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403B1 - 차량용 폴딩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폴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403B1
KR101628403B1 KR1020100134438A KR20100134438A KR101628403B1 KR 101628403 B1 KR101628403 B1 KR 101628403B1 KR 1020100134438 A KR1020100134438 A KR 1020100134438A KR 20100134438 A KR20100134438 A KR 20100134438A KR 101628403 B1 KR101628403 B1 KR 10162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lower frame
links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602A (ko
Inventor
정용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0013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4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4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의 폴딩 및 시트쿠션의 다이브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됨은 물론,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시트백의 원활한 리클라이닝 동작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폴딩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폴딩시트{Folding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시트백을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시트쿠션 위에 중첩되는 상태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폴딩시트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는 다수의 시트가 장착되어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의 시트들 중에는 시트백을 시트의 전방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폴딩시트가 있으며, 이러한 폴딩시트는 주로 차량의 2열이나 3열에 탑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시트 베리에이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상기 폴딩시트는 기본적으로는 시트백이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시트쿠션 위로 중첩되게 접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상기와 같이 시트백이 접힐 때, 시트쿠션이 하방으로 최대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시트쿠션 위에 접힌 시트백의 상단 높이가 최대한 낮아지도록 하여, 시트의 상측에 최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상기 폴딩시트의 구조는 시트백과 시트쿠션 사이를 다이브링크로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될 때,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백과 연동하여 하측으로 내려가는 다이브 기능(DIVE FUNCTION)이 함께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백과 시트쿠션이 다이브링크로 연결된 구조에서는, 탑승자가 시트쿠션 위에 앉아 있을 때,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눌리고 있고, 상기 시트백은 상기 다이브링크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에 연결되어 있으므 로,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동작시 상기 다이브링크에서 작용하는 저항력에 의해 상기 리클라이닝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백의 폴딩 및 시트쿠션의 다이브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됨은 물론,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시트백의 원활한 리클라이닝 동작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폴딩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폴딩시트는
로워프레임과;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프레임과;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쿠션프레임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됨에 의해 상기 쿠션프레임을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로워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와;
상기 쿠션프레임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가 상기 쿠션프레임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링크고정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링크고정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쿠션프레임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링크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해제수단과;
상기 쿠션프레임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력제공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백의 폴딩 및 시트쿠션의 다이브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함은 물론,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시트백의 원활한 리클라이닝 동작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시트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폴딩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폴딩시트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주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로워프레임(1)과;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프레임(3)과;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쿠션프레임(5)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됨에 의해 상기 쿠션프레임(5)을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로워프레임(1)과 상기 쿠션프레임(5)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7)와; 상기 쿠션프레임(5)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링크(7)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가 상기 쿠션프레임(5)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링크고정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링크고정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쿠션프레임(5)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링크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해제수단과; 상기 쿠션프레임(5)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링크(7)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력제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백프레임(3)은 상기 쿠션프레임(5)과 아무런 직접적인 연결관계 없이,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장치(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로워프레임(1)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6)에 상기 시트백프레임(3)과 일체로 회동되는 회전프레임(8)이 리클라이닝장치(9)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시트백프레임(3)은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상기 리클라이닝장치(9)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5)과는 종래와는 달리 아무런 기구적 연결구조를 가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트백프레임(3)은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상기 리클라이닝장치(9)를 통해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종래와 같이 시트쿠션 위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중량에 의한 영향에서 구조적으로 완전히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링크(7)들은 총 4개로 구성하였는 바, 상기 다수의 링크들은 시트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제1링크(7-1)들과 시트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제2링크(7-2)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제1링크(7-1)들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력제공수단은 상기 제2링크(7-2)들 중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제1링크(7-1)가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동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링크(7-1)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11)과, 상기 제1링크(7-1)와 평행한 회동축으로 상기 로워프레임(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11)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1링크(7-1)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3)를 구비한 폴레버(15)와, 상기 폴레버(15)의 걸림부(13)가 상기 걸림턱(11)의 회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해제수단은 상기 폴레버(15)가 상기 리턴스프링(1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걸림턱(11)의 회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회동되도록, 상기 폴레버(15)를 회동시키도록 설치된 해제케이블(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1, 2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폴레버(15)가 상기 리턴스프링(17)에 의해 당겨져 있어서, 상기 폴레버(15)가 상기 제1링크(7-1)의 걸림턱(11)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1링크(7-1)의 회동이 억제됨으로써, 전체 링크들의 회동이 금지되어 상기 쿠션프레임(5)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상기 해제케이블(19)을 당겨서 상기 폴레버(15)가 상기 제1링크(7-1)의 걸림턱(11)을 해제하면, 상기 제1링크(7-1)가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5)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해제케이블(19)은 시트백의 상부 등과 같은 위치에 별도의 노브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노브를 작동시키면, 상기 폴레버(15)를 회동시켜 상기 제1링크(7-1)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브에는 상기 리클라이닝장치(9)를 작동시키는 케이블도 함께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노브를 작동시켜서 시트백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폴딩하면서 하측으로 누르면 시트쿠션이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여 다이브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력제공수단은 상기 제2링크(7-2)가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동축 상에 구비된 지지핀(21)과 상기 제2링크(7-2) 자체에 형성된 걸림핀(23) 사이에 설치된 스파이럴스프링(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7-2)는 상기 스파이럴스프링(25)에 의해 항상 상기 시트쿠션을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려고 하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도 1과 도 2의 상태는 상기 스파이럴스프링(25)에 의해 상기 쿠션프레임(5)이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해 있는 상태이고, 아울러, 상기 폴레버(15)는 상기 제1링크(7-1)의 걸림턱(11)을 구속하여, 상기 제1링크(7-1)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링크들의 회동을 억제하여 상기 쿠션프레임(5)이 상측으로 이동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은 상기 리클라이닝장치(9)에 의해서 상기 로워프레임(1)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회동되어 그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쿠션프레임(5)과는 아무런 기구적 연결관계가 없어서, 시트쿠션에 어떤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이더라도, 상기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시트의 시트백을 폴딩하기 위해 상기 노브를 작동시켜서 상기 리클라이닝장치(9)를 해제하여 시트백을 시트쿠션의 상측으로 폴딩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노브에 의해 상기 해제케이블(19)이 당겨져서, 상기 폴레버(15)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어 상기 제1링크(7-1)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쿠션프레임(5)은 상측에서 가압하는 상기 시트백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파이럴스프링(2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측으로 이동하여 다이브 되게 되는 것이다.
1; 로워프레임
3; 시트백프레임
5; 쿠션프레임
6; 지지프레임
7; 링크
8; 회전프레임
9; 리클라이닝장치
11; 걸림턱
13; 걸림부
15; 폴레버
17; 리턴스프링
19; 해제케이블
21; 지지핀
23; 걸림핀
25; 스파이럴스프링

Claims (6)

  1. 로워프레임과;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프레임과;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쿠션프레임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됨에 의해 상기 쿠션프레임을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로워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와;
    상기 쿠션프레임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가 상기 쿠션프레임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링크고정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링크고정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쿠션프레임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링크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해제수단과;
    상기 쿠션프레임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력제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링크가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동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링크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링크와 평행한 회동축으로 상기 로워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링크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한 폴레버와, 상기 폴레버의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의 회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시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수단은
    상기 폴레버가 상기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걸림턱의 회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회동되도록, 상기 폴레버를 회동시키도록 설치된 해제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제공수단은
    상기 링크가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동축 상에 구비된 지지핀과 상기 링크 자체에 형성된 걸림핀 사이에 설치된 스파이럴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시트.
  5.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은 상기 쿠션프레임과 아무런 직접적인 연결관계 없이, 상기 로워프레임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장치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시트.
  6.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프레임과 쿠션프레임 사이의 링크는 시트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제1링크들과 시트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제2링크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제1링크들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력제공수단은 상기 제2링크들 중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시트.
KR1020100134438A 2010-12-24 2010-12-24 차량용 폴딩시트 KR10162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38A KR101628403B1 (ko) 2010-12-24 2010-12-24 차량용 폴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38A KR101628403B1 (ko) 2010-12-24 2010-12-24 차량용 폴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02A KR20120072602A (ko) 2012-07-04
KR101628403B1 true KR101628403B1 (ko) 2016-06-08

Family

ID=4670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438A KR101628403B1 (ko) 2010-12-24 2010-12-24 차량용 폴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29B1 (ko) * 2013-03-27 2014-06-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0473160Y1 (ko) * 2013-07-03 2014-06-1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폴딩 앤 다이브 장치
KR200473159Y1 (ko) * 2013-07-03 2014-06-13 현대다이모스(주) 폴딩 앤 다이브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01981050B1 (ko) * 2017-04-03 2019-06-20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KR102410521B1 (ko) * 2017-12-06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릴렉스 시트
KR102218451B1 (ko) 2019-08-09 2021-02-19 주식회사 포스코 시트 프레임
KR102351256B1 (ko) * 2020-08-21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646A (ja) 2001-04-24 2002-10-29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
WO2008120415A1 (ja) 2007-03-29 2008-10-09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646A (ja) 2001-04-24 2002-10-29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
WO2008120415A1 (ja) 2007-03-29 2008-10-09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車両用シート
JP5104853B2 (ja) 2007-03-29 2012-12-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02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403B1 (ko) 차량용 폴딩시트
US9616784B2 (en) Vehicle seat
US10293717B2 (en) Vehicle seat
US10239427B2 (en) Vehicle seat with foldable stow position
KR101058762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US8287024B2 (en) Seat lock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KR101391477B1 (ko)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US9332845B2 (en) Vehicle seat and seatback-associated ottoman device
JP3964172B2 (ja) 車両用シート
JP482561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5003632A (ja) シートバック連動式オットマン装置
JP2008543463A (ja) 乗物シート用肘掛及び乗物シート
JP2005041274A (ja) シート装置
KR20130066346A (ko)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65992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50027742A (ko) 후방 절첩 동작을 갖는 절첩 및 닐링 시트
KR101404478B1 (ko)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KR101578944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6912722B2 (ja) 乗物用シート
JP6041618B2 (ja) 座席装置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JP6960360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04074823A (ja) シート装置
JP3455453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収納姿勢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