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55U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955U
KR20120004955U KR2020100013558U KR20100013558U KR20120004955U KR 20120004955 U KR20120004955 U KR 20120004955U KR 2020100013558 U KR2020100013558 U KR 2020100013558U KR 20100013558 U KR20100013558 U KR 20100013558U KR 20120004955 U KR20120004955 U KR 201200049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gear
cushion frame
lead screw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827Y1 (ko
Inventor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20100013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2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익스텐션플레이트(9)를 이용해 체형이 큰 탑승자도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전체적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본 고안은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시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 착석자의 하체를 밑에서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시트쿠션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다양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의 시트쿠션은 다리가 긴 탑승자인 경우 허벅지를 충분히 지지하여 주지 못함으로써 탑승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로부터 불만이 제기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시트쿠션의 전방쪽 일부분이 시트쿠션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메커니즘을 구비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리가 긴 탑승자도 충분히 허벅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기구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기어기구를 통해 전달받아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리드스크루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리드스크루의 선단과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리드스크루의 이동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익스텐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쪽 좌우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핀과 함께 상기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브라켓과; 상기 로드브라켓에 양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플레이트에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가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 익스텐션로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기구는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모터축의 동력을 직각방향을 바꾸어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스크루는 상기 제2기어를 관통한 형태로 상기 제2기어의 회전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어 설치된 구조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익스텐션플레이트를 이용해 체형이 큰 탑승자도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전체적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구비된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구성하는 기어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중 상기 시트쿠션에는 시트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쿠션의 길이를 전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필요에 따라 장착된다.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3)와, 상기 구동모터(3)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기구(5)와,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을 상기 기어기구(5)를 통해 전달받아서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리드스크루(7)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리드스크루(7)의 선단과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리드스크루(7)의 직선 이동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직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익스텐션플레이트(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좌우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가이드구멍(11a)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11)과, 상기 가이드구멍(11a)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구멍(1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핀(13)과, 상기 가이드핀(13)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핀(13)과 함께 상기 가이드구멍(1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브라켓(15)과, 상기 로드브라켓(15)에 양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플레이트(9)에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가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 익스텐션로드(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장작되며, 통상적으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로 전원을 공급하는 매개체는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면에서 모터축(3a)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바, 이는 상기 구동모터(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기어기구(5)는 상기 모터축(3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19)와, 상기 모터축(3a)의 동력을 직각방향을 바꾸어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19)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21)와, 상기 제1,2기어(19,21)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어박스(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루(7)는 상기 제2기어(21)의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기어박스(23)를 관통한 형태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2기어(21)의 회전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어(21)와 치합되어 설치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의 상태는 리드스크루(7)가 후방쪽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이고, 이에 따라 익스텐션플레이트(9)는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면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한 상태인 바, 이때의 상태는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길이가 늘어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3)가 구동하면, 모터축(3a)이 회전함에 따라 제1,2기어(19,21)가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21)와 치합된 리드스크루(7)는 도 3의 상태에서 전방쪽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스크루(7)가 전방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리드스크루(7)와 결합된 익스텐션플레이트(9)도 도 4 및 도 5와 같이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는 바, 이 결과 시트쿠션은 전방으로 길이가 늘어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시트 착석자는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익스텐션플레이트(9)위에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는 편안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익스텐션플레이트(9)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동을 할 때에 익스텐션로드(17)와 로드브라켓(15)도 함께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핀(13)이 가이드구멍(15a)에 지지된 상태가 됨으로써 전방으로 돌출된 익스텐션플레이트(9)위에 시트 착석자가 다리를 올려놓게 되더라도 상기 익스텐션플레이트(9)는 항상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된 익스텐션플레이트(9)는 시트 착석자의 반복적인 스위치조작에 의해 기어기구(5)의 작동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최초 상태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비록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구성이지만 전체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화된 구성이므로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시트쿠션프레임 3 - 구동모터
5 - 기어기구 7 - 리드스크루
9 - 익스텐션플레이트 11 - 가이드브라켓
11a - 가이드구멍 13 - 가이드핀
15 - 로드브라켓 17 - 익스텐션로드

Claims (4)

  1. 시트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3)와;
    상기 구동모터(3)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기구(5)와;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을 상기 기어기구(5)를 통해 전달받아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리드스크루(7)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리드스크루(7)의 선단과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리드스크루(7)의 이동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익스텐션플레이트(9)
    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좌우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가이드구멍(11a)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11)과;
    상기 가이드구멍(11a)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구멍(1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핀(13)과;
    상기 가이드핀(13)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핀(13)과 함께 상기 가이드구멍(1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브라켓(15)과;
    상기 로드브라켓(15)에 양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플레이트(9)에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가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 익스텐션로드(17)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면에서 모터축(3a)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어기구(5)는 상기 모터축(3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19)와, 상기 모터축(3a)의 동력을 직각방향을 바꾸어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19)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21)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스크루(7)는 상기 제2기어(21)를 관통한 형태로 상기 제2기어(21)의 회전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어(21)와 치합되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00013558U 2010-12-29 2010-12-29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0476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3558U KR200476827Y1 (ko) 2010-12-29 2010-12-29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3558U KR200476827Y1 (ko) 2010-12-29 2010-12-29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55U true KR20120004955U (ko) 2012-07-09
KR200476827Y1 KR200476827Y1 (ko) 2015-04-08

Family

ID=4685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3558U KR200476827Y1 (ko) 2010-12-29 2010-12-29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545B1 (ko) * 2014-11-25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WO2018182330A1 (ko) * 2017-03-29 2018-10-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20180110599A (ko) * 2017-03-29 2018-10-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20190108669A (ko) *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다스 시트 익스텐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851B1 (ko) * 2019-11-29 2021-07-01 주식회사 다스 시트의 자세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263Y1 (ko) 2007-01-29 2008-06-03 (주)디디디 차량 시트용 다리받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545B1 (ko) * 2014-11-25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105620313A (zh) * 2014-11-25 2016-06-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坐垫伸长装置
US9821682B2 (en) 2014-11-25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WO2018182330A1 (ko) * 2017-03-29 2018-10-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20180110599A (ko) * 2017-03-29 2018-10-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발 익스텐션 시트
KR20190108669A (ko) *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다스 시트 익스텐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27Y1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850B1 (ko)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034310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07075590A (ja) 足揉み装置を内蔵可能なマッサージ椅子
KR20120004955U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104228638B (zh) 一种汽车座椅及采用该座椅的汽车
JP6833170B2 (ja) マッサージ機
KR101592035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499998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470215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CN109649238B (zh) 一种电动四向头枕
SG187531A1 (en) Chair-type massage apparatus equipped with leg kneading device
JP4347318B2 (ja) 椅子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0635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CN203766562U (zh) 座椅用坐卧动作机构及使用该机构的座椅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CN115379964B (zh) 汽车座椅及汽车
CN210881767U (zh) 带有双向角度调节机构的汽车座椅骨架
KR101470218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114194088A (zh) 座椅骨架
CN111439285A (zh) 一种交通工具上商务座椅的驱动装置
KR20110013664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10172430A (ja) 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