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236B1 -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236B1
KR102219236B1 KR1020190133029A KR20190133029A KR102219236B1 KR 102219236 B1 KR102219236 B1 KR 102219236B1 KR 1020190133029 A KR1020190133029 A KR 1020190133029A KR 20190133029 A KR20190133029 A KR 20190133029A KR 102219236 B1 KR102219236 B1 KR 10221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hinge pin
cam
hin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장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암레스트 틸팅장치가 일측면에 구비되며 일면에 부품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홈이 구비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수평하게 반대측면에 위치되어 일측면에 암레스트힌지가 구비되고, 상기 암레스트힌지를 회동축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동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양끝단이 중심부보다 큰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와 양끝단의 경계의 원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힌지핀;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힌지의 외주면에 끝단이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되는 캠; 상기 힌지핀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끝단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가 회동될 경우 상기 캠에 반시계 방향 탄성력을 작용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캠의 회동 궤적내에 위치되어 상기 캠의 반시계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Arm-rest til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로 암레스트의 각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에 장착되어 승객의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의 후측 상단으로 설치되어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 백과, 시트 백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로 구성된다. 또한 시트 백의 측면에는 암레스트가 구성된다.
암레스트(armrest)는 장시간의 탑승으로 인한 승객의 피로를 해소시켜 주거나 자동차의 급격한 출발 주행 시 급격한 회전 및 급제동을 할 경우 승객이 한쪽으로 갑자기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암레스트는 폴딩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 및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비해 부품이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승객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79688 (2016.11.21 등)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종래보다 부품이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승객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틸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레스트 틸팅장치가 일측면에 구비되며 일면에 부품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홈이 구비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수평하게 반대측면에 위치되어 일측면에 암레스트힌지가 구비되고, 상기 암레스트힌지를 회동축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동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양끝단이 중심부보다 큰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와 양끝단의 경계의 원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힌지핀;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힌지의 외주면에 끝단이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되는 캠; 상기 힌지핀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끝단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가 회동될 경우 상기 캠에 반시계 방향 탄성력을 작용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캠의 회동 궤적내에 위치되어 상기 캠의 반시계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틸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암레스트 틸팅장치는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며, 중량 및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 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암레스트 틸팅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배치되어 일측면에 암레스트힌지(121)가 구비되고 작동 시 암레스트힌지(121)를 회동축으로 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부(120), 상기 구동부(120)의 암레스트힌지(12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캠(140), 상기 고정부(110)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캠(140)의 측면에 결합되어 회동축이 되는 힌지핀(130), 상기 캠(140)이 작동될 경우 반시계방향의 이동을 통제하는 스토퍼(160), 상기 힌지핀(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140)에 결합되어 구동부(120)의 회전 시 캠(140)이 본래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토션스프링(150)을 포함하는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종래 암레스트 틸팅장치(100)에 비해 부품이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승객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암레스트 틸팅장치(1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의 형상은 시트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시트백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경우 시트백의 외측면에는 결합될 수 있는 공간과 복수개의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결합홈에는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부재들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고정부(110)는 시트백(미도시)과 결합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결합되는 부분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10)는 독립된 부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고정부(110)는 일측면에 암레스트 틸팅장치(100)의 부품이 조립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은 암레스트힌지홈(111), 제 1 힌지핀결합홈(112), 제 1 토션스프링결합홈(113) 및 스토퍼결합홈(114)이 포함될 수 있다.
암레스트힌지홈(111)은 후술할 구동부(120)의 암레스트힌지(121)에 형성된 원형홈과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연통될 수 있다. 암레스트힌지홈(11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힌지홈(111)은 주변에 소정의 오목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시트백과 연결을 위한 부재가 위치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제 1 힌지핀결합홈(112)은 암레스트힌지홈(11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핀결합홈(112)은 후술할 힌지핀(130)이 삽입될 수 있다. 제 1 힌지핀결합홈(112)은 후술할 캠(140)과 암레스트힌지(121)가 접촉되는 위치와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힌지핀결합홈(112)의 외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단(S1)이 형성될 수 있다. 단(S1)은 고정부(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힌지핀결합홈(112)의 전면에는 후면의 단(S1)의 형상과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힌지핀결합홈(112)은 후술할 힌지핀(130)에 결합된 후술할 토션스프링(150)이 고정부(110)의 표면과 닿아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토션스프링결합홈(113)은 후술할 토션스프링(150)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 1 토션스프링결합홈(113)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결함홈(113)과 힌지핀결함홈(112)은 후술할 토션스프링(150)의 코일부(151)와 끝단의 간격과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결합홈(114)은 후술할 스토퍼(16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결합홈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결합홈(114)은 후술할 스토퍼(160)가 결합될 경우 후술할 캠(140)의 회동궤적에 위치될 수 있다.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고정부의 반대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암레스트힌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암레스트힌지(121)는 구동부(120)의 일측면에 직경이 다른 원기둥 형상이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암레스트힌지(121)의 구동부(120)에 가까울수록 큰 직경의 원기둥 형상이 위치되며, 상부에 형성될수록 직경이 작은 원기둥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힌지(121)의 중앙에는 원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힌지(121)의 외주면에는 틸팅기어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틸팅기어부(122)는 암레스트힌지(121)의 외주면의 일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틸팅기어부(122)는 다수개의 돌기(D1)로 형성될 수 있다. 틸팅기어부(122)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D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틸팅기어부(122)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D1)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위치될 수 있다. 틸팅기어부(122)의 외주면에는 복귀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복귀면(123)은 틸팅기어부(122)의 돌기(D1)의 끝단에서부터 외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힌지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핀(13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양 끝단의 머리부분(131)은 중심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부와 양끝단의 경계에는 중심부의 원주면을 따라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130)의 일단은 홈(132)이 고정부(120)에 형성된 제 1 힌지핀결함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타단은 후술할 캠(140)의 제 2 힌지핀결합홈(141) 결합될 수 있다. 힌지핀의 머리부분(131)은 고정부(12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타단의머리부분(133)은 힌지핀(130)에 결합된 후술할 캠(140)의 후면에 위치되어 후술할 캠(140)의 이동에 의한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암레스트틸팅장치(100)는 캠(140)을 포함할 수 있다. 캠(140)은 일면에 제 2힌지핀결함홈(141)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힌지핀결합홈(141)에는 힌지핀(1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140)은 힌지핀(130)에 구속되며 힌지핀(130)을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캠(140)은 힌지핀(130)에 구속되어 회동 시 틸팅기어부(122)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캠(140)의 틸팅기어부(122)와 접촉되는 부분의 형상은 틸팅기어부(122)의 돌기(D1)에 대응되는 경사의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140)은 틸팅기어부(12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돌기(D1)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캠(140)은 일면에 제 2 토션스프링결합홈(1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토션스프링결합홈(142)은 제 2 힌지핀결합홈(141)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 2 토션스프링결함홈(142)과 제 2 힌지핀결합홈(141)의 거리는 후술할 토션스프링(150)의 코일부(151)와 끝단의 거리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캠(140)은 외측면의 일부면에 스토퍼안착공간(133)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안착공간(133)은 후술할 스토퍼(16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후술할 스토퍼(1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토션스프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150)은 힌지핀(130)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150)의 양끝단 중 일단은 고정부(110)에 형성된 제 1 토션스프링홈(113)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양끝단에서 타단은 캠(140)에 형성된 제 2 토션스프링홈(14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캠(140)은 힌지핀(130)을 회동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암레스트 틸팅장치(100)는 스토퍼(160)가 포함될 수 있다. 스토퍼(160)는 원기둥의 삽입부 형상과 삽입되는 중심부보다 큰 직경의 머리부분(16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60)는 고정부(110)의 스토퍼결합홈(114)에 삽입되어 위치될 경우 스토퍼(160)의 머리부분(161)은 일면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60)의 끝단은 구동부(120)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게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0)는 고정부(110)에 결합되어 캠(140)의 회동 궤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60)의 외주면은 캠(140)의 스토퍼안착공간(133)에 접촉될 수 있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토션스프링(150)에 의해 캠(140)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션스프링(150)에 의해 캠(140)은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는 캠(140)이 틸팅기어부(122)에 안착되는 틸팅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틸팅고정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되어 캠(140)이 틸팅기어부(122)를 벗어나면 복귀면(123)으로 캠(140)이 접촉된다. 이에 따라 틸팅기어부(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귀면(123)을 따라 복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암레스트 틸팅장치는 종래의 암레스트 틸팅장치에 비해 부품이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승객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각도조절이 되는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거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고정부 111:암레스트힌지홈
112:제 1 힌지결합홈 113:제 1 토션스프링결합홈
114:스토퍼결합홈
120:구동부 121:암레스트힌지
122:틸팅기어부 123:복원면
130:힌지핀
140:캠 141:제 2 힌지핀결합홈
142:제 2 토션스프링결합홈 143:스토퍼안착공간
150:토션스프링 160:스토퍼

Claims (5)

  1. 암레스트 틸팅장치(100)가 일측면에 구비되며 일면에 부품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홈이 구비된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와 수평하게 반대측면에 위치되어 일측면에 암레스트힌지(121)가 구비되고, 상기 암레스트힌지(121)를 회동축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동부(120);
    상기 고정부(110)에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양끝단이 중심부보다 큰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와 양끝단의 경계의 원주면을 따라 홈(132)이 형성된 힌지핀(130);
    상기 힌지핀(130)에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힌지(121)의 외주면에 끝단이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120)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핀(130)을 축으로 회동되는 캠(140);
    상기 힌지핀(13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끝단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14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120)가 회동될 경우 상기 캠(140)에 반시계 방향 탄성력을 작용하는 토션스프링(150); 및
    상기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캠(140)의 회동 궤적내에 위치되어 상기 캠(140)의 반시계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60); 를 포함하며
    상기 캠(140)은
    제 2 힌지핀결합홈(14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토션스프링결합홈(142); 및
    외측면에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한 반시계방향 회동 시 외측면에 구비된 오목한 공간에 상기 스토퍼(160)가 안착되는 스토퍼안착공간(143); 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160)는
    중심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분(161)과 원통형의 삽입부분(162)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10)와 결합될 경우 상기 머리부분(161)의 일측면이 상기 고정부(110)의 표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 2 힌지핀결합홈(141)은
    상기 캠(14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핀(130)이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캠(140)이 회동 시 틸팅기어부(122)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토션스프링결합홈(142)과 제 2 힌지핀결합홈(141)과 이격된 거리는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코일부(151)와 끝단의 거리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암레스트 틸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암레스트힌지(121)의 원형홈에 대응되어 형성된 암레스트힌지홈(111);
    상기 힌지핀(130)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130)에 결합된 상기 토션스프링(150)이 간섭되지 않도록 단(S1)이 형성된 제 1 힌지핀결합홈(112); 및
    상기 제 1 힌지핀결합홈(11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토션스프링홈(113); 을 포함하는 암레스트 틸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힌지(121)는
    외주면의 일부면에 돌기(D1)가 구비된 틸팅기어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기어부(122)는,
    외측면에 복귀면(123)이 형성된 암레스트 틸팅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133029A 2019-10-24 2019-10-24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10221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29A KR102219236B1 (ko) 2019-10-24 2019-10-24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29A KR102219236B1 (ko) 2019-10-24 2019-10-24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236B1 true KR102219236B1 (ko) 2021-02-24

Family

ID=7468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29A KR102219236B1 (ko) 2019-10-24 2019-10-24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2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04A (ko) * 2003-05-07 2004-11-16 정해일 자동차용 암레스트
KR101679688B1 (ko) 2015-11-30 2016-11-2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04A (ko) * 2003-05-07 2004-11-16 정해일 자동차용 암레스트
KR101679688B1 (ko) 2015-11-30 2016-11-2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7645B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JP2017039468A (ja)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
KR101356136B1 (ko) 차량용 시트 백 래치
US20160339805A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for vehicle
JP7123102B2 (ja) シート用テーブル
KR102219236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101423774B1 (ko) 시트백 연동형 자동 암레스트장치
JPH06141949A (ja) アームレストの角度調整機構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412244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852630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JP4716725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30157152A (ko) 암레스트 틸팅장치
JP2000095062A (ja) シートベルト取付構造
KR200490920Y1 (ko) 버스 승객용 좌석시트 장치
JP2541913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2010051385A (ja) アームレスト
KR101869052B1 (ko) 가변샤프트부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JPH07265169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20060024291A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장치
JP2001347866A (ja) 自動車の座席取付け構造
JP2553186Y2 (ja) クッション性可変シート
JP2772602B2 (ja) 乗物用の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