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599A - 양발 익스텐션 시트 - Google Patents

양발 익스텐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599A
KR20180110599A KR1020180032242A KR20180032242A KR20180110599A KR 20180110599 A KR20180110599 A KR 20180110599A KR 1020180032242 A KR1020180032242 A KR 1020180032242A KR 20180032242 A KR20180032242 A KR 20180032242A KR 20180110599 A KR20180110599 A KR 2018011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seat
lev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222B1 (ko
Inventor
전의식
송유준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8/00371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82330A1/ko
Publication of KR2018011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시트장치는 시트의 일부분이 좌, 우 각각 독립 회동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하며, 경량화된 양발 익스텐션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패널부(110)와 상기 패널부(110)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전방을 향해 직선 운동하는 모듈부(120)와 상기 패널부(110)의 전단면에 위치하여 모듈부(120)가 작동하도록 상기 모듈부(120)의 하면에 구동축(142)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브라켓(141)과 상기 브라켓(141)의 끝단에 설치되며, 구동축(142)을 회동시키는 레버(130)로 이루어진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발 익스텐션 시트{EXTENSION SEAT FOR LEG}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일부분이 좌, 우 각각 독립 회동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하며, 경량화된 양발 익스텐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성능과 안전성과 같은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시트도 함께 진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 및 동승자와 같은 탑승자 모두에게 안락함은 물론 운행시 안전을 위한 기능으로 구비된다. 또한 착석자의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가장 기본적인 시트의 길이와 높이를 여러 방향으로 각각 편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좀 더 진보된 시트의 경우, 다양한 편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중 계절에 따라 착석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열선 시트와 통풍시트가 있으며, 일부 고급 차량을 보면 마사지 기능이 더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탑승자는 시트에 착석하게 되면 대부분 안락함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각종 시트의 편의 장치에도 불구하고 일부 탑승자는 시트의 길이가 길거나 짧아 운행 중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일부 탑승자의 시트 착석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시트의 끝단에 탑승자의 다리를 지지해주는 익스텐션 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310호(등록일자:2011.05.03.)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작이 쉽고 원가가 저렴한 상부가이드레일브라켓과 이동레일브라켓 및 하부가이드레일브라켓과 이동블록을 이용하여 연장부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 다른 예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33451호(공개일자:2014.07.24.)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발판부에 연장부를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링크를 통해 작동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310호(등록일자:2011.05.0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33451호(공개일자:2014.07.24.)
본 발명은 탑승자가 시트 착석시 안락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시트 착석시 피로도를 낮추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시트 선호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시트장치는 시트의 일부분이 좌, 우 각각 독립 회동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하며, 경량화된 양발 익스텐션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전방을 향해 직선 운동하는 모듈부와 상기 패널부의 전단면에 위치하여 모듈부가 작동하도록 상기 모듈부의 하면에 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끝단에 설치되며, 구동축을 회동시키는 레버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핀으로 수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의 동력을 축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부와, 이 기어부의 회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 축으로 이루어진 구동축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가 안착하는 패널부의 하단에 상기 구동부가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블록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에 안착된 상기 구동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구동축이 관통하여 블록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진 상기 모듈부는 각각의 구동부로 조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레버에 잠금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발 익스텐션 시트는 시트의 일부분에 가변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발 익스텐션 시트의 모듈은 독립적으로 조작 및 구동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하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의 작동 모습 중 레버를 조작하는 모습,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탄성체 모습,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의 작동이 완료된 구동부의 모습,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의 작동 모습.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의 사시도와 시트 익스텐션의 조립 사시도이다.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게 되면 신체의 크기에 따라 시트가 불편할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장시간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다리가 붓거나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일부 차량에는 탑승자가 보다 쾌적하고 안락하게 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다리를 지지해주는 시트 익스텐션(100)이 구비된다.
시트 익스텐션(100)은 탑승객의 편의에 따라 시트 하단부의 패널부(110) 내측면에서 전,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모듈부(120)가 이동하여 탑승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작동하는 장치이다.
시트 익스텐션(100)은 시트의 하단에 위치하는 패널부(110)와, 패널부(110)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전방을 향해 직선 운동하여 다리와 직접 접하게 되는 모듈부(120)를 포함한다. 모듈부(120)는 양 다리에 가장 최적화된 안락함을 주기위해 두 개의 제1모듈(122)과 제2모듈(123)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모듈(122)(123)은 제1레버(131)와 제2레버(132)에 의해 독립적으로 조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모듈부(12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구동부(140)는 패널부(110)와 모듈부(120)의 사이의 위치하는 블록부(150)에 안착된다. 블록부(150)는 패널부(1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블록부(150)의 몸체에는 구동부(140)가 안착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블록부(150)의 내부공간에 안착하게 된 구동부(140)는 작동시 구동부(140)가 블록부(15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제한된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152)가 더 구비된다. 플레이트(152)의 일면에는 구동축(142)이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전, 후진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다.
구동부(140)는 모듈부(120)의 하면에 배치되며, 구동축(14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141)과, 구동축(142)을 회동 조작하기 위한 레버(130)를 포함한다.
레버(130)는 브라켓(141)의 끝단에 핀(136)에 의해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이루어지며, 레버(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기어(134)가 구동축(140) 끝단부의 제2기어(144)와 치결합되어 레버(130)의 동력은 구동축(142)의 회동 방향으로 전달된다.
제1레버(131)와 제2레버(132)는 각각 제1모듈(122)과 제2모듈(123)을 조작하게 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길이만큼 모듈부(120)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레버(131)와 제2레버(132)가 동시에 조작이 가능하도록 잠금장치(133)가 더 구비되어 하나의 레버(130)를 조작하더라도 제1모듈(122)과 제2모듈(123)이 동시에 작동된다.
도 3은 구동부의 하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제1레버(131)와 제2레버(132)에 의해 작동되는 제1모듈(122)과 제2모듈(123)은 모두 동일한 형상의 구동부(140)에 의해 작동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구동부(140)를 예시로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140)는 날개(141a)와 지지대(141b)로 이루어진 브라켓(141)에 레버(130)와 구동축(142)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브라켓(141)의 전단면에는 한 쌍의 날개(141a)가 형성된다. 이 날개(141a)에 레버(130)가 핀(1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버(130)의 내부에 제1기어(1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핀(136)이 제1기어(13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브라켓(141)과 연결된다.
브라켓(141)의 지지대(141b)에 구동축(142)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축(142)의 일단면에는 제2기어(144)가 위치하고 타단면에는 탄성체(146)와 각각 연결되어 제1기어(134)와 제2기어(144)는 치결합된다.
구동축(142)과 연결된 탄성체(146)는 브라켓(141)에 고정되며, 가이드 축(148)이 탄성체(146)에 내삽되어 구동축(142)과 접한다.
따라서 레버(130)를 조작하게 되면 제1기어(134)가 회동하게 되면서 제2기어(144)가 구동축(142)을 회전시켜 탄성체(146)의 길이를 늘이고 줄이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각 과정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시트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모듈부(120)를 전진시켜 다리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모듈부(120)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130)를 손으로 잡고 위로 살짝 올려준다.
레버(130)를 올려주게 되면 핀(136)에 고정된 레버(130)가 회전하고, 레버(130)의 내부에 구비된 제1기어(134)와 치결합된 제2기어(144)가 구동축(142)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축(142)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142)과 지지대(141b)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146)가 신장되면서 가이드 축(148)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되어 패널부(110)와 결합된 구동부(140)가 전진한다.
이때 블록부(150)에 안착한 구동부(14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이동 거리를 제안하는 플레이트(152)가 구동축(142)에 연결되어, 모듈부(120)는 패널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부(140)와 모듈부(120)는 결속구로 결합되어 있어서 함께 작동된다.
반대로 앞으로 전진된 모듈부(1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거나 후진시키고 싶을 경우, 레버(130)를 아래로 눌러주면 앞서의 진행순서와 반대로 진행되어 레버(130)의 제1기어(134)가 구동축(14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모듈부(120)가 후진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익스텐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탑승자가 레버(130)를 위로 올리면 시트에 구비되어 있던 모듈부(120)가 전진을 하게 되어 탑승자의 다리를 지지하며,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더 높은 위치에서 다리를 지지받고 싶을 경우, 레버(130)를 다수 작동시켜 모듈부(120)가 앞으로 더 전진시킬 수 있다.
제1모듈(122)과 제2모듈(123)은 모두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작동하게 되며, 제1레버(131)와 제2레버(132)에 구비된 잠금장치(133)를 체결하게 되면 제1레버(131)와 제2레버(132)가 함께 작동하게 되어 제1모률(122)과 제2모듈(123)이 동시에 전진한다.
즉, 레버(130)에 구비된 잠금장치(133)를 통해 모듈부(120)를 동시 또는 개별로 작동이 가능하다.
구동축(142)을 레버(130)와 연결한 수동 방식뿐만 아니라 구동축(142)을 전기모터와 연결하여 스위치로 조작할 수 있는 전자동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시트 익스텐션 110 : 패널부
120 : 모듈부 122 : 제1모듈
123 : 제2모듈 130 : 레버
131 : 제1레버 132 :제2레버
133 : 잠금장치 134 : 제1기어
136 : 핀 140 : 구동부
141 : 브라켓 141a : 날개
141b : 지지대 142 : 구동축
144 : 제2기어 146 : 탄성체
148 : 가이드 축 150 : 블록부
152 : 플레이트

Claims (6)

  1. 시트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전방을 향해 직선 운동하는 모듈부; 및
    상기 패널부의 전단면에 위치하여 모듈부가 작동하도록 상기 모듈부의 하면에 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끝단에 설치되며, 구동축을 회동시키는 레버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포함하는 양발 익스텐션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핀으로 수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의 동력을 축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부와, 이 기어부의 회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 축으로 이루어진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양발 익스텐션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가 안착하는 패널부의 하단에 상기 구동부가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블록부를 더 포함하는 양발 익스텐션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에 안착된 상기 구동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구동축이 관통하여 블록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양발 익스텐션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진 상기 모듈부는 각각의 구동부로 조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발 익스텐션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구비된 잠금장치가 구동부를 동시에 작동시켜 각각의 모듈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1020180032242A 2017-03-29 2018-03-20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10208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3712 WO2018182330A1 (ko) 2017-03-29 2018-03-29 양발 익스텐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096 2017-03-29
KR20170040096 2017-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99A true KR20180110599A (ko) 2018-10-10
KR102081222B1 KR102081222B1 (ko) 2020-02-25

Family

ID=6387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242A KR102081222B1 (ko) 2017-03-29 2018-03-20 양발 익스텐션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2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4164A1 (en) * 1998-08-13 2001-06-21 Ingemar Mattsson Adjustable vehicle seat
KR101034310B1 (ko) 2008-09-22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20004955U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14133451A (ja) 2013-01-09 2014-07-24 Toyota Boshoku Corp 乗り物用シート
US20160304016A1 (en) * 2013-01-24 2016-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4164A1 (en) * 1998-08-13 2001-06-21 Ingemar Mattsson Adjustable vehicle seat
KR101034310B1 (ko) 2008-09-22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20004955U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14133451A (ja) 2013-01-09 2014-07-24 Toyota Boshoku Corp 乗り物用シート
US20160304016A1 (en) * 2013-01-24 2016-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222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08636A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4479233B2 (ja) 車両の運転姿勢調整装置
JP4894787B2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KR20180110599A (ko) 양발 익스텐션 시트
CN206664363U (zh) 用于车辆的扶手组件、车辆中央控制台组件以及车辆
KR20110031781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219214794U (zh) 坐垫骨架总成和车辆
KR101878819B1 (ko)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KR200238671Y1 (ko) 자동차용 다리 받침대
JP2005306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232079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041073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JP2951081B2 (ja) シ−トの格納式フットレスト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CN117465314A (zh) 一种车辆座椅的靠背扶手联动机构
JP4665577B2 (ja) 自動車の可動フロア装置
KR100196175B1 (ko) 자동차용 시트
JPH0215706Y2 (ko)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20230160587A (ko)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JP2014201248A (ja) 車両用シート
KR19990021284U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조절장치
JPH05228038A (ja) 自動車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