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166Y1 -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166Y1
KR0140166Y1 KR2019960042492U KR19960042492U KR0140166Y1 KR 0140166 Y1 KR0140166 Y1 KR 0140166Y1 KR 2019960042492 U KR2019960042492 U KR 2019960042492U KR 19960042492 U KR19960042492 U KR 19960042492U KR 0140166 Y1 KR0140166 Y1 KR 0140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rod
support member
support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429U (ko
Inventor
남춘우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2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16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시트 백 전방 하단부에 수평으로 축지지되어, 상단부와 하단부가 전후방으로 소정각도 이동되게 설치되는 요추 받침부재와, 상기 요추 받침부재의 축중심부에 압입 설치되어 상기 요추 받침부재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양측을 상기 시트 백 내측에 고정 지지하는 고정편과,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그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대략 'S'자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봉을 소정각도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요추 받침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일측 단부에 직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핀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요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추 받침부재를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요추받침대의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안마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안마용 요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에는 안전성이나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입는 것을 막기 위해 시트벨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 백(seat back)의 측면에는 등받이 부분인 시트 백의 경사진 각도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백의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시트백의 전방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부를 안전하게 지지하므로써 장시간의 주행시에도 피곤함을 덜 느끼게 하는 요추받침대가 설치된다. 요추 받침대는 첨부도면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트백의 전방 하단부에 소정의 쿠션을 갖는 요추 받침대가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요추 받침대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의도대로 위치조절을 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탑승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요추받침대의 기능은 물론 안마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요추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 백 전방 하단부에 수평으로 축지지되어, 상단부와 하단부가 전후방으로 소정각도 이동되게 설치되는 요추 받침부재와, 상기 요추 받침부재의 축중심부에 압입 설치되어 상기 요추 받침부재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양측을 상기 시트 백 내측에 고정 지지하는 고정편과,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그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대략 'S'자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봉을 소정 각도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요추 받침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일측 단부에 직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시트 백, 24:지지봉,
26:고정편, 28:회전봉,
28a:가이드홈, 29:가이드편,
30:시트 백, 32:요추받침부재,
34:구동모터, 36:구동기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 받침대(20)는, 시트 백(30) 전방 하단부에 설치되는 요추 받침부재(22)와, 요추 받침부재(22)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24)과, 지지봉(24)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편(26)과, 가이드홈(28a)이 형성되는 회전봉(28)과, 가이드홈(28a)에 끼워져 이동하는 가이드핀(29)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요추 받침대(2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요추 받침부재(22)는 시트 백(30) 전방 하단부에 수평으로 축지지되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전후방으로 소정 각도 이동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봉(24)은 요추 받침부재(22)의 축중심부에 압입 설치되어, 요추 받침부재(2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편(26)은 지지봉(24)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봉(24)의 양측을 시트 백(30) 내측에 고정 지지하게 된다. 회전봉(28)은 지지봉(24)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그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대략 'S'자 형상의 가이드홈(28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봉(24)을 소정 각도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된다.
가이드핀(29)은 회전봉(28)의 가이드홈(28a)을 따라 이동하면서, 요추 받침부재(2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봉(24)의 일측 단부에 직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회전봉(28)의 타측 단부에 종동기어(32)가 압입설치된다. 종동기어(32)의 일측에는 이에 이맞물림되어 구동모터(34)의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동기어(36)가 구동모터(34)의 회전축에 압입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모터(34)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 버튼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가 스위치 버튼을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34)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34)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모터(34)의 회전력은 구동기어(36)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종동기어(32)가 회전하게 되어, 회전봉(28)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봉(28)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봉(28)의 가이드홈(28a)에 끼워져 있는 가이드핀(29)이 가이드홈(28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회전봉(28)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8a)은 'S'자 형상을 가지므로, 가이드핀(29)은 가이드홈(28a)을 따라 왕복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봉(24)이 회전되어 요추 받침부재(22)가 반복적으로 왕복 이송운동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요추 받침부재(22)의 상측단과 하측단이 번갈아 운전자 및 탑승자의 등을 두들기게 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주게 되는, 즉 안마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요추 받침대는 요추 받침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요추 받침대의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안마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시트 백(30) 전방 하단부에 수평으로 축지지되어, 상단부와 하단부가 전후방으로 소정 각도 이동되게 설치되는 요추 받침부재(22)와;
    상기 요추 받침부재(22)의 축중심부에 압입설치되어 상기 요추 받침부재(2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24)과;
    상기 지지봉(24)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봉(24)의 양측을 상기 시트 백(30) 내측에 고정 지지하는 고정편(26)과;
    상기 지지봉(24)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그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대략 'S'자 형상의 가이드홈(28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봉(24)을 소정각도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는 회전봉(28)과;
    상기 회전봉(28)의 가이드홈(28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요추 받침부재(2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24)의 일측 단부에 직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핀(2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요추 받침대.
  2.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회전봉(28)의 타측 단부에 압입 설치되는 종동기어(32)와;
    상기 종동기어(32)에 이맞물림되어 구동모터(34)의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모터(34)의 회전축에 압입 설치되는 구동기어(3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요추받침대.
KR2019960042492U 1996-11-27 1996-11-27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0140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492U KR0140166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492U KR0140166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29U KR19980029429U (ko) 1998-08-17
KR0140166Y1 true KR0140166Y1 (ko) 1999-04-01

Family

ID=1947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492U KR0140166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1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29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200147483Y1 (ko) 자동차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KR0128698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200145904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시트 쿠션깊이조절장치
KR012522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0124696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풋 레스트 장치
KR100196165B1 (ko) 시트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0187146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KR10049222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KR97000634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 구조
KR200154689Y1 (ko) 차량용헤드레스트위치조절장치
KR19990005107A (ko) 자동차의 시트
KR10037154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트 조절장치
KR19980023095A (ko) 시트헤드레스트좌우이동장치
KR0163338B1 (ko) 허리받이쿠션이 내장된 자동차의 시트
KR200213840Y1 (ko) 시트 등받이 회전장치
KR10041073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KR200141070Y1 (ko) 차량용 시트
KR0181849B1 (ko) 차량용 시트 백의 각도 조절장치
KR19980031782A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전, 후 조절장치
KR0164340B1 (ko)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틸트장치
KR980008722A (ko) 시트 백 형상 변형기능을 갖는 시트
KR1998002284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90036665U (ko) 자동차의 시트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