볼트(271)는 로드 상으로 마운팅브래킷(220)의 차량 전후 길이방향 하측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볼트(271)는 마운팅브래킷(220)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브래킷(210) 및 링크브래킷(230)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가이드볼트(271)의 끝단에는 가이드너트(280)가 조립되어 가이드 볼트(271)를 마운팅브래킷(220)에 고정시킨다. 가이드볼트(271)에는 리턴스프링(272)이 끼워진다. 리턴스프링(272)은 차량 전측단이 고정브래킷(210)의 차량 후측단에 맞닿고, 차량 후측단이 제3 연결몸체(220b)의 차량 전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제3 연결몸체(220b)와 고정브래킷(210)의 서로 이격되도록 탄성을 가한다. 가이드볼트(271)와 리턴스프링(272) 사이에는 가이드핀(27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는 로킹부(250, 260) 및 치합부(255, 265, 266) 작동상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마운팅브래킷이 초기 위치 즉 차량의 후측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6b는 마운팅브래킷이 차량의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여 치합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면상의 좌측이 차량 후측이며, 우측이 차량 전측이다.
로킹부(250, 260)는 마운팅브래킷이 이동된 상태에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치합부(255, 265, 266)는 마운팅브래킷이 차량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였을 때 마운팅브래킷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래칭플레이트(260)의 투스(261)에는 로킹플레이트(250)의 래치기어(251)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마운팅브래킷은 외력에 의해 래치기어(251)가 투스(261)를 따라 순차적으로 회동되어 순차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전진하고, 투스(261)에 래치기어(251)가 치합되어 차량 후측으로 후퇴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치합부(255, 265, 266)는 래치기어(251)에 형성되는 걸림턱(255)과, 마운팅브래킷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255)을 가압하여 래치기어(251)를 투스(261)에서 이탈되도록 래칭플레이트(260) 차량 후측에 형성된 해제턱(265) 및 해제턱(265)에 의해 해제된 래치기어(251)를 투스(261)에 결합되도록 래칭플레이트(260)의 차량 전측단에 형성된 복원턱(2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마운팅브래킷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255)을 해제턱(265)이 가압하면, 래치기어(251)가 회동되어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각도로 회동되어 투스(261)에서 이탈되고, 반대로 마운팅브래킷의 리턴에 의해 래치기어(251)의 차량 전측단을 복원턱(266)이 가압하여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투스(261)에 래치기어(251)를 치합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상의 좌측이 차량 전측이며, 우측이 차량 후측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마운팅브래킷(220)의 차량 전측에 고정브래킷(210) 및 링크브래킷(230)이 위치하게 된다. 마운팅브래킷(220)에 차량 전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마운팅브래킷(220)은 제1 링크로드(241) 및 제2 링크로드(242)의 힌지 회동과, 가이드볼트(271)의 슬라이드 직선운동에 의해 차량 전측으로 직선 슬라이드 운동한다. 이때 리턴 스프링(272)은 압축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래킷(220)이 차량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게 되면, 상술된 치합부(255, 265, 266, 도 6 참조)에 의해 래치기어(251, 도 6 참조)가 투스(261, 도 6 참조)에서 해제되고, 리턴 스프링(272)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마운팅브래킷(22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헤드레스트
100 : 지지대
200 : 프레임
210 : 고정브래킷
220 : 마운팅브래킷
230 : 링크브래킷 232 : 가이드홀
240 : 링크로드 241 : 제1 링크로드
242 : 제2 링크로드
250 : 로킹플레이트 251 : 래치기어
255 : 탄성부재
260 : 래칭플레이트 261 : 투스
270 : 리턴부 271 : 가이드볼트
272 : 리턴스프링 273 : 가이드핀
280 : 가이드너트

Claims (6)

  1.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는 마운팅브래킷;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을 연결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을 수용하는 링크브래킷;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로드;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로드;
    를 포함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로드의 일단과, 상기 링크브래킷을 연결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링크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2 링크로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링크로드의 타단과,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연결하는 제3 샤프트; 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직선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링크브래킷에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운동 방향을 따라 호를 이루어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끼움 결합되어 회동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힌지 결합되고, 래치기어가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로킹플레이트;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래치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래칭플레이트; 및
    상기 래칭플레이트와, 로킹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상기 래치기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 시키는 치합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래킷은,
    상기 치합부에 의해 상기 래칭플레이트에서 상기 로킹플레이트 이탈 시 상기 마운팅브래킷을 초기위치로 복원하는 리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일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고정되며, 타단부에 상기 고정브래킷 및 링크브래킷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브래킷과, 마운팅브래킷에 탄성을 가하는 리턴스프링;
    을 포함하는,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KR1020120139572A 2012-12-04 2012-12-04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KR20140071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72A KR20140071699A (ko) 2012-12-04 2012-12-04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72A KR20140071699A (ko) 2012-12-04 2012-12-04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699A true KR20140071699A (ko) 2014-06-12

Family

ID=5112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572A KR20140071699A (ko) 2012-12-04 2012-12-04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16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29A1 (ko) * 2014-07-01 2016-01-07 현대다이모스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KR20190118340A (ko)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KR102109388B1 (ko) * 2018-11-19 2020-05-1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29A1 (ko) * 2014-07-01 2016-01-07 현대다이모스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US10315546B2 (en) 2014-07-01 2019-06-11 Hyundai Dymos Incorporated Headrest reclining module
KR20190118340A (ko)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KR102109388B1 (ko) * 2018-11-19 2020-05-1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20273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US9789789B2 (en) Vehicular seat
KR101357405B1 (ko) 특히 차량의 충돌-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 장치
CN104044490B (zh) 车辆用座椅结构
KR20140071699A (ko)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KR101015447B1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1391858B1 (ko) 잠금 푸시 버튼을 갖는 충돌 반응성 머리 받침
WO2014049726A1 (ja) ヘッドレスト
KR101475212B1 (ko) 차량 시트용 머리 받침대
KR20140052813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1417883B1 (ko)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KR20150063697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KR20090111239A (ko) 상하좌우 이동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KR101413966B1 (ko)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CN112158110B (zh) 儿童座椅
JP2010208589A (ja) 車両用シート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10116871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995345B1 (ko)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JP4480167B2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構造
KR101694020B1 (ko)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CN114789683B (zh) 安全座椅及其底座
KR101946305B1 (ko) 밀림 방지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