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566B1 -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566B1
KR102019566B1 KR1020170170443A KR20170170443A KR102019566B1 KR 102019566 B1 KR102019566 B1 KR 102019566B1 KR 1020170170443 A KR1020170170443 A KR 1020170170443A KR 20170170443 A KR20170170443 A KR 20170170443A KR 102019566 B1 KR102019566 B1 KR 10201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ratchet
leaf spring
folding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003A (ko
Inventor
이승영
이훈복
정동우
박현기
정해일
박인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보테크
(주)우일공업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보테크, (주)우일공업,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5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1)는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에서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로 상호 전환시 치형 맞물림을 형성해 주는 로어/어퍼 라쳇(30,40)과 연계되고,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에서 로어 라쳇(30)으로 초기 위치 구속이 이루어지고 반면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에서 하프 피어싱(80)의 돌출 캠(81)으로 회전이 가능한 리프 스프링(70)으로 틸트 폴딩장치(1-2)가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헤드레스트(1)의 잠금/해제 작동구분이 최소부품과 원가절감으로 구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Tilt Folding type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레스트 폴딩에 따른 잠금/해제 작동구분이 라쳇과 리프 스프링 연계로 이루어지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용 시트 헤드레스트는 사용시 승객에 맞춰 시트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조에 더해 미 사용 헤드레스트를 시트 앞쪽으로 접어줌으로써 후방 시야를 확보해 주는 폴딩기구(Folding Mechanism)로 승객 편의성을 도모한다.
일례로 버튼 폴딩장치(Button Folding Device)는 폴딩 기구의 예로서 국내공개특허 10-2009-0083757(2009.08.04)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 폴딩장치는 헤드레스트 폴딩시 잠금/해제(Lock/Release)를 위한 라쳇 부재와 회동부재, 복수개 스프링, 제동부재, 해제부재 및 버튼 조작현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버튼 폴딩장치는 헤드레스트 폴딩에 따른 잠금/해제 작동을 구분하는 버튼 기능으로 사용자의 잠김위치(Locking Position)의 설정이 용이한 폴딩 조작이 이루어진다.
국내공개특허 10-2009-0083757(2009.08.04)
하지만 상기 버튼 폴딩장치는 버튼에 의한 잠금/해제 작동기능을 구분한다는 측면외 문제점이 매우 큰 방식이다.
일례로 대표적으로 제기되는 상기 버튼 폴딩장치의 문제점은 버튼과 잠금/해제장치간 기구적 연결을 필요로 하고, 상기 기구연결구조는 부품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타 폴딩기구 대비 원가 상승율이 매우 큰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원가 상승에 의한 고비용은 차량에 대한 폴딩장치의 장착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폴딩에 따른 잠금/해제 작동 구분이 이루어짐으로써 후방시야 확보 기능시 사용자 잠김 위치 설정 어려움을 해소하고, 특히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을 이용한 라쳇 연계구조의 틸트 메케니즘(Tilt Mechanism)으로 틸트 폴딩의 기능과 장점에 더한 사용자 편의성의 폴딩(Folding)/락킹(Locking) 작동구분이 최소부품과 원가절감으로 구현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폼을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와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로 상호 전환시켜주는 틸트 폴딩장치가 헤드레스트 포스트에 조립되고; 상기 틸트 폴딩장치에는 서로 치형 맞물림을 형성하는 로어 라쳇과 어퍼 라쳇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형 맞물림은 상기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에서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로 전환시 상기 어퍼 라쳇이 상기 로어 라쳇의 형상을 따라 전방 회전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시 상기 어퍼 라쳇과 상기 로어 라쳇의 구속 상태를 형성시켜주는 라쳇; 상기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시 회전 가능한 반면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시 상기 어퍼 라쳇의 후방회전에 의한 초기 위치 복귀로 상기 로어 라쳇으로 구속되는 리프 스프링; 상기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시 상기 리프 스프링과 접촉하여 회전가능상태로 형성해주는 반면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시 상기 리프 스프링과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로어 라쳇의 구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프 피어싱;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로어 라쳇은 멈춤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어퍼 라쳇은 이중 연동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프 스프링은 록킹 엔드가 형성된 셀프 구속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프 피어싱은 돌출 캠을 구비하며, 상기 멈춤 돌기와 상기 이중 연동 돌기가 상기 치형 맞물림을 형성시켜주고, 상기 록킹 엔드가 상기 돌출 캠으로 들려져 상기 회전가능상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로어 라쳇은 리프 스프링 규제 홈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은 스트로크 규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 스프링 규제 홈과 상기 스트로크 규제 홈의 결합으로 상기 리프 스프링에 대한 회전 범위 규제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트로크 규제 홈은 홈 돌기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로어 라쳇은 리프 스프링 구속 홈을 구비하여 상기 리프 스프링의 상기 록킹 엔드와 맞물린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어퍼 라쳇은 릴리즈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은 Locking 해제를 위한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어퍼 라쳇은 상기 리프 스프링의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에 접촉되어 어퍼 샤프트를 기준으로 한 회전으로 상기 후방 회전이 허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에는 폼 브래킷이 조립되고; 상기 폼 브래킷과 상기 리프 스프링은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어퍼 라쳇은 상기 폼 브래킷에 조립된 어퍼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상기 하프 피어싱은 상기 폼 브래킷에 조립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에는 리턴 스프링이 조립되어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어퍼 라쳇의 후방회전을 발생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폼 브래킷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상기 하프 피어싱이 조립된다. 상기 폼 브래킷에는 로어 샤프트가 조립되고, 상기 로어 샤프트는 상기 폼 브래킷의 회전시 상기 로어 라쳇과 접촉된다. 상기 폼 브래킷에는 록 스프링이 조립되고,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어퍼 라쳇에 스프링 하중을 부여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는 하나의 포스트에 의한 스테이(stay)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센터 포스트와 좌측 포스트 및 우측 포스트로 구분된 스테이(stay)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stay) 분리형 구조인 경우, 상기 센터 포스트의 좌우로 상기 좌측 포스트와 상기 우측 포스트가 조립된다. 상기 폼 브래킷은 아우터 브래킷과 이너 브래킷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브래킷과 상기 이너 브래킷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틸트 폴딩장치가 내장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는 후방 시야 확보에 틸트 폴딩메케니즘(Tilt Folding Mechanism)를 적용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사용자의 헤드레스트 폴딩 조작이 용이하다. 둘째,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에서 기존 버튼 폴딩장치와 같은 사용자 잠김 위치 설정의 편리성이 구현된다. 셋째, 사용자 잠김 위치 설정 기능이 폴딩장치와 리프 스프링의 연계로 틸트 폴딩장치의 부품수량을 최소화한다. 넷째, 틸트 폴딩장치이 내부 구성부품 최소화로 성능 개선하면서도 원가절감이 이루어진다. 다섯째, 저비용으로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의 시트 장착성을 크게 높여줌으로써 차량 상품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장치의 헤드레스트 잠금/해제 작동 상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 스프링 방식으로 구성된 틸트 폴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장치의 동작시 하프 피어싱의 돌출 캠에 의한 리프 스프링 동작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장치의 조립 상태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장치의 Folding(폴딩)에서 Locking(록킹)에 이루는 동작 단계의 예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장치의 릴리지(Release) 후 Locking에서 Folding에 이루는 동작 단계의 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의 작동 상태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 폴딩장치를 리프 스프링 기능 대신 하트 캠 구조로 구성한 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트 캠방식 틸트 폴딩장치의 헤드레스트 폴딩시 틸트 폴딩장치에 의한 잠금/해제 작동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1)는 헤드레스트 폼(foam)(1-1)으로 감싸여 시트(100)의 등받이 상부에 결합된 틸트 폴딩장치(1-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 폼(1-2)은 우레탄 발포재로 시트(100)에 착석한 착석자의 머리부위에 쿠션을 제공한다. 상기 시트(100)는 차량용 시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트 폴딩장치(1-2)는 헤드레스트 포스트(10), 폼 브래킷(20), 한 쌍의 라쳇(ratchet), 한 쌍의 샤프트, 복수개의 스프링, 하프 피어싱(80)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10)는 하나의 포스트에 의한 스테이(stay)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좌우측 포스트(10-1,10-2)와 센터 포스트(10-3)로 구분된 스테이(stay)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테이(stay)분리형 구조인 경우, 상기 좌우측 포스트(10-1,10-2)는 각각 좌측 포스트(10-1)와 상기 우측 포스트(10-2)로 구분되고, 상기 센터 포스트(10-3)는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폼 브래킷(20)은 아우터 브래킷(20-1)과 이너 브래킷(20-2)로 구성된다. 상기 라쳇은 로어 라쳇(30)과 어퍼 라쳇(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는 로어 샤프트(50-1)와 어퍼 샤프트(50-2)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록 스프링(Lock Spring)(60-1)과 리턴 스프링(60-2) 및 리프 스프링(7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프 피어싱(80)은 이너 브래킷(20-2)의 내측에 형성되어 리프 스프링(70)과 접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틸트 폴딩장치(1-2)의 폴딩에서 록킹에 이르는 작동 상태가 예시된다. 여기서 “->”는 틸트 폴딩장치(1-2)에 의한 헤드레스트(1)의 진행방향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헤드레스트(1)는 Folding Position -> Full Stroke -> Locking Position으로 이루어지는 틸트 폴딩장치(1-2)의 동작으로 시트(100)에서 접어진 상태로부터 세워진다. 반면 헤드레스트(1)는 Locking Position -> Release Position으로 이루어지는 틸트 폴딩장치(1-2)의 동작으로 시트(100)에서 세워진 상태로부터 다시 접어진다.
일례로 상기 틸트 폴딩장치(1-2)의 동작을 로어/어퍼 라쳇(30,40)과 리프 스프링(70)과 하프 피어싱(80)의 연계 작동으로 설명하면, 상기 Folding Position에선 어퍼 라쳇(40)의 치형(즉, 도 3의 이중 연동 돌기(45))이 90°범위로 회전함으로써 “A"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Full Stroke에서 어퍼 라쳇(40)의 치형이 잠금 위치(locking position)까지 이동함으로써 “B"상태로 전환되며, Locking Position에선 어퍼 라쳇(40)의 치형이 기계적 물림(mechanical locking)을 형성함으로써 “C"상태로 전환되고, Release Position에선 어퍼 라쳇(40)의 치형이 빠짐(해제)으로써 잠금 해제의 “D"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틸트 폴딩장치(1-2)의 Folding Position/Full Stroke/Locking Position/Release Position을 가능하게 하는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포스트(10)와 폼 브래킷(20), 로어 라쳇(30), 어퍼 라쳇(40), 로어 샤프트(50-1), 어퍼 샤프트(50-2), 록 스프링(60-1), 리턴 스프링(60-2), 리프 스프링(70) 및 하프 피어싱(80)의 분해 구성이 예시된다. 이 경우 상기 폼 브래킷(20)과 상기 리프 스프링(70)이 회전하는데 반해 상기 로어 라쳇(30)은 센터 포스트(10-3)에 대한 고정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10)는 한 개의 중실파이프 또는 중공파이프로 절곡되어 스테이(stay) 일체형 구조로 질 수 있으나, 이 경우 2개의 좌우측 포스트(10-1,10-2)와 센터 포스트(10-3)로 구분된 스테이(stay) 분리형 구조로 설명한다. 상기 좌우측 포스트(10-1,10-2)의 각각은 “ㄱ"형상으로 절곡된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터 포스트(10-3)는 중실파이프 또는 중공파이프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헤드레스트 포스트(10)는 틸트 폴딩장치(1-2)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ㄱ"형상의 좌우측 포스트(10-1,10-2)와 결합된 센터 포스트(10-3)쪽으로 일체화 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래킷(20-1)은 "ㄷ"형상 바디의 돌출하단부에 센터 포스트(10-3)로 조립되는 포스트 홀(21)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 브래킷(20-2)은 "ㄷ"형상 바디의 돌출하단부에 하프 피어싱(80)이 결합된 상태에서 센터 포스트(10-3)로 조립되는 하프 피어싱 홀(22)과 함께 로어 샤프트(50-1)가 끼워져 고정되는 축 홀(23)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아우터 브래킷(20-1)과 상기 이너 브래킷(20-2)의 "ㄷ"형상 바디 각각에는 고정 홀을 천공하여 어퍼 샤프트(50-2)가 끼워져 고정된다. 그러므로 폼 브래킷(20)은 아우터 브래킷(20-1)과 이너 브래킷(20-2)의 결합으로 대략 양방향 개구된 사각체 형태를 이룸으로써 사각체 내부 공간으로 틸트 폴딩장치(1-2)의 구성요소가 내장된다.
상기 로어 라쳇(30)은 센터 포스트(10-3)에 조립되는 축 홀(31-1)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로어 라쳇 바디(31)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어 라쳇 바디(31)에는 테두리 둘레를 따라 잠김 돌기(33), 멈춤 돌기(34), 리프 스프링 규제 홈(35) 및 리프 스프링 구속 홈(36)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잠김 돌기(33)와 상기 리프 스프링 규제 홈(35)은 로어 라쳇 바디(31)의 위쪽부위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돌기(34)는 로어 라쳇 바디(31)의 아래쪽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리프 스프링 구속 홈(36)은 로어 라쳇 바디(31)의 한쪽측면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잠김 돌기(33)는 Locking 위치를 구현하도록 돌출되어 치형을 이루고, 상기 멈춤 돌기(34)는 Folding 위치를 구현하도록 돌출되어 치형을 이루며, 상기 리프 스프링 규제 홈(35)은 리프 스프링(70)의 작동 범위를 규제하도록 잠김 돌기(33)의 안쪽으로 파여진 홈을 이루고, 상기 리프 스프링 구속 홈(36)은 리프 스프링(70)의 Locking을 위해 파여져 치형을 이룬다.
상기 어퍼 라쳇(40)은 어퍼 샤프트(50-2)에 조립되는 축 홀(41-1)을 형성한 대략 직사각형의 어퍼 라쳇 바디(41)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 라쳇 바디(41)에는 테두리 둘레를 따라 이중 연동 돌기(45)와 릴리즈 돌기(47)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이중 연동 돌기(45)는 어퍼 라쳇 바디(41)의 한쪽에서 형성되는 반면 상기 릴리즈 돌기(47)는 어퍼 라쳇 바디(41)의 다른쪽에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이중 연동 돌기(45)는 Locking 위치와 Folding 위치를 구현하도록 대략 “V" 형상의 둔각 꺾쇠로 치형을 이루고, 상기 릴리즈 돌기(47)는 Release 작동을 구현하도록 돌출된 레버형상을 이룬다. 그러므로 상기 릴리즈 돌기(47)는 메카니즘 해제 후 어퍼 라쳇(40)의 치형이 들린 상태로 메커니즘이 후방 회전할 때, 리프 스프링(70)의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77)와 접촉하면서 어퍼 라쳇(40)이 어퍼 샤프트(50-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가 다시 로어 라쳇(30)쪽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로어 샤프트(50-1)는 이너 브래킷(20-2)의 축 홀(23)로 끼워지는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로어 샤프트(50-1)는 이너 브래킷(20-2)에 조립된 상태에서 폼 브래킷(20)의 회전시 멈춤 돌기(34)의 측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로어 샤프트(50-1)는 폼 브래킷(20)의 회전으로 로어 라쳇(30)과 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어퍼 샤프트(50-2)는 아우터 브래킷(20-1)과 이너 브래킷(20-2)의 "ㄷ"형상 바디에 청공된 고정홀로 끼워지는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어퍼 라쳇(40)의 조립위치를 잡아주는 테두리 플랜지가 동심원을 형성한다.
상기 록 스프링(60-1)은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너 브래킷(20-2)과 어퍼 라쳇(40)에 조립됨으로써 어퍼 라쳇(4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60-2)은 센터 포스트(10-3)를 감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아우터 브래킷(20-1)과 로어 라쳇(30)에 조립됨으로써 폼 브래킷(20)의 회전에 대해 스프링 하중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준다.
상기 리프 스프링(70)은 센터 포스트(10-3)에 조립되는 축 홀(71-1)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리프 스프링 바디(71)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 스프링 바디(71)에는 테두리 둘레를 따라 스트로크 규제 홈(75)과 홈 돌기(75-1), 셀프 구속 돌기(76), 록킹 엔드(76-1) 및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77)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스트로크 규제 홈(75)과 상기 홈 돌기(75-1) 및 상기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77)는 리프 스프링 바디(71)의 위쪽부위로 형성되고, 상기 셀프 구속 돌기(76)는 리프 스프링 바디(71)의 한쪽측면에서 리프 스프링 바디(71)와 분리되어 탄성을 갖는 상기 록킹 엔드(76-1)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스트로크 규제 홈(75)은 리프 스프링(70)의 작동 범위 규제를 위해 치형을 이루면서 그 안쪽에서 절곡 구조로 홈 돌기(75-1)를 형성하고, 상기 셀프 구속 돌기(76)의 록킹 엔드(76-1)는 리프 스프링(70)의 Locking을 위해 대략 “V" 형상의 예각 꺾쇠로 치형을 이루고, 상기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77)는 어퍼 라쳇(40)의 Release 작동을 위해 돌출되어 치형을 이룬다. 특히 상기 리프 스프링(70)의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77)는 어퍼 라쳇(40)과 접촉되어 어퍼 라쳇(40)이 Locking 상태에서 해제 되어 후방 회전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77)는 메커니즘 해제를 위해 Locking 상태에서 Full Stroke 위치로 작동 되는 과정에서 Locking 된 리프 스프링(70)의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47)에 어퍼 라쳇(40)이 접촉하여 어퍼 라쳇 이중 연동 돌기(45)가 들려 메카니즘이 해제 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하프 피어싱(80)은 센터 포스트(10-3)에 조립되는 축 홀(80-1)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하프 피어싱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프 피어싱 바디의 한쪽으로 돌출 캠(81)이 돌출됨으로써 하프 피어싱 홀(22)을 이용해 이너 브래킷(20-2)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리프 스프링(70)과 접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프 피어싱(80)의 동작에 따른 돌출 캠(81)의 작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캠(81)은 틸트 폴딩장치(1-2)의 동작시 리프 스프링(70)의 셀프 구속 돌기(76))와 접촉으로 리프 스프링(70)의 회전을 일으키고, 리프 스프링(70)의 셀프 구속 돌기(76)를 들어 올림으로써 잠김 엔드(76-1)의 움직임으로 리프 스프링(70)을 잠금 해제(Unlock) 상태로 만들어준다.
도 5를 참조하면, 틸트 폴딩장치(1-2)의 조립 구조와 메커니즘 동작이 예시된다.
조립 구조에서, 상기 좌측 포스트(10-1)와 상기 우측 포스트(10-2)는 센터 포스트(10-3)의 좌우 양쪽으로 결합되고, 시트(100)의 백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아우터 브래킷(20-1)과 상기 이너 브래킷(20-2)은 센터 포스트(10-3)에 조립되어 서로 결합되고, 로어/어퍼 라쳇(30,40)과 로어/어퍼 샤프트(50-1,50-2), 록/리턴/리프 스프링(60-1,60-2,70)및 하프 피어싱(80)이 내부 공간에서 조립되어 결합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이너 브래킷(20-2)에는 그 내측으로 하프 피어싱(80)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라쳇(30)은 센터 포스트(10-3)에 용접되고, 상기 어퍼 라쳇(40)은 어퍼 샤프트(50-2)에 조립되며, 상기 로어 라쳇(30)과 상기 어퍼 라쳇(40)은 치형이 맞물리도록 조립된다. 상기 로어 샤프트(50-1)와 상기 어퍼 샤프트(50-2)의 각각은 아우터 브래킷(20-1)과 이너 브래킷(20-2)에 조립되며, 상기 어퍼 샤프트(50-2)에는 어퍼 라쳇(40)이 조립된다.
또한 상기 록 스프링(60-1)은 이너 브래킷(20-2)과 어퍼 라쳇(4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60-2)은 센터 포스트(10-3)에 조립되어 그 양끝단이 각각 아우터 브래킷(20-1)과 로어 라쳇(30)에 조립되며, 상기 리프 스프링(70)은 센터 포스트(10-3)에 조립되어 로어 라쳇(30)과 결합된다. 상기 하프 피어싱(80)은 이너 브래킷(20-2)의 내측에 형성되어 리프 스프링(70)과 접촉된다.
작동 메커니즘에서, 센터 포스트(10-3)와 용접된 로어 라쳇(30)을 제외하고 아우터/이너 브래킷(20-1,20-2), 어퍼 라쳇(40), 리프 스프링(70)은 센터 포스트(10-3)를 축으로 시트(100)에 대해 전방/후방 회전 작동한다.
상기 전방 회전은 헤드레스트(1)에 대한 사용자의 힘으로 작동하는 반면 상기 후방 회전은 작동 중지시 리턴 스프링(60-2)의 탄성력에 의한 스프링 하중으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어퍼 라쳇(40)은 아우터/이너 브래킷(20-1,20-2)에 조립된 어퍼 샤프트(50-2)를 축으로 회전 작동을 하고, Locking 작동 시 로어 라쳇(30)의 형상을 따라 움직인다. 특히 상기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의 치형은 Locking 작동 시에 아래로 작용하는 록 스프링(60-1)의 스프링 하중으로 인해 들리지 않는 반면 Folding 작동 시에는 위로 작용하는 록 스프링(60-1)의 스프링 하중으로 인해 치형이 들려 Release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상기 틸트 폴딩장치(1-2)의 폴딩에서 록킹 및 록킹에서 폴딩 동작이 예시된다.
도 6의 Folding에서 록킹 동작은 초기 Folding 상태의 ①, Locking 위치로 변경하기 위한 메커니즘 작동 상태의 ②, 약 90도 전방 회전에 따른 메커니즘 작동 상태의 ③, 메커니즘의 전방 회전 멈춤 상태의 ④, Full Stroke 위치에서 작동 중지시 메커니즘 작동 상태의 ⑤로 구분된다.
상기 ①에선, 초기 Folding 상태이므로 a와 b 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a의 경우 리프 스프링(70)은 셀프 구속 돌기(76)의 잠김 엔드(76-1)가 하프 피어싱(80)의 돌출 캠(81)으로 들려짐으로써 리프 스프링(70)은 Unlock 상태를 형성하여 회전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상기 b의 경우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가 로어 라쳇(30)의 멈춤 돌기(34)와 치형부 맞물린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시 로어 라쳇(30)의 형상을 따라 어퍼 라쳇(40)이 회전 가능함을 나타낸다.
상기 ②에선, Locking 위치로 변경하기 위해 틸트 폴딩장치(1-2)의 메커니즘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c와 d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c의 경우 Folding 위치에서 전방으로 약 10도 정도 메커니즘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돌출 캠(81)과 셀프 구속 돌기(76)의 록킹 엔드(76-1)로 인해 하프 피어싱(80)과 리프 스프링(70)이 접촉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프 피어싱(80)의 돌출 캠(81)이 리프 스프링(70)의 셀프 구속 돌기(76)를 밀어 록킹 엔드(76-1)가 들려짐으로써 리프 스프링(70)도 하프 피어싱(80)과 같이 전방 회전한다. 상기 d의 경우 이때 상기 리프 스프링(70)의 회전 범위는 로어 라쳇(30)의 리프 스프링 규제 홈(35)에 의해 규제 되는 반면 어퍼 라쳇(40)은 로어 라쳇(30)의 형상을 따라 회전함을 나타낸다. 이 경우 규제범위는 소정 각도이며, 헤드레스트의 회전범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상기 ③에선, 틸트 폴딩장치(1-2)의 메커니즘이 약 90도 정도 전방 회전하므로 e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e의 경우 리프 스프링(70)은 로어 라쳇(30)의 리프 스프링 규제 홈(35)에 의하여 전방으로 최대 회전한 위치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하프 피어싱(80)의 돌출 캠(81)이 리프 스프링(70)의 셀프 구속 돌기(76)를 지나가 록킹 엔드(76-1)와 접촉이 끝남으로써 Locking 상태가 아닌 경우와 같이 록킹 엔드(76-1)는 로어 라쳇(30)의 로어 라쳇 바디에 접촉됨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는 Full Stroke 위치까지 유지된다.
상기 ④에선, 틸트 폴딩장치(1-2)의 메커니즘 전방 회전이므로 f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f의 경우 Full Stroke 위치에서 이너 브래킷(20-2)에 달린 스토퍼로 작용하는 로어 샤프트(50-1)가 로어 라쳇(30)의 멈춤 돌기(34)와 접촉하면서 멈춰짐을 나타낸다.
상기 ⑤에선, Full Stroke 위치에서 작동을 중지하므로 g와 h 및 i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g의 경우 리턴 스프링(60-2)의 스프링 하중에 의하여 틸트 폴딩장치(1-2)의 메커니즘이 Folding 방향으로 후방 회전하고,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와 로어 라쳇(30)의 잠김 돌기(33)가 치형 맞물림으로써 Locking이 완료됨을 나타낸다. 상기 h의 경우 리프 스프링(70)은 전방으로 최대 회전한 상태로 있다가 후방 회전하는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와 치형 접촉하고, 리턴 스프링(60-2)의 스프링 하중에 의하여 후방 회전하는 어퍼 라쳇(40)에 밀려 Folding 방향으로 후방 회전(즉, 리프 스프링(70)의 초기위치)함을 나타낸다. 상기 i의 경우 리프 스프링(70)의 록킹 엔드(76-1)가 로어 라쳇(30)의 리프 스프링 구속 홈(36)과 접촉으로 치형 맞물림으로써 Locking 상태 됨을 나타낸다.
도 7의 Locking에서 폴딩 동작은 Locking 위치에서 해제를 위하여 Full Stroke 위치로 전방 회전시 메커니즘 작동 상태의 ⑦, Full Stroke 위치에서 작동 중지시 메커니즘 작동 상태의 ⑧, 후방 회전함에 따른 메커니즘 작동 상태의 ⑨로 구분된다.
상기 ⑦에선, Locking 위치에서 해제를 하기 위함이므로 k와 j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k의 경우 Full Stroke 위치로 틸트 폴딩장치(1-2)의 메커니즘이 전방 회전할 때 Locking 상태인 리프 스프링(70)은 고정되어 있고, 어퍼 라쳇(40)은 아우터/이너 브래킷(20-1,20-2)과 같이 센터 포스트(10-3)를 축으로 전방 회전함으로써 고정된 리프 스프링(70)과 접촉하여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가 위로 들려 치형 물림이 해제됨을 나타낸다. 상기 j의 경우 최종적으로 Full Stroke 위치에서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가 완전히 들려 메커니즘 해제로 리프 스프링(70)의 셀프 구속 돌기(76)는 로어 라쳇(30)의 리프 스프링 구속 홈(36)으로 록킹 엔드(76-1)가 위치됨을 나타낸다.
상기 ⑧에선, Full Stroke 위치에서 작동을 중지하므로 l과 m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l의 경우 리턴 스프링(60-2)의 스프링 하중에 의하여 틸트 폴딩장치(1-2)의 메커니즘이 Folding 방향으로 후방 회전 하고,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가 들려있는 상태로 후방 회전함을 나타낸다. 상기 m의 경우 약 90도 위치에서 어퍼 라쳇(40)의 릴리즈 돌기(47)와 리프 스프링(70)의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77)가 접촉으로 치형 물림을 형성하고, 이후 메커니즘의 후방 회전으로 어퍼 라쳇(40)은 아우터/이너 브래킷(20-1,20-2)에 조립된 어퍼 샤프트(50-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가 다시 로어 라쳇(30)의 잠김 돌기(33)쪽으로 내려옴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약 60도 위치에서 록 스프링(60-1)의 스프링 하중이 아래 방향으로 적용되고 더불어 어퍼 라쳇(40)의 이중 연동 돌기(45)가 로어 라쳇(30)의 잠김 돌기(33)와 치형 물림 상태를 만들지 않는 접촉 상태를 형성하면서 Folding Stopper 위치까지 후방 회전함으로써 Folding이 완료된다.
상기 ⑨에선, 메커니즘이 후방 회전하므로 n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n의 경우 하프 피어싱(80)도 후방 회전하면서 약 90도 위치에서 돌출 캠(81)이 리프 스프링(70)의 셀프 구속 돌기(76)와 접촉하면서 Folding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셀프 구속 돌기(76)를 들어 올려 록킹 엔드(76-1)가 리프 스프링 구속 홈(36)에서 빠짐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리프 스프링(70)은 Unlock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틸트 폴딩장치(1-2)의 동작이 헤드레스트(1)의 움직임으로 예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일례로 헤드레스트(1)의 "Locking -> Folding" 동작인 경우, 시트(100)에서 세워져 Locking 상태인 헤드레스트 폼(1-1)에 조작력(즉, Push Release)을 가함으로써 틸트 폴딩장치(1-2)가 작동된다. 상기 조작력은 헤드레스트 폼(1-1)을 시트(100)의 앞쪽(즉 운전자 머리쪽 방향)으로 들어주는 Full Stroke 동작과 내려주는 Folding 동작으로 구분된다. 상기 Full Stroke 동작은 헤드레스트 폼(1-1)이 젖혀지는 틸트 폴딩장치(1-2)의 Full Stroke 이동으로 Locking을 Unlocking으로 전환하고, 상기 Folding 동작은 헤드레스트 폼(1-1)이 시트(100)의 뒤쪽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Unlocking을 Locking으로 전환시켜준다.
일례로 헤드레스트(1)의 "Folding -> Locking" 동작인 경우, 시트(100)에서 눕혀져 Folding 상태인 헤드레스트 폼(1-1)에 조작력(즉, Push Lock)을 가함으로써 틸트 폴딩장치(1-2)가 작동된다. 상기 조작력은 헤드레스트 폼(1-1)을 시트(100)의 앞쪽(즉 운전자 머리쪽 방향)으로 들어주는 Full Stroke 동작과 올려주는 Locking 동작으로 구분된다. 상기 Full Stroke 동작은 헤드레스트 폼(1-1)이 위로 올라간 후 젖혀지는 틸트 폴딩장치(1-2)의 Full Stroke 이동으로 Unlocking을 형성하고, 상기 Locking 동작은 헤드레스트 폼(1-1)을 시트(100)의 뒤쪽으로 당겨줌으로써 헤드레스트 폼(1-1)이 시트(100)에 세워진 상태에서 Locking으로 전환시켜준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틸트 폴딩장치(1-2)가 하트 캠방식 틸트 폴딩장치(1-3)로 변형된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트 캠방식 틸트 폴딩장치(1-3)는 좌우측/센터 포스트(10-1,10-2,10-3)의 헤드레스트 포스트(10), 아우터/이너 브래킷(20-1,20-2)의 폼 브래킷(20), 로어/어퍼 라쳇(30,40), 로어/어퍼 샤프트(50-1,50-2), 록/리턴 스프링(60-1,60-2)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고, 리프 스프링(70)과 하프 피어싱(80)을 대신하여 하트 캠(90) 및 캠 레버(90-1)가 적용되는 차이가 있다.
일례로 상기 하트 캠(90)은 스플라인 축 홀과 캠 레버(90-1)를 잡아주는 치형 돌기부가 형성된 하트 캠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 레버(90-1)는 치형 돌기부에 맞물리는 직선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트 캠방식 틸트 폴딩장치(1-3)는 헤드레스트 포스트(10), 폼 브래킷(20), 로어/어퍼 라쳇(30,40), 로어/어퍼 샤프트(50-1,50-2), 록/리턴 스프링(60-1,60-2)이 틸트 폴딩장치(1-2)와 같이 조립되고, 상기 하트 캠(90)이 스플라인 축 홀을 통해 회전되도록 센터 포스트(10-3)에 결합되어 이너 브래킷(20-2)쪽으로 위치되며, 상기 캠 레버(90-1)는 이너 브래킷(20-2)의 돌출된 브래킷 스토퍼(25)로 구속된 상태로 이너 브래킷(20-2)과 결합되어 하트 캠(90)의 회전반경내에 위치한다.
Folding을 참조하면, 상기 하트 캠방식 틸트 폴딩장치(1-3)는 눕혀진 상태이므로 하트 캠(90)이 스플라인 축 홀을 통해 회전되도록 센터 포스트(10-3)에 결합되어 이너 브래킷(20-2)쪽으로 위치됨으로써 하트 캠(90)과 캠 레버(90-1)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헤드레스트(1)는 시트(100)에 눕혀진 상태로 된다.
반면 Locking을 참조하면, 상기 하트 캠방식 틸트 폴딩장치(1-3)는 세워진 상태이므로 헤드레스트 포스트(10)에 대한 폼 브래킷(20)의 회전으로 캠 레버(90-1)가 하트 캠(90)쪽으로 이동됨으로써 하트 캠(90)과 캠 레버(90-1)의 구속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헤드레스트(1)는 시트(100)에 세워진 상태로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1)는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에서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로 상호 전환시 치형 맞물림을 형성해 주는 로어/어퍼 라쳇(30,40)과 연계되고,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에서 로어 라쳇(30)으로 초기 위치 구속이 이루어지고 반면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에서 하프 피어싱(80)의 돌출 캠(81)으로 회전이 가능한 리프 스프링(70)으로 틸트 폴딩장치(1-2)가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헤드레스트(1)의 잠금/해제 작동구분이 최소부품과 원가절감으로 구현된다.
1 : 헤드레스트 1-1 : 헤드레스트 폼(foam)
1-2 : 틸트 폴딩장치 1-3 : 하트 캠방식 틸트 폴딩장치
10 : 헤드레스트 포스트 10-1,10-2 : 좌우측 포스트
10-3 : 센터 포스트 20 : 폼 브래킷
20-1 : 아우터 브래킷 20-1 : 이너 브래킷
21 : 포스트 홀 22 : 하프 피어싱 홀
23,31-1,41-1,71-1,80-1 : 축 홀
25 : 브래킷 스토퍼
30 : 로어 라쳇 31 : 로어 라쳇 바디
33 : 잠김 돌기 34 : 멈춤 돌기
35 : 리프 스프링 규제 홈 36 : 리프 스프링 구속 홈
40 : 어퍼 라쳇 41 : 어퍼 라쳇 바디
45 : 이중 연동 돌기 47 : 릴리즈 돌기
50-1 : 로어 샤프트 50-2 : 어퍼 샤프트
60-1 : 록 스프링(Lock Spring)
60-2 : 리턴 스프링 70 : 리프 스프링
71 : 리프 스프링 바디 75 : 스트로크 규제 홈
75-1 : 홈 돌기
76 : 셀프 구속 돌기 76-1 : 록킹 엔드
77 :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
80 : 하프 피어싱 81 : 돌출 캠
90 : 하트 캠 90-1 : 캠 레버
100 : 시트

Claims (16)

  1. 헤드레스트 폼(foam)을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와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로 상호 전환시켜주는 틸트 폴딩장치가 헤드레스트 포스트에 조립되고;
    상기 틸트 폴딩장치에는 상기 상호 전환시 치형 맞물림을 형성해 주는 로어라쳇과 어퍼 라쳇과 연계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에서 상기 로어 라쳇으로 초기 위치 구속이 이루어지고 반면 상기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에서 하프 피어싱으로 회전이 가능한 리프 스프링이 포함되고,
    상기 로어 라쳇과 상기 어퍼 라쳇은 상기 치형 맞물림으로 상기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에서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로 전환시 상기 어퍼 라쳇이 상기 로어 라쳇의 형상을 따라 전방 회전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시 상기 어퍼 라쳇과 상기 로어 라쳇의 구속 상태를 형성시켜주고;
    상기 하프 피어싱은 상기 헤드레스트 Folding 상태시 상기 리프 스프링과 접촉하여 회전가능상태로 형성해주는 반면 상기 헤드레스트 Locking 상태시 상기 리프 스프링과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로어 라쳇의 구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 라쳇은 멈춤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어퍼 라쳇은 이중 연동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프 스프링은 록킹 엔드가 형성된 셀프 구속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프 피어싱은 돌출 캠을 구비하며,
    상기 멈춤 돌기와 상기 이중 연동 돌기가 상기 치형 맞물림을 형성시켜주고, 상기 록킹 엔드가 상기 돌출 캠으로 들려져 상기 회전가능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어 라쳇은 리프 스프링 규제 홈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은 스트로크 규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 스프링 규제 홈과 상기 스트로크 규제 홈의 결합으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회전 범위 규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규제 홈은 홈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범위의 규제는 소정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어 라쳇은 리프 스프링 구속 홈을 구비하여 상기 리프 스프링의 상기 록킹 엔드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퍼 라쳇은 릴리즈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은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퍼 라쳇은 상기 리프 스프링의 어퍼 라쳇 릴리즈 돌기에 접촉되어 어퍼 샤프트를 기준으로 한 회전으로 상기 어퍼 라쳇의 상기 이중 연동 돌기가 상기 로어 라쳇쪽으로 내려오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에는 폼 브래킷이 조립되고; 상기 폼 브래킷과 상기 리프 스프링은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어퍼 라쳇은 상기 폼 브래킷에 조립된 어퍼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상기 하프 피어싱은 상기 폼 브래킷에 조립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에는 리턴 스프링이 조립되어 스프링 하중으로 상기 폼 브래킷이 회전하면서 상기 어퍼 라쳇도 함께 후방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폼 브래킷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상기 하프 피어싱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폼 브래킷에는 로어 샤프트가 조립되고, 상기 로어 샤프트는 상기 폼 브래킷의 회전으로 상기 로어 라쳇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폼 브래킷에는 록 스프링이 조립되고,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어퍼 라쳇에 스프링 하중을 부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포스트는 스테이(stay) 일체형 구조 또는 스테이(stay)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stay) 분리형 구조인 경우, 센터 포스트와 좌측 포스트 및 우측 포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포스트의 좌우로 상기 좌측 포스트와 상기 우측 포스트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폼 브래킷은 아우터 브래킷과 이너 브래킷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브래킷과 상기 이너 브래킷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틸트 폴딩장치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KR1020170170443A 2017-12-12 2017-12-12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KR10201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43A KR102019566B1 (ko) 2017-12-12 2017-12-12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43A KR102019566B1 (ko) 2017-12-12 2017-12-12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03A KR20190070003A (ko) 2019-06-20
KR102019566B1 true KR102019566B1 (ko) 2019-11-14

Family

ID=6710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443A KR102019566B1 (ko) 2017-12-12 2017-12-12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5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229Y1 (ko) 2002-08-05 2002-10-28 정해일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JP2004000373A (ja) 2002-06-03 2004-01-08 Toyo Seat Co Ltd 車両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支持機構
KR101404478B1 (ko) 2012-11-05 2014-06-09 대원산업 주식회사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JP2015112975A (ja) 2013-12-10 2015-06-22 株式会社荒井製作所 前倒式ヘッドレス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96B1 (ko) 2008-01-30 2010-09-16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373A (ja) 2002-06-03 2004-01-08 Toyo Seat Co Ltd 車両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支持機構
KR200293229Y1 (ko) 2002-08-05 2002-10-28 정해일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KR101404478B1 (ko) 2012-11-05 2014-06-09 대원산업 주식회사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JP2015112975A (ja) 2013-12-10 2015-06-22 株式会社荒井製作所 前倒式ヘッドレ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03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5415B2 (en) Headrest dump assembly with both cable and push button actuation
US8197007B2 (en) Combination pivotal and displaceable headrest assembly incorporated into a vehicle seat
US9573499B2 (en) Headrest dump assembly integrated into a seatback
US7204556B2 (en) Vehicle seat
CN100560403C (zh) 具有记忆的盘式倾斜器
CA2706485C (en) Full memory i-disc
JP4955368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RU2673225C2 (ru) Сиденья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
CN102649403B (zh) 主控/从动容易进入倾斜器
JP4063863B1 (ja) ヘッドレスト
US9199556B2 (en) Hinge assembly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hinge assembly
US20100133889A1 (en) Pivoting headrest with cable operated release catch
JP2006143195A (ja) スプリング搭載ヘッドレスト
US10358053B2 (en) Seat adjuster, vehicle seat, and a method of adjusting seatback
WO2003084778A1 (en) Dual-cam seat-hinge assembly
US20110084534A1 (en) Headrest folding structure for a vehicle
US8215712B2 (en) Seat recliner assembly
JP6750471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019566B1 (ko) 틸트 폴딩형 헤드레스트
JPH0366882B2 (ko)
JP6115441B2 (ja) リクライナ
CN210027152U (zh) 一种多档位调节头枕
KR100512879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7447518B2 (ja) 乗物用シート
JPH04405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