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587A -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587A
KR20230160587A KR1020220060278A KR20220060278A KR20230160587A KR 20230160587 A KR20230160587 A KR 20230160587A KR 1020220060278 A KR1020220060278 A KR 1020220060278A KR 20220060278 A KR20220060278 A KR 20220060278A KR 20230160587 A KR20230160587 A KR 2023016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rmrest
rotation axis
angle
guid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빈
강신정
변득규
이현지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587A/ko
Publication of KR2023016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암레스트 브라켓,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암레스트 프레임에 대한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가이드 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링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ARM REST DEVICE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높이 및 각도로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며, 특히 승용 차량에 있어서, 승객 탑승 상태는 항상 시트에 앉아 있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쿠션과 시트백 헤드레스트를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최대한 편안한 탑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시트에는 승객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승객의 팔을 상부에 올려 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arm rest)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암레스트는 시트백의 측면에 세워서 붙여 놓을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더 나아가 수평 상태와 수직 상태 사이의 임의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팔을 지지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암레스트는 실내의 바닥과 수평인 상태로 배치하여 팔을 얹혀 놓았다가,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일측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시트의 등받이와 평행하게 세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암레스트는 그 위치 각도가 수직과 수평으로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만족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시트에 설치된 암레스트의 경우, 회동은 자유로이 되나, 그 회동 각도 위치는 성인의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므로, 사용자 체형이 크거나, 또는 작을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암레스트는 실내의 바닥과 수평인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승객이 팔 각도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종래의 암레스트는 시트 등받이가 좌석과 직각 이상의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암레스트도 같은 각도로 회동되어 암레스트가 수평한 위치의 각도를 유지할 수 없어 사용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구동 시, 4 개의 링크가 교차 회전하도록 작동하되, 높이 조절 구간 및 각도 조절 구간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된 2 개의 가이드 슬롯을 따르며 가이드 핀이 이동하여 암레스트 프레임의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설정된 시트의 작동 모드에 따라 조절되는 암레스트의 각도 및 높이가 최적화 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는 시트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암레스트 브라켓,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암레스트 프레임에 대한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가이드 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링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구동 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의 일측에서 제1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제2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에서 절곡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3회전 축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의 타측과 제4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링크 및 상기 제3링크에서 절곡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5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6회전 축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4링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4링크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이드 핀은 상기 제4링크에 형성된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에 삽입, 상기 제1링크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에서 왕복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3링크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이드 핀은 상기 제3링크에 형성된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에 삽입,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순차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에서 왕복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은 상기 제3링크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링크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정/역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은, 모터 구동 시, 4 개의 링크가 교차 회전하도록 작동하되, 높이 조절 구간 및 각도 조절 구간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된 2 개의 가이드 슬롯을 따르며 가이드 핀이 이동하여 암레스트 프레임의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설정된 시트의 작동 모드에 따라 조절되는 암레스트의 각도 및 높이가 최적화 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터와 맞물리게 결합된 링크 구조를 통해 4 개의 링크가 교차로 회전하기 때문에, 모터 구동이 중단되면, 모터와 결합된 링크 또한 작동이 중단되므로, 별도의 스토퍼 등과 같은 구성 없이도, 안정적으로 암레스트 각도 및 높이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위치로 설정된 노멀 모드에서, 소정의 높이 및 각도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설정된 릴렉스 모드로 전환되게 하거나, 또는 설정된 미사용 모드에서 상기 릴렉스 모드로 전환되게 하는 작동이 하나의 모터에 대한 정/역방향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드 변경에 따른 작동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노멀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릴렉스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미사용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노멀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릴렉스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에 대한 미사용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등받이 시트와 쿠션 시트 및 헤드레스트가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연결 수단이나, 체결 수단에 의해 각각이 하나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에 장착된다.
통상, 자동차에 구비되는 암레스트는 등받이 시트의 일측 또는 도어 트림의 일측에 용접이나, 볼팅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통상의 암레스트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회전 축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만 가능할 뿐, 높이는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탑승자의 착좌 자세 및 사용 모드의 다양화에 대응이 불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통상의 암레스트의 경우,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모드로의 전환 시 암레스트가 등받이 시트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향으로 작동되어야 하므로, 착좌 상태의 탑승자로 하여금, 하향 작동 대비 동작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한계 또한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는 암레스트 브라켓(100), 연결 링크(200) 및 구동 모터(300)를 포함한다.
암레스트 브라켓(10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연결 링크(200)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쿠션 시트의 측면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연결 링크(200)는 암레스트 브라켓(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데, 따라서 구동 모터(300)에 의해 각각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승객이 팔이 거치되기 위한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링크(200)는 제1링크(210), 제2링크(220), 제3링크(230) 및 제4링크(240)를 구비한다.
먼저, 제1링크(210)는 구동 모터(300)와 결합되며, 암레스트 브라켓(100)의 일측에서 제1회전 축(200a)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2링크(220)는 제1링크(210)와 제2회전 축(200b)에 의해 연결되며, 제1링크(210)의 단부에서 암레스트 프레임(10)의 일측을 향해 절곡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3회전 축(300c)을 통해 암레스트 프레임(10)의 일측에 마련된 제1결합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3링크(230)는 제4회전 축(200d)에 의해 암레스트 프레임(10)의 타측에 마련된 제2결합부(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링크(22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제4링크(240)는 제3링크(230)와 제5회전 축(200e)에 의해 연결되며, 제3링크(230)의 단부에서 암레스트 브라켓(100)의 타측을 향해 절곡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암레스트 브라켓(100)의 타측과 연결되는 한편, 제1링크(2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6회전 축(200f)에 의해 암레스트 브라켓(1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 링크(200)는 제1링크(210), 제2링크(220) 및 제3링크(230), 제4링크(240)가 각각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이 서로 회전 축(200a 내지 200f)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제1링크(210)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된 제2링크(220) 내지 제4링크(240)가 순차적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서,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210)는 교차되게 배치된 제4링크(24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 핀(212)을 구비하며, 이러한 가이드 핀(212)은 제4링크(240)에 형성된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에 삽입, 제1링크(210)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여, 암레스트 프레임(10)에 대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은 제4링크(24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길이를 가진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가이드 핀(212)이 내부에서 이동함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제4링크(240)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220)는 제3링크(23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 핀(222)을 구비하며, 이러한 제1가이드 핀(222)은 제3링크(230)에 형성된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에 삽입, 제1링크(210)에 의해 제2링크(220)가 순차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여, 제3링크(230)를 회전 이동시킴을 통하여, 암레스트 프레임(10)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은 제3링크(23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다.
구동 모터(300)는 암레스트 브라켓(100)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 링크(200), 더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300)의 구동 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부재(310)가 제1링크(210)와 맞물리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링크(210)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 모터(300)는 정/역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제1링크(210)를 상향 또는 하향 회전시키며, 그에 따라 제1링크(210)와 연결된 제2링크(220) 내지 제4링크(240)가 각각의 회전 축(200a 내지 200f)에 의해 회전하되, 제1가이드 핀(212) 및 제2가이드 핀(222)이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 및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게 함으로써,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함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는 다양한 설정 모드에 따라,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높이 및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설정 모드들 중, 암레스트 프레임(10)을 통해 탑승자의 팔이 안착되기 위한 위치로 설정된 노멀 모드와, 탑승자로 하여금 등받이 시트의 위치가 후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의 암레스트 프레임(10)의 위치로 설정된 릴렉스 모드와,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미사용 시 위치로 설정된 미사용 모드를 예로 들어, 전술된 구성을 바탕으로 그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멀 모드
등받이 시트의 위치가 별도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위치, 즉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탑승자로 하여금 팔을 거치하고자 구동 모터(300)를 구동시키게 되면, 기어이(210a)에 의해 구동부재(310)와 맞물리게 결합된 제1링크(210)가 제1회전 축(200a)을 따라 회전하여 구동부재(310)에 대해 기어이(210a)의 일단부가 맞물린 상태, 다시 말해 제1링크(210)가 회전 이동하여 제1링크(210)의 후면에 마련된 돌출편(미도시)이 가이드 홀(H) 최상단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제1링크(210)가 회전 축(200a)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제1가이드 핀(212)이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의 내부에서 이동,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서, 제4링크(240)가 제5회전 축(200f)을 따라 회전하며 제1링크(210)와 서로 'X' 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세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링크(210)가 회전하며 세워지게 되면, 제2회전 축(200b)을 따라 제2링크(220) 또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 제2가이드 핀(222)이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서, 제3링크(230)를 밀어 제5회전 축(200e)을 따라 회전시키게 되고, 제3링크(230)가 제2링크(220)와 서로'X' 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세워지게 된다.
여기서, 제3링크(230)가 회전되면서, 제4회전 축(200d)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위치된 암레스트 프레임(10)의 타측, 즉 제2결합부(14)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링크(220) 또한 제1링크(210)에 의해 제3회전 축(200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암레스트 프레임(10)의 일측, 다시 말해 제1결합부(12)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 프레임(10)이 탑승자의 팔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 즉 설정된 최대의 높이에서, 그 각도가 0 도에 해당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노멀 모드가 되게 한다.
즉, 제1링크(2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가이드 핀(212)이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4링크(240)가 회전하면서 세워져 그 높이가 최대 위치로 조절되고, 동시에 제1링크(210) 및 제4링크(240)에 회전 이동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220) 및 제3링크(230)가 각각의 회전 축(200b, 200e)를 따라 회전 이동하며 서로 교차되도록 세워지되, 이때 제2가이드 핀(222)이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전방에 걸림 위치됨을 통하여, 암레스트 프레임(10)의 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도록 하며,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높이가 승강 조절됨과 함께, 그 각도가 0 도에 해당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팔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한다.
릴렉스 모드
노멀 모드에서, 탑승자의 착좌 자세가 전환, 일례로 등받이 시트의 각도가 시트 쿠션을 기준으로 커진 상태에서, 탑승자 요청에 따라 암레스트 프레임(10)의 사용 요청이 이루어지면,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따른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릴렉스 모드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탑승자의 의해 릴렉스 모드가 선택되면, 구동 모터(300)의 구동 시 구동부재(310)에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제1링크(210)가 노멀 모드에서 하향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핀(212) 또한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가이드 핀(212)이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4링크(240)를 가압하여, 제4링크(240)가 제6회전 축(200f)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게 되고, 제1링크(210)와 함께 누워진 형태로 전환되는데, 그에 따라 암레스트 프레임(10) 높이가 노멀 모드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조절된다.
동시에, 제1링크(210)가 하향 회전하게 되면서, 제2링크(220) 또한 제2회전 축(200b)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이드 핀(222)이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의 내부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3링크(230)를 가압,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 제2링크(220) 및 제3링크(230) 모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3링크(230)가 제4회전 축(200d)을 중심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2가이드 핀(222)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서, 제2결합부(14)를 하강시켜, 암레스트 프레임(10)의 각도가 전방 보다 후방이 더 낮아지도록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가이드 핀(212) 및 제2가이드 핀(222)이 각각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 및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 내부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암레스트 프레임(10)이 높이는 노멀 모드 대비 약 17mm 하강하게 되고, 그 각도는 노멀 모드 대비 약 15도 경사를 가지도록 조절되기 때문에, 등받이 시트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대응하며 안정적으로 탑승자의 팔에 대한 거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미사용 모드
미사용 모드는 노멀 모드, 또는 릴렉스 모드에서, 탑승자가 암레스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높이를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드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릴렉스 모드에서 전환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릴렉스 모드에서, 미사용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구동 모터(300)가 구동되면, 구동부재(3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구동부재(310)와 기어이(210a)를 통해 맞물리게 결합된 제1링크(210) 또한 제1회전 축(200a)을 따라 하향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링크(210)가 회전 축(200a)을 따라 하향 회전하게 되면, 제1가이드 핀(212)이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서, 제4링크(240)가 제5회전 축(200f)을 따라 하향 회전하며 제1링크(210)와 함께 서로 'X' 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누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암레스트 프레임(10)의 높이를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1링크(210)에 의해 제2회전 축(200b)을 따라 제2링크(220)가 하향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2가이드 핀(222)이 이동하여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서, 제3링크(230)를 제5회전 축(200e)을 따라 하향 회전시키게 되고, 결국 제2링크(220)와 서로 'X' 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3링크(230)가 하향 회전되면서, 제4회전 축(200d)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암레스트 프레임(10)을 타측, 즉 제2결합부(14)를 더 하강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렉스 모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암레스트 프레임(10)의 각도가 더 커지게 조절되도록 된다.
즉, 제1링크(2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가이드 핀(212)이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242)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4링크(240)가 회전하면서 누워져 그 높이가 가장 낮은 위치로 조절되고, 이와 동시에 제1링크(210) 및 제4링크(240)에 회전 이동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220) 및 제3링크(230)가 각각의 회전 축(200b, 200e)를 따라 회전 이동하며 서로 교차되도록 누워지되, 이때 제2가이드 핀(222)이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232) 내부에서 이동하여 후방에 걸림 위치됨을 통하여, 암레스트 프레임(10)의 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도록 하며, 결국 암레스트 프레임(10)이 가장 낮은 높이로 조절됨과 함께, 각도가 릴렉스 모드에서 보다 더 큰 각도, 예를 들어 15.6도 경사를 가지도록 조절되어, 암레스트 장치의 미사용 시, 탑승자로 하여금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 구동 시, 4 개의 링크가 교차 회전하도록 작동하되, 높이 조절 구간 및 각도 조절 구간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된 2 개의 가이드 슬롯을 따르며 가이드 핀이 이동하여 암레스트 프레임의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설정된 시트의 작동 모드에 따라 조절되는 암레스트의 각도 및 높이가 최적화 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링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대한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터와 플레이트 사이의 기어 결합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 및 각도에서 조절된 위치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위치로 설정된 노멀 모드에서, 소정의 높이 및 각도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설정된 릴렉스 모드로 전환되게 하거나, 또는 설정된 미사용 모드에서 상기 릴렉스 모드로 전환되게 하는 작동이 하나의 모터에 대한 정/역방향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드 변경에 따른 작동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암레스트 프레임 12 : 제1결합부
14 : 제2결합부 100 : 암레스트 브라켓
200 : 연결 링크 200a : 제1회전 축
200b : 제2회전 축 200c : 제3회전 축
200d : 제4회전 축 200e : 제5회전 축
200f : 제6회전 축 210 : 제1링크
212 : 제1가이드 핀 220 : 제2링크
222 : 제2가이드 핀 230 : 제3링크
232 :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 240 : 제4링크
242 :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 300 : 구동 모터
310 : 구동부재

Claims (7)

  1. 시트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암레스트 브라켓;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암레스트 프레임에 대한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가이드 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링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구동 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의 일측에서 제1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제2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에서 절곡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3회전 축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의 타측과 제4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링크; 및
    상기 제3링크에서 절곡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5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6회전 축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 브라켓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4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4링크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이드 핀은, 상기 제4링크에 형성된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에 삽입, 상기 제1링크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에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슬롯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3링크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이드 핀은, 상기 제3링크에 형성된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에 삽입,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순차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에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가이드 슬롯은,
    상기 제3링크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링크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정/역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KR1020220060278A 2022-05-17 2022-05-17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KR20230160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78A KR20230160587A (ko) 2022-05-17 2022-05-17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78A KR20230160587A (ko) 2022-05-17 2022-05-17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587A true KR20230160587A (ko) 2023-11-24

Family

ID=8897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278A KR20230160587A (ko) 2022-05-17 2022-05-17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5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419B2 (en)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US11338714B2 (en) Vehicle seat with cantilevered headrest assembly and positioning system
KR101149075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2244747B1 (ko) 차량용 무중력 시트
KR20230020153A (ko) 자동차용 시트
KR20230020154A (ko) 자동차용 시트
CN216184685U (zh) 一种可电动调节扶手角度的车辆座椅
KR20230160587A (ko)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JP6041618B2 (ja) 座席装置
KR101785277B1 (ko) 시트 플랫화를 위한 시트쿠션 이동장치
KR102540545B1 (ko) 자동차용 시트 회전 장치
KR101252497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102141904B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611651B1 (ko) 차량용 컨트롤 암레스트 장치
KR102563449B1 (ko) 수평 유지 암레스트 장치
CN115257481B (zh) 一种儿童汽车安全座椅
CN112606748A (zh) 一种椅背角度及座垫位置可调的座椅
KR101220944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US20230356633A1 (en) Motor driven child seat for vehicle
KR102550551B1 (ko) 차량용 풀 플랫 시트
WO2024005205A1 (ja) スライド装置及びスライド装置の組み立て方法
KR20100062022A (ko) 자동차용 시트
JP2016199145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