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688B1 -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688B1
KR101679688B1 KR1020150168886A KR20150168886A KR101679688B1 KR 101679688 B1 KR101679688 B1 KR 101679688B1 KR 1020150168886 A KR1020150168886 A KR 1020150168886A KR 20150168886 A KR20150168886 A KR 20150168886A KR 101679688 B1 KR101679688 B1 KR 10167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fixing
regulating
driv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장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6
    • B60N2/4626
    • B60N2/4633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는 암레스트의 일측면 또는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구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재를 선택적으로 후킹하여 움직임을 고정하는 규제부재;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규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규제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탄력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규제부재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틸팅 기어부; 상기 틸팅 기어부와 연결되는 걸림부; 및 상기 규제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기어해제 복원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Arm-rest til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로 암레스트의 각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에 장착되어 승객의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의 후측 상단으로 설치되어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 백과, 시트 백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로 구성된다. 또한 시트 백의 측면에는 암레스트가 구성된다.
암레스트(armrest)는 장시간의 탑승으로 인한 승객의 피로를 해소시켜 주거나 자동차의 급격한 출발, 주행시 급격한 회전 및 급제동을 할 경우 승객이 한쪽으로 갑자기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암레스트는 시트백의 양측면 또는 어느 한 측면에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암레스트는 시트백의 측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승객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해 주도록 70~80㎝ 정도의 전후 길이와 8㎝ 내외의 좌우폭을 갖도록 구성된다.근래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암레스트를 시트백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전개시킬 때 그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암레스트가 제공하는 폴딩 기능은 승객이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정도의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갖는 것이 전부이고, 종종 암레스트의 효용성에 의문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즉, 승객의 체형이 클 경우, 체형의 일부가 시트백의 좌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암레스트가 전개되어 있을 경우 승객은 암레스트로 인하여 폭이 좁은 좌석 공간 내에 위치할 수밖에 없어 매우 불편한 자세를 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승객은 자신의 체형을 고려하여 불편함을 느낄 경우 암레스트 자체를 전개 시키지 않고 시트백(20)의 측면으로 접고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암레스트를 접고 사용할 경우,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 편안하게 할 수 없어 암레스트의 기본적인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더욱이 좌석에서 승객을 잡아줄 수 없게 되어,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좌석에서 승객이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경우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에 체격이 큰 승객이 착석하더라도 암레스트를 사용하면서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암레스트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8515(2014.02.2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는 암레스트의 일측면 또는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재를 선택적으로 후킹하여 움직임을 고정하는 규제부재;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규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규제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탄력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규제부재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틸팅 기어부; 상기 틸팅 기어부와 연결되는 걸림부; 및 상기 규제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기어해제 복원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축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슬릿; 상기 제 1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제 1 핀 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핀홀; 및 상기 틸팅 기어부에 선택적으로 후킹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수직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상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홈; 및 상기 규제부재의 슬릿에 삽입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홈과 근접한 부분은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에는 제 2 탄성부재가 더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구조 단순화를 통해 중량 감소와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승객의 요구조건에 적합하도록 암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지지 플레이트의 도면,
도 4는 도 1의 래치부를 확대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지지 플레이트의 도면, 도 4는 도 1의 래치부를 확대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는 구동부재(1), 고정부재(2), 규제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1)는 미도시된 암레스트의 일측면 또는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어 암레스트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재(1)는 힌지 결합을 통하여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 회전축에 고정부재(2)를 삽입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2)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핀부재(4a)(4b)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핀홀과, 축부재(6)가 삽입되는 축부재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2)는 상기 구동부재(1)의 회전축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 결합부(2a)가 마련될 수 있다.
규제부재(3)는 암레스트의 회전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2)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규제부재(3)는 구동부재를 선택적으로 후킹하여 움직임을 고정하는 것으로, 축부재(6)가 삽입되는 슬릿(3a), 제 1 핀 부재(4a)가 삽입되는 핀홀(3b), 및 후술할 틸팅 기어부(10)에 선택적으로 후킹되는 걸림돌기(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3a)은 축부재(6)가 록킹 및 언록킹을 위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길이는 적어도 틸팅 기어부(10)의 기어 높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3c)는 수직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상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규제부재(3)가 일정 높이 상승하여 록킹이 해제된 후에는 상기 경사면이 걸림부를 벗어나 면접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규제부재(3)는 슬라이딩 이동이 제 1 탄성부재(4)에 의해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4)의 일단은 제 1 핀부재(4a)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제 2 핀부재(4b)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핀부재(4a)는 규제부재(3)에 고정되고, 제 2 핀부재(4b)는 고정부재(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규제부재(3)는 제 1 및 제 2 핀부재(4a)(4b)에 의해 후킹 위치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축부재(6)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2)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규제부재(3)에 마련된 슬릿(3a)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때, 상기 축부재(6)는 상기 고정부재(2)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홈(6a) 및 상기 규제부재(3)의 슬릿(3a)에 삽입되는 제 2 홈(6b)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홈(6b)과 근접한 부분은 상기 슬릿(3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6)에는 제 2 탄성부재(5)가 더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축부재(6)는 보다 탄력적으로 작동하여, 암레스트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할 때, 작동을 보다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초기상태에서 암레스트와 결합된 구동부재(1)를 상향으로 들면, 암레스트의 틸팅 기어부(10)의 형상에 의해 규제부재(3)의 걸림부(3c)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고정과 풀림을 반복한다. 이는 일반적인 래치 유닛의 동작과 같다. 이때, 규제부재(3)는 제 1 탄성부재(4)에 의해 항상 하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부가되고, 제 2 탄성부재(5)에 의해 항상 구동부재(1)의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는다. 이때, 규제부재(3)는 슬롯(3a)이 마련되는데, 이 슬롯(3a)에 축부재(6)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규제부재(3)는 틸팅 기어부(10)의 기어면을 따라 물림과 걸림을 반복하여 이동하다가, 기어면을 벗어나면, 암레스트 구동부재(1)의 기어해제 복원면(30)을 따라 기어에 물리지 않고 회전한다. 다시 사용자 위치로 복원된 규제부재(3)는 제 2 탄성부재(5)에 의해 암레스트와 밀착된 상태에서 복원면(30)을 따라 이동하여, 다시 사용자 위치(고정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구조 단순화를 통해 중량 감소와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구동부재 2; 고정부재
3; 규제부재 4; 제 1 탄성부재
4a; 제 1 핀부재 4b; 제 2핀 부재
5; 제 2 탄성부재 6; 축부재
7; 핀부재 10; 틸팅 기어부
20; 걸림부 30; 기어해제 복원면

Claims (5)

  1. 암레스트의 일측면 또는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재를 선택적으로 후킹하여 움직임을 고정하는 규제부재;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규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규제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탄력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규제부재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틸팅 기어부;
    상기 틸팅 기어부와 연결되는 걸림부; 및
    상기 규제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기어해제 복원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축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슬릿;
    상기 제 1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제 1 핀 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핀홀; 및
    상기 틸팅 기어부에 선택적으로 후킹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수직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상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홈; 및
    상기 규제부재의 슬릿에 삽입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홈과 근접한 부분은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는 제 2 탄성부재가 더 삽입 결합되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1020150168886A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101679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86A KR101679688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86A KR101679688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688B1 true KR101679688B1 (ko) 2016-11-25

Family

ID=5768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886A KR101679688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36B1 (ko) 2019-10-24 2021-02-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635Y1 (ko) 1997-11-14 2001-02-15 오태환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101482030B1 (ko) 2013-11-13 2015-01-13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KR101482032B1 (ko) 2013-11-13 2015-01-13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635Y1 (ko) 1997-11-14 2001-02-15 오태환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101482030B1 (ko) 2013-11-13 2015-01-13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KR101482032B1 (ko) 2013-11-13 2015-01-13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36B1 (ko) 2019-10-24 2021-02-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717B2 (en) Vehicle seat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9616784B2 (en) Vehicle seat
JP3964172B2 (ja) 車両用シート
US8960785B2 (en) Vehicle seat
CN109624805B (zh) 隔板和包括它的交通工具座位组件
JP647721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628403B1 (ko) 차량용 폴딩시트
CN114290969A (zh) 座椅用桌子
US8052214B2 (en) Seat structure
EP3666587B1 (en)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RU2684811C2 (ru) Сиденье, в частности пассажирское сиденье
JP7112465B2 (ja) シート用テーブル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JP6150597B2 (ja) 座席装置
KR20140117866A (ko) 차량용 시트
KR102546264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JP2009292403A (ja) 車両
JP2008173332A (ja) 座席構造
JP6580693B2 (ja) シートバックの前倒し装置及び乗り物用シート
KR102532295B1 (ko) 가변형 암레스트
KR101998657B1 (ko) 차량의 스위치형 헤드레스트
KR20230157152A (ko) 암레스트 틸팅장치
JP6513738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