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478B1 -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478B1
KR101404478B1 KR1020120123909A KR20120123909A KR101404478B1 KR 101404478 B1 KR101404478 B1 KR 101404478B1 KR 1020120123909 A KR1020120123909 A KR 1020120123909A KR 20120123909 A KR20120123909 A KR 20120123909A KR 101404478 B1 KR101404478 B1 KR 10140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rame
locking
unit
headre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763A (ko
Inventor
강명모
김혁
김태형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4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6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the occupant to get in or out of the vehicle, e.g. stowing a seat forw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시트의 팁 업 동작 시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폴딩 동작되어 팁 업 동작된 시트로 인한 차량 공간 활용을 대폭적으로 높인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에 결합된 스테이의 수평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폴딩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수평프레임과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한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언폴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유닛; 및 시트백의 팁 업 동작 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록킹유닛을 해제시키는 폴딩작동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Seat linkage typed folding headrest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의 팁 업 동작 시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폴딩 동작되어 팁 업 동작된 시트로 인한 차량 내 공간 활용을 대폭 높일 수 있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승객의 착좌 시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쿠션과,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 및 승객의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로 구성된다.
한편 차량 시트는 착석한 승객마다의 안락함을 위하여 시트백의 각도조절 기능(리클라이너), 시트쿠션의 높이조절 기능, 시트의 전후 위치조절기능(슬라이드장치) 등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게 된다.
아울러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의 경우에는 전술한 시트의 기본적인 기능들 외, 승객의 편의를 위하거나 혹은 화물 적재 공간 확보 등의 이유로 시트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부가 기능들을 더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능들 중 하나로서, 팁 업(tip up) 기능이 있다.
이러한 팁 업 시트는, 예컨대 극장용 의자와 같이 미사용 중인 차량 시트에 대해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세워진 상태로 절첩시킴으로써, 차량 내 후열 시트로 출입하는 승객의 공간 활용을 높이거나 혹은 화물 적재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팁 업 시트에 대한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팁 업 시트는, 차량 플로어에 결합되는 찬넬(4);
상기 찬넬(4)상에 결합되며, 시트쿠션(1)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단레그(5);
상기 찬넬(4)에 설치된 스트라이커(41)에 탈 장착 가능하도록 스트라이커 캐치유닛(61)이 구비되며, 시트백(2)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후단레그(6);
상기 전단레그(5)와 전단부가 회전축(11)으로 결합되는 시트쿠션(1);
상기 회전축(11)상에 설치되어,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시트쿠션(1)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팁 업 스프링(12);
상기 후단레그(6)와 결합되는 시트백(2);
상기 시트쿠션(1)과 시트백(2)을 연결하는 링크조립체(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팁 업 동작을 살펴보면,
시트쿠션(1)의 일 측면에 구비된 팁 업 작동레버 즉, 후단레그 해제레버(8)를 당기게 되면, 해제레버(8)와 케이블(C1)로 연결되어 있는 후단레그(6)의 캐치유닛(61)이 잠금 해제 작동됨으로서 스트라이커(41)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시트쿠션(1)과 전단레그(5)를 연결하는 회전축(11)상에 압축 설치되어 있던 팁 업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하여, 시트쿠션(1)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시트쿠션(1)과 링크조립체(7)로 연결되어 있는 시트백(2)이 전방으로 함께 이동하며 세워진다.
결국 시트쿠션(1)과 시트백(2)은 전열시트를 향해 전방으로 근접 이동하여 서로 절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후열시트를 향해 출입하는 승객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는 등 후방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팁 업 시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모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렇게 팁 업 작동된 시트, 특히 시트의 최 상단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3)는 후열시트를 향해 출입하는 승객의 이동경로에 대해 장애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전열시트에 착석한 운전자나 승객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아울러 북미를 포함한 특정 국가에서는 시트백의 높이를 일정 높이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바, 이러한 시트백의 높이 규정을 만족하기 위하여 길게 설정하는 경우, 팁 업 동작된 시트백의 헤드레스트가 차량 실내 천장부에 접촉되어 간섭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3)를 지지하는 스테이(31)는 시트백(2)에 결합된 가이더(21)로부터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됨으로서, 이러한 스테이(31)의 높이에 따라서 헤드레스트(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테이(31)가 최대로 낮춰진 상태라 하더라도 헤드레스트(3)는 시트백(2)의 상부로 여전히 돌출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시트백(2)으로부터 헤드레스트(3)를 탈 장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전열시트에 착석한 운전자나 승객의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도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탈 장착 구조의 헤드레스트는 작동 및 분리된 헤드레스트의 보관이 불편하고 작동에 있어서도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종래 위치 조절 기능을 갖는 헤드레스트를 전술한 팁 업 시트에 단순히 적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시트의 팁 업 동작을 수행한 다음 재차 헤드레스트를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동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트의 팁 업 동작 후 헤드레스트로 인하여 후열시트로 출입하는 승객의 출입이 방해되는 것을 예방하고, 팁 업 동작 후 헤드레스트가 차량 천장부에 간섭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열시트에 착석한 운전자나 승객의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시트의 팁 업 동작 및 헤드레스트의 폴딩 동작을 일시에 동작시킬 수 있어 작동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에 결합된 스테이의 수평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과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폴딩시키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수평프레임과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한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언폴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유닛; 및
시트백의 팁 업 동작 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록킹유닛을 해제시키는 폴딩작동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둘레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언폴딩 위치를 제한하는 제1 걸림턱과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폴딩 위치를 제한하는 제2 걸림턱이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캠의 둘레에 접촉하는 일측에는 상기 제1 걸림턱 혹은 제2 걸림턱에 걸림 지지되는 록킹단을 구비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샤프트 혹은 회전캠과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캠에 구비된 록킹단을 고정캠의 둘레에 밀착시키는 제2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캠의 둘레 일측에는 제3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제3 걸림턱이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헤드레스트의 언폴딩 조작 시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좋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은, 상기 록킹유닛을 사이 공간에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수평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프레임과; 상기 제1,2 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체결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작동유닛은, 시트쿠션의 일측면에 결합된 후단레그 해제레버; 상기 후단레그 해제레버와 후단레그에 구비된 캐치유닛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후단레그 해제레버의 조작력에 의해 찬넬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로부터 캐치유닛을 분리시키는 제1 작동케이블; 및 상기 캐치유닛과 록킹유닛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캐치유닛과 연동하여 록킹유닛을 해제시키는 제2 작동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팁 업 동작 후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인하여 후열시트로 출입하는 승객의 출입이 방해되는 것을 예방하고 팁 업 동작 후 헤드레스트가 차량 천장부에 간섭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등 팁 업 동작된 시트 주위의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팁 업 동작 및 헤드레스트의 폴딩 동작을 일시에 동작시킬 수 있어 작동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팁 업 시트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팁 업 시트의 착좌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팁 업 시트의 팁 업 완료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헤드레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언폴딩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a)와, 폴딩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b).
도 8은 종래 팁 업 시트의 작동유닛을 보이는 도면(a) 및 본 발명에 의한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작동유닛을 보이는 도면(b).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 헤드레스트를 갖는 팁 업 시트의 팁 업 작동을 보이는 도면.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팁 업 시트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3)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후두부)를 받칠 수 있게 시트백(2)으로부터 세워진 언폴딩(unfolding) 상태를 유지하고, 시트의 팁 업 동작 시 공간 활용을 위하여 시트백(2)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한 폴딩(folding) 상태를 유지하는 폴딩 구조의 헤드레스트(3)를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딩 헤드레스트(3)가 적용되는 시트는 팁 업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기능을 만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딩 헤드레스트(3)는 헤드레스트 프레임(10), 제1 탄성부재(20), 록킹유닛(30), 폴딩작동유닛(40:도 8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은, 헤드레스트(3)를 고정 지지하는 부재로서, 시트백(2)에 결합되는 스테이(31)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31)는 시트백(2)에 결합된 원통 구조의 가이더(21:도 1 참조)에 삽입되어 승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시트백(2)에 대해 헤드레스트(3)의 승 하강 슬라이드 기능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테이(31)는 가이더(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우측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좌우측 수직프레임(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11)으로 구성된다. 결국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하단은 스테이(31)의 수평프레임(3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은, 제1 프레임(101), 제2 프레임(101"), 고정구(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프레임(101,101")은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수평프레임(311)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평프레임(311)이 제1,2 프레임(101,101")의 하단을 각각 관통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103)는 제1,2 프레임(101,101")을 서로 연결하는 상단 결합부(102,102")를 체결함으로서 제1,2 프레임(101,101")을 일체로 고정시킨다. 결국 제1,2 프레임(101,101")은 고정구(103)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에서 보았을 때 'П'자 구조를 이루며, 그 내부 공간에 후술될 록킹유닛(30)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프레임(10)에 대해 헤드레스트(3)의 골격에 해당하는 사출성형물을 조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31)의 수평프레임(311)과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은 제1 탄성부재(2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탄성부재(20)의 일단은 상기 수평프레임(311)에 결합(혹은 후술될 고정캠(301)에 결합될 수 있음)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20)는 수평프레임(311)을 중심으로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복원력을 갖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탄성부재(20)는 수평프레임(311)을 감싸는 형상의 코일스프링 구조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록킹유닛(30)은, 고정캠(301), 회전샤프트(303), 회전캠(305), 제2 탄성부재(307)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캠(301)은, 스테이(31)의 수평프레임(311)에 고정 결합되는 부재로서, 그 둘레에는 제1 걸림턱(3011)과 제2 걸림턱(3012)이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걸림턱(3011)은 후술될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을 걸림 지지시켜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언폴딩 위치를 유지시키게 되고, 상기 제2 걸림턱(3012)은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을 걸림 지지시켜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폴딩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캠(301)의 둘레면에 형성된 제1,2 걸림턱(3011,3012)의 사이 간격 정도에 따라서 헤드레스트(3)의 언폴딩 위치와 폴딩 위치가 결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2 걸림턱(3011,3012)의 사이 거리는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303)는, 헤드레스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제1,2 프레임(101,101")에 양쪽 단이 축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305)은, 회전샤프트(303)에 고정 결합되는 부재로서, 그 둘레 일측에는 상기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 혹은 제2 걸림턱(3012)에 걸림 지지되는 록킹단(3051)이 구비된다. 아울러 둘레 일단에는 후단레그(6)의 캐치유닛(61)을 스트라이커(41)로부터 분리시키는 후단레그 해제레버(8)와 연결되는 제1 작동케이블(C1)이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제2 탄성부재(307)는, 회전샤프트(303) 혹은 회전캠(305)과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2 탄성부재(307)는 헤드레스트 프레임(10)에 대해 회전샤프트(303)와 연결된 회전캠(305)을 회전시킴으로서 회전캠(305)이 상기 고정캠(301)의 둘레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복원력을 갖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탄성부재(307) 역시 제1 탄성부재(20)와 마찬가지 회전샤프트(303)를 감싸는 형상의 코일스프링 구조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폴딩 동작 시, 시트의 팁 업 동작과 연동하여 제1 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폴딩 동작을 구현하게 되는 것인데 반해, 반대로 언폴딩 동작의 경우는 시트의 팁 업 동작과 연동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결국 팁 업 상태에서 최초 위치로 시트가 복귀되면 사용자가 폴딩된 헤드레스트를 직접 가압하여 헤드레스트를 반대로 언폴딩 동작시키게 된다.
결국 헤드레스트를 다시 원위치로 언폴딩시키게 위하여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은 제1 탄성부재(20)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스테이(31)의 수평프레임(311)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이 고정캠(301)의 제2 걸림턱(3012)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다가 딸깍 소리와 함께 제1 걸림턱(3011)에 다시 걸림 지지되어 언폴딩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헤드레스트의 언폴딩 동작은 사용자의 지속적인 가압력이 제공되는 것으로, 만약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이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로부터 계속된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이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으로부터 분리되어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이 언폴딩 위치에서 후방으로 초과 회전함으로서 헤드레스트가 뒤로 젖혀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헤드레스트의 언폴딩 조작 시 후방으로 초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유닛(30)에는 초과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좋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301)의 둘레 일측에는 제3 걸림턱(3013)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상기 제3 걸림턱(3013)이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105)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처럼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이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언폴딩 가압력이 지속되더라도, 헤드레스트 프레임(10)에 형성된 스토퍼(105)가 고정캠(301)의 제3 걸림턱(3013)에 지지되어 더 이상의 후방 회전이 차단된다.
상기 고정캠(301)의 제3 걸림턱(3013)이 스토퍼(105)에 밀착되는 순간은, 적어도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이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에 결합 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혹은 록킹단(3051)이 제1 걸림턱(3011)에 결합된 이후 헤드레스트의 초과 회전을 허용하다가 이후 더 이상의 후방 회전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3 걸림턱(3013) 및 스토퍼(105)의 위치는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a)도면은 종래 팁 업 시트의 작동유닛을 보이는 것이고, (b)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팁 업 시트 및 폴딩 헤드레스트 작동유닛을 보이는 것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폴딩작동유닛(40)은, 시트의 팁 업 동작 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록킹유닛(30)을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수단으로서, 시트쿠션(2)의 일측면에 구비된 후단레그 해제레버(8)와 연동하여 록킹유닛(30)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을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즉, 이러한 폴딩작동유닛(40)은, 후단레그 해제레버(8), 제1 작동케이블(C1), 캐치유닛(61), 제2 작동케이블(C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단레그 해제레버(8), 제1 작동케이블(C1), 캐치유닛(61)은 종래 팁 업 시트를 구성하는 작동유닛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8 (a)을 참조하여 상기 캐치유닛(61)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캐치유닛(61)은, 후단레그(6)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플레이트(611)와, 이 가이드플레이트(611)에 축 결합되며 후단레그 해제레버(8)와 제1 작동케이블(C1)로 연결되는 회전부재(613)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11)에 축(615a)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613)와 스프링(617)으로 연결되는 후크부재(6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캐치유닛(61)의 분리 작동은, 후크부재(615)가 스트라이커(41)에 결속된 상태에서 시트를 고정 지지하고 있다가, 후단레그 해제레버(8)를 당겨 회전부재(613)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부재(613)와 스프링(617)으로 연결된 후크부재(615)를 차례로 회전시킴으로서 스트라이커(41)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캐치유닛(61)의 결합 작동은, 후단레그 해제레버(8)에 대한 조작 없이 스트라이커(41)의 상면에 놓여지게 되면, 시트의 하중에 의하여 스트라이커(41)가 후크부재(615)의 만곡된 하단을 가압하게 되고, 이후 회전부재(613)와 스프링(617)으로 연결된 후크부재(615)는 스프링(617)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축(615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딸깍 소리와 함께 자동으로 스트라이커(41)와 결속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후단레그(6)에 구비되는 캐치유닛(61)은 국내특허공개 제2005-0103630호, 제2006-0055568호, 제2006-0010948호, 제2010-00060536호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이러한 캐치유닛(61)의 구성에 있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폴딩작동유닛(40)은, 캐치유닛(61)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부재(613) 혹은 후크부재(615)와 상기 록킹유닛(30)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캠(305)을 연결하는 제2 작동케이블(C2)을 포함하게 된다.
실시 예인 도 8 (b)을 참조하면 후크부재(615)의 일단에 연장바(401)를 구성하고, 이 연장바(401)에 작동케이블(C2)의 일단이 결속되는 연결구(40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결국 후단레그 해제레버(8)의 작동 시, 캐치유닛(61)을 구성하고 있는 후크부재(615)가 회전하여 스트라이커(41)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후크부재(615)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작동케이블(C2)이 연동하여 당겨지게 되면서 록킹유닛(30)의 회전캠(305)을 회전시켜 고정캠(30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 헤드레스트를 갖는 팁 업 시트의 팁 업 작동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하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의 팁 업 동작 시, 시트쿠션(2)의 일측면에 구비된 후단레그 해제레버(8)를 당기게 되면, 제1 작동케이블(C1)로 연결된 캐치유닛(61)을 작동시켜 시트의 팁 업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팁 업 동작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캐치유닛(61)과 제2 작동케이블(C2)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캠(305)이 연동하게 된다. 즉,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에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이 걸림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팁 업 동작을 위한 후단레그 해제레버(8)에 조작력이 인가됨과 동시에 회전캠(305)은 회전샤프트(303)를 중심으로 제2 탄성부재(307)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회전하면서 고정캠(301)의 제1 걸림턱(301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상기 고정캠(301) 혹은 수평프레임(311)과 제1 탄성부재(20)로 연결되어 있는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은 제1 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수평프레임(31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며 폴딩 동작된다.
이러한 폴딩 동작 중,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된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은 제2 탄성부재(307)의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캠(301)의 둘레에 밀착되어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후 회전캠(305)의 록킹단(3051)은 고정캠(301)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걸림턱(3012)에 걸림 지지됨으로서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계속된 회전이 정지된 최종 폴딩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시트쿠션 (12) : 팁 업 스프링
(2) : 시트백 (3) : 헤드레스트
(31) : 스테이 (311) : 수평프레임
(4) : 찬넬 (41) : 스트라이커
(5) : 전단레그 (6) : 후단레그
(61) : 캐치유닛 (7) : 링크조립체
(8) : 후단레그 해제레버(팁 업 작동레버)
(10) : 헤드레스트 프레임 (105) : 스토퍼
(20) : 제1 탄성부재 (30) : 록킹유닛
(301) : 고정캠 (3011) : 제1 걸림턱
(3012) : 제2 걸림턱 (3013) : 제3 걸림턱
(303) : 회전샤프트 (305) : 회전캠
(3051) : 록킹단 (307) : 제2 탄성부재
(40) : 폴딩작동유닛 (C1) : 제1 작동케이블
(C2) : 제2 작동케이블

Claims (6)

  1. 시트백(2)에 결합된 스테이(31)의 수평프레임(3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10);
    상기 수평프레임(311)과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311)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을 폴딩시키는 제1 탄성부재(20);
    상기 수평프레임(311)과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한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제1 탄성부재(20)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언폴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유닛(30); 및
    시트백(2)의 팁 업 동작 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록킹유닛(30)을 해제시키는 폴딩작동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작동유닛(40)은,
    시트쿠션(1)의 일측면에 결합된 후단레그 해제레버(8);
    상기 후단레그 해제레버(8)와 후단레그(6)에 구비된 캐치유닛(61)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후단레그 해제레버(8)의 조작력에 의해 찬넬(4)에 고정된 스트라이커(41)로부터 캐치유닛(61)을 분리시키는 제1 작동케이블(C1); 및
    상기 캐치유닛(61)과 록킹유닛(3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캐치유닛(61)과 연동하여 록킹유닛(30)을 해제시키는 제2 작동케이블(C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30)은,
    상기 수평프레임(311)에 고정 결합되며, 둘레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언폴딩 위치를 제한하는 제1 걸림턱(3011)과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폴딩 위치를 제한하는 제2 걸림턱(3012)이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301);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샤프트(303);
    상기 회전샤프트(303)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캠(301)의 둘레에 접촉하는 일측에는 상기 제1 걸림턱(3011) 혹은 제2 걸림턱(3012)에 걸림 지지되는 록킹단(3051)을 구비하는 회전캠(305); 및
    상기 회전샤프트(303) 혹은 회전캠(305)과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을 연결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캠(305)에 구비된 록킹단(3051)을 고정캠(301)의 둘레에 밀착시키는 제2 탄성부재(30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301)의 둘레 일측에는 제3 걸림턱(3013)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상기 제3 걸림턱(3013)이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105)를 구비하여,
    헤드레스트의 언폴딩 조작 시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0)은,
    상기 록킹유닛(30)을 사이 공간에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311)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수평프레임(311)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프레임(101,101")과;
    상기 제1,2 프레임(101,101")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부(102,102")를 체결하는 고정구(1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20)는, 상기 수평프레임(311)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을 하는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6. 삭제
KR1020120123909A 2012-11-05 2012-11-05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KR10140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09A KR101404478B1 (ko) 2012-11-05 2012-11-05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09A KR101404478B1 (ko) 2012-11-05 2012-11-05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763A KR20140057763A (ko) 2014-05-14
KR101404478B1 true KR101404478B1 (ko) 2014-06-09

Family

ID=5088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909A KR101404478B1 (ko) 2012-11-05 2012-11-05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19B1 (ko)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910941B1 (ko) * 2017-06-23 2018-10-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가동장치
KR20190070003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3888B (zh) * 2019-04-28 2021-03-09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翻转头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03B1 (ko) * 2009-03-06 2009-06-08 박상두 능동형 헤드레스트
JP2010105655A (ja) * 2008-09-30 2010-05-13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及び該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655A (ja) * 2008-09-30 2010-05-13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及び該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KR100901103B1 (ko) * 2009-03-06 2009-06-08 박상두 능동형 헤드레스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19B1 (ko)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N108349419A (zh) * 2015-11-18 2018-07-31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折叠装置
US10427572B2 (en) 2015-11-18 2019-10-01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CN108349419B (zh) * 2015-11-18 2020-10-20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折叠装置
KR101910941B1 (ko) * 2017-06-23 2018-10-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가동장치
WO2018236097A1 (en) * 2017-06-23 2018-12-27 Woobo Tech Co., Ltd. DEVICE FOR MOVING HEADREST
US10994642B2 (en) 2017-06-23 2021-05-04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KR20190070003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KR102019566B1 (ko) 2017-12-12 2019-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763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717B2 (en) Vehicle seat
RU2673225C2 (ru) Сиденья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
US7967375B2 (en) Headrest apparatus moveable in cooperation with seat back
US8052194B2 (en) Stowable vehicle seat
JP2002282091A (ja) 折り畳み式の背もたれを有するシート装置
KR101404478B1 (ko)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WO2014167956A1 (ja) 車両用シート
KR100803067B1 (ko)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KR101268179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20130066346A (ko)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7068591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50027742A (ko) 후방 절첩 동작을 갖는 절첩 및 닐링 시트
KR101578944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2023171578A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1315695B1 (ko) 전방형 싱킹 시트
KR101651297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5859477B2 (ja) 車両用シート
JP6236233B2 (ja) 車両用シート
JP459585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ロック装置
KR20090112430A (ko)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 접힘구조
JP2018062341A (ja) 車両用シート
JP6262451B2 (ja) 車両用シート
JP5343710B2 (ja) オットマン装置
JP2014205430A (ja) 車両用シート
JP5777945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