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345B1 -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5345B1 KR101995345B1 KR1020170094174A KR20170094174A KR101995345B1 KR 101995345 B1 KR101995345 B1 KR 101995345B1 KR 1020170094174 A KR1020170094174 A KR 1020170094174A KR 20170094174 A KR20170094174 A KR 20170094174A KR 101995345 B1 KR101995345 B1 KR 101995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plate
- bracket
- lock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7—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잠금부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잠금부에는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어이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회동 중심과 상기 제2잠금부가 스테이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어, 틸팅장치를 모듈화할 수 있는 동시에, 틸팅장치를 기존의 스테이로드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틸팅장치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며, 구조가 단순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여러 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좌석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틸팅장치에 의해 축 회전되는 구조가 주종을 이루며,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뒷통수를 떠받치면서 목 부상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거나, 또는,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된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틸팅장치는 시트에 장착되며 한 쌍의 수직바와 수평바가 마련된 스테이 로드와, 절곡면 중 바닥면이 수평바의 상부외주면에 고정되고, 상면이 수평바와 수직하게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기어를 가지는 고정기어부와, 이 고정기어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 단면의 일부와 힌지결합되고, 고정기어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회동기어를 구비한 회동기어부와, 연결링크의 상단부에 양단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수평바와 평행을 이루고 외단부에는 한 쌍의 판체가 고정되며, 제2스프링에 의해 상기 수평바에 탄력지지된 이동바로 이루어진 이동바와, 스테이 로드의 수평바에 일단부가 힌지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이동바의 외주부를 감싸는 회동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헤드레스트 틸팅장치는 고정기어와 회동구가 각각 스테이로드의 수평바에 고정설치되어, 장치의 설치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판체와 이동바와 회동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장치의 구조가 극히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며, 장치의 구조가 단순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틸팅장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잠금부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잠금부에는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어이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회동 중심과 상기 제2잠금부가 스테이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과 제3브라켓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2기어는 상기 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1잠금판과, 상기 제1잠금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과 제3잠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에는 상기 스테이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2잠금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해 회전시키며, 상기 제2잠금판에 상기 제2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에는 다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에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판에는 상기 제1,2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잠금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잠금판의 상하길이는 상기 제2잠금판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2잠금판에 걸리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3브라켓판에 걸리며, 상기 제1잠금부는 제1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는 상기 제2브라켓판과 상기 제3브라켓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로드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부에는 상기 제1브라켓판이 걸리는 스토퍼돌출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판의 일단은 상기 제1잠금판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잠금판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스토퍼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틸팅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잠금부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잠금부에는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어이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회동 중심과 상기 제2잠금부가 스테이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어, 틸팅장치를 모듈화할 수 있는 동시에, 틸팅장치를 기존의 스테이로드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틸팅장치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며, 구조가 단순하다.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과 제3브라켓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2기어는 상기 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1잠금판과, 상기 제1잠금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과 제3잠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에는 상기 스테이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2잠금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해 회전시키며, 상기 제2잠금판에 상기 제2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에는 다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한 동시에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잠금부에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판에는 상기 제1,2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잠금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잠금판의 상하길이는 상기 제2잠금판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2잠금판에 걸리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3브라켓판에 걸리며, 상기 제1잠금부는 제1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는 상기 제2브라켓판과 상기 제3브라켓판에 설치되어, 별도의 버튼이나 와이어 등이 구비되지 않아도 작동될 수 있어서 구조가 극히 단순해진다.
상기 제1잠금판은 상기 제1로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틸팅시 헤드레스트의 하부가 상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의 머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부에는 상기 제1브라켓판이 걸리는 스토퍼돌출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판의 일단은 상기 제1잠금판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잠금판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스토퍼돌출부가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펀칭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분리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단면도(초기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단면도(1단계 틸팅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단면도(릴리즈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분리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단면도(초기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단면도(1단계 틸팅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단면도(릴리즈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틸팅장치는, 제1브라켓판(111)과, 상기 제1브라켓판(111)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을 포함하는 브라켓(110)과, 제1기어(121)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10)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120)와, 상기 제1기어(121)에 치합되는 제2기어(134)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잠금부(120)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제2잠금부(130)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2기어(121, 134)는 상기 브라켓(1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130)는 제1잠금판(131)과, 상기 제1잠금판(131)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132)과 제3잠금판(13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131)에는 스테이(10)의 제1로드(11)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 의해 상기 제2잠금부(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판(132)과 상기 제3잠금판(133)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160)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는 리턴스프링(150)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스프링(150)은 상기 제1잠금부(120)와 상기 제2잠금부(130)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브라켓(110)을 제2잠금부(130)에 대해 회전시키며, 상기 제2잠금판(132)에 상기 제2기어(134)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134)에는 다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과 상기 제2잠금부(130)가 상기 스테이(10)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한다.
브라켓(110)과 스테이(10) 중 하나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등받이가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10)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로드(11)와, 제1로드(11)의 양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로드(12)를 포함한다. 제1로드(11)는 제2로드(1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1로드(11)의 양측과 제2로드(12)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로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로드는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로드(11)의 상단의 높이는 제2로드(12)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로드(11)와 상기 연결로드와 제2로드(12)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10)에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연결된다.
브라켓(110)은 상기 헤드레스트 내부에 배치된다.
브라켓(110)은 제1로드(11)의 중간 하부에 배치된다. 즉, 브라켓(110)은 양측의 제2로드(12) 사이에 배치된다.
브라켓(110)은 제1브라켓판(111)과, 상기 제1브라켓판(111)의 양측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을 포함한다.
제1브라켓판(111)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브라켓판(111)의 좌측 하부에는 절개부(111a)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절개부(111a)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브라켓판(111)은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3브라켓판(112, 113)은 장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후단에는 외측(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된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체결부(115)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후단 일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체결부(115)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체결부(115)의 상단은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체결부(115)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115)를 통해 브라켓(110)은 상기 헤드레스트의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브라켓판(111)과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과 체결부(115)는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해지며 원가가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상부에는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하부에는 제1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상하길이는 제1브라켓판(111)의 상하길이보다 길다. 제2,3브라켓판(112, 113)의 상단과 제1브라켓판(111)의 상단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3브라켓판(112, 113)의 상단이 제1브라켓판(111)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의 중심은 제1브라켓판(111)의 상단과 동일 유사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제1브라켓판(111)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제2브라켓판(112)에는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 관통공과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 사이에 제1스프링 끼움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 끼움공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 끼움공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스프링 끼움공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보다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제3브라켓판(113)에는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 관통공과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 사이에 제2스프링 끼움공(113a)이 형성된다. 제2스프링 끼움공(113a)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스프링 끼움공(113a)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2스프링 끼움공(113a)은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보다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제2스프링 끼움공(113a)은 상기 제1스프링 끼움공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내면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외측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120)는 브라켓(110)에 연결된다.
제1잠금부(120)는 제1잠금부 샤프트(125)에 의해 브라켓(1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잠금부(120)는 브라켓(11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제1잠금부 샤프트(125)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에 양측이 설치된다.
제1잠금부(1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잠금부(120)에는 제1잠금부 샤프트(125)가 끼워지는 제1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잠금부(120)에서 제2브라켓판(112)과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관통공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로 인해 제2브라켓판(112)과 제1잠금부(120) 사이에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잠금부 샤프트(125)의 상기 머리부의 반대쪽에는 인접한 부분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와, 상기 제1단차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다. 제1잠금부(120)는 상기 제1단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단차부에는 제2브라켓판(112)이 끼워진다. 따라서, 제1잠금부(12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틸팅장치에 포함되는 샤프트에는 제1잠금부 샤프트(125)와 같이 머리부 및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되는 부재와 면이 마주할 때에는 회전되는 부재 또는 마주하는 면에 마찰 감소를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120)의 상부에는 제1기어(121)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기어(121)는 상부로 향할수록 전후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기어(121)는 상기 제1관통공보다 후방 상부에 배치된다.
제1잠금부(120)의 상부에는 제1걸림돌기(128)와 제1걸림돌기(128)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129)가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128)와 제2걸림돌기(129)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128)의 상단의 높이는 제1기어(121)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다.
제1걸림돌기(128)는 제1기어(121)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보다 후방 상부에 배치된다.
제2걸림돌기(129)는 제1걸림돌기(128) 및 제1기어(121)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2걸림돌기(129)는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2걸림돌기(129)의 상단의 높이는 제1걸림돌기(128)의 상단의 높이보다는 높으나, 제1기어(121)의 상단의 높이보다는 낮다.
제2걸림돌기(129)는 절개부(111a)에 삽입된다.
제1잠금부(120)에는 제1잠금부 스프링(124)의 일단이 걸리는 스프링 걸림부(123)가 형성된다. 스프링 걸림부(123)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스프링 걸림부(123)는 제1기어(121)와 제1걸림돌기(128)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보다 후방 상부에 배치된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제1잠금부(120)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의 타단은 제2브라켓판(112)의 상기 제1스프링 끼움공에 끼워진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종래기술에서와 동일하게 개구 링 형상의 선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중심부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좌측 및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브라켓(110)은 제2잠금부(13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따라서, 제2잠금부(130)는 브라켓(11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제2잠금부(130)는 제1잠금부(120)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된다.
제2잠금부(13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잠금판(131)과, 상기 제1잠금판(131)의 양측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132)과 제3잠금판(133)을 포함한다. 제1,2,3잠금판(131, 132, 133)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잠금부(130)가 형성되어, 제2잠금부(130)의 강도가 향상된다.
제1잠금판(131)은 제1로드(11)의 하부에 용접 등을 통해 설치된다. 즉, 제1잠금판(131)은 제1로드(11)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제1잠금판(131)과 제1브라켓판(111)은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며, 제2잠금부(130)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 사이에 배치된다. 제1브라켓판(111)은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잠금판(131)은 장치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장치의 각 부품이 브라켓(110)과 제2잠금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장치가 보호된다.
제2잠금부(130)는 제1잠금부(120)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브라켓(110)은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 의해 제2잠금부(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축이 브라켓(110)의 회동중심이 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양측은 제2,3브라켓판(112, 113)의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 관통공에 양단이 삽입되어,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에 설치된다.
제2잠금판(132)과 제3잠금판(133)에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가 끼워지는 제2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잠금부 샤프트(160)는 제2잠금판(132)과 제3잠금판(133)에 설치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는 제3브라켓판(113), 제3잠금판(133), 제2잠금판(132), 제2브라켓판(112)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끝단에 형성된 머리부는 제3브라켓판(113)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다.
제2잠금부(130)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마찰이 최소화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상기 머리부의 반대쪽에는 인접한 부분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차부에는 제2브라켓판(112)이 끼워진다.
제2잠금부(130)의 제2잠금판(132)의 하단에는 제1기어(121)에 치합되는 제2기어(134)가 형성된다. 제2기어(134)는 브라켓(110) 내부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134)에는 다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틸팅시킬 수 있다. 상기 기어이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되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막도록 형성된다. 제2기어(134)의 상기 기어이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기어이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상기 기어이의 이뿌리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헤드레스트가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다.
제2잠금판(132)의 하단에는 제1,2걸림돌기(128, 129)가 걸리는 걸림턱(135)이 형성된다.
걸림턱(135)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턱(135)은 제2기어(134)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걸림턱(135)은 제2잠금판(132)의 전단에 배치된다.
제2잠금판(132)에는 리턴스프링 걸림부(139)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턴스프링 걸림부(139)는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리턴스프링 걸림부(139)는 제2잠금판(132)의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의 중심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리턴스프링 걸림부(139)는 상기 제2관통공과 제2기어(134)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잠금판(133)의 상하길이는 제2잠금판(132)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3잠금판(133)의 하단은 제2잠금판(132)의 하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즉, 제3잠금판(133)의 하단과 제2잠금판(132)의 하단은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부(130)에는 제1브라켓판(111)이 걸리는 스토퍼돌출부(137)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돌출부(137)는 제1브라켓판(111)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돌출부(137)가 제2잠금부(130)의 전방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돌출부(137)는 제2,3잠금판(132, 133)의 상부 및 제1잠금판(131)이 제2,3잠금판(132, 133)의 하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스토퍼돌출부(137)의 후단은 제1잠금판(131)의 전단 및 제2,3잠금판(132, 133)의 전단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토퍼돌출부(137)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인해 제2잠금부(13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스토퍼돌출부(137)의 하단은 상기 제2관통공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스토퍼돌출부(137)의 하단과 제2,3잠금판(132, 133)의 전단 사이의 모서리에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다.
제1브라켓판(111)의 일단(상단)은 제1잠금판(131)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로인해, 제1브라켓판(111)과 제1잠금판(131)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에는 스토퍼돌출부(137)가 배치된다. 상기 이격공간은 틸팅시 스토퍼돌출부(137)와 제1브라켓판(111)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브라켓판(111)이 스토퍼돌출부(137)에 걸린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150)이 설치된다. 리턴스프링(150)은 제2잠금부(130)에 대해 브라켓(1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리턴스프링(15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리턴스프링(150)의 중심부(코일부)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 끼워져서, 제2잠금판(132)과 상기 제3잠금판(133) 사이에 배치된다. 리턴스프링(150)의 일단은 제2잠금부(130)의 리턴스프링 걸림부(139)에 걸리며, 타단은 제3브라켓판(113)의 제1스프링 끼움공에 끼워져서 제3브라켓판(113)에 걸린다. 제3잠금판(133)은 짧게 형성되어 리턴스프링(150)의 타단은 제3잠금판(133)과 간섭되지 않는다.
제1잠금판(131)의 중간(전단과 후단 사이)에는 스테이(10)의 제1로드(11)가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스테이(10)가 제1잠금판(131)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10)는 제2잠금부(130)에 직접 설치되어 제2잠금부(1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10)의 제1로드(11)는 제2잠금부(130)의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제1로드(11)는 제2잠금부(130)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면에 설치되어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 틸팅장치는 스테이(10)의 제1로드(11)의 중앙에 밀집되어 설치된다.
스테이(10)의 제2로드(12)의 하부에는 상기 등받이가 설치된다.
또한,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과 스테이(10)가 제2잠금부(130)에 연결 또는 설치되는 위치는 이격된다. 즉, 브라켓(110)의 회동중심과 스테이(10)의 제1로드(11)가 동축선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과 제1로드(11)의 중심축이 엇갈리게 배치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과 스테이(10)가 제2잠금부(130)에 연결되는 위치는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로드(11)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보다 전방 상부에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잠금 상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121)가 제2기어(134)에 치합되어,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기어(121)가 제2기어(134)에 치합될 때,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제1잠금부(120)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기어(121)가 제2기어(134)에 밀착되도록 한다.
<틸팅 상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제1기어(121)는 제2기어(134)의 다음 기어이에 치합되어, 상기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헤드레스트가 틸팅되었을 때 상기 헤드레스트의 하부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상부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잠금 해제 상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브라켓판(111)이 스토퍼돌출부(137)에 걸릴 때까지 상기 헤드레스트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제1걸림돌기(128)가 걸림턱(135)에 걸려서 제1잠금부(120)는 제1잠금부 샤프트(12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1기어(121)는 제2기어(134)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제1기어(121)가 제2기어(134)로부터 이탈될 때,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제1잠금부(120)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기어(121)가 제2기어(134)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탈 완료시 제1잠금부(120)의 전방 하부는 제1브라켓판(111)의 내면에 걸린다.
이후,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는 리턴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으로 이동되면, 제2걸림돌기(129)가 걸림턱(135)에 걸려서, 제1잠금부(1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1기어(121)는 제2기어(134)에 치합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테이 11 : 수평로드
12 : 수직로드 110 : 브라켓
111 : 제1브라켓판 111a : 절개부
112 : 제2브라켓판 113 : 제3브라켓판
113a : 제2스프링 끼움공 115 : 체결부
120 : 제1잠금부 121 : 제1기어
123 : 스프링 걸림부
124 : 제1잠금부 스프링 125 : 제1잠금부 샤프트
128: 제1걸림돌기 129: 제2걸림돌기
130 : 제2잠금부 131 : 제1잠금판
132 : 제2잠금판 133 : 제3잠금판
134 : 제2기어 135 : 걸림턱
137 : 스토퍼돌출부 139 : 리턴스프링 걸림부
150 : 리턴스프링 160 : 제2잠금부 샤프트
10 : 스테이 11 : 수평로드
12 : 수직로드 110 : 브라켓
111 : 제1브라켓판 111a : 절개부
112 : 제2브라켓판 113 : 제3브라켓판
113a : 제2스프링 끼움공 115 : 체결부
120 : 제1잠금부 121 : 제1기어
123 : 스프링 걸림부
124 : 제1잠금부 스프링 125 : 제1잠금부 샤프트
128: 제1걸림돌기 129: 제2걸림돌기
130 : 제2잠금부 131 : 제1잠금판
132 : 제2잠금판 133 : 제3잠금판
134 : 제2기어 135 : 걸림턱
137 : 스토퍼돌출부 139 : 리턴스프링 걸림부
150 : 리턴스프링 160 : 제2잠금부 샤프트
Claims (5)
-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잠금부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잠금부에는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어이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회동 중심과 상기 제2잠금부가 스테이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고,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제2잠금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과 제3브라켓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2기어는 상기 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1잠금판과, 상기 제1잠금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과 제3잠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에는 상기 스테이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은 제2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2잠금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해 회전시키며,
상기 제2잠금판에 상기 제2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에는 다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에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판에는 상기 제1,2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잠금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잠금판의 상하길이는 상기 제2잠금판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2잠금판에 걸리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3브라켓판에 걸리며,
상기 제1잠금부는 제1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잠금부 샤프트는 상기 제2브라켓판과 상기 제3브라켓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스테이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로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부에는 상기 제1브라켓판이 걸리는 스토퍼돌출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판의 일단은 상기 제1잠금판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잠금판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스토퍼돌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4174A KR101995345B1 (ko) | 2017-07-25 | 2017-07-25 |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PCT/KR2018/008252 WO2019022445A1 (en) | 2017-07-25 | 2018-07-23 | HEADREST INCLIN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4174A KR101995345B1 (ko) | 2017-07-25 | 2017-07-25 |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1530A KR20190011530A (ko) | 2019-02-07 |
KR101995345B1 true KR101995345B1 (ko) | 2019-07-02 |
Family
ID=6504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4174A KR101995345B1 (ko) | 2017-07-25 | 2017-07-25 |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5345B1 (ko) |
WO (1) | WO201902244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9540B1 (ko) | 2022-09-19 | 2023-07-25 | 문건희 | 토류벽시스템용 토류벽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7571Y1 (ko) * | 2004-05-14 | 2004-07-27 | 정해일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KR101071580B1 (ko) * | 2007-02-28 | 2011-10-10 | 정해일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7987Y1 (ko) * | 2000-05-22 | 2000-12-15 | 이기만 | 차량용 헤드 레스트 |
KR100577413B1 (ko) | 2003-03-24 | 2006-05-10 | 주식회사 우보테크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JP2005013604A (ja) * | 2003-06-27 | 2005-01-20 | Aisin Seiki Co Ltd |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
KR100622700B1 (ko) * | 2004-12-16 | 2006-09-19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
-
2017
- 2017-07-25 KR KR1020170094174A patent/KR1019953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7-23 WO PCT/KR2018/008252 patent/WO201902244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7571Y1 (ko) * | 2004-05-14 | 2004-07-27 | 정해일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KR101071580B1 (ko) * | 2007-02-28 | 2011-10-10 | 정해일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1530A (ko) | 2019-02-07 |
WO2019022445A1 (en) | 2019-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49881B2 (en) | Head rest | |
US9764660B2 (en) | Slide rail | |
JP2007176222A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
US9446695B2 (en) | Head rest | |
EP2902255A1 (en) | Head rest | |
EP2902254A1 (en) | Head rest | |
KR101995345B1 (ko) |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
JP5028134B2 (ja) | 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 |
JP6809161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2018002048A (ja) |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 |
JP2008265695A (ja) |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機構 | |
CN111328311A (zh) | 头枕控制装置 | |
JP5112729B2 (ja) | 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 |
KR101916916B1 (ko)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
JP2005152148A (ja) |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CN114454786B (zh) | 幼儿汽车载具及其防前后误用的载具本体 | |
KR101593048B1 (ko) |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 |
JP5446739B2 (ja) |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KR101168714B1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KR20180040951A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JP6334309B2 (ja) | ヘッドレストおよびシート | |
KR100395162B1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 |
JP7292832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2023004906A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18079860A (ja) | 車両用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