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635Y1 -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635Y1
KR200212635Y1 KR2019970032695U KR19970032695U KR200212635Y1 KR 200212635 Y1 KR200212635 Y1 KR 200212635Y1 KR 2019970032695 U KR2019970032695 U KR 2019970032695U KR 19970032695 U KR19970032695 U KR 19970032695U KR 200212635 Y1 KR200212635 Y1 KR 200212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topper
reverse
ratche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784U (ko
Inventor
김화식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오태환
주식회사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환, 주식회사한일 filed Critical 오태환
Priority to KR2019970032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635Y1/ko
Publication of KR980001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6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차용 아암레스트(armrest)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그 구성의 단순화로 원가절감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각도조절 작동시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즉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1)인 백프레임(3) 일측으로 설치되는 래칫휠(6)에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래칫(7) 및, 상기 래칫(7)의 상하로 역전용 캠(8)과 전환캠(1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역전용 캠(8) 및 전환캠(10)에 의해 아암레스트(2)상에 부착되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7)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걸림작동 및 완전 분리될 수 있도록 스프링(16)에 탄력 설치되고 아암레스트(2)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품 수를 간단히 하여 제조원가를 염가로 할 수 있고, 장치의 고장률 역시 현격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아암레스트(armrest)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그 구성의 단순화로 원가절감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각도조절작동시 편의성을 극댕하시킨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의 자동차용 시트 좌우로 선택취부되는 아암레스트는 시트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장치가 다수 안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는 그 구성부재가 많아 제조원가 상승의 주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고장률이 높고, 각도조절방식은 주로 래칫기어에 단속되는 역전방지용 스토퍼를 단속해제시키는 보턴을 푸시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동이 필요하여 보다 간편하게 원하는 각도로 아암레스트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의 개발은 업계의 절실한 과제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의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구성을 단순한시켜 원가절감은 물론 고장률을 줄여 장치 내구성을 극대화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고, 또한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작동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극대화함에 기술적 과제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3, 4, 5도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1 : (자동차용)시트
2 : 아암레스트 3 : 백프레임
4 : 고정브라켓 5 : 축핀
6 : 래칫휠 7 : 래칫
8 : 역전용 캠 9 : 스토퍼
10 : 전환캠 10a : 라운드부
11 : 역전방지용 스토퍼 12 : 레버
13 : 축핀 14 : 걸림스토퍼
15 : 고정편 16 : 스프링
17 : 스토퍼공 17a : 정방향 스토퍼공
17b : 역방향 스토퍼공
도1은 본고안에서 개시하는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A)가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1)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통상의 아암레스트(2)는 시트(1)의 좌우 선택적으로 취부되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상하로 각운동식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A)는 시트(1)의 백프레임(3) 좌우 택일하여 취부되는데, 도시한 예는 백프레임(3)의 우측에 취부한 경우이다. 즉 백프레임(3)의 하측에는 고정브라켓(4)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부착하고, 상기 고정브라켓(4)에는 축핀(5)을 고정하여 개략 호형의 래칫휠(6)을 축삽고정토록 한다. 상기한 래칫휠(6)에는 소정각도(아암레스트의 각도 조절 가능한 정도를 얘기하는 것임)만큼 래칫(7)이 수개 형성되고, 상기 래칫(7)의 상단에서 약간 떨어진 래칫휠(6)상에는 역전용 캠(8)이 돌출 형성되고, 이의 후상측으로는 아암레스트(2)의 상방으로 각운동을 제한하는 개략 산형의 스토퍼(9)가 돌출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휠(6)의 하측 즉 래칫(7)의 하단에서 약간 떨러진 래칫휠(6)상에는 측면 상에서 개략( ㄴ )형으로 형성되고 수직면부의 상단이 라운드부(10a)를 가진 전환캠(10)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한 래칫휠(6)이 축삽고정되는 축핀(5)의 선측으로는 아암레스트(2)가 각운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바, 아암레스트(2)에는 상기 래칫휠(6)상의 래칫(7)과 연접하면서 선택걸림될 수 있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를 각운동 가능한 레버(12)의 일단에 부착된다. 즉 아암레스트(2)의 일측으로는 축핀(13)을 고정하여 레버(12)를 각운동 가능하게 축설하되, 상기 레버(12)의 상측 일단에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를 형성하고 레버(12)의 타단에는 걸림스토퍼(14)를 형성하여 아암레스트(2)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15)과 스프링(16)을 탄력 설치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12)에 형성되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아암레스트(2)에서 래칫휠(6)상으로 경유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은 레버(12)의 각운동 범위를 결정하고, 역전방지용 스토퍼(11)를 래칫(7)에서 걸림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 즉 아암레스트(2)가 상방으로 각운동할 시에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걸림 작동을 수행토록 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각운동할 시에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자동으로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 호형의 스토퍼공(17)으로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공(17)양단부에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의 정방향 걸림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수 있도록 정방향 스토퍼공(17a)과 역방향 스토퍼공(17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고안의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A)를 사용하여 아암레스트(2) 각도조절 방법과 각 구성부의 작용을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의 아암레스트(2)는 자동차용시트(1) 좌우 선택적으로 취부되는바, 시트(1)에 상용자가 착좌시 좌측에 아암레스트(2)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키로 한다.
사용자가 시트(1)에 착촤후 아암레스트(2)의 상하각도를 조절코자 할시에 도 3과 같은 위치로 아암레스트(2)가 각도 조절되어 있다면 상방으로의 각도조절은 극히 간단한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3과 같은 상태는 아암레스트(2)의 레버(12) 일단에 형성된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휠(6)상의 수개의 래칫(7)중 하나에 선택 걸림된 상태이므로 아암레스트(2)의 선측부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아암레스트(2)를 각운동시키면 수개의 래칫(7)중 선택된 하나에 걸림 되어 있던 역전방지용 스토퍼(11)는 래칫(7)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진행되면서 미폭 각운동하게 되고 차기의 래칫(7)으로 순차적으로 넘어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방 각운동을 정지시키면 선택된 하나의 래칫(7)에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걸림 상태로 전환하게되고, 이러한 역전방지용 스토퍼(11)의 미폭 각운동이 가능한 것은 역전방지용 스토퍼(11)는 각운동이 가능한 레버(1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역전방지용 스토퍼(11)는 아암레스트(2)에 형성된 스토퍼공(17)을 경유하여 래칫(7)에 걸림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때 중요한 것은 아암레스트(2)상의 축핀(13)에 축설된 레버(12)와 스프링(16)의 각도(α)인데, 즉 스프링(16)의 중심선(S)을 0°로 기준할 때 레버(12)의 중심선(T)과 스프링(16)의 중심선(S)이 교차하는 지점(P)이 이루는 각도(α), 즉 ∠넷SPT는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갖도록 설치된다는 점이다. 이는 레버(12)의 일단에 형성된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7)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프링(16)의 탄성이 필요한데, ∠SPT가 중심선(s)를 0°로 기준할 때 반시계방향으로 전환되어 각도가 β가 되어 버리면 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레버(12)는 축핀(13)을 기점으로 하여 역방향 즉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7)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레버(12)를 각운동시키게 되므로 아암레스트(2)의 상방으로의 각도조절 시에는 필히 ∠SPT는 중심선(S)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은 아암레스트(2) 각도조절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아암레스트(2)를 각도조절코자 할 시는 사용자는 아암레스트(2)의 선측을 손으로 잡고 아암레스트(2)를 상방으로 각운동이 제한될 때 까지 각운동시킨후 하방으로 재차 아암레스트(2)를 각운동시켜 하측에서 아암레스트(2)의 각도를 상방으로 단계적으로 조절하면 된다. 즉 아암레스트(2)를 상방으로 각운동시키면 전기와 같이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7)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역전용 캠(8)에 연접경유하면서 하게 되는데, 이때 역전방지용 스토퍼(11)는 역전용 캠(8)에 연접하면서 스토퍼공(17)의 역방향 스토퍼공(17b)으로 이동하게 되며, 당연히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형성된 레버(12)도 동시에 축핀(13)을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각운동하게 되는데, 이때 역방향 스토퍼공(17b)으로 진입한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재차 정방향 스토퍼공(17a)으로 복원되지 않는 것은 바로 스프링(16)과 레버(12)가 이루는 각도 때문이다.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역방향 스토퍼공(17b)으로 진입한 상태의 레버(12)의 중심선(T)과 스프링(16)의 중심선(S)이 교차하는 지점 P와 이루는 ∠SPT는 도 4와 같이 중심선(S)을 0°로 기준할 때 반시계방향으로 각도가 β가 되어 레버(12)를 우상방으로 당기는 탄성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휠(6)의 래칫(7)에는 전혀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서, 이때 사용자는 아암레스트(2)릍 하방으로 각운동시킨다. 아암레스트(2)가 하사점에 이르면 래칫휠(6) 하측에 형성된 전환캠(10)외 라운드부(10a)에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연접되면서 라운드부(10a)를 따라 경유하면서 역전방지용 스토퍼(11)는 역방향 스토퍼공(17b)에서 정방향 스토퍼공(17a)으로 이동하게 되며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형성된 레버(12)도 동시에 축핀(13)을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과 같은 전환이 되어 재차 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레버(12)는 좌상방으로 탄성을 받게 되는 것이며, 차기로 사용자가 아암레스트(2)를 순차적으로 시계방향으로 각운동시키면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7)에 순차걸림식으로 연접하면서 아암레스트(2)에 사용자가 손을 놓는 위치, 즉 각도 조절한 위치에서 아암레스트(2)는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1)의 백프레임(3) 일측으로 설치되는 래칫휠(6)에는 래칫(7) 및 상하로 역전용 캠(8)과 전환캠(10)을 형성하고, 상기 역전용 캠(8) 및 전환캠(10)에 의해 아암레스트(2)상에 부착되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래칫(7)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걸림 작동 및 완전 분리될 수 있도록 스프링(16)에 탄력설치되고 각운동 가능한 레버(12)상에 설치하여 아암레스트(2)의 상하 각운동 작동만으로 아암레스트(2)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임의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그 구성부재가 종래의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에 비하여 지극히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염가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률 역시 현격히 줄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시트(1)의 백프레임(3)의 측면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프레임(3) 일측의 고정브라켓(4)의 축핀(5)에 고정 결합되는 래칫휠(6)에는 호형상의 래칫(7)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래칫(7)의 상하단부에 역전용캠(8)과 전환캠(1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축핀(5)의 선단에는 각도 조절되는 아암레스트(2)를 축결합한 뒤에 상기 아암레스트(2)의 일측면에 레버(12)를 탄력적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레버(12)의 일단에는 상기 래칫휠(6)의 래칫(7), 역전용 캠(8), 전환캠(10)에 연접되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12)의 타단에는 상기 아암레스트(12)와 연결된 스프링(16)을 탄력 설치하며,
    상기 아암레스트(2)에는 상기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위치되는 스토퍼공(17)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스토퍼공(17)과 연통하는 정방향 스토퍼공(17a)과 역방향 스토퍼공(17b)을 상호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상기 정방향 스토퍼공(17a)에 위치할 때에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와 래칫(7)이 연접되고, 상기 역전방지용 스토퍼(11)가 상기 역방향 스토퍼공(17b)에 위치할 때에는 역전방지용 스토퍼(11)와 래칫(7)이 이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KR2019970032695U 1997-11-14 1997-11-14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212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695U KR200212635Y1 (ko) 1997-11-14 1997-11-14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695U KR200212635Y1 (ko) 1997-11-14 1997-11-14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84U KR980001784U (ko) 1998-03-30
KR200212635Y1 true KR200212635Y1 (ko) 2001-02-15

Family

ID=5389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695U KR200212635Y1 (ko) 1997-11-14 1997-11-14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6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551B1 (ko) * 2015-08-28 2016-11-24 (주)티에프에스 차량 암레스트용 각도조절장치
KR101679688B1 (ko) 2015-11-30 2016-11-2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20210009251A (ko) 2019-07-16 2021-01-26 대원산업 주식회사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CN112677846A (zh) * 2021-03-12 2021-04-20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扶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551B1 (ko) * 2015-08-28 2016-11-24 (주)티에프에스 차량 암레스트용 각도조절장치
KR101679688B1 (ko) 2015-11-30 2016-11-2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20210009251A (ko) 2019-07-16 2021-01-26 대원산업 주식회사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CN112677846A (zh) * 2021-03-12 2021-04-20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扶手
CN112677846B (zh) * 2021-03-12 2021-05-28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扶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8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490B2 (en) Seat
US7284799B2 (en) Armrest tilting device
US6010190A (en) Seat track with cam actuated locking device and bypass assembly
US20100109406A1 (en) Seat
US5813725A (en) Rotary gear lock seat recliner
JPS58165812A (ja) 調節可能な背もたれを持つ座席の継手金具
US6254188B1 (en) Seat track with cam actuated locking device
EP1627769B1 (en) Armrest apparatus
CN101314331A (zh) 交通工具座椅
US7017994B2 (en) Motor vehicle seat
US20030006641A1 (en) Device for the detachable attachment of an object, in particular a child's safety seat, on a motor vehicle seat
KR200212635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CA2435996C (en) Vehicle seat recliner having a sliding pawl
US6655741B2 (en) Simplified linear recliner having a fixed pawl
JP2601639B2 (ja) 乗物シート用の遊び無しの関節式接続装置
US5028091A (en) Remote seat back adjuster
CN210027152U (zh) 一种多档位调节头枕
GB2106172A (en) Seat back adjustment mechanism
US5216937A (en) Mechanical positioning jack for vehicle seats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2003054293A (ja) 車両用角度可変子供用安全シート
KR200225492Y1 (ko) 승객보호용회전식시트
JPS6229306Y2 (ko)
US6890035B2 (en) Disc recliner dump lock
JPS6030092Y2 (ja) シ−トバツクにおける腰椎支承力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