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819B1 -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819B1
KR101878819B1 KR1020160090655A KR20160090655A KR101878819B1 KR 101878819 B1 KR101878819 B1 KR 101878819B1 KR 1020160090655 A KR1020160090655 A KR 1020160090655A KR 20160090655 A KR20160090655 A KR 20160090655A KR 101878819 B1 KR101878819 B1 KR 10187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ross member
seatback
pai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414A (ko
Inventor
박량오
왕덕강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09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8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의 전방회전 이동 및 축회전에 의해서 시트백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는 기능 및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서포트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저가의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PROJECTION APPARATUS OF SEAT BACK UPPER PART}
본 발명은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는 기능 및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서포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시트백은 시트백프레임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조이고, 상기 시트쿠션은 시트쿠션프레임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백이 전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리클라이닝 기능, 시트쿠션이 승하강되는 하이트 기능,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서포트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어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부의 고급 차종에는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어저스트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바, 종래의 숄더 어저스터는 시트백프레임을 상단측프레임과 하단측프레임으로 분리해서 상단측프레임을 하단측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단측프레임의 전후방향 회전을 위해 모터 및 다수개의 링크기구와 기어기구 등을 이용한 구성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중량이 무거우며, 비용이 비싸서 일부의 고급 차량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시트백프레임을 상단측프레임과 하단측프레임으로 분리 구성함에 따라 강도가 약하고 이로 인해 사고 발생시 인명피해를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470215호
본 발명은, 시트백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는 기능 및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서포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저가의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프레임을 상단측프레임과 하단측프레임으로 분리하지 않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시트의 내구성 향상 및 사고발생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는, 시트백프레임에서 좌우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크로스멤버; 상기 크로스멤버에서 시트백프레임의 상단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수직멤버; 상기 수직멤버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 상기 크로스멤버와 연결되게 설치된 것으로 크로스멤버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기구; 및 상기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와 연결되게 설치된 것으로 회전플레이트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고 전달하는 제2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와 한 쌍의 수직멤버는 내부가 서로 연결된 중공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의 축회전시에 한 쌍의 수직멤버는 전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수직멤버에 끼워져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기구는 크로스멤버와 제1모터축이 직접 연결되게 설치된 제1모터이고; 상기 크로스멤버는 제1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구동기구는 수직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회전플레이트의 끼움돌기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로드; 상기 크로스멤버의 내부에 수직로드와 직교되게 설치된 수평로드; 상기 수직로드의 단부와 수평로드에 결합되어서 서로 치합을 이루는 제1베벨기어 및 제2베벨기어; 상기 크로스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평로드와 연결된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로드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한 쌍의 수직로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내에 고정되고 제1모터 및 제2모터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서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는 착좌 승객의 어깨부에 대응하도록 시트백프레임의 상단측 위치에서 좌우방향을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백의 상단부는 시트백 전방부와 시트백 후방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시트백 전방부에 회전플레이트의 작용력이 작용하고; 상기 시트백 전방부와 시트백 후방부사이의 홈은 신축성 재질의 커버링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의 전방회전 이동 및 축회전에 의해서 시트백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는 기능 및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서포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서 착좌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저가의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프레임을 상단측프레임과 하단측프레임으로 분리하지 않는 구성으로, 종래와 같이 시트백프레임을 상단측프레임과 하단측프레임으로 분리하고 상단측프레임을 하단측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기계식 어저스터와 비교하여 볼 때, 시트백프레임의 구성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고, 상단측프레임의 회전을 위한 대용량 모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의 장점도 있으며, 더 나아가 시트의 내구성 향상 및 사고발생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장치가 설치된 시트백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돌출장치가 설치된 부위의 확대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해서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해서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서포트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에서 좌우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1a)을 연결하면서 사이드프레임(1a)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크로스멤버(10); 상기 크로스멤버(10)에서 시트백프레임(1)의 상단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수직멤버(20); 상기 수직멤버(20)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 상기 크로스멤버(10)와 연결되게 설치된 것으로 크로스멤버(10)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기구(4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와 연결되게 설치된 것으로 회전플레이트(30)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고 전달하는 제2구동기구(50);를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멤버(10)와 한 쌍의 수직멤버(20)는 내부가 서로 연결된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바, 이는 제1구동기구(40)와 제2구동기구(50)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제1구동기구(40)와 제2구동기구(50)가 크로스멤버(10)와 수직멤버(20)의 내부 중공에 설치됨에 따라 제1구동기구(40)와 제2구동기구(50)의 설치를 위해 별도로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이를 통해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0)는 착좌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패널로서 승객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 외형이 불변하는 강성재질이 플라스틱 또는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크로스멤버(10)는 사이드프레임(1a)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크로스멤버(10)의 축회전시에 한 쌍의 수직멤버(20)는 시트백프레임(1)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0)는 수직멤버(20)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를 위해 상기 회전플레이트(30)에는 끼움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31)는 수직멤버(20)에 끼워져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구동기구(40)는 크로스멤버(10)와 제1모터축(41a)이 직접 연결되게 설치된 제1모터(41)으로, 상기 제1모터(41)는 크로스멤버(10)의 일단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모터(41)가 구동하면 크로스멤버(10)는 제1모터(41)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기구(50)는 수직멤버(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회전플레이트(30)의 끼움돌기(31)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로드(51); 상기 크로스멤버(10)의 내부에 수직로드(51)와 직교되게 설치된 수평로드(52); 상기 수직로드(51)의 단부와 수평로드(52)에 결합되어서 서로 치합을 이루는 제1베벨기어(53) 및 제2베벨기어(54); 상기 크로스멤버(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평로드(52)와 연결된 제2모터(55);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모터(55)는 크로스멤버(10)의 일단의 내부에서 제1모터(41)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제2모터(55)가 구동하면 수평로드(52)가 축회전하고, 제1베벨기어(53) 및 제2베벨기어(54)에 의해서 수직로드(51)가 축회전하며, 수직로드(51)의 축회전에 의해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는 각각 수직멤버(20)에 대해서 축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2모터(55)와 수평로드(52)는 제2모터(55)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만 서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동력전달이 불가능하게 연결이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2모터(55)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모터(41)의 구동에 의해 크로스멤버(10)가 사이드프레임(1a)에 대해 축회전을 하게 되면, 제2모터(55)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지만 수평로드(52)는 축회전을 하지 않게 되며, 이 결과 회전플레이트(30)는 수직멤버(20)에 대해서 축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상기 수평로드(52)가 제2모터(55)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한 쌍의 수직로드(5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직로드(51)와 각각 결합된 회전플레이트(30)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 결과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는 끼움돌기(31)가 형성된 일단을 중심으로 반대쪽의 타단이 동시에 시트백프레임(1)의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이동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크로스멤버(10)내에 고정되고 제1모터(41) 및 제2모터(55)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모터(41)와 제2모터(55)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 및 상기 컨트롤러(60)와 와이어(70)를 통해 연결되어서 제1모터(41)와 제2모터(55)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60)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위치(80)는 제1모터(41)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 및 제2모터(55)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가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80)는 착좌 승객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 일례로 시트쿠션프레임(2)의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는 착좌 승객의 어깨부에 대응하도록 시트백프레임(1)의 상단측 위치에서 좌우방향을 이격되게 설치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를 포함해서 시트백프레임(1)을 감싸는 시트백(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90)의 상단부는 절개면(91)을 통해서 시트백 전방부(92)와 시트백 후방부(93)로 나누어지고, 상기 시트백 전방부(92)에 회전플레이트(30)의 작용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백 전방부(92)와 시트백 후방부(93)사이의 홈은 신축성 재질의 커버링(94)이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커버링(94)은 회전플레이트(30)의 회전에 따라 탄력적으로 신축이 가능한 신축성 재질이며, 그 일례로 폴리우레탄계 섬유의 일종인 스판덱스(spandex)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해서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은 회전플레이트가 전방으로 회전 이동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4는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회전플레이트가 전방으로 회전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다.
사용자의 스위치(80) 조작에 의해서 제1모터(41)가 구동하고, 제1모터(41)의 동력이 크로스멤버(10)로 전달되어서 크로스멤버(10)가 도 2의 상태를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화살표 R1)으로 축회전하면, 크로스멤버(10)와 연결된 수직멤버(20)는 시트백프레임(1)의 전방으로 회전되고, 수직멤버(20)에 결합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는 시트백프레임(1)의 전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플레이트(30)의 전방회전 이동시에 회전플레이트(30)의 가압력을 받는 시트백 전방부(92)는 도 4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시트백 전방부(92)에 의해서 착좌 승객은 목하부를 지지받게 됨으로써 편안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백 전방부(92)의 전방 돌출량은 회전플레이트(30)의 전방회전 이동에 좌우되며, 회전플레이트(30)의 전방회전 이동은 스위치(80)의 조작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된 시트백 전방부(92)의 후방이동 복귀는 스위치(80)의 조작에 따른 크로스멤버(10)의 시계방향(화살표 R1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가능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해서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서포트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도 5는 회전플레이트가 수직멤버에 대해 축회전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6은 숄더 서포트 기능을 위해 회전플레이트가 수직멤버에 대해 축회전한 상태의 도면이다.
사용자의 스위치(80) 조작에 의해서 제2모터(55)가 구동하고, 제2모터(55)의 동력이 수평로드(52)로 전달되어서 수평로드(52)가 도 2의 상태를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화살표 R2)으로 축회전하면, 제1베벨기어(53) 및 제2베벨기어(54)에 의해서 수직로드(51)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축회전하며, 수직로드(51)의 축회전에 의해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는 각각 수직멤버(20)에 대해서 도시된 화살표 R3와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축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는 끼움돌기(31)가 형성된 일단을 중심으로 반대쪽의 타단이 동시에 시트백프레임(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회전플레이트(30)의 축회전시에 회전플레이트(30)의 가압력을 받는 시트백 전방부(92)는 도 6과 같이 양측의 사이드부가 돌출되는 바, 이 결과 전방으로 돌출된 시트백 전방부(92)의 사이드부에 의해서 착좌 승객은 어깨부위를 지지받게 됨으로써 편안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백 전방부(92)의 사이드부의 전방 돌출량은 회전플레이트(30)의 축회전에 의해서 좌우되며, 회전플레이트(30)의 축회전은 스위치(80)의 조작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된 시트백 전방부(92)의 사이드부의 후방이동 복귀는 스위치(80)의 조작에 따른 수평로드(52)의 시계방향(화살표 R2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가능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1모터(41)와 제2모터(55)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전플레이트(30)의 전방회전 이동에 의한 착좌 승객의 목하부 지지 기능 및 회전플레이트(30)의 축회전에 의한 착좌 승객은 어깨부위 지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30)의 전방회전 이동 및 축회전에 의해서 시트백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승객의 목하부를 지지하는 기능 및 승객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 서포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서 착좌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저가의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프레임(1)을 상단측프레임과 하단측프레임으로 분리하지 않는 구성으로, 종래와 같이 시트백프레임을 상단측프레임과 하단측프레임으로 분리하고 상단측프레임을 하단측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기계식 어저스터와 비교하여 볼 때, 시트백프레임의 구성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고, 상단측프레임의 회전을 위한 대용량 모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의 장점도 있으며, 더 나아가 시트의 내구성 향상 및 사고발생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시트백프레임 1a - 사이드프레임
2 - 시트쿠션프레임 10 - 크로스멤버
20 - 수직멤버 30 - 회전플레이트
41 - 제1모터 51 - 수직로드
52 - 수평로드 53 - 제1베벨기어
54 - 제2베벨기어 55 - 제2모터
60 - 컨트롤러 70 - 와이어
80 - 스위치 90 - 시트백

Claims (10)

  1. 시트백프레임에서 좌우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크로스멤버;
    상기 크로스멤버에서 시트백프레임의 상단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수직멤버;
    상기 수직멤버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
    상기 크로스멤버와 연결되게 설치된 것으로 크로스멤버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기구; 및
    상기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와 연결되게 설치된 것으로 회전플레이트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고 전달하는 제2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한 쌍의 수직멤버는 내부가 서로 연결된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수직멤버의 내부 중공에 제1구동기구와 제2구동기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축회전시에 한 쌍의 수직멤버는 전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수직멤버에 끼워져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구는 크로스멤버와 제1모터축이 직접 연결되게 설치된 제1모터이고;
    상기 크로스멤버는 제1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기구는 수직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회전플레이트의 끼움돌기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로드;
    상기 크로스멤버의 내부에 수직로드와 직교되게 설치된 수평로드;
    상기 수직로드의 단부와 수평로드에 결합되어서 서로 치합을 이루는 제1베벨기어 및 제2베벨기어;
    상기 크로스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평로드와 연결된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로드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한 쌍의 수직로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내에 고정되고 제1모터 및 제2모터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서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플레이트는 착좌 승객의 어깨부에 대응하도록 시트백프레임의 상단측 위치에서 좌우방향을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백의 상단부는 시트백 전방부와 시트백 후방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시트백 전방부에 회전플레이트의 작용력이 작용하고;
    상기 시트백 전방부와 시트백 후방부사이의 홈은 신축성 재질의 커버링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KR1020160090655A 2016-07-18 2016-07-18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KR10187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55A KR101878819B1 (ko) 2016-07-18 2016-07-18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55A KR101878819B1 (ko) 2016-07-18 2016-07-18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14A KR20180009414A (ko) 2018-01-29
KR101878819B1 true KR101878819B1 (ko) 2018-07-17

Family

ID=6102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55A KR101878819B1 (ko) 2016-07-18 2016-07-18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293Y1 (ko) * 1985-11-22 1988-04-02 윤용길 안마기
JPH0546362U (ja) * 1991-11-27 1993-06-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KR20030031678A (ko) * 2001-10-15 2003-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KR101078232B1 (ko) * 2008-12-04 2011-11-01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15B1 (ko)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293Y1 (ko) * 1985-11-22 1988-04-02 윤용길 안마기
JPH0546362U (ja) * 1991-11-27 1993-06-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KR20030031678A (ko) * 2001-10-15 2003-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KR101078232B1 (ko) * 2008-12-04 2011-11-01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 조절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1020120077670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14A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479B1 (ko) 승합차용 리어 시트 폴딩 장치
KR101381575B1 (ko) 차량용 시트
KR101307281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0476827Y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US20080185894A1 (en) Movable head restraint for improved vision
JP454419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470215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878819B1 (ko)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499998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0635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592035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307280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150045020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JP483040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499856B2 (ja) シート高さ調整装置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083173B1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KR102550551B1 (ko) 차량용 풀 플랫 시트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JP5034507B2 (ja) 座席
JPH054754Y2 (ko)
KR20180110599A (ko) 양발 익스텐션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