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351B1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351B1
KR101506351B1 KR1020090078464A KR20090078464A KR101506351B1 KR 101506351 B1 KR101506351 B1 KR 101506351B1 KR 1020090078464 A KR1020090078464 A KR 1020090078464A KR 20090078464 A KR20090078464 A KR 20090078464A KR 101506351 B1 KR101506351 B1 KR 10150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shion
shaft
cushion fram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965A (ko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07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3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체형에 상관없이 모든 탑승자가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레버(52)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금형 제작비를 포함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시트쿠션, 익스텐션, 레버

Description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시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 착석자의 하체를 밑에서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시트쿠션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다양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전방쪽 일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모든 탑승자가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한 매커니즘을 갖도록 구성함 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시트쿠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브라켓과;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어 설치된 익스텐션프레임과; 상기 작동브라켓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작동브라켓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이동 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에 구비된 록킹장치와; 상기 쿠션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록킹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장치의 작동을 위해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져서 작동하는 레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체형에 상관없이 모든 탑승자가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레버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금형 제작비를 포함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상기 시트쿠션에는 시트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쿠션의 길이를 전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장착된다.
즉, 상기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프레임(1)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브라켓(10)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연결되어 설치된 익스텐션프레임(20)과, 상기 작동브라켓(10)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작동브라켓(10)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장치(30)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의 전방 및 후방 이동 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구비된 록킹장치(40)와, 상기 쿠션프레임(1)에 구비되면서 상기 록킹장치(4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을 위해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져서 작동하는 레버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일단은 제1회전링크(11)를 매개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제2회전링크(12)를 매개로 상기 동력전달장치(30)의 일단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타단은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분리되어 설치된다.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된 박스구조이며, 또한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에는 후술하는 메인샤프트(31)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21)이 형성되는 바, 상기 구멍(21)은 상기 메인샤프트(3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멍(21)을 기준으로 좌우측에는 상기 쿠션프레임(1)쪽을 향하여 돌출된 프레임로드(22)가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바, 상기 프레임로드(22)는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로드가이더(23)속으로 각각 수납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장치(30)는,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쪽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의 구멍(21)을 관통하여 설치된 메인샤프트(31)와, 상기 메인샤프트(31)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중간부위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쿠션프레임(1)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 샤프트가이더(32)와, 상기 샤프트가이더(32)의 플랜지(32a)와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후방플랜지(31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후방스프링(33)과,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전방플랜지(31b)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전방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는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연결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일단과 접촉하여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61)이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61)의 윗면에는 상기 메인샤프트(31)의 후방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돌기(6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록킹장치(40)는,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쿠션프레임(1)쪽으로 타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한 쪽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4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록킹브라켓(41)과, 상기 록킹브라켓(4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프레임가이더(42)를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속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록킹샤프트(43)와, 상기 프레임가이더(42)와 상기 록킹샤프트(43)의 플랜지(43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샤프트(43)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록킹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장치(5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버축(51)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결합된 레버(52)와, 상기 쿠션프레임(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록킹샤프트(43)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51)에 힌지축(53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로드(53)와,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레버(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축(51)에 형성된 플랜지(51a)와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축(51)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54) 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앉게 되면, 탑승자의 하중을 받은 작동브라켓(10)은 후방쪽 끝이 제1,2회전링크(11,12)를 매개로 도 1 및 도 2의 도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브라켓(10)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전체적으로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을 향해 이동을 하게 된다.
작동브라켓(10)이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제2회전링크(12)와 연결된 메인샤프트(31)는 도 3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전방 끝은 익스텐션프레임(2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서 구멍(21)을 관통한 상태가 된다.
또한, 메인샤프트(31)가 도 5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후방스프링(33)과 전방스프링(34)은 각각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전방스프링(34)이 압축되면 이때의 복원력은 익스텐션프레임(20)으로 전달되고,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은 상기 전방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록킹샤프트(43)가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브라켓(41)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브라켓(41)과 일체로 결합된 익스텐션프레임(20)은 전방스프링(34)의 복원력을 전달받더라도 전방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구속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도 4에 도시된 레버(52)를 원터치 방식으로 한 번 눌러주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버축(51)과 레버로드(53)를 통해 상기 레버(52)의 조작력이 록킹샤프트(43)로 전달되어, 상기 록킹샤프트(43)는 후퇴 이동을 하게 된다.
록킹샤프트(43)가 후퇴 이동을 하면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으로부터 상기 록킹샤프트(43)의 끝이 빠지게 되며, 이때부터 상기 록킹브라켓(41)은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브라켓(41)의 구속이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전방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익스텐션프레임(20)은 도 4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전방쪽으로 길이가 연장된 익스텐션프레임(20)을 통해 보다 편안한 자세로 시트에 착석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향상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 눌러서 조작한 레버(52)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상기 레버(52)는 레버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쿠션프레임(1)의 측부로 다시 돌출되어서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상기 레버(52)와 연결된 레버로드(53)도 반대 방향 회전을 하여 록킹샤프트(4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록킹샤프트(43)는 그 끝이 도 7과 같이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속으로 재차 삽입되고, 이로 인해 익스텐션프레임(20)은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재차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 은 쿠션프레임(1)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된 익스텐션프레임(20)의 복귀를 위해 도 6의 상태에서 탑승자가 재차 레버(52)를 원터치 방식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레버(52)의 조작력은 최종적으로 레버로드(53)를 통해 록킹샤프트(43)로 전달되어 상기 록킹샤프트(43)는 도 7의 상태에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 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으로부터 상기 록킹샤프트(43)의 끝이 빠지게 된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전방쪽으로 이동하고 있던 메인샤프트(31)는 압축된 후방스프링(33)의 복원력을 전달받아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후방으로 후퇴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함께 익스텐션프레임(20)도 후방으로 후퇴이동을 하게 된다.
후퇴이동을 하던 메인샤프트(31)는 후방쪽 끝이 도 3과 같이 스토퍼돌기(62)에 의해 구속되어 더 이상 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바, 이때의 상태가 바로 도 1의 초기 상태이며 익스텐션프레임(20)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여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이용하면 모든 탑승자는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레버(52)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장치나 또는 동력전달을 위해 유성기어세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므로, 금형 제작비를 포함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동력전달장치와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의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쿠션프레임 10 - 작동브라켓
20 - 익스텐션프레임 30 - 동력전달장치
40 - 록킹장치 50 - 레버장치

Claims (7)

  1. 시트쿠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프레임(1)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브라켓(10)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연결되어 설치된 익스텐션프레임(20)과;
    상기 작동브라켓(10)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작동브라켓(10)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장치(30)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의 전방 및 후방 이동 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구비된 록킹장치(40)와;
    상기 쿠션프레임(1)에 구비되면서 상기 록킹장치(4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을 위해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져서 작동하는 레버장치(50);
    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일단은 제1회전링크(11)를 매개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제2회전링크(12)를 매개로 상기 동력전달장치(30)의 일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타단은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분리되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은 중간부위가 상기 동력전달장치(30)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30)와 연결된 중간부위의 좌우측에는 상기 쿠션프레임(1)쪽을 향하여 돌출된 프레임로드(22)가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로드(22)는 상기 쿠션프레임(1)에 구비된 로드가이더(23)속에 각각 수납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30)는,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쪽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관통하여 설치된 메인샤프트(31)와;
    상기 메인샤프트(31)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중간부위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쿠션프레임(1)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 샤프트가이더(32)와;
    상기 샤프트가이더(32)의 플랜지(32a)와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후방플랜지(31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후방스프링(33)과;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전방플랜지(31b)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전방스프링(3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는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연결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일단과 접촉하여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61)이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61)에는 상기 메인샤프트(31)의 후방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돌기(6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40)는,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쿠션프레임(1)쪽으로 타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한 쪽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4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록킹브라켓(41)과;
    상기 록킹브라켓(4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 된 프레임가이더(42)를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속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록킹샤프트(43)와;
    상기 프레임가이더(42)와 상기 록킹샤프트(43)의 플랜지(43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샤프트(43)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록킹스프링(3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치(5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버축(51)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결합된 레버(52)와;
    상기 쿠션프레임(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록킹샤프트(43)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1)에 힌지축(53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로드(53)와;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레버(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축(51)에 형성된 플랜지(51a)와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축(51)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5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20090078464A 2009-08-25 2009-08-25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0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464A KR101506351B1 (ko) 2009-08-25 2009-08-25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464A KR101506351B1 (ko) 2009-08-25 2009-08-25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965A KR20110020965A (ko) 2011-03-04
KR101506351B1 true KR101506351B1 (ko) 2015-03-26

Family

ID=4392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464A KR101506351B1 (ko) 2009-08-25 2009-08-25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690B1 (ko) 2015-05-20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740B1 (ko) 2014-05-08 2015-10-2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쿠션
WO2018182330A1 (ko) * 2017-03-29 2018-10-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102236680B1 (ko) * 2017-11-21 2021-04-06 주식회사 다스 다단식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688A (ja) * 1998-05-28 1999-12-07 Ikeda Bussan Co Ltd 電動オットマン装置
KR200440263Y1 (ko) 2007-01-29 2008-06-03 (주)디디디 차량 시트용 다리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688A (ja) * 1998-05-28 1999-12-07 Ikeda Bussan Co Ltd 電動オットマン装置
KR200440263Y1 (ko) 2007-01-29 2008-06-03 (주)디디디 차량 시트용 다리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690B1 (ko) 2015-05-20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DE102015225516A1 (de) 2015-05-20 2016-11-24 Daewon Precision Industrial Co., Ltd. Sitzkissen-Erweiter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965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784B2 (en) Vehicle seat
KR101736831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1585850B1 (ko)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16224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WO2007086467A1 (ja) シート
JP2016216019A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KR10150635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046295B1 (ko) 차량용 시트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200476827Y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372960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55918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78944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592035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KR101499998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05177227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20200073611A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2006224847A (ja) 車両用シート
KR101878819B1 (ko)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KR10209202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83173B1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KR101447749B1 (ko)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