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512B1 -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512B1
KR101170512B1 KR1020100097412A KR20100097412A KR101170512B1 KR 101170512 B1 KR101170512 B1 KR 101170512B1 KR 1020100097412 A KR1020100097412 A KR 1020100097412A KR 20100097412 A KR20100097412 A KR 20100097412A KR 101170512 B1 KR101170512 B1 KR 10117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guide
latch
link member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780A (ko
Inventor
전의식
김영신
문상인
Original Assignee
대일공업주식회사
문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공업주식회사, 문상인 filed Critical 대일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0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Abstract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는 차량의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액티브 패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액티브 패널 상단의 헤드레스트가 제1 위치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액티브 패널의 양측을 시트 백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장치는 액티브 패널에 하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 슬롯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가이드 핀이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는 시트 백에 고정되고, 장방형 슬롯에 끼워지는 연결 핀이 형성되며, 헤드레스트의 이동시 연결 핀을 장방형 슬롯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동시키면서 링크 부재의 하측 단부를 곡선 운동시키도록 가이드 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는 링크 부재와 시트 백 사이에서 헤드레스트가 제1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록킹부는 헤드레스트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링크 부재를 잠금 처리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작동 후 작동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헤드레스트의 작동시 탑승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상해방지 효과가 높아질 수 있으며, 록킹부를 포함하도록 모듈화되어 장착 또는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active headrest}
본 발명은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상체에 의해 시트 백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시트 백으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헤드레스트의 액티브 패널과 시트 백을 연결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의 후단에 세워져 탑승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시트 백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트 백의 상단에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가 장착되어, 주행 중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최근에는 추돌 사고시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져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른바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라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시트 백에 가해지는 하중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가 전방 및 상방으로 자동 이동하면서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받쳐 준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의 상해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후방 추돌 사고가 없을 때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작동 전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후방 추돌 사고시 작동한 후 작동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 전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헤드레스트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지속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게 되어 상해 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가 작동한 후 작동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한편,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후방 추돌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시간이 빠를수록 탑승자의 목 받힘을 조기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작동 후 작동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헤드레스트의 작동시 탑승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상해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록킹부를 포함하도록 모듈화되어 장착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는, 차량의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액티브 패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액티브 패널 상단의 헤드레스트가 제1 위치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티브 패널의 양측을 시트 백에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액티브 패널에 하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 슬롯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가이드 핀이 형성된 링크 부재; 상기 시트 백에 고정되고, 상기 장방형 슬롯에 끼워지는 연결 핀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이동시 상기 연결 핀을 상기 장방형 슬롯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링크 부재의 하측 단부를 곡선 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시트 백 사이에서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1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링크 부재를 잠금 처리하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 부재의 하측 단부가 진자 운동이 아닌 곡선 운동을 하게 되므로, 진자 운동을 하는 것에 비해, 헤드레스트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목 받힘을 조기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레스트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잠금 처리되므로, 탑승자의 머리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모듈화되므로, 연결장치의 장착 또는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시트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에 있어서, 록킹부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시트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시트는 시트 쿠션(10)과 시트 백(20) 및 액티브 헤드레스트(30)를 포함한다. 시트 쿠션(10)은 탑승자가 그 위에 앉을 때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한다. 시트 백(20)은 시트 쿠션(10)의 후단에 세워져 탑승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한다. 액티브 헤드레스트(30)는 차량의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받쳐주어 머리 및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액티브 헤드레스트(30)는 액티브 패널(31)과 헤드레스트(32)를 포함한다. 액티브 패널(31)은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전달받도록 시트 백(20)에 위치된다. 액티브 패널(31)은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전달받아서, 상측에 연결된 헤드레스트(32)가 탑승자의 머리 부분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헤드레스트(32)는 시트 백(20)의 상단에 위치되어 주행 중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헤드레스트(32)는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머리 부분 쪽으로 이동하여 머리 부분을 받칠 수 있게 한다.
헤드레스트(32)와 액티브 패널(31) 사이에는 한 쌍의 폴바(33)와 액티브 프레임(34)이 마련된다. 폴바(33)는 헤드레스트(32)와 액티브 프레임(34)을 연결하고, 액티브 프레임(34)은 폴바(33)와 액티브 패널(31)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32)와 액티브 패널(3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폴바(33)는 헤드레스트(3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32)에 설치된다. 그리고, 폴바(33)는 시트 백 프레임(21)에 설치된 폴 가이드(35)에 의해 안내를 받아서 헤드레스트(32)의 이동 방향을 구속할 수 있게 한다.
액티브 패널(31)과 시트 백(20) 사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100)가 설치된다. 연결장치(100)는 액티브 패널(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연결장치(100)들은 차량의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액티브 패널(31)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헤드레스트(32)가 도 2의 제1 위치로부터 도 3의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액티브 프레임(34)을 시트 백 프레임(21)에 연결한다. 제1 위치는 후방 추돌 전에 헤드레스트(32)가 놓인 위치에 해당한다. 제2 위치는 후방 추돌시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받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100)는 링크 부재(110)와, 가이드 부재(120)와, 제1 탄성 부재(130), 및 록킹부(140)를 포함한다.
링크 부재(110)는 하측 단부가 액티브 패널(31)에 힌지 결합되어, 액티브 패널(31)과 상대 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부재(120)는 시트 백 프레임(21)에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120)는 링크 부재(11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액티브 패널(31)이 시트 백 프레임(21)으로부터 이동하면서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링크 부재(110)는 상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 슬롯(111)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가이드 핀(112)이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120)에는 장방형 슬롯(111)에 끼워지는 연결 핀(121)이 형성되며, 가이드 핀(112)이 끼워지는 가이드 슬롯(122)이 형성된다.
가이드 슬롯(122)은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연결 핀(121)을 장방형 슬롯(11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동시키면서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를 곡선 운동시키도록 가이드 핀(112)의 이동을 안내한다. 따라서,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의 곡선 운동은 진자 운동이 아니라, 링크 부재(110)가 연결 핀(121)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진자 운동과 장방형 슬롯(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선 운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곡선 운동이 된다. 또한,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의 곡선 운동은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와 연결 핀(121) 사이의 거리가 점차 짧아지는 궤적을 갖는다.
가이드 슬롯(122)은 전술한 곡선 운동의 궤적과 동일한 궤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의 곡선 운동이 일부 곡선 운동인 경우, 가이드 슬롯(122)은 상단으로부터 연결 핀(121)까지의 길이가 하단으로부터 연결 핀(121)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곡선형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가 진자 운동이 아닌 곡선 운동을 하게 되므로, 진자 운동을 하는 것에 비해,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가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그 결과, 헤드레스트(32)가 탑승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목 받힘을 조기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30)는 링크 부재(110)와 시트 백(20) 사이에서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30)는 후방 추돌시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며, 헤드레스트(3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잠금 처리된 상태에서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1 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게 한다. 제1 탄성 부재(130)는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인장 코일 스프링은 링크 부재(110)와 시트 백 프레임(2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단이 링크 부재(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시트 백 프레임(21)에 결합될 수 있다.
록킹부(140)는 헤드레스트(3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링크 부재(110)를 잠금 처리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32)는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연결장치(100)는 록킹부(140)를 포함하여 모듈화되므로, 연결장치(100)의 장착 또는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록킹부(1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부(140)는 래치(141)와, 로커(146), 및 제2 탄성 부재(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래치(141)는 가이드 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래치(141)는 가이드 부재(120)를 시트 백 프레임(21)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15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래치(1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32)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가이드 핀(112)에 의해 밀려 회전하면서 가이드 핀(112)과 결합한다. 래치(141)의 둘레에는 누름 면(142)과 결합 홈(143)이 형성된다. 누름 면(142)은 가이드 핀(112)에 의해 밀리면서 래치(141)를 회전시킨다. 결합 홈(143)은 가이드 핀(112)이 끼워져 래치(141)에 결합되게 한다.
로커(146)는 가이드 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로커(146)는 가이드 부재(120)를 시트 백 프레임(21)에 고정하는 다른 고정 부재(15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로커(146)는 래치(141)가 가이드 핀(112)과 결합 또는 배출되는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래치(141)와 맞물린다. 예컨대, 래치(141)의 둘레에 제1 걸림부(144) 및 제2 걸림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146)는 래치(141)가 가이드 핀(112)과 분리되는 위치에서 제1 걸림부(144)와 맞물릴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146)는 래치(141)가 가이드 핀(112)과 결합되는 위치로 회전하면 래치(141)에 밀려 제1 걸림부(144)로부터 벗어났다가 제2 걸림부(145)로 이동해서 제2 걸림부(145)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47)는 로커(146)와 래치(141) 사이에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로커(146)와 래치(141)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래치(141)는 가이드 핀(112)과 분리되는 위치를 유지하여 가이드 핀(112)이 결합 홈(143)에 진입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래치(141)는 가이드 핀(112)과 결합되는 위치를 유지하여 링크 부재(110)를 잠금 처리할 수 있다.
록킹부(140)에는 링크 부재(110)의 잠금 처리를 해제하는 해제레버(14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해제레버(148)는 로커(146)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47)는 해제레버(148)와 래치(141)에 고정된 결합 브래킷(149) 사이에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탄성 부재(147)는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인장 코일 스프링의 양단은 해제레버(148)와 래치(141)에 고정된 결합 브래킷(149)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해제레버(148)는 로커(146)가 래치(141)의 제2 걸림부(145)에 맞물린 상태에서, 로커(146)를 회전시켜 제2 걸림부(145)로부터 제1 걸림부(144)로 이동시킴에 따라, 래치(141)로부터 가이드 핀(112)이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해제레버(148)는 링크 부재(110)의 잠금 처리를 해제할 수 있다. 해제레버(148)는 결합 브래킷(149)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로커(146)에 고정되거나, 로커(146)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연결장치(100)에 대한 작용 예를 도 2 내지 도 7과 함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부재(110)는 가이드 핀(112)이 가이드 슬롯(122)의 하단에 위치하고 연결 핀(121)이 장방형 슬롯(111)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대기한다. 이때, 헤드레스트(32)는 제1 탄성 부재(130)에 의해 도 2의 제1 위치를 유지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방 추돌이 발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핀(121)이 장방형 슬롯(11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 핀(112)이 가이드 슬롯(122)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는 진자 운동이 아닌 곡선 운동을 한다.
이 과정에서,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에 힌지 결합된 액티브 패널(31)이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액티브 패널(31)과 연결된 헤드레스트(32)가 제1 위치로부터 도 3의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링크 부재(110)의 하측 단부는 연결 핀(121) 사이의 거리가 점차 짧아지는 궤적으로 곡선 운동을 하므로, 진자 운동을 하는 것에 비해, 헤드레스트(32)의 이동 시간을 단축하여, 탑승자의 목 받힘을 조기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헤드레스트(3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이드 핀(112)은 래치(141)를 밀면서 회전시킴에 따라 래치(141)의 결합 홈(143)에 끼워진다. 이와 동시에, 로커(146)가 래치(141)에 의해 밀려 래치(141)의 제1 걸림부(144)로부터 벗어났다가, 제2 탄성 부재(147)에 의해 래치(141)의 제2 걸림부(145)로 이동한 후 제2 걸림부(145)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래치(141)는 가이드 핀(112)과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여 링크 부재(110)를 잠금 처리하게 된다. 그 결과, 헤드레스트(32)는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잠금 처리되므로, 탑승자의 머리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시트 백 21..시트 백 프레임
30..액티브 헤드레스트 31..액티브 패널
32..헤드레스트 100..연결장치
110..링크 부재 111..장방형 슬롯
112..가이드 핀 120..가이드 부재
121..연결 핀 122..가이드 슬롯
130..제1 탄성부재 140..록킹부
141..래치 146..로커
147..제2 탄성부재 148..해제레버

Claims (4)

  1. 차량의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상체로부터 액티브 패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액티브 패널 상단의 헤드레스트가 제1 위치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티브 패널의 양측을 시트 백에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액티브 패널에 하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 슬롯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가이드 핀이 형성된 링크 부재;
    상기 시트 백에 고정되고, 상기 장방형 슬롯에 끼워지는 연결 핀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이동시 상기 연결 핀을 상기 장방형 슬롯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링크 부재의 하측 단부를 곡선 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시트 백 사이에서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1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링크 부재를 잠금 처리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결 핀까지의 길이가 하단으로부터 상기 연결 핀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곡선형 호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핀에 의해 밀려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핀과 결합하는 래치;
    상기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가 상기 가이드 핀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래치와 맞물리는 로커; 및
    상기 로커와 상기 래치 사이에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커와 상기 래치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의 잠금 처리를 해제하는 해제레버가 상기 로커와 함께 회전하도록 더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해제레버와 상기 래치에 고정된 결합 브래킷 사이에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KR1020100097412A 2010-03-29 2010-10-06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KR101170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7964 2010-03-29
KR1020100027964 201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780A KR20110109780A (ko) 2011-10-06
KR101170512B1 true KR101170512B1 (ko) 2012-08-02

Family

ID=4502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412A KR101170512B1 (ko) 2010-03-29 2010-10-06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5111B (zh) * 2012-06-30 2015-08-2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主动式头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780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958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063386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및 그 엑츄에이터
KR200417425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직선이동 장치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JP5483557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17051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JP2001163101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100706440B1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KR101238433B1 (ko) 차량의 추돌 충격 완화장치
JP2004001599A (ja) ヘッドレストの頭部衝撃吸収装置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100747851B1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EP3501888B1 (en) Child safety seat with belted pivot link
KR20100093741A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0889436B1 (ko) 차량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0842327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조
JP2006168410A (ja) 車両用シート
JP3799823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11051532A (ja) 車両用シート
KR20090063429A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0716382B1 (ko) 후방 추돌 시 승객의 목 상해 방지장치
JP2023103127A (ja) 車両用シート
KR10052159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높이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