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107A - 자동차의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107A
KR19990005107A KR1019970029268A KR19970029268A KR19990005107A KR 19990005107 A KR19990005107 A KR 19990005107A KR 1019970029268 A KR1019970029268 A KR 1019970029268A KR 19970029268 A KR19970029268 A KR 19970029268A KR 19990005107 A KR19990005107 A KR 1999000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ack
rotatably coupled
rotation
seat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2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107A/ko
Publication of KR1999000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sea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백의 일부를 절첩 가능토록 하여 착석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백을 가변토록 하여 더욱 안락한 착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쿠션(10)과; 하단이 시트쿠션(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시트백(20)과; 하단이 상기 하부시트백(2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축(50)결합되는 상부시트백(30)과; 상부시트백(30)을 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선택된 위치에서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착석자의 등부분에 맞게 하부시트백 및 상부시트백의 각도를 각각 조절하여 착석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sea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백의 일부를 절첩 가능토록 하여 착석자의 자세에 따라 시트백을 가변토록 하여 더욱 안락한 착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주로 승용자동차의 시트는 앞좌석 및 뒷좌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좌석의 경우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분리되어 일인이 각각 착석할 수 있도록 된 분리형시트가 설치되고, 뒷좌석의 시트는 여러명이 나란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벤치식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의 안착상태는 안전운행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최근의 시트들은 착석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고, 특히 일정한 자세로 있게되는 운전자에게는 더욱 양호한 착석상태를 제공하여 최적의 운전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 1에는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되어 있는 일반적인 분리형시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시트는 착석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1)과, 착석상태에서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2)으로 구성된다. 시트백(2)의 상단에는 승강바(4)에 의해 착석자의 머리높이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 rest)(3)가 제공된다. 상기 시트백(2)은 하단이 시트쿠션(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시트쿠션(1)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조절손잡이(5)가 설치된다.
이러한 시트는 주로 착석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경사조절손잡이(5)를 이용하여 시트백(2)을 회전시켜 적절한 각도에서 시트백(2)을 고정하여 이상적인 착석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트의 구조는 시트백이 착석자의 상반신 전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는 경사조절손잡이(5)에 의해 시트백(2)의 경사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이는 시트백(2)전체가 회전하게 되므로 착석자의 등부분과 긴밀하게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통상적으로 인체는 착석시에 등이 약간 굽어지게 되는 것이 보통이고, 사람에 따라 그 정도는 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체형을 기준으로 제작되는 시트백(2)은 아무리 경사각 조절을 잘하여도 착석자의 등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인체의 등부분의 상부는 시트백(2)과 떨어지게 되므로 주행중인 아닌 휴식시등에는 더욱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트백을 이분하여 이단으로 조절가능토록 하므로써 착석자의 상반신을 효과적으로 지지허여 안락한 착석자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구성을 보이기 위해 시트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구성을 보인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쿠션 12: 경사조절손잡이
14: 조절스위치 20: 하부시트백
22: 하부프레임 30: 상부시트백
32: 상부프레임 34: 브라켓
34a: 볼트 40: 헤드레스트
50: 축 60: 구동모터
62:구동기어 70: 종동기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쿠션과; 하단이 시트쿠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시트백과; 하단이 상기 하부시트백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부시트백과; 상부시트백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선택된 위치에서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즉, 시트백을 상하로 이분하고 이들을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므로써 휘어진 등부분에 더욱 적합하게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착석자에게 더욱 안락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착석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시트쿠션(10)과, 하단이 시트쿠션(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경사조절손잡이(12)에 의해 회전각이 조절되어 착석자 등부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시트백(20)과, 하단이 상기 하부시트백(2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축(50)결합되어 착석자 등부분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시트백(30)과, 상부시트백(30)을 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선택된 위치에서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시트백(30)의 상부에는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도록 헤드레스트(40)가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3에 따르면 각각의 상부시트백(30)과 하부시트백(20)은 각각 내부에 프레임(22)(32)이 제공되고, 상부프레임(32)의 하단이 하부프레임(22)의 상단에 제공되는 축(50)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부시트백(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은 상부가 상부시트백(30)의 하단에 볼트(34a)고정되고, 하부가 축(50)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4)을 포함한다. 브라켓(34)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부시트백(3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브라켓(34)에 고정되는 구동모터(50)가 구비된다. 구동모터(50)는 일측에 구동기어(52)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프레임(22)의 상단에 제공되는 축(50)상에는 구동기어(5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7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종동기어(70)는 구동기어(52)에 비해 피치원지름이 크게 구성되고 축(50)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5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오히려 구동기어(52)자체를 종동기어(70)의 둘레를 따라 공전시키게 된다.
구동모터(50)는 착석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스위치(14)의 작동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이루는 것으로, 이 조절스위치(14)는 시트쿠션(10)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모터(50)는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동기어(52)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갖추어 상부시트백(30)의 고정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경사조절손잡이(12)를 조절하여 하부시트백(20)의 경사각을 조절한 상태에서 조절스위치(14)를 이용하여 상부시트백(30)의 적절하게 조절하여 착석자의 상반신을 매우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락한 착석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스위치(14)의 작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50)가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게 되면, 그에 고정되는 구동기어(7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52)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기어(70)가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기어(70)는 축(50)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제한되므로 반작용력에 의해 구동기어(52)가 종동기어(70)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0) 및 브라켓(34)이 회전하게 되고, 브라켓(34)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시트백(30)이 회전을 이루게 된다. 상부시트백(30)이 요구되는 각도에 도달하면 조절스위치(14)를 놓게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50)가 정지함과 동시에 구동기어(52)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므로 상부시트백(30)은 조절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는 시트백을 횡방향으로 이분하여 상부시트백이 하부시트백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구동수단에 의해 상부시트백을 원하는 위치로 조절가능토록 하므로써 착석자의 등부분에 맞게 하부시트백 및 상부시트백의 각도를 각각 조절하여 착석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시트쿠션(10)과;
    하단이 시트쿠션(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시트백(20)과;
    하단이 상기 하부시트백(2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축(50)결합되는 상부시트백(30)과; 상부시트백(30)을 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선택된 위치에서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부가 상부시트백(30)의 하단에 고정되고, 하부가 축(50)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4)과,
    브라켓(34)일측에 고정되어 상부시트백(30)의 회전에 동반하며, 일측에 구동기어(52)를 갖춘 구동모터(50)와; 상기 축(50)상에 고정되어 구동기어(52)와 치합되는 것으로 구동모터(50)의 회전시 구동기어(52)가 둘레를 따라 공전하도록 하는 종동기어(7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50)는 착석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스위치(14)의 작동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이루며, 미작동시에 구동기어(52)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자동차의 시트.
KR1019970029268A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시트 KR19990005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268A KR19990005107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268A KR19990005107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07A true KR19990005107A (ko) 1999-01-25

Family

ID=6598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268A KR19990005107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1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53B1 (ko) * 2012-09-06 2013-10-1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틸팅장치
CN114771363A (zh) * 2022-05-25 2022-07-22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可翻转式汽车座椅及翻转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53B1 (ko) * 2012-09-06 2013-10-1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틸팅장치
CN114771363A (zh) * 2022-05-25 2022-07-22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可翻转式汽车座椅及翻转方法
CN114771363B (zh) * 2022-05-25 2024-01-30 继峰座椅(合肥)有限公司 一种可翻转式汽车座椅及翻转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419B2 (en)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JPH10258654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19990005107A (ko) 자동차의 시트
JP2965875B2 (ja) 車両用シート
KR0128698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JP2624096B2 (ja) シート装置
KR200154689Y1 (ko) 차량용헤드레스트위치조절장치
JPH0336274Y2 (ko)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0124696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풋 레스트 장치
JPH0336275Y2 (ko)
KR100205891B1 (ko) 시트쿠션의 대퇴부 각도 조절장치
KR20040040529A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장치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KR100196175B1 (ko) 자동차용 시트
KR100526981B1 (ko) 차량용 시트의 요추 받침장치
KR19980037917U (ko) 승용차 리어시트용 사이드 헤드레스트 구조
KR100410928B1 (ko)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헤드 레스트
KR19990001622A (ko) 자동차 의자의 구조
JPS6313743Y2 (ko)
CN117002355A (zh) 用于车辆的电机驱动儿童座椅
KR0129198Y1 (ko) 차량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JPS6012440Y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20050045049A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KR19980016795A (ko) 차량의 시트 쿠션의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