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678A -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678A
KR20030031678A KR1020010063470A KR20010063470A KR20030031678A KR 20030031678 A KR20030031678 A KR 20030031678A KR 1020010063470 A KR1020010063470 A KR 1020010063470A KR 20010063470 A KR20010063470 A KR 20010063470A KR 20030031678 A KR20030031678 A KR 2003003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waist
screw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1678A/ko
Publication of KR2003003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67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체격조건, 취향을 가진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허리받침대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고, 단순 플라스틱 지지판이 아닌 진동 절연성을 높인 지지체를 사용하여 아이들링 및 주행시 진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의 상하방향 가이드홈에 엠보싱 처리된 고무절연체를 삽입하여 시트백 프레임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의 허리받침대를 적용하여 시트백 패드의 인체 접촉면적을 넓혀줌으로써 체압 분포를 개선할 수 있고, 편이성을 추구하는 운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Lumbar support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4단 가변형 구조와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갖는 동시에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채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체격조건, 취향 등에 따라 최적의 허리부위 지지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시트에 적용하고 있는 허리받침대는 값이 싸고 만들기 쉬운 장점이 있으나, 다양한 운전자 개개인에 맞는 지지력을 얻을 수 없어 운전자의 체격조건, 취향, 편이성 등으로 고려하여 개선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대부분 적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허리받침대는 벤치마킹 대상인 유럽, 일본차의 허리받침대 지지력 및 감성(Feeling)에 비해 현격히 부족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차의 고급화 전략의 일환으로 운전자와 직접 접촉하여 승차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트 및 허리받침대 개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손잡이(10)를 회전시키면 플라스틱 지지판(11) 및 스틸로드 어셈블리(1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회전손잡이(10)를 축으로 회전하여 전방, 상향으로 지지력을 발생시켜 허리부위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허리받침대는 플라스틱 지지판 및 직경 8mm 정도의 스틸로드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지지력에 한계가 있다.
특히, 유럽, 일본차에 비해 상당히 부족한 지지력 및 진동 절연율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운전시 하중부담이 크고 시트백 전후진동에 민감한 허리부위를 지지하는데 있어 안락감이 부족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한, 기존의 허리받침대는 운전자의 체격조건, 취향 등에 맞는 지지력을 선택하는데 제한을 받는다.
허리부위를 지지하는 플라스틱 지지판이 약 15°정도 밖에(전후방향 최대 변위 25mm 정도) 회전하지 못하고, 업/다운 2단계로 지지력을 선택할 수는 있으나, 그마저 각 단계의 지지력에 큰 차이가 없어 단단하게 허리를 받쳐주는 느낌을 가질 수 없다.
최근들어 고객들의 차량 성능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2단계 정도의 선택사항으로는 대응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양한 체격조건, 취향을 가진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허리받침대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고, 단순 플라스틱 지지판이 아닌 진동 절연성을 높인 지지체를 사용하여 아이들링 및 주행시 진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의 상하방향 가이드홈에 엠보싱 처리된 고무절연체를 삽입하여 시트백 프레임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의 허리받침대를 적용하여 시트백 패드의 인체 접촉면적을 넓혀줌으로써 체압 분포를 개선할 수 있고, 편이성을 추구하는 운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허리받침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손잡이 11 : 플라스틱 지지판
12 : 스틸로드 어셉블리 13 : 모터
14 : 스크류바 15 : 허리받침체
16 : 축 17 : 스크류 조인트
18 : 가이드 플레이트 19 : 지지체
20 : 본체 21 : 피봇
22 : 고무판 23 : 가이드홈
24 : 고무절연체 25 : 커플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백의 폭중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모터(13)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크류 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바(14)와, 시트백의 일측 회전손잡이(10)에 의해 회전조절이 가능하며 스크류바(1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1개씩 배치되는 한쌍의 허리받침체(15)와, 스크류바(14)와 스크류 전동이 가능하고 허리받침체(15)의 축(16)을 지지하면서 함께 상하이동이 가능한 스크류 조인트(17)와, 시트백 프레임의 양쪽 세로대상에 설치되고 허리받침체(15)를 포함하는 축(16)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체(15)는 원주방향을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지지체(19)로 구성되며, 각각의 지지체(19)는 그 두께를 달리하여 허리부위의 지지력을 4단계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체(15)의 각 지지체(19)는 본체(20)상에 피봇(21)으로 연결되어 피봇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체(15)의 전체적인 형상은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2단의 유선형 곡면을 갖는 절구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19)의 전면에는 진동 절연용 고무판(22)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가이드홈(23)에는 엠보싱 처리된 고무절연체(24)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의 폭중간에는 모터(13)의 축에 커플러(25)를 통해 하단 연결되는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100)의 상단 가로대에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는 스크류바(14)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바(14)에는 서로 90°각도로 틀어져 있는 2개의 봉구조물로 이루어진 스크류 조인트(17)가 스크류 조합되어 스크류바(14)의 회전과 동시에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백의 길이중간에는 축(16)상에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허리받침체(15)가 배치되고, 상기 축(16)은 스크류 조인트(17)를 관통하면서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100)의 양쪽 세로대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가이드홈(23) 내에 끼워져 상하이동을 위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16)의 한쪽 끝에는 회전손잡이(10)가 갖추어져 있어서, 이것을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허리받침체(15)는 원주방향을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지지체(19)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지체(19)는 그 두께를 달라 회전조작에 의해 허리부위의 지지력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허리받침체(15)는 1단에서 4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져 더 높은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지지체(19)는 본체(20)상에 피봇(21)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각 단이 바뀌는 순간에 지지력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체(19)가 작은 각도의 회전을 하여 부드러운 지지력 곡선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허리받침체(15)의 전체적인 형상은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2단의 유선형 곡면을 갖는 절구통 형상, 즉 인체의 허리부위 분담하중을 적절히 분포시킬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시트백 프레임(100)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시키기 위해 허리받침체(15)가 갖는 지지체(19)의 전면에는 고무판(22)이 부착되고,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가이드홈(23) 내에는 엠보싱 처리된 고무절연체(24)가 부착된다.
이때의 고무판(22)은 각 지지체(19)의 두께에 비례하는 크기로 부착되며, 이에 따라 진동절연율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허리받침대가 갖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체격조건, 취향을 가진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허리받침대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허리받침대의 업/다운 2단계 선택사항을 4단계로 다양화시킴으로써, 1단에서 4단까지 회전손잡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화된 허리받침대 지지력을 선택할 수 있다.
2) 단순 플라스틱 지지판이 아닌 진동 절연성을 향상시킨 지지체를 사용하여아이들링 및 주행시 진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의 핸들링성능도 중요하나 1차적으로 고객에게 어필하는 요소는 진동/소음성능인데, 아이들링 및 주행시 시트백의 전후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고무판을 1단 내지 4단의 지지체에 부착하였다.
1단에서 4단으로 갈수록 지지체의 두께가 커져 지지력이 높아지므로, 진동 전달율을 낮추기 위해 고무판의 두께도 비례하여 증가시켰다.
3)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하방향 가이드홈에 엠보싱 처리된 고무절연체를 삽입하여 시트백 프레임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하여 승차감을 향상시켰다.
차체로부터 올라오는 진동은 스티어링휠, 플로어, 시트를 통해 인체로 전달된다.
따라서, 시트백 프레임의 전후진동은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허리받침대의 구조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부위의 진동 절연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하는 4단 선택 허리받침대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장치이므로, 시트백 프레임의 양쪽에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오목-볼록의 엠보싱 가동된 고무절연체를 삽입하여 쉽게 허리받침대의 축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4)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의 허리받침대를 적용하여 시트백 패드의 인체 접촉면적을 넓혀줌으로써 체압 분포를 개선하였다.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시 인체의 허리 및 척추를 부드럽게 감싸주는 디자인을 채택하여 장시간 운전시 허리 피로감을 현저히 낮춰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편이성을 추구하는 운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운전자의 앉은키에 맞게 허리받침대의 높이를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을 채택하였고, 피드백 제어가 필요없는 스텝방식의 모터를 사용하여 정확한 각도회전, 정숙성, 낮은 진동레벨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4단 가변형 구조와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갖는 동시에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체격조건, 취향 등에 따라 최적의 허리부위 지지력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시트백의 폭중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모터(13)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크류 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바(14)와, 시트백의 일측 회전손잡이(10)에 의해 회전조절이 가능하며 스크류바(1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1개씩 배치되는 한쌍의 허리받침체(15)와, 스크류바(14)와 스크류 전동이 가능하고 허리받침체(15)의 축(16)을 지지하면서 함께 상하이동이 가능한 스크류 조인트(17)와, 시트백 프레임의 양쪽 세로대상에 설치되고 허리받침체(15)를 포함하는 축(16)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체(15)는 원주방향을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지지체(19)로 구성되며, 각각의 지지체(19)는 그 두께를 달리하여 허리부위의 지지력을 4단계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체(15)의 각 지지체(19)는 본체(20)상에 피봇(21)으로 연결되어 피봇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허리받침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체(15)의 전체적인 형상은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2단의 유선형 곡면을 갖는 절구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9)의 전면에는 진동 절연용 고무판(22)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가이드홈(23)에는 엠보싱 처리된 고무절연체(24)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KR1020010063470A 2001-10-15 2001-10-15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KR20030031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70A KR20030031678A (ko) 2001-10-15 2001-10-15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70A KR20030031678A (ko) 2001-10-15 2001-10-15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678A true KR20030031678A (ko) 2003-04-23

Family

ID=2956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470A KR20030031678A (ko) 2001-10-15 2001-10-15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16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414A (ko) * 2016-07-18 2018-01-29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CN112498203A (zh) * 2020-12-22 2021-03-16 新发展(长春)汽车自控系统有限公司 机械按摩腰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362U (ko) * 1994-12-28 199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용 요추 지지체
JPH08205958A (ja) * 1995-01-31 1996-08-13 Nhk Spring Co Ltd シート装置
KR19980028225A (ko) * 1996-10-21 1998-07-15 박병재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KR19990041159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프론트시트의 시트백 허리받침대 조절장치
JPH11266964A (ja) * 1998-03-20 1999-10-05 Mitsubishi Motors Corp 座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362U (ko) * 1994-12-28 199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용 요추 지지체
JPH08205958A (ja) * 1995-01-31 1996-08-13 Nhk Spring Co Ltd シート装置
KR19980028225A (ko) * 1996-10-21 1998-07-15 박병재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KR19990041159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프론트시트의 시트백 허리받침대 조절장치
JPH11266964A (ja) * 1998-03-20 1999-10-05 Mitsubishi Motors Corp 座席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414A (ko) * 2016-07-18 2018-01-29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KR101878819B1 (ko) * 2016-07-18 2018-07-1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상단부의 돌출장치
CN112498203A (zh) * 2020-12-22 2021-03-16 新发展(长春)汽车自控系统有限公司 机械按摩腰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1861B (zh) 一种靠背倾斜角度可调的座椅
CN210652763U (zh) 座盆倾角可调节的汽车座椅
US5078449A (en) Lumbar support device
JPH08253065A (ja) 座席装置
KR20030031678A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JPH0537860Y2 (ko)
JPH05207920A (ja) シ−トバック装置及びランバ−サポ−トプレ−ト
JP2634540B2 (ja) 座席装置
JP2664603B2 (ja) 座席装置
JPH08268128A (ja) 調整機構付シート装置
CN220682217U (zh) 用于车辆的座椅和车辆
KR102611651B1 (ko) 차량용 컨트롤 암레스트 장치
JP2677502B2 (ja) 座席装置
JP4894786B2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JP2664600B2 (ja) 座席装置
JP2634541B2 (ja) 座席装置
JPH0672215A (ja) 座席装置
JPH0310992Y2 (ko)
JPS6320378Y2 (ko)
JP2664598B2 (ja) 座席装置
KR0138383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구조
JPH0678840A (ja) 座席装置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0526981B1 (ko) 차량용 시트의 요추 받침장치
KR100197255B1 (ko) 차량의 시트 백의 허리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